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122A -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 Google Patents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122A
KR20150133122A KR1020150019383A KR20150019383A KR20150133122A KR 20150133122 A KR20150133122 A KR 20150133122A KR 1020150019383 A KR1020150019383 A KR 1020150019383A KR 20150019383 A KR20150019383 A KR 20150019383A KR 20150133122 A KR20150133122 A KR 20150133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orce
supporting
no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환
Original Assignee
(주)월드트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트렌드 filed Critical (주)월드트렌드
Publication of KR2015013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1)에 코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중앙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용홈(10); 상기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탄성력 및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탄성지지수단(21)을 구비하는 고정구(20); 및 상기 고정구(20) 상에 교체 가능하게 삽착되고, 착용이 용이하게 완충력이 부가되는 받침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에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로 안착되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줄이면서 지지력 또한 강화됨에 따라 코에 안착되는 지지력이 헐거워지지 않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되고, 안경테에 고정 시 충격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glasses pad supporter for Elasticity and Supporting}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코에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로 안착되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줄이면서 지지력 또한 강화됨에 따라 코에 안착되는 지지력이 헐거워지지 않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되고, 안경테에 고정 시 충격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래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내부에 마련되는 렌즈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안경이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코에 안착되는 코받침으로 크게 구성된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78769호에 따르면, ‘후크 고정부(111)의 후방에 받침부(112)가 마련되는 금속재질의 기둥(110); 상기 금속재질의 기둥(110)의 일부가 사출과정에서 내부로 인서트되어 상기 금속재질의 기둥(110)과 일체로 제작되는 플라스틱재질의 후크(120);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재질의 후크(120)의 전방에 탄성고정부(121)가 마련되고, 상기 플라스틱재질의 후크(120)의 후방에 삽입지지부(1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코받침.’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안경 코받침의 경우 금속재질의 기둥(110)의 패드접속구멍(113)에 안착 고정되는 실리콘재질의 패드 만으로 착용자의 코에 완충작용을 시행함에 따라 착용자의 코에 발생하는 압박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78769호 “안경 코받침”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코에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로 안착되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줄이면서 지지력 또한 강화됨에 따라 코에 안착되는 지지력이 헐거워지지 않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되고, 안경테에 고정 시 충격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경테에 코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중앙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삽설되어 탄성력 및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탄성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 상에 교체 가능하게 삽착되고, 착용이 용이하게 완충력이 부가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고정구의 탄성지지수단은 수용홈의 내부에 삽설되어 착용자의 코의 형태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하는 탄성부 또는 수용홈의 내부에 삽설되어 충격에 의해 회전됨을 방지하게 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 또는 고리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수단의 지지부는 착용자의 코의 형태에 맞게 지지력이 부가할 수 있도록 절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끝단에 받침구로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적어도 1회 이상 회전 고정되는 회전탄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에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로 안착되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줄이면서 지지력 또한 강화됨에 따라 코에 안착되는 지지력이 헐거워지지 않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되고, 안경테에 고정 시 충격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상부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안경테(1)에 장착되는 코받침에 관련되며, 수용홈(10), 고정구(20), 받침구(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홈(10)은 상기 안경테(1)의 중앙에 한쌍으로 구비된다. 수용홈(10)은 후술하는 고정구(20)를 수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안경테(1)의 중앙에 한쌍으로 수평되게 위치한다. 이러한, 수용홈(10)은 안경테(1)의 후면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테(1)의 전면으로 관통되지는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20)는 상기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탄성력 및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탄성지지수단(21)을 구비한다. 고정구(20)는 상술한 한쌍의 수용홈(10) 상에 삽설되어 탄성력과 함께 지지력이 강화되도록 탄성지지수단(21)을 구비하는 바, 탄성지지수단(21)은 탄성력에 의하여 착용자의 코에 완만하게 안착되어 고통을 줄여주면서 지지력이 강화되어 착용자의 코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충격에 의해 탄성지지수단(21)이 회전되어 분리 또는 파손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구(20)의 탄성지지수단(21)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20)의 탄성지지수단(21)은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착용자의 코의 형태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하는 탄성부(22) 또는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충격에 의해 회전됨을 방지하게 고리부(24)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22) 또는 고리부(24)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지지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지지수단(21)은 탄성부(22) 또는 고리부(24)로 형성되는 바, 먼저 탄성부(22)는 지지부(23)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22)와 지지력을 발휘하는 지지부(23)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2)는 상술한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고정되는데 삽설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22)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3)에 탄성력을 발휘하여 착용자의 코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탄성부(22)에 의해 지지력이 헐거워져 착용자의 코로부터 흘러내릴 수 있음으로 지지부(23)를 통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리부(24)는 상술한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고정되어 지지부(23)와 일체로 형성된다. 고리부(24)는 수용홈(10)에 삽설된 상태로 충격에 의해 코받침 전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부(22)가 수용홈(10)과 서로 일치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면, 고리부(24)는 수용홈(10)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홈(10)의 형성 방향이 아닌 측면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수단(21)의 지지부(23)는 착용자의 코의 형태에 맞게 지지력이 부가할 수 있도록 절곡부(2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곡부(23a)는 상술한 지지부(23)를 일정 각도 절곡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절곡된 지지부(23)는 지지력이 부가된다. 이는, 다양하게 형성되는 착용자의 코에 맞게 지지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절곡부(23a)는 1개로 형성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2개 이상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받침구(30)는 상기 고정구(20) 상에 교체 가능하게 삽착되고, 착용이 용이하게 완충력이 부가된다. 받침구(30)는 상술한 고정구(20) 상에 일체 또는 교체 가능하게 삽착되어 착용자의 코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가압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착용자의 코에 안착될 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술한 고정구(20)의 탄성지지수단(21)과 받침구(30)를 통해 이중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구(30)는 완충이 용이하도록 연질재로 형성하되,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하여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는 끝단에 받침구(30)로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적어도 1회 이상 회전 고정되는 회전탄성부(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측 끝단에 탄성지지수단(21)의 탄성부(22) 또는 고리부(24)가 형성되어 안경테(1)의 수용홈(10)에 삽설되었다면 그 타측 끝단에 고정구(20)의 지지부(23)가 받침구(30)에 고정 시 탄성력이 부가될 수 있도록 회전탄성부(25)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탄성부(25)는 고정구(20)와 일체로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20)의 외주 또는 근접하여 원형으로 적어도 1회 이상 회전하여 고정됨에 따라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 그럼으로, 받침구(30)가 착용자의 코에 안착 시 편안한 착용이 가능토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에 있어서, 먼저 먼저 안경테(1)의 내측 중앙에 평형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수용홈(10) 상에 고정구(20)의 탄성지지수단(21)인 탄성부(22) 또는 고리부(24)를 삽설하여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시키는 바, 이때, 탄성부(22)는 상술한 접착제 이외에 상기 나선형의 탄성부(22)가 회전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0)의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탄성부(22)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3)가 착용자의 코의 각도에 맞게 정확한 위치로 형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고리부(24)는 수용홈(10)의 형성 방향이 아닌 측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삽설됨으로 충격에 의해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여 삽설된다. 그리고, 수용홈(10)에 고정된 탄성부(22)를 통해 지지되는 지지부(23)의 끝단에 완충력이 부가되는 실리콘 재질의 받침구(30)를 삽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지지부(23)는 끝단에 받침구(30)로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회전탄성부(25)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에 탄성력이 발휘된 상태로 안착되어 압박에 의한 고통을 줄이면서 지지력 또한 강화됨에 따라 코에 안착되는 지지력이 헐거워지지 않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되고, 안경테에 고정 시 충격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테 10: 수용홈
20: 고정구 21: 탄성지지수단
22: 탄성부 23: 지지부
23a: 절곡부 24: 고리부
25: 회전탄성부 30: 받침구

Claims (4)

  1. 안경테(1)에 코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중앙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용홈(10);
    상기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탄성력 및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탄성지지수단(21)을 구비하는 고정구(20); 및
    상기 고정구(20) 상에 교체 가능하게 삽착되고, 착용이 용이하게 완충력이 부가되는 받침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의 탄성지지수단(21)은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착용자의 코의 형태에 따라 탄성력이 발휘하는 탄성부(22) 또는 수용홈(10)의 내부에 삽설되어 충격에 의해 회전됨을 방지하게 고리부(24)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22) 또는 고리부(24)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력이 발휘되게 구비하는 지지부(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21)의 지지부(23)는 착용자의 코의 형태에 맞게 지지력이 부가할 수 있도록 절곡부(2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끝단에 받침구(30)로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적어도 1회 이상 회전 고정되는 회전탄성부(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KR1020150019383A 2014-05-19 2015-02-09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KR20150133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72 2014-05-19
KR20140059572 2014-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122A true KR20150133122A (ko) 2015-11-27

Family

ID=5484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383A KR20150133122A (ko) 2014-05-19 2015-02-09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6010A (zh) * 2017-08-22 2018-01-19 长沙明道信息科技有限公司 眼镜助力拉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6010A (zh) * 2017-08-22 2018-01-19 长沙明道信息科技有限公司 眼镜助力拉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US11474375B1 (en) Temple mounted eyeglass fram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3846017A (en) Eyeglasses
KR101506697B1 (ko) 코받침대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TWI600942B (zh) According to the lens focus lens angle adjustment glasses
KR20150133122A (ko) 탄성력과 지지력이 부가된 안경 코받침
JP3174805U (ja) 眼鏡の鼻パッド
US6789893B1 (en) Structure for combining assistance sunglasses to glasses
CN211023904U (zh) 一种视觉训练vr眼镜
TW201913184A (zh) 眼鏡之鼻托調整結構
JP3236897U (ja) レンズ交換可能なメガネ
KR101010756B1 (ko) 다리 없는 안경
KR101512593B1 (ko) 경량화된 투톤 안경테
TWM542785U (zh) 可依鏡片焦點調整鏡片角度的眼鏡
KR101528523B1 (ko) 보조안경과 도수안경결합장치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10194699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KR1025626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코패드를 구비한 안경
CN214846107U (zh) 便捷眼镜
KR20150030055A (ko) 안경의 다중브릿지형 탄성템플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KR102501022B1 (ko) 대상 안경에 탈부착되는 도수 안경
KR101488791B1 (ko) 클립안경
TWM557834U (zh) 多功能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