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48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48A
KR20150133048A KR1020140059893A KR20140059893A KR20150133048A KR 20150133048 A KR20150133048 A KR 20150133048A KR 1020140059893 A KR1020140059893 A KR 1020140059893A KR 20140059893 A KR20140059893 A KR 20140059893A KR 20150133048 A KR20150133048 A KR 2015013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ircuit board
disposed
button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2862B1 (ko
Inventor
남호성
오성택
박상길
최성우
한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862B1/ko
Priority to EP15167088.2A priority patent/EP2947858B1/en
Priority to US14/712,639 priority patent/US9629268B2/en
Priority to CN201510255863.8A priority patent/CN105094225B/zh
Publication of KR2015013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는 제1 기능을 푸시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기능을 푸시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레이저를 송수신하는 자동초점장치(laser detection auto focusing,LDA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후면 입력부를 심플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심플한 디자인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가 증가함에 따라 후면 입력부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후면 디자인이 복잡함에 따라 재료비가 증가하고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후면 입력부의 구조를 심플하게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는 제1 기능을 푸시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기능을 푸시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레이저를 송수신하는 자동초점장치(laser detection auto focusing,LDA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동초점장치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발광부와, 상기 출력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되는 레이저의 위상과 수신되는 레이저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버튼부 및 제2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성 회로기판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탈 돔과, 상기 메탈 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 가압시에 상기 메탈 돔과 연성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기판의 강성을 보완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는 상기 자동초점장치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버튼부 및 제2 버튼부를 구획하도록 하는 구분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분 슬릿은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보다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는 제2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부의 상측에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카메라 모듈은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안착되도록 리세스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외부로 관통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입력하는 후면 입력부와, 상기 후면 입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후면 입력부가 일렬로 수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의 하부에는 연성 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상기 후면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측에는 플래시(flash)가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인접하여 자동초점장치(laser detection auto focusing, LDAF)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동초점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플래시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초점장치(LDAF) 및 플래시는 몰드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윈도우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및 자동초점장치는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및 자동초점장치는 인접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심플한 후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자동초점장치를 후면 입력부에 모듈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입력부를 포함한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부의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 부품의 세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성 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부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와 자동초점장치를 모듈화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기능을 푸시 입력하는 제1 버튼부(125a)와 제2 기능을 푸시 입력하는 제2 버튼부(125b)를 포함하는 후면 입력부(125)에 사진 촬영시 사용되는 자동초점장치(220,laser detection auto focusing,LDAF)를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기능은 전원의 온오프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능은 단말기의 본체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크기조절과 관련된 기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정보에 대한 스크롤 기능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버튼부(125a)는 제2 버튼부(125b)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된 후면 입력부(125)를 나타내는 이동 단말기의 일부 개략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 입력부(125) 중 제1 버튼부(125a)는 자동초점장치(220)가 내부에 내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입력부(125)의 상측에는 카메라 모듈(121b)이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의 일측에는 플래시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21b)과 후면 입력부(125)는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모듈화될 수도 있는데, 도 2에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121b)과 후면 입력부(125)가 플레이트(104)에 의해 모듈화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입력부(125)의 분해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버튼부(125a) 및 제2 버튼부(125b)는 외부에 노출되고, 제1 버튼부(125a)는 제2 버튼부(125b)에 형성된 관통홀(126b)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버튼부(125a)는 일 예로 원형일 수 있고, 제2 버튼부(125b)는 제1 버튼부(125a)를 구비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1 버튼부(125a)와 제2 버튼부(125b)는 단턱이 형성되어 제1 버튼부(125a)가 제2 버튼부(125b)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버튼부(125a)의 내부에 자동초점장치(220)가 내장되고, 상기 자동초점장치(220)의 상부에는 윈도우(211)가 배치된다. 상기 자동초점장치(22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211)는 광투과성이어야 한다. 즉, 상기 자동초점장치(220)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발광부(221)와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송신하는 출력 신호와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함과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때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종래의 자동초점장치(Auto Focusing,AF)는 레이저 없이 이미지 처리로 포커스하여 화면 전체를 커버하는데 시간이 걸렸으나, 상기 자동초점장치(220)는 레이저를 통해 위상차로 거리를 측정하여 0~50cm까지는 레이저로 빠르게 처리하고, 그 이외에서는 기존의 AF방식으로 처리된다.
상기 후면 입력부(125)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면 입력부(125)의 하부에는 연성 회로기판(240)이 배치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의 하부에는 메탈 돔(250,metal dome)이 배치되며, 상기 메탈 돔(250)의 하부에는 액츄에이터(260,actuator)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사용자가 제1 버튼부(125a) 또는 제2 버튼부(125b)를 가압시, 액츄에이터(260)에 의해 메탈 돔(250)과 연성 회로기판(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버튼부(125a) 또는 제2 버튼부(125b)가 작동되게 된다.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은 플렉시블(flexible)하므로 강성이 약하여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성 회로기판(240)의 상면에 보강부재(230,stiffener)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3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일 수 있으며,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260,262a,262b,263)는 화이트 시트(261,262a,262b)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은 상기 제1 버튼부(125a) 및 제2 버튼부(125b)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부분(241) 및 제2 부분(242a,242b)을 갖는데, 상기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a,242b)은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튼부(125a) 또는 제2 버튼부(125b)가 가압될 때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분 슬릿(281,282)을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에 형성하였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분(241) 및 제2 부분(242a,242b)을 구분할 수 있도록 양단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제1 슬릿(281,281a,281b)과, 상기 제1 슬릿(281,281a,281b)보다 상기 제1 부분(241)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241)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는 제2 슬릿(282,282a,282b)이 형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281,281a,281b)은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a,242b)의 사이에 형성되고, 도 8에서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제1 부분(241) 및 제2 부분(242a,242b)이 대략 직각을 형성하도록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끝단을 굴곡지도록 하여 제1 부분(241) 및 제 2 부분(242a,242b)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할 수도 있다.
제2 슬릿(282,282a,282b)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제2 슬릿(282,282a,282b)의 양단이 제1 부분(241)의 중심을 향하여 뻗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a,242b)을 명확히 구분하고,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a,242b)이 동시에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슬릿(281,281a,281b)과 제2 슬릿(282,282a,282b)은 제1 부분(241)의 양쪽에 형성되고, 제2 슬릿(282,282a,282b)이 제1 슬릿(281)보다 제1 부분(241)의 중심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이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a,242b)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의 강성을 보완하는 보강부재(230)도 제1 부분(231) 및 제2 부분(232a,232b)으로 각각 분리 형성된다. 특히, 제1 보강부재(230)는 내부에 관통홀(233)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233)에는 상기 자동초점장치(220)가 삽입되며, 상기 자동초점장치(220)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240)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후면 입력부(125)는 카메라 모듈(121b)과 일체로 형성되어 모듈화될 수 있는데, 두 개의 관통홀(105,106)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04)에 상기 후면 입력부(125)와 카메라 덮개(211)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카메라 덮개(211)는 지지부(211b)와 렌즈(21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메라 덮개(211)는 플레이트(104)의 리세스부(107)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후면 입력부(125) 및 카메라 덮개(211)은 베이스부재(270)에 놓여지는데, 상기 베이스부재(27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회로기판(24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27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270)에는 상기 후면 입력부(125)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홈(271)이 리세스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271)의 일측에는 관통홀(273)이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부분 후면도이이고, 도 10은 도 9의 CC를 취한 단면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후면 입력부(125)와 상기 자동초점장치(220)가 모듈화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다만, 카메라 모듈(121b)과 후면 입력부(125)는 플레이트(104)에 의해 모듈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21b)의 일측에는 플래시(124)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자동초점장치(220)가 배치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초점장치(220)가 제1 버튼부(125a)와 일체로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플래시는 인쇄회로기판(244)상에 실장되는 반면, 상기 자동초점장치(220)는 상기 후면 입력부(125)에 형성되는 연성 회로기판(240)상에 실장된다.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초점장치(220)의 높이와 플래시(124)의 형성되는 높이가 상이하다.
상기 플래시(124)는 플래시 엘이디(124a) 또는 플래시 모듈(14b)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자동초점장치(220)와 플래시(124)는 몰드부재(225)에 의해 둘러싸이고, 윈도우(215)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플래시 엘이디(124a) 및 자동초점장치(220)는 인쇄회로기판(244)의 상부에 배치되고, 몰드부재(225)에 의해 일체로 감싸지며, 윈도우(215)에 의해 덮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래시 엘이디(124a) 및 자동초점장치(220)는 인접되도록 인쇄회로기판(244)에 실장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를 모듈화한 플래시 모듈(124b)과 자동초점장치(220)를 베이스부(226)에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부(226)가 인쇄회로기판(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도, 상기 플래시 모듈(124b) 및 자동초점장치(220)는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래시(124) 및 자동초점장치(220)가 모듈화될 수 있는데, 플래시(124)는 플래시 엘이디(124a) 또는 플래시 모듈(124b)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초점장치(220)와 플래시를 모듈화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5)

  1.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후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는,
    제1 기능을 푸시입력하는 제1 버튼부와, 상기 제1 버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기능을 푸시입력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레이저를 송수신하는 자동초점장치(laser detection auto focusing, LDA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초점장치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출력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되는 레이저의 위상과 수신되는 레이저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부 및 제2 버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성 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탈 돔; 및
    상기 메탈 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 가압시에 상기 메탈 돔과 연성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기판의 강성을 보완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는 상기 자동초점장치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제1 버튼부 및 제2 버튼부를 구획하도록 하는 구분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슬릿은,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서 내부로 형성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보다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부의 상측에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버튼부와 카메라 모듈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안착되도록 리세스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연성 회로기판이 외부로 관통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을 입력하는 후면 입력부;
    상기 후면 입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후면 입력부가 일렬로 수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의 하부에는 연성 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상기 후면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측에는 플래시(flash)가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인접하여 자동초점장치(laser detection auto focusing, LDAF)가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초점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플래시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초점장치(LDAF) 및 플래시는 몰드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윈도우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및 자동초점장치는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및 자동초점장치는 인접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59893A 2014-05-19 2014-05-19 이동 단말기 KR10161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93A KR101612862B1 (ko) 2014-05-19 2014-05-19 이동 단말기
EP15167088.2A EP2947858B1 (en) 2014-05-19 2015-05-11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US14/712,639 US9629268B2 (en) 2014-05-19 2015-05-14 Mobile terminal
CN201510255863.8A CN105094225B (zh) 2014-05-19 2015-05-19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93A KR101612862B1 (ko) 2014-05-19 2014-05-1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48A true KR20150133048A (ko) 2015-11-27
KR101612862B1 KR101612862B1 (ko) 2016-04-15

Family

ID=5484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893A KR101612862B1 (ko) 2014-05-19 2014-05-1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8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65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장치
KR20180069361A (ko) * 2016-12-15 2018-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자동 초점 장치
KR20190117144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KR20190127026A (ko) * 2018-05-03 2019-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및 자동 초점 장치
KR20190128831A (ko) * 2018-05-09 2019-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및 자동초점장치
KR20190133314A (ko) * 2018-05-23 2019-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및 자동초점장치
CN113065472A (zh) * 2018-12-13 2021-07-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US11784458B2 (en) 2017-08-18 2023-10-10 Suzhou Lekin Semiconductor Co., Ltd. Surface-emitting laser pac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6905B (zh) * 2019-07-22 2021-05-25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带按键功能的指纹模块固定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265A (ko) * 2016-11-10 2018-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장치
KR20180069361A (ko) * 2016-12-15 2018-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자동 초점 장치
US11784458B2 (en) 2017-08-18 2023-10-10 Suzhou Lekin Semiconductor Co., Ltd. Surface-emitting laser package
KR20190117144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KR20190127026A (ko) * 2018-05-03 2019-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및 자동 초점 장치
KR20190128831A (ko) * 2018-05-09 2019-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및 자동초점장치
KR20190133314A (ko) * 2018-05-23 2019-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광방출레이저 패키지 및 자동초점장치
CN113065472A (zh) * 2018-12-13 2021-07-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US11917763B2 (en) 2018-12-13 2024-02-2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3065472B (zh) * 2018-12-13 2024-04-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862B1 (ko)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62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71262A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5069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101727512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3397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602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655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10180913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1135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4807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503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1180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