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980A - 키오스크장치 - Google Patents

키오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980A
KR20150132980A KR1020140059660A KR20140059660A KR20150132980A KR 20150132980 A KR20150132980 A KR 20150132980A KR 1020140059660 A KR1020140059660 A KR 1020140059660A KR 20140059660 A KR20140059660 A KR 20140059660A KR 20150132980 A KR20150132980 A KR 2015013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tographing
unit
mod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미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양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미 filed Critical 양윤미
Priority to KR102014005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2980A/ko
Publication of KR2015013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부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기호에 따라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반모드 또는 사용자를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촬영하는 셀카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촬영 가능하고, 디스플레이와 이웃하는 광원부가 상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홍보(광고)하고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시에 자체적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촬영시에 필요한 플래쉬(flash) 기능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 역광(逆光)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하거나 또는 편집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사진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부와,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셀카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촬영가능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로 촬영하는 사용자의 주변조도와 상관없이 촬영할 수 있게 조명을 조사하고, 촬영시 조사되는 조명 색에 따라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본체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광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키오스크장치{KIOSK device}
본 발명은 키오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부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기호에 따라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반모드 또는 사용자를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촬영하는 셀카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촬영 가능하고, 디스플레이와 이웃하는 광원부가 상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홍보(광고)하고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시에 자체적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촬영시에 필요한 플래쉬(flash) 기능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 역광(逆光)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하거나 또는 편집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사진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 장치는 무인 정보 단말기의 일종이며, 정부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 은행, 백화점 및 전시장 등과 같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각종 행정 절차나 상품 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등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키오스크 장치는 음성 서비스나 동화상 구현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 정보 안내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는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이용자는 키오스크 장치와 상호 대화방식으로 정보를 편리하게 검색하거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키오스크를 관리하는 기관들은 안내 인력의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2294호(2009.01.09)인 종래의 키오스크장치를 살펴보면, 안내 서비스 이외에 이용자의 사진을 촬영함과 동시에 사진 인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때문에 이용자는 키오스크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인화하거나 또는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를 키오스크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키오스크 장치가 설치된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받게 된다. 특히, 키오스크 장치가 웹 서버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를 연결할 필요도 없이, 웹 서버로부터 이미지를 다운받음으로써 이용자는 웹 서버에 저장된 사진을 인화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키오스크장치는 이용자를 촬영한 이미지나 메모리 칩 등을 통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인화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용자를 촬영시에 주변 조도에 따라 원하는 품질의 사진이 나오지 못하는 문제점, 항시 이용자의 정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포즈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 및 촬영한 이용자의 사진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구비가 되어 있지 못하여 촬영한 사진이미지가 맘에 들지 않아 재촬영하거나 사진촬영을 포기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키오스크가 설치된 주변 조도와 상관없이 이용자의 사진 촬영이 용이하고, 카메라 각도를 달리하여 이용자가 다양한 형식의 포즈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한 사진이미지를 편집하여 이용자가 만족하는 사진이미지를 제공받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부와,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셀카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촬영가능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로 촬영하는 사용자의 주변조도와 상관없이 촬영할 수 있게 조명을 조사하고, 촬영시 조사되는 조명 색에 따라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본체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광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원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제1개구부 및 상기 촬영부가 구비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촬영부가 셀카모드로 촬영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 상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촬영부가 일반모드로 촬영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사진이미지를 출력하는 인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셀카모드로 사용자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또는 일반모드로 사용자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 전방으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웜-화이트 컬러(warm-white color) 또는 쿨-화이트 컬러(cool-white col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촬영스위치와, 셀카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촬영가능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촬영 완료된 사진이미지 또는 촬영 이전의 사용자 색상 톤을 교정하는 편집부 및 촬영이 실시되기 이전의 대기모드 또는 촬영을 실시하는 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가능하도록 정보제공물이 저장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문자 또는 이미지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촬영모드의 촬영시간이나 대기모드의 대기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상기 정보제공물의 표시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로 출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집부는 블루스크린 없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상기 정보제공물을 합성하는 미러기능,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분할,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색상 톤,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대칭기능 및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물은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배경프레임 또는 홍보나 광고를 위한 동영상,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부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기호에 따라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반모드 또는 사용자를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촬영하는 셀카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촬영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이웃하는 광원부가 상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홍보(광고)하고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시에 자체적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촬영시에 필요한 플래쉬(flash) 기능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 역광(逆光)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어수단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하거나 또는 편집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사진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키오스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의 본체부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의 본체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의 촬영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의 광원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의 제어수단을 보인 이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의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장치(이하, 간략하게 '키오스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는 크게 본체부(100), 촬영부(200), 광원부(300) 및 제어수단(400)을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정보제공물은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그 상품의 회사(브랜드)를 동영상, 문자 및 이미지(특히, 포스터나 촬영에 필요한 배경프레임) 등이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연극이나 영화 등이 사용되는 공연장에 설치된 키오스크(1)를 일 예로 설명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공연장, 행사장, 대합실, 품평회장 등의 장소에 스탠드(stand) 형태로 설치되며, 홍보(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알리고자 하는 회사의 브랜드를 일반인이 시청할 수 있게 화면으로 표시하고, 후술하는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10), 제1개구부(120), 제2개구부(130) 및 인쇄수단(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면에 홍보(광고)하고자 하는 정보제공물 또는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습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1)가 구비된다. 이때 디스플레이(111)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여 사용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다수의 디스플레이(111)가 구비되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진촬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수평길이로 연장형성된다.
나아가, 하우징(110) 하부에는 스탠드 형태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대(113)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본체부(100), 촬영부(200), 광원부(300) 및 제어수단(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제1개구부(120)는 디스플레이(11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 전면에 형성되며, 설치된 디스플레이(111)가 제어수단(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개구부(120)는 하우징(110)의 면적에 따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디스플레이(11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개구부(130)는 촬영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 전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2개구부(130)는 설치되는 촬영부(200)에 의해 일정각도로 사용자를 촬영하는 셀카모드 또는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반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셀카모드로 사용되는 제2개구부(130)는 일정각도를 유지하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게 제1개구부(120) 상부에 형성되며, 일반모드로 사용되는 제2개구부(130)는 사용자의 정면 촬영이 용이하도록 제1개구부(120) 측면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또한 인쇄수단(140)은 촬영부(20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인쇄수단(140)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이미지가 출력되거나 또는 제어수단(400)과 케이블 또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되어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인쇄수단(140)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0) 외면에는 인쇄수단(140)에 의해 출력되는 인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2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카메라(210) 또는 제2카메라(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카메라(210)는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반모드로 사용되며,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개구부(120) 일측과 이웃하는 제2개구부(130)에 설치된다.
또한 제2카메라(220)는 사용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갖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습을 셀카모드로 촬영한다. 이때 제2카메라(22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개구부(120) 상부와 이웃하는 제2개구부(130)에 일정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카메라(220)의 각도는 40~80도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촬영부(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110)에 일반모드와 셀카모드를 촬영할 수 있는 제1 및 제2카메라(220)를 설치하거나 또는 일반모드로만 촬영할 수 있는 제1카메라(2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3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조도에 상관없이 사용자를 촬영하고, 사용자가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하기 이전의 자신에 모습을 디스플레이(111)로 확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톤의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310) 및 발광부재(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31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으며, 디스플레이(111)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프레임(311) 및 양측이 상기 수직프레임(311) 상단과 서로 이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평프레임(313)을 포함한다. 이때 수평프레임(313)은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사용자의 신장 크기에 따라 발광부재(320)의 조명이 동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11)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인 키오스크(1)를 통해 신장 차이가 큰 2인 이상의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 발광부재(320)가 구비된 수평프레임(313)을 디스플레이(111)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하여 조명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신장 차이에 상관없이 촬영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용자 색상 톤을 일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각각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313) 전면에는 하우징(110)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조명을 조사하는 발광부재(3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나아가, 프레임(310)은 내부에 다수 구비되는 소켓(323)과 하우징(110)에 구비된 제어수단(400)의 연결이 케이블 등에 의해 용이하도록 속이 빈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발광부재(320)는 제어수단(4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램프(321) 및 소켓(323)을 포함한다.
램프(321)는 제어수단(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323)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용자에게 조사되는 조명컬러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색상 톤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웜-화이트 컬러(warm-white color) 또는 쿨-화이트 컬러(cool-white col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명컬러가 사용된다.
즉, 램프(321)는 본 발명인 키오스크(1)가 설치된 장소의 조도에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시에 필요한 플래쉬(flash) 기능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 역광(逆光)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램프(321)는 디스플레이(111) 주변으로 상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인에게 광고노출효과도 극대화하며, 필요에 따라 프레임(310)에 다수 구비되는 램프(321) 중 일부는 웜-화이트 컬러(warm-white color)의 조명을 조사하고, 나머지는 쿨-화이트 컬러(cool-white color)를 조사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톤에 맞게 조명을 조사할 수 있게 제어수단(400)을 통해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소켓(323)은 램프(321)와 탈부착 가능하게 프레임(3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소켓(323)은 제어수단(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램프(321)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발광부재(320)는 일 예로, 서로 탈부착 가능한 램프(321) 및 소켓(323)을 통해 조명을 조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엘이디(LED)의 사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본체부(100), 촬영부(200) 및 광원부(3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촬영스위치(410), 모드선택부(420), 제공부(430), 키입력부(440), 타이머(450), 편집부(460) 및 전송부(4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스위치(410)는 촬영부(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촬영스위치(410)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촬영부(20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11)에 터치 가능하게 표시되며, 촬영스위치(410)는 터치와 동시에 일반모드로 촬영 가능한 제1카메라(210)가 먼저 동작하여 디스플레이(111)에 사용자의 모습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촬영스위치(410)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의 감지를 통해 촬영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드선택부(420)는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일반모드 또는 셀카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모드선택부(420)는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된 모습을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11)의 터치를 통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며, 일반모드인 경우에는 제1카메라(210)가 동작하고, 셀카모드인 경우에는 제2카메라(22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도 9 참조)
아울러, 모드선택부(420)는 일반모드 및 셀카모드 모두 촬영 가능한 촬영부(200)가 설치된 키오스크(1)에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공부(430)는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제공물이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공부(430)는 대기모드(촬영이 실시되지 않는 시간)에서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제공물 및 촬영모드(촬영이 실시되는 시간)에서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제공물 모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홍보(광고)하고자 하는 브랜드나 상품 등이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며,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시에 사용자가 사진이미지에 배경프레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촬영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1)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제공물은 본 발명인 키오스크(1)가 설치된 장소의 목적과 연관되는 정보제공물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또한 키 입력부(440)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이모티콘 등)를 입력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키 입력부(440)는 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되는 키보드(keyboard:미도시)를 통해 입력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보드 형상을 갖도록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1)의 터치에 의해 문자 또는 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도 11참조) 이때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키 입력부(440)의 형태는 일반적인 키보드 쿼티(qwerty)배열 이외에 자신이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동일한 자판배열(천지인 등)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머(450)는 촬영부(200)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시간(촬영모드) 또는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기시간(대기모드) 중에 디스플레이(111)로 표시되는 정보제공물의 표시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타이머(450)는 촬영스위치(410) 또는 모드선택부(420)의 동작과 함께 동작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에 맞는 포즈 등을 취하여 촬영부(20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도록 수초에서 수분의 시간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다. 이때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기시간에는 촬영모드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시간에 구애 없이 디스플레이(111) 화면에 정보제공물이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타이머(450)는 촬영모드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연속촬영이 가능하도록 촬영부(200)의 촬영시간을 제어한다.
또한 편집부(460)는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촬영 이후 모습을 편집하기 위한 구성이다.
편집부(460)는 제공부(430)에 저장된 정보제공물 선택이 완료된 이후,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사진이미지를 출력 또는 전송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111) 화면을 통해 교정한다. 이때 편집부(460)는 블루스크린 없이 사용자의 모습을 정보제공물과 합성하는 미러기능, 사진이미지의 분할, 사진이미지의 색상 톤, 사진이미지의 대칭기능 및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아울러 편집부(4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광부재(320)에 의해 조사되는 조명이 웜-화이트 컬러(warm-white color) 또는 쿨-화이트 컬러(cool-white color) 중 어느 하나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시에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송부(470)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촬영이 완료된 사진이미지를 메일을 통한 상대방의 컴퓨터 단말기(P1)나 SMS(short message service)문자서비스,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기기(P2) 및 인쇄수단(140)을 통해 출력가능하도록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470)는 키 입력부(440)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메일주소와 이동통신기기(P2)의 전화번호의 입력은 물론, 간단한 문장으로 상대방에게 메일내용이나 문자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기호에 따라 사용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반모드 또는 사용자를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촬영하는 셀카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촬영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디스플레이(111)와 이웃하는 광원부(300)가 상시 조명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홍보(광고)하고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시에 자체적으로 조명을 조사하여 촬영시에 필요한 플래쉬(flash) 기능이 없어도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 역광(逆光)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1)는 종래와 차별적으로 편집부(460)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하거나 또는 편집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사진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장치.
100: 본체부 110: 하우징
111: 디스플레이 113: 받침대
120: 제1개구부 130: 제2개구부
140: 인쇄수단 200: 촬영부
210: 제1카메라 220: 제2카메라
300: 광원부 310: 프레임
311: 수직프레임 313: 수평프레임
320: 발광부재 321: 램프
323: 소켓 400: 제어수단
410: 촬영스위치 420: 모드선택부
430: 제공부 440: 키 입력부
450: 타이머 460: 편집부
470: 전송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본체부;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셀카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촬영가능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 촬영하는 사용자의 주변조도와 상관없이 촬영할 수 있게 조명을 조사하고, 촬영시 조사되는 조명 색에 따라 사용자의 색상 톤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본체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광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원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제1개구부; 및
    상기 촬영부가 구비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촬영부가 셀카모드로 촬영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 상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촬영부가 일반모드로 촬영가능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사진이미지를 출력하는 인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셀카모드로 사용자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또는
    일반모드로 사용자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 전방으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웜-화이트 컬러(warm-white color) 또는 쿨-화이트 컬러(cool-white col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촬영스위치;
    셀카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촬영가능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촬영 완료된 사진이미지 또는 촬영 이전의 사용자 색상 톤을 교정하는 편집부; 및
    촬영이 실시되기 이전의 대기모드 또는 촬영을 실시하는 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가능하도록 정보제공물이 저장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문자 또는 이미지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촬영모드의 촬영시간이나 대기모드의 대기시간에 상기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상기 정보제공물의 표시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및
    촬영된 사용자의 이미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로 출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블루스크린 없이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상기 정보제공물을 합성하는 미러기능,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분할,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색상 톤,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대칭기능 및 출력하고자 하는 사진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물은
    촬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배경프레임 또는 홍보나 광고를 위한 동영상,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장치.
KR1020140059660A 2014-05-19 2014-05-19 키오스크장치 KR20150132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60A KR20150132980A (ko) 2014-05-19 2014-05-19 키오스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60A KR20150132980A (ko) 2014-05-19 2014-05-19 키오스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80A true KR20150132980A (ko) 2015-11-27

Family

ID=5484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60A KR20150132980A (ko) 2014-05-19 2014-05-19 키오스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2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273B1 (ko) * 2022-07-14 2022-10-20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273B1 (ko) * 2022-07-14 2022-10-20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02678B1 (ko) * 2022-07-14 2023-02-23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Did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2679B1 (ko) * 2022-07-14 2023-02-23 주식회사 그랜드엔터프라이즈 포토 스튜디오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979B2 (en) Display projector for textual signage
US9742991B2 (en) 360 degree photobooth kiosk
US20150042822A1 (en) Inflatable photo booth
US969938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 course selection screen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laying an adjustment screen and an editing screen
CN109661061B (zh) 声光互动led景观城市建筑立面灯光控制系统
JP7448611B2 (ja) クラウド制御システム
JP2002335432A (ja) デジタルカメラ付液晶表示装置
KR20150132980A (ko) 키오스크장치
JP6703243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発光制御方法
JP2006195031A (ja) 補助光源装置
JP6820478B2 (ja) 画像撮影装置
JP201511833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510268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598687B1 (ko) Led 조명으로 구현되는 배경화면을 셀프로 선택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 배경 시스템
JP7319534B2 (ja) 撮影装置
JP4470909B2 (ja)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5353685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043071U (ja) 画像合成装置
KR20220124039A (ko) 사진 부스에서 배경에 그림자를 제거하고 합성할 수 있는 포토 시스템
JP2024001171A (ja) ゲーム機
JP2006053282A (ja) 写真プリント提供装置、写真プリント提供方法および写真プリント提供プログラム
JP5193134B2 (ja) 表示装置
JP2021026173A (ja) 撮影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96740A (ko) 스마트폰 셀프카메라 촬영용 보조 조명모듈
CZ31699U1 (cs) Reklamní zaříze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