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324A -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 및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 및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324A
KR20150132324A KR1020157028802A KR20157028802A KR20150132324A KR 20150132324 A KR20150132324 A KR 20150132324A KR 1020157028802 A KR1020157028802 A KR 1020157028802A KR 20157028802 A KR20157028802 A KR 20157028802A KR 20150132324 A KR20150132324 A KR 2015013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monofilament
yarns
multifilament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미 이토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837,136 external-priority patent/US8925592B2/en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3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58Electromagnetic radiat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3Protective fabrics for elongated members, i.e. sleeves
    • D03D15/0094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ven Fabric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기다란 부재를 안내하고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 및 상기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직물 슬리브는 직물 슬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다란 벽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과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되어 있다. 상기 날실은 내마모성과 감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다란 벽의 중간 구역 내에 모노필라멘트 사와 상기 기다란 벽의 양쪽 가장자리 구역 내에 멀티필라멘트 사를 각각 포함하고 있고, 상기 씨실은 향상된 내마모성과, 향상된 감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직경이 더 큰 모노필라멘트 사를 포함하고 있고 증가된 보호범위를 제공하고, 가요성을 유지하며, 날실 모노필라멘트를 의도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멀티필라멘트 사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 및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FLEXIBLE, ABRASION RESISTANT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대체로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된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항공기 또는 우주선에서, 와이어를 마모, 유체 및 열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와이어 및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보호 슬리브로 감는 것은 알려져 있다. 원하는 보호를 달성하기 위해서, 보호 슬리브는 복수의 레이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의 일부는 상이한 종류의 보호를 위해 특별히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예컨대 얇은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한 개의 레이어는 내수성(water resistance)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고, 다른 레이어는 내마모성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비-직조된 레이어인 또 다른 레이어는 열적 상황(thermal conditions)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상기한 멀티레이어 슬리브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대해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들은 통상적으로 부피가 커서, 큰 공간을 필요로 하며, 비교적 무겁고 제한된 가요성을 가지므로, 감긴 가장자리를 따라서 뒤틀림(kinking)과 벌어짐(opening)이 발생한다. 상기한 멀티레이어 슬리브외에 다른 알려진 직조된 슬리브(1)도 모퉁이 주위에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체로 U자 형태로 구부러질 때 후프 강도(hoop strenth) 문제와 뒤틀림 문제를 나타내므로, 슬리브(1)의 공동(3) 내에 수용된 부재(2)가 잠재적으로 오염에 노출된다. 이것은 슬리브(1)가 구부질 때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없는 뻣뻣한 가장자리(4)가 서로 멀어지게 벌어지는 것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된 감길 수 있는 슬리브(wrappable sleev)는 일부 사용예, 특히 급격하게 구불구불한 구역을 통과하여 안내를 요하는 사용예와, 예를 들어, 항공기 및 우주선 사용예와 같은 무게 제한을 가지는 사용예에서 문제가 많다는 것이 판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직물 슬리브 및 이러한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마모 그리고 오염물질과 같은 다른 환경 상황에 대한 노출로부터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고 안내하는 직조된 슬리브를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는 직조된 모노필라멘트 사와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조된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자체 감김성 기다란 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다란 벽은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다란 벽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과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되어 있다. 상기 날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모노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고 상기 씨실은 제2 모노필라멘트 사와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고, 이것에 의해 열성형된 벽의 폐쇄력(closing force)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리브가 모퉁이 주위로 구부러질 때 상기 양쪽 가장자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날실이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는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더 포함하고 있고, 제1 모노필라멘트 사는 마모에 대한 향상된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고, 상기 가장자리 구역은 제1 모노필라멘트 사가 없고, 의도한 열성형된 감긴 형태로 유지시키는 슬리브 벽의 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마모 그리고 오염물질과 같은 다른 환경 상황에 대한 노출로부터 기다란 부재를 보호하고 안내하는 직조된 슬리브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다란 벽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과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되어 있다. 상기 날실은 제1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1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고 상기 씨실은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다. 슬리브가 모퉁이 주위로 구부러질 때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의도한 겹치는 관계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제1 멀티필라멘트 사가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고 제1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다. 상기 가장자리 구역에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가 없고 상기 중간 구역에는 제1 멀티필라멘트 사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모노필라멘트 사가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슬리브가 모퉁이 주위로 구부러질 때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의도한 겹치는 관계로 유지시키는 슬리브 벽의 감김 강도(curl-strength)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직경을 가진 제1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슬리브의 감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진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을 형성하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와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을 형성하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감길 수 있는 벽을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이, 슬리브가 모퉁이 주위로 구부러질 때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의도한 겹치는 관계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을 따라서 뻗어 있는 날실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고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다른 제작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을 형성하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1 멀티필라멘트 사와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을 형성하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감길 수 있는 벽을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는 슬리브가 모퉁이 주위로 구부러질 때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의도한 겹치는 관계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고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다. 상기 가장자리 구역은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가 없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구역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가 없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이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슬리브가 모퉁이 주위로 구부러질 때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의도한 겹치는 관계로 유지시키는 슬리브 벽의 감김 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는 슬리브 내에 수용된 기다란 부재에 대해 향상된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경제적이고, 상기 슬리브를 기다란 부재 둘레로 자체적으로 감진 형태로 유지시키는 향상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최적 모드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도면을 함께 고려하면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 상기 실시형태와 그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다른 실시형태와 그 특징 및 장점은 자명한 사항이 될 것이다.
도 1은 기다란 부재를 운반하고 보호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직조된 자체 감김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리브의 벽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기다란 부재를 운반하고 보호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직조된 자체 감김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a는 U자 형상으로 구부린 상태로 도시된 도 3의 슬리브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슬리브의 벽을 펴진 상태로 나타내는 도 3의 슬리브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둘러싸인 구역 5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둘러싸인 구역 6의 확대도이고; 그리고
도 7은 U자 형상으로 구부린 상태로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된 감김 슬리브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참고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이하에서 슬리브(10)라고 칭하는, 직조된 자체 감김성(self-wrapping) 직물 슬리브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슬리브(10)는, 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와이어 하니스(14)와 같은 기다란 부재를 안내하고 마모에 대한 노출과 오염물질이나 부스러기 등이 들어오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자체 감김성 기다란 벽(12)을 가지고 있다. 기다란 벽(12)은 중심의 길이방향의 축(18)과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16, 17)를 가지고 있고, 상기 양쪽 가장자리(16, 17)는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의 중심 공동(20) 내에 기다란 부재(14)를 완전히 둘러싸기 위해서 담배 말기(cigarette wrapped) 방식으로 서로 겹치는 관계로 편향력이 작용(bias)되도록 되어 있다. 공동(20)은 기다란 부재(14)가 쉽게 공동(20) 내부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예를 들면 점검하는 동안 공동(2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축(18)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기다란 부재(14)를 마모에 대해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기다란 벽(12)은 모노필라멘트 사(monofilament yarn)로 제공된 날실(warp yarn)(22)과 모노필라멘트 사로 제공된 씨실(fill yarn)(24)로 직조되어 있고, 이때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는 양쪽 가장자리(16, 17)를 서로 겹치는 관계로 자체적으로 감기도록 편향력(bias)을 제공하면서 기다란 부재(14)에 대해 마모로부터 추가적이고 향상된 보호를 제공한다. 상기 편향력은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를 중심축(18)에 대해서 감긴 형태로 열고정(heat-setting)시키는 것에 의해서 부여된다.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에 더하여, 상기 기다란 벽(12)은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된 씨실(26)을 가지고 있다. 멀티필라멘트 사(multifilament yarn)(26)는 기다란 부재(14)에 대해 기다란 벽(12)의 추가적인 표면 구역 보호범위를 제공하고 오염물질이나 부스러기 등이 공동(2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다란 부재(14)에 대해 향상된 보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멀티필라멘트 사(26)는 슬리브(10)에 대해 예를 들어 모퉁이 주위로 안내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제공하면서, 날실 모노필라멘트(22)에 마찰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날실 모노필라멘트(22)를 의도한 직조 위치에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사용예의 필요에 따라, 상기 기다란 벽(12)은 길이와 직경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기다란 벽(12)이 자체 감김된 관 형태(self-wrapped tubular configuration)로 있을 때에는, 대체로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없고, 양쪽 가장자리(16, 17)는 바람직하게는 공동(20)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적어도 약간 서로 겹치고, 따라서, 공동(20) 내에 수용된 와이어(14)에 대해 향상된 보호를 제공한다. 양쪽 가장자리(16, 17)는 공동(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고 노출시키기 위해서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에 의해 부여된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외력의 작용하에서 쉽게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4)는 조립하는 동안 쉽게 공동(20) 내부로 배치될 수 있거나 점검하는 동안 공동(2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열고정된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에 의해 부여된 편향력의 작용을 받아서 양쪽 가장자리(16, 17)는 자동적으로 본연의 겹치는 자체 감김 위치로 복귀한다.
모노필라멘트 사(22, 24)는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열고정가능한 폴리머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슬리브 실시례에 있어서, 모노필라멘트 사(22, 24)가 약 0.22mm의 직경을 가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공되었다. 상기 기다란 벽(12)은 약 42mm의 폭(상기 기다란 벽(12)이 편평하게 된 상태에서 양쪽 가장자리(16, 17) 사이에 뻗어 있는 치수)을 가지도록 형성되었고, 날실 모노필라멘트(22)의 단부의 갯수는 48개 였다.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와 씨실 멀티필라멘트 사(26)가 10 PPI(pick per inch:인치당 올수)를 가지도록 이중 삽입되었지만, 약 8 내지 12의 PPI가 유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낮은 PPI에서는, 상기 기다란 벽(12) 내에 간극(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와 씨실 멀티필라멘트 사(26)는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24)와 씨실 멀티필라멘트 사(26)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간극(28)에 의해 중심축(18)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별개의 쌍의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와 씨실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한다. 씨실 멀티필라멘트 사(26)는 약 1250 데니어(denier)를 가지도록 제공되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 사(22, 24)와 멀티필라멘트 사(26)는 평직(plain weave)을 이용하여 직조되었고, 이는 약 0.6mm의 벽 두께를 가지는 슬리브(10)를 만들어내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슬리브 실시례에서는, 날실 모노필라멘트(22)의 단부의 갯수가 52개였고, 모든 다른 실 요소(yarn factor)는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이러한 실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범위 내에서, 날실(22)은 전적으로 모노필라멘트로 유지하고 씨실(24, 26)은 모노필라멘트와 멀티필라멘트의 결합 형태로 유지하면서,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치수와 갯수에 있어서 변경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날실(22)이 전적으로 모노필라멘트로 제공되면, 슬리브 조립체(10)의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씨실(24)의 일부가 모노필라멘트로 제공되면, 마모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가 제공된다. 또한, 씨실(26)의 일부가 멀티필라멘트로 제공되면, 기다란 부재(14)에 대한 추가된 표면 구역 보호범위(surface area coverage)가 상기 기다란 벽(12)에 제공되어, 오염물질이 들어오는 것에 대해 공동(20)을 더욱 보호하고, 게다가, 외부의 마모력의 작용하에서도, 멀티필라멘트가 날실 모노필라멘트(22)를 의도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3은, 유사한 구조를 식별하기 위해 위에서 사용한 참고 번호에 100을 더한 참고 번호를 사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제작된, 이하에서 슬리브(110)라고 칭하는, 직조된 자체 감김성 직물 슬리브를 나타내고 있다.
슬리브(110)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122') 및 제1 멀티필라멘트 사(122")로 제공된 날실(122)과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 및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6)로 제공된 씨실(124)로 직조된, 열성형된, 자체 감김 벽(112)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씨실 모노필라멘트 사(124')는, 슬리브(110)의 중심축(118)에 대해서 감긴 형태로 열고정되면 상기 벽의 양쪽 가장자리(116, 117)를 서로 겹치는 관계로 자체적으로 감기도록 편향력을 제공하면서 기다란 부재(114)에 대해 마모로부터 추가적이고 향상된 보호를 제공한다.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6)는, 예를 들어, 슬리브(10)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브(110)에 대해 모퉁이 주위로 안내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제공하면서, 추가적인 표면 구역 보호범위를 제공하고 날실 제1 모노필라멘트 사(122')를 의도한 직조 위치에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제1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2', 124')는,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열고정가능한(heat-settable) 폴리머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한 가지 예시적인 슬리브 실시례에서, 제1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2', 124')는 각각 약 0.22mm의 직경과 약 0.38mm의 직경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씨실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의 직경은 날실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12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the 직경s of the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의 직경은 제1 모노필라멘트 사(122')의 직경보다 약 40 퍼센트 더 크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상기 벽(112)은 약 42mm의 폭 W(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벽(112)이 편평하게 된 상태에서 양쪽 가장자리(116, 117) 사이에 뻗어 있는 치수)을 가지도록 형성되었고, 날실의 전체 단부의 갯수는 52개 였다. 날실 단부의 전체 갯수는 3개의 별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양쪽 가장자리(116, 117)에 접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116, 117)를 따라서 바로 뻗어 있는 2개의 가장자리 구역(30)과 양쪽 가장자리 구역(30) 사이에 뻗어 있는 중간 구역(32)이 있다. 가장자리 구역(30)의 날실(122)은 각각 제1 멀티필라멘트 사(122")로만 이루어져 있고 중간 구역(32)의 날실은 제1 모노필라멘트 사(122')로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양쪽 가장자리 구역(30)은 모노필라멘트 사를 포함하지 않고, 이것은 모퉁이 주위로 안내될 때 의도한 형태로 유지시키는 양쪽 가장자리(116, 117)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중간 구역(32)은 멀티필라멘트 사를 포함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인 샘플에서, 사(yarn)의 총 52개 단부에 대해서, 각각의 가장자리 구역의 사의 단부의 전체 갯수는 6개였고, 중간 구역의 사의 단부의 전체 갯수는 40개였다.
슬리브(10)와 마찬가지로,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와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6) 10 PPI를 가지도록 서로 이중 삽입되었지만, 약 8 내지 12의 PPI가 유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낮은 PPI에서는, 상기 벽(112) 내에 간극(1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씨실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와 씨실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6)는 씨실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와 씨실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6)의 사이에 뻗어 있는 간극(128)에 의해 중심축(118)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별개의 쌍의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씨실 제2 모노필라멘트 사(124')와 씨실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6)를 제공한다. 제1 멀티필라멘트 사와 제2 멀티필라멘트 사(122", 126)는 약 1250 데니어를 가지도록 제공되었다. 날실과 씨실(122, 124)은 평직을 이용하여 직조되었고, 이는 약 0.9mm의 벽 두께를 가지는 슬리브(10)를 만들어내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범위 내에서, 이러한 실 요소(yarn factor)는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치수와 갯수에 있어서 변경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명백히, 상기의 개시내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영역 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달리 실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Claims (24)

  1. 기다란 부재를 안내하고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벽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벽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과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되어 있고, 상기 날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모노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고 상기 씨실은 제2 모노필라멘트 사와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가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약 40 퍼센트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이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는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고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 구역은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역의 상기 날실은 모노필라멘트 사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는 길이가 열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별개의 쌍의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와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사가 상기 날실과 이중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기다란 벽을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감긴 형태로 편향력을 가하도록 열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9. 기다란 부재를 안내하고 보호하는 직물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벽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벽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과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로 직조되어 있고, 상기 날실은 제1 모노필라멘트 사와 제1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고 상기 씨실은 제2 모노필라멘트 사와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는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고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 구역은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가 없고 상기 중간 구역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구역의 상기 날실은 멀티필라멘트 사만 포함하고 상기 중간 구역의 상기 날실은 모노필라멘트 사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는 길이가 열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별개의 쌍의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와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사가 상기 날실과 이중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슬리브.
  14.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으로서,
    제1 직경을 가진 제1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진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을 형성하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와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을 형성하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감길 수 있는 벽을 직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별개의 쌍의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와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상기 제2 멀티필라멘트 사가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와 이중 삽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벽을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감긴 형태로 편향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열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해 있는 가장자리 구역을 따라서 뻗어 있는 날실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고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구역의 모든 날실을 멀티필라멘트 사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의 모든 날실을 모노필라멘트 사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서로 겹치는 관계로 되도록 편향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열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21.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으로서,
    제1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제2 멀티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날실을 형성하는 제1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1 멀티필라멘트 사와 상기 날실을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씨실을 형성하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 및 제2 멀티필라멘트 사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양쪽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기다란 감길 수 있는 벽을 직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는 상기 양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장자리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고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는 상기 가장자리 구역 사이의 중간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 구역은 상기 제1 모노필라멘트 사가 없고 상기 중간 구역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 사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제1 모노필라멘트 사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서로 겹치는 관계로 되도록 편향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열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제2 모노필라멘트 사를 열고정하면서 상기 양쪽 가장자리를 조이도록 제1 멀티필라멘트 사를 수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감길 수 있는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KR1020157028802A 2013-03-15 2014-03-01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 및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KR20150132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7,136 US8925592B2 (en) 2009-06-11 2013-03-15 Flexible, abrasion resistant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3/837,136 2013-03-15
PCT/US2014/019718 WO2014149575A1 (en) 2013-03-15 2014-03-01 Flexible, abrasion resistant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324A true KR20150132324A (ko) 2015-11-25

Family

ID=5034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802A KR20150132324A (ko) 2013-03-15 2014-03-01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 및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973905B1 (ko)
JP (1) JP6415528B2 (ko)
KR (1) KR20150132324A (ko)
CN (1) CN105164880B (ko)
BR (1) BR112015023097A2 (ko)
RU (1) RU2660521C2 (ko)
WO (1) WO20141495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491A (ko) * 2015-08-04 2018-04-04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직조된 관형 열 슬리브 및 그의 구성 방법
KR20180107169A (ko) * 2016-02-09 2018-10-01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자발적 확대 상태 및 수축 상태와 향상된 공급된 대로의 벌크 배치형태를 가진 편조된 직물 슬리브와 벌크 길이의 상기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및 공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0872B2 (en) * 2016-08-24 2021-11-23 Federal-Mogul Powertrain Llc Impact resistant, shrinkable woven tubular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220186408A1 (en) * 2019-03-26 2022-06-16 Federal-Mogul Powertrain Llc Flexible, abrasion resistant,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10129961B (zh) * 2019-06-21 2020-12-22 吉林省亚安新材料有限公司 一种自卷式套管及其制备方法
JP2022172524A (ja) * 2021-05-06 2022-1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5508A1 (de) * 1983-12-16 1985-06-27 Ieperband N.V., Ieper Gurtband mit flexibelem schussmaterial
US5167263A (en) * 1991-10-16 1992-12-01 Kelen Steven I Industrial high strength webbing
US5843542A (en) * 1997-11-10 1998-12-01 Bentley-Harris Inc. 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conformability
AU2005216273A1 (en) * 2004-02-20 2005-09-09 Federal-Mogul Powertrain, Inc. Low-friction pull tape
US7216678B2 (en) * 2004-07-20 2007-05-15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Self-curling sleeve
FR2916081B1 (fr) * 2007-05-07 2009-09-25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S Gaine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en textile.
US8701716B2 (en) * 2008-02-29 2014-04-22 Federal-Mogul Corporation Protective textile sleeve having high edge abra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EP2440695B1 (en) * 2009-06-11 2019-10-02 Federal-Mogul Powertrain LLC Flexible, abrasion resistant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EP2606168B1 (en) * 2010-08-16 2014-03-26 Federal-Mogul Powertrain, Inc. Non-kinking self-wrapping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491A (ko) * 2015-08-04 2018-04-04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직조된 관형 열 슬리브 및 그의 구성 방법
KR20180107169A (ko) * 2016-02-09 2018-10-01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자발적 확대 상태 및 수축 상태와 향상된 공급된 대로의 벌크 배치형태를 가진 편조된 직물 슬리브와 벌크 길이의 상기 직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및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9575A1 (en) 2014-09-25
CN105164880B (zh) 2019-02-01
CN105164880A (zh) 2015-12-16
JP6415528B2 (ja) 2018-10-31
BR112015023097A2 (pt) 2017-07-18
RU2015143289A (ru) 2017-04-26
EP2973905A1 (en) 2016-01-20
EP2973905B1 (en) 2020-04-22
JP2016517481A (ja) 2016-06-16
RU2660521C2 (ru)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4204B2 (en) Flexible, abrasion resistant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400619B2 (ja) 柔軟性、耐磨耗性織物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588181B1 (ko) 고성능의 내마모성을 지니는 보호용 텍스타일 슬리브 및 그 구성 방법
KR20150132324A (ko)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 및 가요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US10196766B2 (en) Non-kinking self-wrapping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2012529578A5 (ko)
US9091002B2 (en) Wrappable end fray resistant protectiv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2105732B1 (ko) 꼬아진 혼성 씨실을 지닌 텍스타일 슬리브 및 그의 구성 방법
JP6722592B2 (ja) 可撓性で耐摩耗性の織られた繊維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7112965B2 (ja) 周方向に連続的かつ収縮可能なテキスタイル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CN114375353B (zh) 波纹编织套筒及其制造方法
CN107075749B (zh) 柔韧、抗磨损的编织纺织套筒及其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