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356A -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 Google Patents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356A
KR20150133356A KR1020140059764A KR20140059764A KR20150133356A KR 20150133356 A KR20150133356 A KR 20150133356A KR 1020140059764 A KR1020140059764 A KR 1020140059764A KR 20140059764 A KR20140059764 A KR 20140059764A KR 20150133356 A KR20150133356 A KR 2015013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x body
box
side walls
corrugated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대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대문
Priority to KR102014005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356A/ko
Publication of KR2015013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Abstract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가 개시된다. 상자 본체부는 사각형 바닥과, 이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서로 연결된 네 측벽, 그리고 네 측벽의 수직모서리 각각의 양쪽 두 측벽의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덧대어져 접합되어 네 수직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내력을 강화해주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안쪽에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덮개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상단에 얹혀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상자 본체부의 측벽을 보강하기 위한 측벽 보강부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서리 보강부재를 상자 본체부에 덧대지 않는 대신, 측벽 보강부를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을 따라 밀착 배치되어 이중측벽구조를 형성하는 사각고리형 보강 측벽과, 이 보강 측벽의 네 수직모서리 각각의 양쪽 두 측벽의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덧대어져 접합되어 수직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내력을 강화해주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강도와 내파열성 등이 우수한 ㄱ-자형으로 만들어진 합지판재를 모서리 보강부재로 사용한다. 방수를 위해, 상자 본체부와 덮개부는 비닐 커버를 코팅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Packaging box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with improved strength of vertical edges thereof}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서리 부분의 강도 보강을 하고 다중겹으로 제작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상자(이하, '골판지 상자'라 함)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상자의 재료로 골판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골판지는 원판지에 파형의 골심지를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로, 구성에 따라 그 종류가 편면 골판지, 양면 골판지, 이중양면 골판지, 삼중양면 골판지, 사중양면 골판지 등으로 나뉜다. 원판지는 기계적 충격이나 기후 조건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고, 골심지는 골판지에 두께를 부여하고 견고성과 유연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충격 시 압축에 대한 상대적인 탄성을 제공한다. 골판지는 비교적 적은 무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다.
골판지 상자는 대개 측면 모서리 부분이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하다. 상자 외부나 내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특히 수직하중이 크게 걸리는 경우, 가장 먼저 터지거나 찢어지는 부위가 바로 그 부분이다.
기존의 골판지 상자는 네 군데의 측면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군데는 이웃하는 두 측면의 모서리를 일정 부분 겹치게 해서 그 부분을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철심을 박아 이어 붙인다. 나머지 측면 모서리 부분은 골판지를 단순히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어 붙였거나 절곡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내압성과 내파열성이 약한데도 불구하고, 기존의 골판지 상자는 그 약한 모서리 부분의 구조적 취약성 보강을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특히, 골판지 상자에 무거운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이동 과정에서 여러 개의 상자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 아래쪽에 깔린 상자에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걸려 측벽이 그 하중을 고스란히 다 받게 된다. 골판지 상자가 가지런하게 적재되지 않으면 하중이 측벽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게 작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골판지 상자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면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측면 모서리 부분부터 찢어지는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네 측면 모서리 부분을 구조적으로 강화하여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한편, 하지만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충격에 약한 상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골판지만으로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품을 보호하기에는 부족하다. 발포 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상표명 '스티로폼' 또는 '스타이로폴'로 불리기도 함)은 부피에 비해 무게가 아주 가볍고 내충격성이 좋아 상품의 운송용 포장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무겁거나 파손되기 쉬운 제품들을 골판지로 된 상자로 포장할 때에는 충격 완화용을 거의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포 폴리스타이렌은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환경에는 매우 유해한 물질이다. 오랜 시간 동안 썩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의 주성분인 스티렌 이성질체가 환경 호르몬으로 의심받고 있다. 따라서 환경이나 인체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이를 가능하면 적게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기울여지고 있다.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경우는 그것들을 회수하여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등의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골판지 상자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이런 점들이 적극 반영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네 측벽의 수직모서리 부분에 강도 보강부재를 부가하여 그 수직모서리 부분의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 내력이 크게 강화되어 수직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열되지 않는 골판지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자의 측벽 전체에 수직모서리의 강도가 강화된 보강부재를 덧대어 수직모서리가 강화된 다중겹 측벽을 갖는 골판지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자의 표면을 비닐 커버로 덧씌워 방수성을 갖는 골판지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형 바닥; 상기 바닥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세워져 인접하는 측벽끼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네 측벽; 그리고 상기 네 측벽의 네 수직모서리 각각의 양쪽 두 측벽의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덧대어져 접합되어 상기 네 수직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내력을 강화해주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안쪽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상자 본체부; 및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네 측벽의 상단에 얹혀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를 제외한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골판지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포장용 골판지 상자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각형 바닥; 및 상기 바닥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세워져 인접하는 측벽끼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네 측벽을 포함하며, 안쪽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상자 본체부;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을 따라 밀착 배치되어 이중측벽구조를 형성하는 사각고리형 보강 측벽과, 상기 보강 측벽의 네 수직모서리 각각의 양쪽 두 측벽의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덧대어져 접합되어 상기 수직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내력을 강화해주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측벽 보강부; 및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자 본체부,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를 제외한 상기 측벽 보강부,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골판지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포장용 골판지 상자가 제공된다.
상기 두 가지 포장용 골판지 상자 각각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는 ㄱ-자형으로 절곡된 합지판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은 자신의 높이의 두 배로 재단된 측벽부분 골판지를 반으로 꺾어 접어서 두 겹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지는 부분에서는 상기 두 겹 중 한 겹이 제거되고 그 제거된 부분에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져 접합되어 두 겹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벽 보강부의 상기 보강 측벽은 자신의 높이의 두 배로 재단된 측벽부분 골판지를 반으로 꺾어 접어서 두 겹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지는 부분에서는 상기 두 겹 중 한 겹이 제거되고 그 제거된 부분에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져 접합되어 두 겹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는 상기 골판지의 한 겹 두께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네 측벽의 상단에 얹히는 덮개 기판과, 상기 덮개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만 남기고 상기 덮개 기판의 하면에 적층 접합되어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꼭 맞게 덮으면서 네 측면이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과 밀착되는 덮개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네 측벽의 상단에 얹히는 덮개 기판과, 상기 덮개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만 남기고 상기 덮개 기판의 하면에 적층 접합되어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꼭 맞게 덮으면서 네 측면이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과 밀착되는 덮개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 보강부의 높이는 상기 상자 본체부의 측벽의 높이에 비해 적어도 상기 덮개 보강판의 두께만큼 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두께를 키워 내충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중양면 골판지, 삼중양면 골판지, 사중양면 골판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두 겹으로 포개어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 각각의 외면 전체를 에워싸면서 밀착되어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에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해주는 비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측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인접 측벽과 중첩되어 서로 접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네 측벽은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각 수직모서리 부근에서 이웃하는 두 측벽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종이상자는 골판지를 사용하여 만들되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수직 모서리 부분은 수직 및 수평 하중 내력과 내파열성 등이 매우 우수한 ㄱ-자형 합지판재로 보강하여 만들기 때문에, 기존의 골판지 상자에 비해 훨씬 우수한 수직 및 수평 하중 내력과 내파열성을 제공한다. 상자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내용물을 담아서 수직으로 여러 층 쌓아두는 경우에도 충분한 내력을 제공하여 상자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자의 각 면은 적어도 이중양면 골판지를 2겹으로 포갠 것을 사용하거나 그것들을 이중으로 중첩시켜 구성하므로, 각 면은 골심지가 적어도 4층 또는 8층으로 되어 있고, 그에 따라 라이너지도 여러 겹으로 되어 있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각 면의 내충격성이 크게 개선되고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다. 상자를 만드는 재로로 이중양면, 삼중양면, 심지어 사중양면 골판지 중에서 필요에 따라 골라 사용하여 상자의 면의 두께를 더 두껍게 가져갈 수 있어서, 내충격성과 구조적 안정성은 더욱 좋게 된다.그러므로 기존에 포장용 골판지 상자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던 발포 폴리스타이렌을 충격 완화용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환경 유해물질인 발포 폴리스타이렌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골판지 상자의 상자 본체부와 덮개부를 각각 별도로 만들기 때문에, 방수용 비닐 커버를 코팅할 수 있고, 비닐 커버가 코팅된 상자는 습도가 높은 지역이나 비나 눈에 노출될 수 있는 외부에 적재해두어야 하는 조건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를 구성하는 상자 본체부 일부와 나머지 일부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의 측벽 보강부를 구성하는 단위 요소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의 덮개부를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낸 전개되고,
도 5는 상기 상자 본체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측벽 보강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덮개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의 덮개부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자 본체부의 다른 구성방식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의 상자 본체부의 전개도와 이를 조립한 상태의 상자 본체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내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로 만든 포장용 골판지 상자(10)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상자(10)는 크게 사각형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상자 본체부(20)와, 상자 본체부(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50)를 포함한다.
상자 본체부(20)와 덮개부(50)는 모두 골판지를 이용하여 만든다. 재료로 사용하는 골판지는 가공성이 좋으면서도 충격 흡수력도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편면 골판지나 양면골판지는 골심지가 단층이어서 상자의 용도에 따라 충격 흡수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골심지가 삼층인 삼중양면 골판지나 사층이 사중양면 골판지가 있는데, 이들은 충격 흡수력은 좋은 반면 골심지가 이층인 이중양면 골판지에 비해 가공성이 좋지 않다. 일반적인 경우는 위 두 요건을 고르게 잘 만족하는 이중양면 골판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우수한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삼중양면 골판지나 사중양면 골판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높은 내충격성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편면 골판지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은 이중양면 골판지를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자 본체부(20)는 상자 본체부(30)와 측벽 보강부(40)를 구비한다. 도 1과 2는 상자 본체부(20)의 상자 본체부(30)를 구성하는 두 요소의 전개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의 제1 상자 본체부(30-1)은 종이상자(10)의 바닥부(34)와 좌우 두 측벽부(32)를 구성하고, 도 2의 제2 상자 본체부(30-2)는 상자(10)의 바닥부(34)와 앞 뒤 두 측벽부(32)를 구성한다.
상자 본체부(30)의 네 측벽부는 자신의 높이의 두 배로 재단된 측벽부분 골판지를 반으로 꺾어 접어서 두 겹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점선(---)은 접히는 부분을 나타낸다. 측벽부 내면(32a)과 측벽부 외면(32b)은 점선을 따라 꺾어서 포개지게 접는다. 따라서 상자 본체부(30)의 측벽부(32)들은 이중양면 골판지가 두 겹 포개진 형태로 구성된다. 측벽부(32) 상단은 골심지가 드러나지 않고 라이너지가 꺾인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미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1 상자 본체부(30-1)의 바닥부(34-1) 위에 제2 상자 본체부(30-2)의 바닥부(34-2)를 얹어 두 바닥부(34-1, 34-2)도 이중양면 골판지가 두 겹이 포개진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자 본체부(30)의 측벽부들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측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결부(35)가 마련된다. 예컨대 측벽부(32)의 양 측면에 연결부(35)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서로 중첩되는 연결부(35)들 간에 위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도시된 것처럼 연결부(35)를 제1 상자 본체부(30-1)에는 측벽부 내면(32a)에 마련한다면, 제2 상자 본체부(30-2)에는 측벽부 외면(32b)에 마련하는 것이 좋다. 연결부(35) 어느 한 측벽부(32)의 연결부(35)는 이웃하는 다른 측벽부(32)의 내면(32a)과 외면(32b) 사이에 삽입되어 예컨대 철심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네 측벽부(32)들은 연결부(35)들에 의해 서로 중첩되어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만약 만들어야 할 상자 사이즈가 골판지 원판 사이즈로 감당을 하지 못할 정도로 크면, 제1 상자 본체부(30-1)와 제2 상자 본체부(30-2) 각각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예컨대 도 1과 도 2의 일점쇄선을 따라 양분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바닥부(34-1, 34-2)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그 두 부분을 결합하는 수단이 더 필요하다.
제1 본체 외곽부(30-1, 30-2)를 조립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통 형태의 상자 본체부(30)가 완성된다. 바닥부(34)와 측벽부(32)가 모두 이중양면 골판지가 두 겹으로 겹쳐져 있다.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골판지 상자는 측벽의 수직모서리 부분이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하다. 이 부분의 구조적 취약성을 보완하면서, 상자 전체의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측벽 보강부(40)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측벽 보강부(40)를 구성하는 단위요소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이들 단위요소 네 세트를 연결하여 완성된 측벽 보강부(40)를 도시한다. 이 측벽 보강부(40)도 후술하는 모서리 보강부재(46)를 제외하고는 골판지로 만든다. 측벽 보강부(40)는 사각고리 모양으로 만들어져, 상자 본체부(30)의 네 측벽부(32)의 내면을 따라 밀착 배치되어 그와 함께 이중 측벽구조를 형성한다. 측벽 보강부(40)의 높이는 측벽부(32)에 비해 조금 낮은 높이를 갖는다. 그러므로 상자 본체부(20)는 측벽의 상단을 따라 측벽 보강부(40)와 측벽부(32) 간의 높이 차이만큼의 단턱(39)이 마련된다. 이 단턱(39)의 높이는 후술할 덮개 보강판(5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 보강부(40)는 한 조각으로 재단하여 그의 양끝을 이어붙이고 네 모서리 부분을 직각으로 절곡하는 방식, 또는 두 조각으로 재단하여 그들의 양 끝부분을 직각으로 이어 붙이고 각 조각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모서리를 만드는 방식, 또는 네 조각으로 재단하여 그들을 서로 직각으로 이어붙이는 방식 등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만들든지, 측벽 보강부(40)는 상자 본체부(20) 중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하여 찢어지기 쉬운 측벽의 네 모서리 부분을 보강하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 보강부재로는 예컨대 ㄱ-자형 합지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측벽 보강부(40)를 네 조각의 단위 요소를 이어 붙여 만드는 경우의 하나의 측벽 보강부(40-1)와 모서리 보강부재로 사용하는 ㄱ-자형 합지판재(46)를 도시한다. 하나의 측벽 보강부(40-1)는 이중양면 골판지를 측벽 보강부(40)의 2배 높이로 재단하고 그 높이의 절반선(점선)을 따라 접어서 두 겹으로 포개서 만든다. 두 겹으로 포갰을 때 내면부(40a)는 그대로 두되, 외면부(40b)의 양측 단부의 소정 구간(42)은 ㄱ-자형 합지판재(46)를 덧대기 위해 두 겹의 골심지 중 한 겹을 따내기 한다. 이런 측벽 보강부(40-1)를 네 조각 준비한다. 물론,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부가되는 것들끼리는 길이를 동일하게 재단한다. 직각으로 연결되는 두 측벽 보강부(40-1)의 따내기 한 부분(42)에는 ㄱ-자형 합지판재(46)를 덧대어 접착수단(예컨대 접착제)로 접합한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각고리모양의 측벽 보강부(40)가 완성된다.
측벽 보강부(40)의 네 수직모서리에는 ㄱ-자형 합지판재(46)가 덧대어져 접합된다. 일반적으로 합지판재는 똑같은 모양으로 재단한 질긴 종이를 필요에 따라 수십 내지 수백 겹으로 적층하여 접합하고 고압으로 압착시켜 건조하여 만들어진다. ㄱ-자형 합지판재(46)는 압착 건조 시 ㄱ-자형으로 성형하여 만든다. 이렇게 만든 ㄱ-자형 합지판재(46)는 다른 재질 예컨대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판재 못지않은 기계적 강도와 내파열성을 갖는다. 재질이 종이이므로 골판지로 만든 측벽 보강부(40-1)와의 접촉성이 우수하고 신축성도 거의 같아 접합력이 매우 좋다. 네 군데의 수직모서리가 ㄱ-자형 합지판재(46)로 보강되어 있으므로, 측벽 보강부(40)는 상자(10)의 수직하중 내력과 수평하중 내력을 크게 향상시켜준다. 무거운 내용물을 담아서 상자(10)를 수직으로 쌓아도 수직모서리 부분이 찢어지거나 찌거러지는 등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ㄱ-자형 합지판재(46)가 원하는 수직하중 내력과 수평하중 내력을 충분히 제공하려면 상자(10) 제작에 사용하는 골판지의 한 겹 두께의 적어도 절반 이상 두께는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관이나 포장 작업의 편리함 등을 고려하면, ㄱ-자형 합지판재(46)의 두께를 대략 따내기 한 부분(42)의 높이와 같게 하면,ㄱ-자형 합지판재(46)가 덧대어진 부분과 나머지 부분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이중양면 골판지를 사용하는 경우, 골심지가 2층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1층의 골심지를 따내고 그 부분의 두께와 같은 두께를 갖는 ㄱ-자형 합지판재(46)를 덧대어 접합하면 된다. 하지만 ㄱ-자형 합지판재(46)가 덧대어진 부분이 나머지 부분의 높이보다 더 높아도 되므로, ㄱ-자형 합지판재(46)를 덧대는 부분을 반드시 따내기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는 덮개부(50)를 구성하는 두 요소인 덮개 기판(52)과 덮개 보강판(54)을 도시한다. 덮개 기판(52)은 가장자리 둘레가 상자 본체부(30)의 네 측벽의 상단에 얹힐 수 있는 사이즈로 만든다. 예컨대 덮개 기판(52)은 상자 본체부(30)의 측벽부(32)의 상단을 꼭 맞게 덮는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보강판(54)은 덮개 기판(42)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만 남기고 덮개 기판(52)의 하면에 중심을 일치시켜 적층 접합되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덮개부(50)가 얻어진다. 이 덮개부(50)는 상자 본체부(30)의 개방된 상부를 꼭 맞게 덮으면서 네 측면이 상자 본체부(30)의 네 측벽의 내면과 밀착된다.
덮개 보강판(54)은 측벽 보강부(40)의 상단을 꼭 맞게 덮는 사이즈를 갖는다. 덮개 기판(52)과 덮개 보강판(54)는 이중양면 골판지를 두 겹 포개서 만든다. 두 겹으로 포개는 방법은 2배의 길이로 만들어 가운데를 접어서 두 겹으로 포개서 접합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같은 사이즈를 두 개 만들어 아래 위에 적층하여 접합한다.
덮개 보강판(54)의 가로 및 세로 사이즈 각각은 덮개 기판(52)의 그것들보다 상자 본체부(30)의 측벽부(32)의 두께의 2배만큼 더 크다. 그래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 기판(52)에 덮개 보강판(54)이 접합된 상태에서, 덮개 기판(52)는 자신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덮개 보강판(54)보다 상자 본체부(30)의 측벽부(32)의 두께만큼 측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어, 덮개부(50)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단턱(56)이 마련된다.
도 8은 완성된 상자 본체부(20)를 덮개부(50)로 덮개 전의 개방된 상태의 상자(10)를 도시하고, 도 9는 덮개부(50)를 상자 본체부(20) 위에 덮은 상태를 도시한다. 덮개부(50)를 상자 본체부(20)에 덮었을 때, 상자 본체부(20)의 측벽 상단에 마련된 단턱(39)은 그 높이가 덮개 보강판(54)의 두께와 동일하여 그 단턱(39)에 덮개부(50)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마련된 단턱(56)이 꼭 맞게 맞물리게 된다. 도 8의 "A"부분 확대도에 나타냈듯이, 상자 본체부(20)의 측벽의 네 모서리에는 ㄱ-자형 합지판재(46)가 중간에 박혀있어 그 모서리 부분의 수직 및 수평 하중 내력 및 내파열성이 크게 강화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이중양면 골판지를 사용하여 상자(10)를 만드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포장 대상 내용물이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또는 충격에 약한 경우에는, 예컨대 삼중양면 골판지나 사중양면 골판지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상자의 두께를 더 두껍게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가공성이 좋은 이중양면 골판지로는 직각으로 절곡 공정이 필요한 상자 본체부(30)를 제작하고, 직각 절곡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측벽 보강부(40)와 덮개부(50)는 삼중양면 또는 사중양면 골판지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자 본체부(30)의 바닥부(34)에는 예컨대 덮개 보강판(54)과 같은 보강판을 바닥부(34) 사이즈에 맞게 더 만들어 바닥부(34)에 더 깔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자 본체부(30)를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두 요소(30-1, 30-2)로 구성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요소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자 본체부(30)를 구성하기 위한 골판지를 재단함에 있어서, 사각형 바닥(234)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는 네 측벽부는 두 배의 높이로 골판지를 재단하여 반으로 접어 두 겹으로 된 측벽(232a, 232b)을 구성하고, 각 측벽(233a, 232b)의 좌우 양측에는 인접 측벽과 겹쳐서 접합하기 위한 연결부(238)가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각 연결부(238)를 인접 측벽부와 접착함으로써, 상자 본체부(30)가 완성된다. 이의 내벽에 측벽 보강부(40)가 덧대어지는 것은 앞과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판지 상자(100)를 설명한다. 도 11과 도 12은 골판지 상자(100)의 상자 본체부(130)의 전개도와 조립도이다. 이 골판지 상자(100)는 상자 본체부(130)와 이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다. 덮개부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덮개부(50)(도 7 참조)와 같이 덮개 기판(52)의 저면에 덮개 보강판(54)이 덧대어진 형태의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덮개 보강판(54) 없이 덮개 기판(52)만을 덮개부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떤 형태이든지, 덮개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상자 본체부(130)의 네 측벽의 상단에 얹혀 상자 본체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한다. 후술하는 모서리 보강부재(146)를 제외한 상자 본체부(130)와 덮개부는 모두 골판지로 만든다.
제2 실시예의 골판지 상자(100)의 주요 특징은 상자 본체부(130)에 모서리 보강부재(146)가 부가된 구조라는 점이다. 모서리 보강부재(146)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ㄱ-자형 합지판재'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자 본체부(130)는 사각형 바닥(134)과 이 바닥(134)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세워져 인접하는 측벽끼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네 측벽(132a, 132b)을 포함한다. 이 네 측벽(132a, 132b)은 도시된 것과 같이 높이의 2배 길이로 골판지를 재단한 다움 가운데를 따라 반으로 접어서 두 겹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ㄱ-자형 합지판재(146)는 네 군데의 수직모서리 부분의 내측에 부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측벽(132a, 132b) 부분의 골판지를 재단함에 있어서 ㄱ-자형 합지판재(146)가 부가되는 측벽 부분은 내겹을 따내고 외겹 부분(136)만 남긴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측벽의 두 외겹 부분(136)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서로 중첩되어 접합될 수 있는 연결부(138a)가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그래서 인접 두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138a)와 나머지 측벽의 외겹 부분(136)이 서로 겹쳐져서 접착제 또는 철심으로 접합된다. 그런 상태에서 인접 두 측벽의 두 외겹 부분(136)의 내면에 ㄱ-자형 합지판재(146)가 덧대어져 접착제로 접합된다(도 11의 좌측 확대로 참조). ㄱ-자형 합지판재(146)와 외겹 부분(136) 간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해, 연결부(138)를 두 배 길이로 길게 만들어 그것을 반으로 접어서 두 연결부(138a, 138b) 사이에 ㄱ-자형 합지판재(146)의 절반이 삽입되어 접합할 수도 있다(도 11의 우측 확대도 참조).
한편, 골판지는 수분에 취약하다. 비를 맞거나 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수직 및 수평하중 내력이나 내파열성이 급격히 약화된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상자 본체부(30 또는 130)와 덮개부(50)는 각각 별도로 비닐 커버(비도시)로 그 외면 전체를 에워싸면서 접착제로 밀착되게 코팅하는 바람직하다. 비닐 커버를 코팅함에 있어서, 상자 본체부(30, 130)나 덮개부(50)의 각진 모서리 부분의 모양 그대로 비닐 커버가 코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닐 코팅용 형틀을 별도로 만들어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코팅대상물(즉, 상자 본체부나 덮개부)에 접착제를 바르고, 코팅하기 위한 비닐 시트로 코팅대상물을 에워싼다음,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연신율이 좋게 만든 상태에서 형틀로 눌러 비닐 시트가 각진 부분이나 구석진 부분까지 파고들어가서 접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포장용 골판지 상자 20: 상자 본체부
30: 상자 본체부 32: 측벽부
34: 바닥부 35: 연결부
40: 측벽 보강부 46: 모서리 보강부재(ㄱ-자형 합지판재)
50: 덮개부 52: 덮개 기판
54: 덮개 보강판 39, 56: 단턱

Claims (10)

  1. 사각형 바닥; 상기 바닥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세워져 인접하는 측벽끼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네 측벽; 그리고 상기 네 측벽의 네 수직모서리 각각의 양쪽 두 측벽의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덧대어져 접합되어 상기 네 수직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내력을 강화해주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안쪽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상자 본체부; 및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네 측벽의 상단에 얹혀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를 제외한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골판지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2. 사각형 바닥; 및 상기 바닥의 네 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높이로 세워져 인접하는 측벽끼리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네 측벽을 포함하며, 안쪽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상자 본체부;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을 따라 밀착 배치되어 이중측벽구조를 형성하는 사각고리형 보강 측벽과, 상기 보강 측벽의 네 수직모서리 각각의 양쪽 두 측벽의 일부분에 ㄱ-자형으로 덧대어져 접합되어 상기 수직모서리의 수직 및 수평 방향 내력을 강화해주는 모서리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측벽 보강부; 및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자 본체부,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를 제외한 상기 측벽 보강부,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골판지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는 ㄱ-자형으로 절곡된 합지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은 자신의 높이의 두 배로 재단된 측벽부분 골판지를 반으로 꺾어 접어서 두 겹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지는 부분에서는 상기 두 겹 중 한 겹이 제거되고 그 제거된 부분에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져 접합되어 두 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보강부의 상기 보강 측벽은 자신의 높이의 두 배로 재단된 측벽부분 골판지를 반으로 꺾어 접어서 두 겹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지는 부분에서는 상기 두 겹 중 한 겹이 제거되고 그 제거된 부분에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가 덧대어져 접합되어 두 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는 상기 골판지의 한 겹 두께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네 측벽의 상단에 얹히는 덮개 기판과, 상기 덮개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만 남기고 상기 덮개 기판의 하면에 적층 접합되어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꼭 맞게 덮으면서 네 측면이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과 밀착되는 덮개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상자 본체부의 상기 네 측벽의 상단에 얹히는 덮개 기판과, 상기 덮개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 둘레만 남기고 상기 덮개 기판의 하면에 적층 접합되어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꼭 맞게 덮으면서 네 측면이 상기 상자 본체부의 네 측벽의 내면과 밀착되는 덮개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 보강부의 높이는 상기 상자 본체부의 측벽의 높이에 비해 적어도 상기 덮개 보강판의 두께만큼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는 두께를 키워 내충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중양면 골판지, 삼중양면 골판지, 사중양면 골판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두 겹으로 포개어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 각각의 외면 전체를 에워싸면서 밀착되어 상기 상자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에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해주는 비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골판지 상자.
KR1020140059764A 2014-05-19 2014-05-19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KR20150133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64A KR20150133356A (ko) 2014-05-19 2014-05-19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64A KR20150133356A (ko) 2014-05-19 2014-05-19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56A true KR20150133356A (ko) 2015-11-30

Family

ID=5486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764A KR20150133356A (ko) 2014-05-19 2014-05-19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3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59B1 (ko) 2023-02-15 2023-12-27 (주)예신뷰 사각형 물품 포장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59B1 (ko) 2023-02-15 2023-12-27 (주)예신뷰 사각형 물품 포장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97492U (zh) 被包装的窗户、用于窗户的包装以及由包装组成的套件
US20060169757A1 (en) Multi-ply collapsible bulk container
US20230042850A1 (en) Flat panel cardboard packaging
JP5099149B2 (ja) 梱包装容器
KR100781612B1 (ko) 종이 포장상자
JP2004018077A (ja) 紙製容器
JP2019156478A (ja) パレットおよび梱包箱
JP5386325B2 (ja) 梱包容器
KR20150133356A (ko) 수직 모서리의 강도가 개선된 포장용 골판지 상자
KR20080006523U (ko) 조립식 포장상자
US8919636B2 (en) Coated two-piece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331833B2 (ja) 梱包材
JP2003292085A (ja) 梱包装置
CN220315641U (zh) 包装纸箱加强纸板和加强包装纸箱
JP4749043B2 (ja) 折り畳み式スロープ及びそれを備えた包装ケース
EP2590873B1 (en) Dual-purpose packaging insert and packaging box for sensitive flat objects
KR101505565B1 (ko) 포장용 상자
JP4809078B2 (ja) 緩衝機能を備えた中仕切り付き収納ケース
JP6358729B2 (ja) 輸送用梱包容器
CN220333279U (zh) 加强纸箱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AU2010100467A4 (en) A Receptacle
JP7471747B2 (ja) 積層梱包体
RU117410U1 (ru) Ящик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варианты) и поддон для этого ящика
JP4099855B2 (ja) 緩衝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