KR20150133573A -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573A
KR20150133573A KR1020140060539A KR20140060539A KR20150133573A KR 20150133573 A KR20150133573 A KR 20150133573A KR 1020140060539 A KR1020140060539 A KR 1020140060539A KR 20140060539 A KR20140060539 A KR 20140060539A KR 20150133573 A KR20150133573 A KR 2015013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er
map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김남진
Original Assignee
김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진 filed Critical 김남진
Priority to KR102014006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573A/ko
Publication of KR2015013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수신 하는 서비스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상기 단말기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상대가 되는 제 2 단말기 정보를 지정하는 명령도 입력되면, 상기 입력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고자 할 경우 목적지 정보도 제 1 혹은 제 2 단말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고,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위치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승인 공개와 비 승인 공개가 존재하므로서,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가 작게 된다, 이러한 작은 화면 크기 내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사용자 상호간에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효과적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ADVERTISEMENT-SYSTEM IN THE MOBILE MESSENGER SCREEN}
본 발명은 모바일메신저 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으로서, 특히 메신저를 이용하는 상호간에 혹은 그룹간에 사용자의 위치와 목적지의 위치를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는 모바일 단말에서는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전송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무선인터넷 접속, mp3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모바일메신저 서비스에 가입된 모바일 단말에서는 모바일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며, 그 이용자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모바일 메신저(문자) 시스템의 하부 기능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문자를 주고 받는 대상자가 2명이거나 혹은 2 명 이상 다수일 경우 공동으로 문자 이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물론, 대한민국 특허 공개(제 10-2006-0006992호)에서는 "접수된 SMS #1을 SMSC(문자 메시지 전송 센터)가 발신번호와 수신번호 정보와 함께 접수하고, 상기 수신번호에 첨부된 특수 문자나 기호를 인지하여 본 서비스용의 SMS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또한, 이동 통신사 측은 상기 찾아가는 자의 휴대폰 측으로 위치 추적 동의 여부를 묻는 call back SMS를 전송하고, 이에 동의 조작 신호를 보내면, 상기 찾아가는 자의 이동 도중의 위치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종래의 위치 추적 방법(기지국 을 이용한 위치 추적, 또는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적)으로 위치 추적하여서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도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대화 방식의 문자 시스템 혹은 그룹 채팅방 방식에서 서로간의 위치와 원하는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방법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두명이 혹은 다수가 메신저를 주고 받으면서 동시에 상호간의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도 제공 시스템의 개발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인용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6992호, 공개일 2006년01월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이나 데스크 탑 PC처럼 큰 화면을 가지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내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사용자 상호간에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수신 하는 서비스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상기 단말기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상대가 되는 제 2 단말기 정보를 지정하는 명령도 입력되면, 상기 입력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고자 할 경우 목적지 정보도 제 1 혹은 제 2 단말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고,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위치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승인 공개와 비 승인 공개가 존재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상기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다.
또한,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회원 정보가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서비스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문자 송수신 화면이 표시될 때에 지도의 형태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화면 크기가 작게 된다, 이러한 작은 화면 크기 내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사용자 상호간에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효과적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서버와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8과 도 9는 문자 송수신 중에 상대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지도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메뉴 이용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 12는 도 5에 대한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하는 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의 진행 흐름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상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문자를 주고 받는 동안에도 사용자 상호간에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지도를 통하여 제공하는 지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5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5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65),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출력부(67),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55) 및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60)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혹은 휴대용 컴퓨터)(2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20)에는 중앙처리장치의 역할을 하는 CPU(25),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모듈과 스피커 진동 혹은 키 버튼 등의 기능이 다양하게 도 부과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50) 내에는 제어부(60)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61), 데이터 처리부(6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6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55)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55)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56), 각각의 정보 코드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57)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58)로 구성된다.
이때,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데이터 베이스(57)에는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지도 정보에는 위치정보, 좌표 정보, 지도 이미지 정보, 지도내의 지명 및 명칭 정보 등이 총 망라된다.
한편, 서버(50)의 제어부(60)에서는 사이트 운영부(63)가 접속자에 대한 정보와 회원 가입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61)에서는 접속자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55)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62)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모듈)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물론, 도 1의 블록도 설명은 한 예이며, 본 발명의 서버는 반드시 회원 접속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을 원하는 모든 접속자를 대상으로 할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CPU)(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인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35a)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35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35c)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27)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중앙처리장치(2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2)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가 있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31)를 통해서 입력장치(30)를 제어한다.
한편, 입출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당연히 여기에는 스피커와 진동부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입력부에는 카메라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단말기를 예로 들었으나, 중앙처리 장치의 제어와 입력장치(30)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장치(30)는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을 가하거나 접촉할 수도 있지만, 압력을 가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와 접촉하지 않고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입력장치로는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이 있으나, 거기에 한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대한 발명이 아니라 통상에 사용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4와 도 5는 서버와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 4는 제 1 단말기(20-1)와 제 2 단말기(20-2)가 서버(50)를 통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경우의 실시에 도면이며, 이 경우는 두 명의 사용자가 메신저 시스템(서버를 이용한 메신저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 5는 제 1 단말기(20-1), 제 2 단말기(20-2) 및 제 N 단말기(20-N)가 서버(50)를 통하여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경우의 실시에 도면이며, 이 경우는 3명이상 N 명의 사용자가 메신저 시스템(서버를 이용한 메신저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경우에 해당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지도가 표시될 때, 광고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 표시를 위하여 본원 발명의 서버(50)에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광고 서버(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서버(51)는 광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광고주의 서버로 여러개가 된다. 물론, 별도의 광고 서버(51)를 더 제공하지 않고,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에 광고 데이터가 저장되어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에서처럼, 이름(혹 명칭)과 전화번호가 표시되는 전화번호 리스트(5)에서, 화면 상단에 표시된 메뉴(7) 내의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7에서처럼,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의 하부 메뉴(7b)가 표시되고, 표시된 하부 메뉴(7b)에서 상대(위치 정보 제공 상대)를 지정할 수가 있다. 즉, 하부 메뉴(7b) 내에 지도 입력창에 상대(위치 정보 제공 상대로, 이름 혹은 명칭)를 입력하므로서 사용자를 지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대를 지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을 선택하면 이름(혹은 명칭) 측면에 선택 기호(7c)가 표시되고, 지정하고자 하는 상대의 이름(혹은 명칭)을 선택(도 7의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이름(혹은 명칭)의 측면에 있는 선택 기호(7c)는 표시가 구별됨.)하므로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문자 송수신 중에 상대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에서처럼 수신 문자(1)과 송신 문자(2)가 표시되는 문자 송수신 화면표시 상단에 메뉴(7)가 표시되고, 도 9에서처럼 상기 메뉴(7) 내의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9에서처럼,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의 하부 메뉴(7b)가 표시되고, 표시된 하부 메뉴(7b)에서 지도 사용자를 지정하므로서, 상대(위치 정보 제공 상대)를 지정할 수가 있다.
즉, 문자 이용 중에 문자 상대를 선택하므로서, 주소 리스트(5)에서 여러명 중에 선택하는 것과는 다르지만, 전체적인 원리를 비슷하다.
한편, 이러한 상대 지정은 단말기(20) 내의 입력장치(30)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지도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실행되는 단말기(20) 내에서 입력장치(30)를 통하여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장치 명령에 의하여 상대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대의 정보(이름 혹은 명칭의 전화번호 아이디 등)는 서버(50)에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서버(50)의 제어부(60)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하여, 회원의 개인 정보 데이터 내에, 선택된 상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55)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상기 서버(50)의 제어부(60)는 선택된 상대에게 지도 제공 및 위치 정보에 대한 문의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들어, 홍길동이 단말기에서 지도 서비스 및 위치제공 상대로 김길동을 선택하였으면, 단말기는 서버에 위치 제공 상대로 김길동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는 홍길동 개인 정보 데이터에 김길동이 선택되었음을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는 김 길동 단말기에 위치 정보 공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김 길동이 선택을 하게 된다. 이때, 김 길동이 동의 혹 비 동의를 하게 되면, 김길동의 동의 혹 비동의 선택 결과를 다시 서버로 전송된다. 최종적으로 서버는 김길동의 동의 및 비 동의 선택 결과를 홍길동의 개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당연히, 서버(50)는 김길동의 개인 데이터 베이스에도, 홍길동의 상대 선택 정보와 김 길동의 동의 혹의 비 동의 선택 정보를 저장한다.
최종적으로 홍길동이 김길동을 선택하고, 김길동이 동의를 선택하면, 서버는 홍길동과 김길동이 서로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지도 서비스를 홍길동과 김길동의 단말기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서버(50)의 데이터 베이스(55)에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원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부(11)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데어터부(11)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지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원 명단(리스트)(11a)
- 상기 회원의 아이디 및 개인 정보(11b)
- 상기 회원과 함께 지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 위치 정보도 서로 공유하는, 지도 공유자 정보(11c)
상기 지도 공유자는, 앞의 실시예 설명에서처럼 선택된 받은 회원(김길동)이며,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회원 1명당 지도 공유자가 1 명만 저장되었지만 여러명이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김길동 같은 선택 대상자가 여러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위치 정보 공유 방법(11d)
1) 승인 공개 : 상호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선택하고 동의하였다고 하여도, 위치 정보를 서로 제공하기 전에 상호 승인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2) 무승인 공개 : 상호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선택하고 동의하였고,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면 위치 정보도 승인 과정 없이 서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3) 일방 공개 : A와 B 두명 중에 한 명만 상대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면 위치 정보도 승인 과정 없이 제공한다는 것이다.
4) 일방 승인 공개 : A와 B 두명 중에 한 명만 상대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면, 위치 정보 승인 과정을 거쳐서 승인이 되면 위치 정보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 목적지 지정(11e)
A와 B 두명이 서로 이동하기로 한 목적지를 지정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도 11은 지도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메뉴 이용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방법이다.
화면 상단에 표시된 메뉴(7) 내의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을 선택한다. 그러면, 지도 서비스 명령 아이콘(7a)의 하부 메뉴(7c)가 표시되고, 표시된 하부 메뉴(7b)에서 목적지를 입력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A와 B 두명이 남산타워를 가기로 했으면, 목적지로 남산타워를 입력할 수가 있으며, 도 11의 (A)에 도시된 하부 메뉴(7c)에 표시된 목적지 입력창에 목적지를 입력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의 (B) 실시예에서처럼 지도 제공 시스템 사용 여부와 목적지 정보에 대해 지정 상대에게 승인을 요청할 수가 있다.
즉,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설명에서처럼 지도 제공 서비스를 상호 제공하기로 한 회원이 명령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지도 제공서비스를 상호 제공하기로 한 회원과 서비스 제공을 받고자 할 경우에, 목적지를 입력하고 또한 위치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승인을 하는 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제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서로 위치 제공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상대방 지정과 선택을 실시하였고(도 10의 실시예에서처럼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대), 제1 단말기 혹은 제 2 단말기 중에서 하나가 지도 제공 서비스를 받고자 할 경우에 상대에게 승인 요청을 선택한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처럼, 제 1 단말기(20-1)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승인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단말기(20-1)의 중앙처리장치(25)는 상기 승인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60)는 상대방인 제 2 단말기(20-2)에 지도 제공 시스템 사용 승인 여부 정보를 발송한다.
승인 여부를 전송 받은 제 2 단말기(20-2)의 디스플레이부(21)에는 승인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내용(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 2 단말기(20-2)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승인을 확인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단말기(20-2)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입력정보를 서버(50)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과 단계를 밟은 다음, 서버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하게 된다.
물론, 제 2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승인 거절 명령이 입력되면 서버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도 10의 실시예에서처럼, 무승인 공개가 미리 지정되었다면 승인 단계가 없이, 서버(50)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하게 된다.
도 12는 도 5에 대한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정보 저장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다수가 함께 메신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그룹이 존재하고, 상기 그룹(8)에 속한 회원(8a)이 저장된 실시예의 방법이다. 즉,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55)에는 지도 제공 서비스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그룹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그룹에 속한 회원은 자기의 위치 정보를 승인을 통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무승인이 되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하는 실시예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문자를 송수신 하는 중에,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문자 송수신 중에 입력장치를 통하여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대방도 승인이 선택되면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게 된다. (물론 미리 무승인이 지정되었으면 상대방 승인 없이도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문자와 문자 사이에 지도(10)가 표시되고, 상기 지도에 별도 표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목적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위치가 표시된다. 이때,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위치는 통상의 위치 정보 방법에 의하게 된다.
이때, 목적지에서 제 1 단말기의 위치와 목적지에서 제 2 단말기의 위치도 위치 표시창(10a)에 표시된다.
도 14는 자판의 위치에 지도(9)가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지도(9)에는 목적지(9a)와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위치(9b)(9b')가 표시되며, 목적지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까지의 거리(9d)도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지도 상부에 표시된 자판(9c)을 선택하면, 지도 표시가 13에서처럼 자판 표시로 바뀌게 된다. 동일 방법으로 도 13의 자판 상단에 표시된 지도(7e)를 선택하면, 자판 표시가 도14처럼 지도 표시로 바뀌게 된다.
도 15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실시예의 방법이다.
도면에서처럼 제 1 디스플레이(21-1)에는 문자 송수신 내용이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21-2)에는 지도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지도(12)에도 목적지(11b), 및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위치(11c)(11c')가 각각 표시된다. 또한, 목적지에서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까지의 거리(11a)도 표시된다.
아울러, 도 14와 도 15의 예에서처럼, 지도가 표시될 때 광고(9-1)(11-1)가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광고(9-1)(11-1)를 선택하면, 상기 광고(9-1)(11-1)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의 진행 흐름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7은 상대를 지정하고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시작하여 문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S 100 - S 102)
그리고, 지도 제공 시스템을 제공받고자 하는 상대를 주로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 설명에서처럼 주소 리스트에서 상대를 지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대를 지정하게 되면 도 10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지도 공개 방식 4 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S 104 - S 106)
이때, 상기 4 가지 방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본원 발명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뉴(7)를 선택하면 하부 메뉴가 나오고 하부 메뉴에서 상기 4 가지 방법이 표시되고 그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을 가짐으로서 실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제 1 단말기의 입력장치 명령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택된 상대에 대한 정보와 공개 방법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중앙처리장치는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는 전송 받는 데어터를 데이터 베이스(55)에 도 10과 도 12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저장하게 된다.(S 108 - S 109)
한편, 주소 리스트에서 상대를 지정하지 않게 된다면, 문자 이용중에 도 8과 도9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선택하면 문자를 주고 받는 상대방이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4 가지 방식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 100)
그리고, 선택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 중앙처리장치는 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S112) 또한, 상기의 단계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되게 된다. (S114)
그리고, 프로그램을 종료하게 되면 종료가 된다.(S116 - S 118)
도 18과 도 19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문자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선택하게 된다. (S 120 -S 122)
상대가 없고 목적지를 찾아 가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S124)
상대가 없는 경우라면, 도 13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 혹은 제 2 단말기 위치 중에서 하나만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목적지 위치가 표시되는 서비스 방법이다.
이때에는 단말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목적지 위치(주소) 혹은 명칭이 입력되고 입력정보는 서버에 전송되게 된다. (S126)
서버의 제어부(60)는 지도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입력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준다. (S128)
그리고,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고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S130)
한편, 상대가 존재하고 승인 공개라면, 제 1 단말기에서 서버에 상대 선택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 132 - S 134)
그리고, 서버는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 승인 여부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승인 입력이 되면, 서버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하게 된다. (S 136)
그렇게 되면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사용할 수가 있다.(S138)
아울러, 도 10의 실시예 설명에서처럼 무승인 공개라면, 제 1 단말기는 서버에 상대 정보(제 2 단말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는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정보를 발송하게 된다.(S140)
그러면, 서버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하고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사용자는 지도 제공 시스템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S142)
이때,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지도 제공 시스템은, 지도 정보와 제1 단말기 혹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를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는 것이며,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가 위치가 바뀜에 따라 바뀌게 되는 위치 정보도 표시한다는 것이다.
한편, 목적지 없이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위치 정보만 표시될 수 있으며, 목적지와 제 1 단말기의 위치만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정보는 통상의 지도 및 위치 정보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17과 도 18의 실시예에서는 1명 혹은 2 명의 사용자가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12의 실시예 설명에서처럼 사용자가 3 명이상 혹은 여러명 일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1, 2: 송수신 문자 박스 5 : 리스트
7 : 메뉴 7b : 하부 메뉴
20: 단말기 21: 디스플레이부
25: 중앙처리장치(CPU) 30; 입력장치
35: 메모리부 50: 서버
55:데이터 베이스 60: 제어부

Claims (4)

  1.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 상기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를 송수신 하는 서비스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상기 단말기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선택 명령이 입력되고, 상대가 되는 제 2 단말기 정보를 지정하는 명령도 입력되면, 상기 입력 정보는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제 2 단말기에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고자 할 경우 목적지 정보도 제 1 혹은 제 2 단말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고,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위치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승인 공개와 비 승인 공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상기 지도 제공 시스템을 서비스 받는 것을 특징으로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지도 제공 시스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회원 정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서비스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문자 송수신 화면이 표시될 때에 지도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KR1020140060539A 2014-05-20 2014-05-2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KR20150133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539A KR20150133573A (ko) 2014-05-20 2014-05-2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539A KR20150133573A (ko) 2014-05-20 2014-05-2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73A true KR20150133573A (ko) 2015-11-30

Family

ID=5486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539A KR20150133573A (ko) 2014-05-20 2014-05-20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5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451B2 (en) Place of interest recommendation
US20150350262A1 (en) Causation of establishment of a location sharing group
US2015024516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EP2138943B1 (en) Sharing user defined location based zones
JP6411011B2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211020A (zh) 移动设备的ad hoc对等联网
US9918193B1 (en) Hybrid electronic navigation and invitation system
JP2012145565A (ja) ポータブル端末で移動経路を提供する装置及び方法
US8903936B2 (en) Sharing user defined location based zones
KR101127569B1 (ko) 휴대 단말기의 위치 기반 말풍선 서비스 이용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20087267A (ko) 다중 위치 기반의 poi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944921A (zh) 用于社交网络信息集成的客户端、服务器、系统及方法
KR20120087269A (ko) 경로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33762B1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CN109286890B (zh) 用于确定至少两个移动终端设备彼此的相对位置的方法
KR20150133573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KR20150133584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지도 제공 시스템
KR20180111217A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9681255B2 (en) Mobile Proximity bonding system and method
US20240187267A1 (en) Method, user terminal, and server for displaying chat roo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2018002105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20904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80019915A (ko) 모바일 문자 화면에서 제공되는 cctv 서비스 시스템
KR102627327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48062B1 (ko)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