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910A - 박스형 쇼핑백 - Google Patents

박스형 쇼핑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910A
KR20150132910A KR1020140059452A KR20140059452A KR20150132910A KR 20150132910 A KR20150132910 A KR 20150132910A KR 1020140059452 A KR1020140059452 A KR 1020140059452A KR 20140059452 A KR20140059452 A KR 20140059452A KR 20150132910 A KR20150132910 A KR 2015013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upper edge
shopping ba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혁
Original Assignee
황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혁 filed Critical 황인혁
Priority to KR102014005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2910A/ko
Publication of KR2015013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형 쇼핑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구비로 인한 파지 휴대성에 더하여, 물품의 수납(收納)과 인출(引出)이 용이한 포장박스의 구조적 특성접목을 통해 미려함과 기능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박스형 쇼핑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을 떠받치는 바닥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돌출연장된 제1상연부를 포함하는 수납상자;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둘러 덮는 덮개판과 양 측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1상연부의 양측으로 연이어지게 된 제2상연부를 포함하는 마감덮개; 및, 상기 제1상연부 및 제2상연부에 결속시켜 사용자 파지가 가능토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형 쇼핑백{BOXINESS SHOPPING BAG}
본 발명은 박스형 쇼핑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구비로 인한 파지 휴대성에 더하여, 물품의 수납(收納)과 인출(引出)이 용이한 포장박스의 구조적 특성접목을 통해 미려함과 기능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박스형 쇼핑백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포장산업(包裝産業)은, 부가가치 및 고용과 창업 등의 측면에서 국민경제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업과 높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해당 업종의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제조업 경쟁력과 관련해서는 글로벌시장에서 날이 갈수록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제품차별화 등 비가격경쟁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바, 이러한 연관관계에 더해, 업제적(業際的), 학제적(學際的) 산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전통산업이면서도 타 부문의 신기술 유입이나 이들 기술과의 융합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국가 간 신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산업이기도 하다.
이에, 기업 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포장용 박스의 제조기술력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심미성을 동시에 확보하길 요청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포장용 박스(이하 "포장박스"라 함)는, 단순히 물품 수납을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수납상자에 마감덮개를 합한 구조관계상 휴대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상기 포장박스를 별도의 쇼핑백에 담아 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쇼핑백(shopping bag)은, 주로 종이나 비닐 따위로 만든 손잡이를 가진 봉투로 정의되며, 산(구매) 물건을 봉투 안에 간편히 담아 소비자가 편리하게 들고다닐 수 있도록 함에 사용된다.
그러나, 상부가 개구된 봉투형 구조의 특성상, 내부에 담긴 물품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개구부의 밀봉 자체가 상당히 번거롭고, 내구성이 빈약해 수납 물품의 보호를 기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포장박스 본연의 기능보다는 물품의 파지 휴대성 증대의 용도로만 활용할 수밖에 없어 왔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682호를 통해, 상품의 휴대를 편리하도록 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상품을 보호함은 물론 상품가치를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포장박스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로써, 종래의 상기 슬라이드형 포장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제1공간(S1)이 형성되도록 바닥판(914)에 대해 상판(911), 하판(912) 및 양 측판(913)이 형성된 인너케이스(910)와; 상기 상판(911)에 형성된 2개의 상판홀(911')에 양단의 플랜지(921)가 삽입된 손잡이(920)와; 적어도 하나의 면이 개방되어 상기 인너케이스(910)를 슬라이드 형태로 수용하는 제2공간(S2)이 형성되도록 상면(931), 하면(932) 및 양 측면(933)이 폐쇄되고, 상기 상면(931)에 손잡이(920)가 돌출 가능한 손잡이홀(934)이 형성된 외장케이스(930)와; 상기 상판(911)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920)의 플랜지(921)가 내입되고 제1공간(S1)이 격리된 제3공간(S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인너케이스(910)를 외장케이스(930)의 제2공간(S2) 안으로 슬라이딩시켜 신속하고 편리하게 밀봉 및 개봉할 수 있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 손잡이(920)의 양측 단을 상판(911)의 손잡이홀(934)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주기만 하면 손잡이(920)의 구성이 완료되는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장케이스(930)로부터 인너케이스(910)를 슬라이딩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한 인너케이스(910)의 제1공간(S1)에 수납된 물품을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꺼낼 수 있는 사용성이 발휘된다.
하지만, 상기 인너케이스(910)가 외장케이스(930)의 측 방향을 통해 슬라이딩 수용되는 구조적 관계상, 종래의 상기 포장박스를 손에 든 상태로 보행을 하는 경우 상지(桑枝, 팔) 스윙의 영향으로 인너케이스(910)가 외장케이스(930)로부터 임의로 배출되어 수납된 내용물(물품)의 훼손과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상기 인너케이스(910)와 외장케이스(930)가 서로 맞닿는 바닥판(914)이나 상판(911), 하판(912)의 외면과 상기 외장케이스(930)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을 통해 포장박스의 분해를 방지한다고는 하나, 그 경우 인너케이스(910)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밖으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너케이스(91)와 외장케이스(930)를 강제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해당 접합부위가 찢어지는 등의 훼손에 의해 재사용이 불가하게 되는 폐단이 있어 왔다.
더욱이, 상기 인너케이스(910)가 외장케이스(930)의 측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외장케이스(930) 상단 중앙부로 손잡이(920)가 노출되는 구조상, 통상의 쇼핑백 외관과는 전혀 다른 심미적(審美的) 이질감으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무리가 뒤따랐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682호(등록일자 : 2010년 07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봉투형 구조와 달리, 포장박스 본연의 기능성을 발휘토록 수납상자와 마감덮개로 구조를 달리함에 더해, 상기 수납상자와 마감덮개의 동일 일측으로부터 손잡이가 구비된 상연부(上緣部)를 연장형성하여, 파지 휴대성을 갖춘 주지의 쇼핑백과 외관상 동일한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박스형 쇼핑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떠받치는 바닥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돌출연장된 제1상연부를 포함하는 수납상자;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둘러 덮는 덮개판과 양 측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1상연부의 양측으로 연이어지게 된 제2상연부를 포함하는 마감덮개; 및, 상기 제1상연부 및 제2상연부에 결속시켜 사용자 파지가 가능토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상자는, 상기 바닥판을 포함하여,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자의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측판, 그리고 제2측판 및 제3측판이 사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1상연부가 상기 제3측판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결속을 위한 복수의 제1통공이 내부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3측판에는, 상기 제1상연부의 일측으로 절첩되는 제1중첩판부가 연장형성되는 한편, 절첩시 상기 제1통공들과 연통하는 복수의 제2통공이 간격을 두고 내부 양측에 관통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덮개판을 포함하여, 접이식 입체조립시 덮개의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4측판, 그리고 제5측판 및 제6측판이 사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제2연상부가 상기 제6측판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결속을 위한 복수의 제3통공이 내부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4측판에는, 상기 제2상연부의 일측 선단부로 절첩됨으로써, 상기 제2상연부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한 중첩편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6측판에는, 상기 제2상연부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제2중첩판부가 연장형성되는 한편, 절첩시 상기 제3통공들과 연통하는 복수의 제4통공이 간격을 두고 내부 양측에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첩편부가 절첩되는 상기 제4측판의 일측 끝단 외가장자리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제1상연부 및 상기 제1상연부 일측으로 절첩되는 제1중첩판부의 틈새로 끼워넣어 상기 수납상자와 상기 마감덮개 상호 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결속날개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박스형 쇼핑백은, 쇼핑백 특유의 외관형상 유지에 따른 심미감이 그대로 연출될 수 있으면서도 수납상자와 마감덮개로 조합되는 포장박스의 구조적 특징이 더해짐으로 인한 물품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기능성 향상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위와 같이 포장박스의 구조적 특징이 더해짐에 따라, 포장박스를 담아 들기 위한 쇼핑백을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상품 구입시의 쇼핑백 추가 구매로 인한 비용지출의 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쓰고 남은 쇼핑백의 방치로 인한 공간차지 및 자원낭비의 문제점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의 달성에 따라, 제품포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함은 물론 이를 통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포장박스 생산 및 수요에 관련한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수납상자의 전개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마감덮개의 전개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수납상자의 입체구조 달성관계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마감덮개의 입체구조 달성관계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수납상자의 전개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마감덮개의 전개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수납상자의 입체구조 달성관계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에 있어서 마감덮개의 입체구조 달성관계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A)은, 내용물(內容物, 이하 "물품"이라 함)을 떠받치는 바닥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돌출연장된 제1상연부(111)를 포함하는 수납상자(1)와, 상기 수납상자(1)의 개구부를 둘러 덮는 덮개판과 복수 측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1상연부(111)의 양측으로 연이어지게 된 제2상연부(211)를 포함하는 마감덮개(2)와, 상기 제1,2상연부(111)(211)에 결속시켜 사용자 파지가 가능토록 하는 손잡이(3)로 구성된다.
수납상자(1)는, 상점에서 구입한 상품(이하 "물품"이라 함)의 내재수용(보관)을 위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1)을 포함하여,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자의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측판(12), 그리고 제2측판(13) 및 제3측판(14)이 사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1)에는, 상술한 제1상연부(111)가 상기 제3측판(14) 측으로 미리 정한 범위만큼 연장형성되는바, 상기 손잡이(3)를 꿰어 결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1통공(111a)이 내부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12)은, 접이식 입체조립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제1외측판부(121)와, 상기 제1외측판부(121)로부터 연이어짐으로써 그로부터 절첩시 내부 배치되는 제1내측판부(1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외측판부(121) 및 제1내측판부(122)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으로부터는, 상기한 제2측판(13)과의 상호 중첩 이음식 연계조립을 위한 제1배접편부(121-1)와 제2배접편부(122-1)가 더 연장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외측판부(121)의 타측 끝단으로부터는, 상기 제3측판(14)의 외면을 둘러 감싸 보강하는 단속편부(121-2)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내측판부(122)의 타측 끝단으로부터는, 상기 제3측판(14)과의 상호 중첩 이음식 연계조립을 위한 제3배접편부(122-2)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측판(13)은, 상기한 제1상연부(111)의 대응 타측 끝단으로부터 더 연장형성되는 한편, 접이식 입체조립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2외측판부(131)와, 상기 제2외측판부(131)로부터 더 연이어짐으로써 그로부터 절첩시 내부로 배치되는 제2내측판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제3측판(14)은, 상기한 제1상연부(111)로부터 더 연장형성되는 한편,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기 제1상연부(1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절첩되는 제1중첩판부(141)와, 상기 제1중첩판부(141)로부터 더 연장형성됨으로써 그로부터 수직절곡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3외측판부(142)와, 상기 제3외측판부(142)로부터 연이어짐에 따라 그로부터 수직절곡시 내부로 배치되는 제3내측판부(1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중첩판부(141)에는, 상기 제3측판(14)의 접이식 입체조립에 따라 상기 제1상연부(111)의 내측으로 절첩될 경우, 상기 제1통공(111a)들과 연통하는 복수의 제2통공(141a)이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외측판부(142)의 중앙에는, 상기한 제1측판(12)의 단속편부(121-2) 선단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절개공(142a)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제3내측판부(143)의 끝단에는,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기 바닥판(11)과 제3배접편부(122-2) 사이로 삽입시켜 절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삽지편(143-1)이 더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감덮개(2)는, 상기 수납상자(1)의 개구부를 둘러 덮어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1)을 포함하여, 접이식 입체조립시 덮개의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4측판(22), 그리고 제5측판(23) 및 제6측판(24)이 사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판(21)에는, 상술한 제2연상부(211)가 상기 제6측판(24) 측으로 미리 정한 범위만큼 연장형성되는바, 상기 손잡이(3)를 꿰어 결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3통공(211a)이 내부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4측판(22)은, 접이식 입체조립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제4외측판부(221)와, 상기 제4외측판부(221)로부터 연이어짐으로써 그로부터 절첩시 내부로 배치되는 제4내측판부(2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4외측판부(221)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으로부터는, 접이식 입체조립시 반으로 완전히 절첩됨과 동시에 제4측판(22) 또는 제5측판(23)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4,5측판(22)(23)의 이음부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연접판부(221-1)가 상기 제5측판(23)과 연이어지도록 더 연장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4외측판부(221)의 타측 끝단으로부터는, 접이식 입체조립시 그 선단부에 중첩됨으로써 상기한 제2상연부(211)가 제4측판(22)으로 연이어 형성되도록 한 중첩편부(221-2)와, 상기 제6측판(24)과의 상호 중첩 이음식 연계조립을 위한 제3배접편부(221-3)가 연속해서 더 연장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중첩편부(221-2)가 절첩되는 제4외측판부(221)의 타측 끝단 외가장자리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수납상자(1)의 제1상연부(111)와 제1중첩판부(141)의 틈새로 끼워넣어 수납상자(1)와 마감덮개(2)의 결합상태를 견고케 하기 위한 결속날개(221-4)가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4내측판부(222)의 양측 끝단부로부터는, 상기한 제5측판(25) 및 제6측판(24)과의 상호 중첩 이음식 연계조립을 위한 제4배접편부(222-1)와 제5배접편부(222-2)가 각각 더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5측판(23)은, 상기한 제2상연부(211)의 대응 타측 끝단으로부터 더 연장형성되는 한편, 접이식 입체조립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5외측판부(231)와, 상기 제5외측판부(231)로부터 더 연이어짐에 따라 그로부터의 절첩시 내부로 배치되는 제5내측판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제6측판(24)은, 상기한 제2상연부(211)로부터 더 연장형성되는 한편,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기 제2상연부(2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절첩되는 제2중첩판부(241)와, 상기 제2중첩판부(241)로부터 더 연장형성됨으로써 그로부터 수직절곡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6외측판부(242)와, 상기 제6외측판부(242)로부터 연이어짐에 따라 그로부터 수직절곡시 내부로 배치되는 제6내측판부(2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중첩판부(241)에는, 상기 제6측판(24)의 접이식 입체조립으로 인해 제2상연부(211) 내측으로 절첩될 경우, 상기 제3통공(211a)들과 연통하는 복수의 제4통공(241a)이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4내측판부(222) 및 제5내측판부(232) 그리고 상기 제6내측판부(243) 각각의 외측 끝단으로부터는,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기 덮개판(21) 내면에 착지됨으로써 상기 제4,5,6내측판부(222)(232)(243)의 기립상태가 견고토록 하기 위한 제1,2,3압지편(222-3)(232-1)(243-1)이 더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A)의 사용자 파지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납상자(1) 및 마감덮개(2) 각각에 연통된 제1,2통공(111a)(141a), 상기 제3,4통공(211a)(241a)에 꿰어 결속시킬 수 있게 된 복수의 제1파지끈(31)과 제2파지끈(32)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발휘하는 용도의 것이라면 다양한 채용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f)는 상기 수납상자 및 마감덮개의 접이식 입체조립을 위해 각부(各部)의 경계(절곡)부위에 마킹되는 접이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쇼핑백(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납상자(1) 및 마감덮개(2)는, 다수의 면부와 절첩선을 제단하는 톰슨기계(Semi auto diecutter machine /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개도의 구조로 각각 제작되며, 접이선(f)을 따라 각부(各部)를 수직절곡 및 절첩시키는 등 접이식 입체조립 과정을 통해 입체형 구조를 완성할 수 있는바, 이는 도 5a 내지 도 5d 그리고 도 6a 내지 6d를 참조한다.
우선, 상기 수납상자(1)의 구조달성을 위한 접이식 입체조립 과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1)의 사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제1측판(12) 및 상기 제2측판(13)을 그들 사이에 마킹(marking)된 접이선(f)을 기준으로 각각 수직으로 절곡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측판(12)들의 제1외측판부(121)를 상기한 바닥판(11) 사이에 마킹된 접이선(f)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절곡시킨 다음 상기 제1내측판부(122)를 완전히 절첩시키는 것을 통해, 복수의 상기 제1측판(12)들이 상기 바닥판(11) 양측으로부터 기립한 벽체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거친 다음에는, 상기 제1외측판부(121)의 제1배접편부(121-1)와 상기 제1내측판부(122)의 제2배접편부(122-1)를 접이선(f)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판(11) 측으로 수직절곡시킨다.
더하여, 상기 제1내측판부(122) 각각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제3배접편부(122-2)들 역시 상기한 바닥판(11) 측으로 수직절곡시키고, 그로 인해 중첩된 상호 간의 끝단을 연결하여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결속한다.
이어서, 상기 제2측판(13)의 제2외측판부(131)와 제2내측판부(132) 역시 상기한 제1측판(12)과 마찬가지의 조립과정을 실시함을 통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구조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외측판부(121) 및 제1내측판부(122)의 일측으로부터 각각 수직절곡된 제1,2배접편부(121-1)(122-1)들은 상기 제2측판(13)의 제2외측판부(131)와 제2내측판부(132)를 중첩시켜 형성된 양측 틈새 공간으로 각각 삽입시켜 끼워 맞춤함으로써 서로 견고한 조립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측판(14)의 접이식 입체조립 과정을 실시하는바, 우선, 상기 제1중첩판부(141)를 접이선(f)을 기준으로 완전히 절첩시켜 상기한 제1중첩판부(141)와 제1상연부(111)가 서로 중첩되도록 함을 통해, 수납상자(1)의 일측으로 통상의 쇼핑백 개구부와 유사한 상연부(上緣部)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에 따라 상호 연통된 제1통공(111a) 및 제2통공(141a)을 통해 상기 손잡이(3)의 제1파지끈(31)을 꿰어 결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3외측판부(142)를 접이선(f)을 기준으로 수직절곡시켜 기립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제3내측판부(143)를 완전히 절첩시켜 상기 제1측판(12) 및 제2측판(13)에 더해 수납상자(1)의 다른 벽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내측에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측판(14)의 접이식 입체조립 상태의 유지는, 상기 삽지편(143-1)을 제3내측판부(143)의 밑단과 상기 바닥판(11) 사이의 틈새로 끼워 맞춤함을 통해 견고히 할 수 있다.
뒤이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판(12)들의 제1외측판부(121)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각각의 단속편부(121-2)를 상기 제3측판(14) 측으로 수직절곡시켜 상기한 제3측판(14)의 외면을 둘러 감싸 보강하는 것에 의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형 구조를 갖는 수납상자(1)의 접이식 입체조립의 과정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덮개(2) 역시, 도 6a 및 도 6d를 참조하여, 상기 덮개판(21)의 사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제4측판(22) 및 상기 제5측판(23)을 각각의 접이선(f)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패턴에 의거한 각각 수직절곡 및 완전 절첩시키는 접이식 입체조립 과정의 단계를 통해, 상기한 수납상자(1)와 마찬가지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에 의해 입체형 구조달성이 완료된 마감덮개(2)를 상기 수납상자(1)에 덮어씌워 상기 수납상자(1)의 제1상연부(111)에 마감덮개(2)의 제2상연부(211)가 서로 연이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4외측판부(221)로부터 돌출형성된 각각의 결속날개(221-4)들을 상기 제1상연부(111)와 제1중첩판부(141)의 상호 중첩으로 형성된 틈새로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제1,2상연부(111)가 서로 연이어지는 동시에 수납상자(1)와 마감덮개(2)의 조립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지금까지 상술한 바를 통해, 상기 수납상자(1)와 마감덮개(2)의 구조달성이 완료되면, 상기한 수납상자(1)와 마감덮개(2)를 이용한 물품의 수납과 인출이 보다 편리케 됨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제1,2상연부(111)(211)의 형성으로 쇼핑백 특유의 디자인적 특징이 그대로 연출되는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포장박스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포장박스를 담아 휴대 이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 쇼핑백을 활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상품 구입시의 쇼핑백 추가 구매로 인한 비용지출의 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쓰고 남은 쇼핑백의 방치로 인한 공간차지 및 자원낭비의 문제점을 단번에 해결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쇼핑백, 1 : 수납상자, 2 : 마감덮개
3 : 손잡이, 11 : 바닥판, 12 : 제1측판
13 : 제2측판, 14 : 제3측판, 21 : 덮개판
22 : 제4측판, 23 : 제5측판, 24 : 제6측판
31 : 제1파지끈, 32 : 제2파지끈, 111 : 제1상연부
111a : 제1통공, 121 : 제1외측판부, 121-1 : 제1배접편부
121-2 : 단속편부, 122 : 제1내측판부, 122-1 : 제2배접편부
122-2 : 제3배접편부, 131 : 제2외측판부, 132 : 제2내측판부
141 : 제1중첩판부, 141a : 제2통공, 142 : 제3외측판부
142a : 절개공, 143 : 제3내측판부, 143-1 : 삽지편
211 : 제2상연부, 211a : 제3통공, 221 : 제4외측판부
221-1 : 연접판부, 221-2 : 중첩편부, 221-3 : 제3배접편부
221-4 : 결속날개, 222 : 제4내측판부, 222-1 : 제4배접편부
222-2 : 제5배접편부, 222-3 : 제1압지편, 231 : 제5외측판부
232 : 제5내측판부, 232-1 : 제2압지편, 241 : 제2중첩판부
241a : 제4통공, 242 : 제6외측판부, 243 : 제6내측판부
243-1 : 제3압지편

Claims (4)

  1. 물품을 떠받치는 바닥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돌출연장된 제1상연부를 포함하는 수납상자;
    상기 수납상자의 개구부를 둘러 덮는 덮개판과 복수 측판의 일측 외모서리부위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상기 제1상연부의 양측으로 연이어지게 된 제2상연부를 포함하는 마감덮개; 및,
    상기 제1상연부 및 제2상연부에 결속시켜 사용자 파지가 가능토록 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쇼핑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자는, 상기 바닥판을 포함하여, 접이식 입체조립시 상자의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측판, 그리고 제2측판 및 제3측판이 사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1상연부가 상기 제3측판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결속을 위한 복수의 제1통공이 내부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3측판에는, 상기 제1상연부의 일측으로 절첩되는 제1중첩판부가 연장형성되는 한편, 절첩시 상기 제1통공들과 연통하는 복수의 제2통공이 간격을 두고 내부 양측에 관통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쇼핑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는, 상기 덮개판을 포함하여, 접이식 입체조립시 덮개의 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4측판, 그리고 제5측판 및 제6측판이 사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제2연상부가 상기 제6측판 측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결속을 위한 복수의 제3통공이 내부 양측에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4측판에는, 상기 제2상연부의 일측 선단부로 절첩됨으로써, 상기 제2상연부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한 중첩편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6측판에는, 상기 제2상연부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제2중첩판부가 연장형성되는 한편, 절첩시 상기 제3통공들과 연통하는 복수의 제4통공이 간격을 두고 내부 양측에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쇼핑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편부가 절첩되는 상기 제4측판의 일측 끝단 외가장자리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제1상연부 및 상기 제1상연부 일측으로 절첩되는 제1중첩판부의 틈새로 끼워넣어 상기 수납상자와 상기 마감덮개 상호 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결속날개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쇼핑백.
KR1020140059452A 2014-05-19 2014-05-19 박스형 쇼핑백 KR20150132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2A KR20150132910A (ko) 2014-05-19 2014-05-19 박스형 쇼핑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2A KR20150132910A (ko) 2014-05-19 2014-05-19 박스형 쇼핑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79A Division KR101726124B1 (ko) 2016-01-29 2016-01-29 박스형 쇼핑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10A true KR20150132910A (ko) 2015-11-27

Family

ID=5484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52A KR20150132910A (ko) 2014-05-19 2014-05-19 박스형 쇼핑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29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49A (ko) 2019-09-24 2021-04-01 이개우 포장상자
KR102244462B1 (ko) 2019-10-18 2021-04-27 정세진 식품 포장상자
KR102252230B1 (ko) 2020-12-23 2021-05-17 정세진 포장상자
KR20210075529A (ko) 2019-12-13 2021-06-23 정귀철 포장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49A (ko) 2019-09-24 2021-04-01 이개우 포장상자
KR102244462B1 (ko) 2019-10-18 2021-04-27 정세진 식품 포장상자
KR20210075529A (ko) 2019-12-13 2021-06-23 정귀철 포장상자
KR102252230B1 (ko) 2020-12-23 2021-05-17 정세진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2910A (ko) 박스형 쇼핑백
JP2020533247A (ja) 保管・輸送箱
JP2008504175A (ja) 粉末密封包装材
KR101726124B1 (ko) 박스형 쇼핑백
KR101638831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보석용 포장 박스
JP4422065B2 (ja) 組立式梱包体
KR101300468B1 (ko) 상품의 운반 및 전시용 포장케이스
KR20100012982U (ko) 부케용 상자
JP2014118208A (ja) 組立て用紙箱
KR101508732B1 (ko) 포장용 상자
JP3141543U (ja) 組立て式箱
JP4848570B2 (ja) 包装箱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KR101901274B1 (ko) 포장용 박스
KR101765748B1 (ko) 포장 용기
JP2013227038A (ja) 包装箱
CN210213052U (zh) 便捷式包装盒
JP7046416B2 (ja) 蓋付き包装箱
KR200273128Y1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JP2005162255A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KR20190003259U (ko) 포장재
KR101707665B1 (ko) 포장용 박스
KR101057280B1 (ko) 포장용 상자
KR20020024237A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KR20220011448A (ko) 포장상자 제작용 전개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