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917A -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917A
KR20150131917A KR1020140167709A KR20140167709A KR20150131917A KR 20150131917 A KR20150131917 A KR 20150131917A KR 1020140167709 A KR1020140167709 A KR 1020140167709A KR 20140167709 A KR20140167709 A KR 20140167709A KR 20150131917 A KR20150131917 A KR 20150131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screen
informa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구
김윤수
손정주
신은미
진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12,32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331551A1/en
Publication of KR2015013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D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 기반으로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현재 화면에 표시된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아 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련된다.
개별 기기 단위로 제한되어 임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이 소비되던 기존과 달리 스마트 기기로 전환되면서 최근에는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 단위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가령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대부분이 이러한 자유로운 선택에 따르는 수고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고 있으며, TV와 같은 수동적인 기기에서는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행동을 기대하기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들은 특정 컨텐츠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화면 전환 발생으로 시청 흐름이 단절되고 있다.
나아가, 가령 위젯(widget) 형태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는 경우,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컨텐츠의 양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화면 단위로 개인화가 가능한 구조와 분할 화면(partial view) 형태의 화면 요소를 통해 미리 보기를 통한 엿보기(glancing through preview), 멀티 태스킹, 태스크 변경(task-shifting) 등 스마트 TV에 최적화된 사용자 패턴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제공원(source), 채널 등의 원하는 화면을 개인화된 패널 즉 사용자 장치에 등록하고, 어느 상황에서든 해당 화면을 호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D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 기반으로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현재 화면에 표시된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아 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된다.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전체 화면(full screen)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체 화면의 분할된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지정된 복수의 주요 데이터(key data)와 연계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주요 데이터에 연계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사용자마다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청 가능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에 관련된 채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제3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지정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제4 영상과, 상기 각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화면의 상태 및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제5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영상은 정보 구조적으로 뎁스(depth)를 가지는 정보 객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객체를 상기 아이콘의 형태로 등록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4 영상에서 사용자 계정 관련 아이콘이 선택될 때, 임의의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는 새로운 제4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영상을 자동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과 관련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한 결과를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수신된 제1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전체 화면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체 화면의 분할된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지정된 복수의 주요 데이터와 연계된 정보를 상기 제2 영상에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주요 데이터에 연계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사용자마다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시청 가능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에 관련된 채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3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지정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제4 영상과, 상기 각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화면의 상태 및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제5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4 영상은 정보 구조적으로 뎁스를 가지는 정보 객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객체를 상기 아이콘의 형태로 등록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4 영상에서 사용자 계정 관련 아이콘이 선택될 때, 임의의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는 새로운 제4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영상을 자동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과 관련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한 결과를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영상표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된다.
상기 시청 가능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에 관련된 채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제3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지정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제4 영상과, 상기 각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화면의 상태 및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제5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화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현 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6은 도 2의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화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정보 수준에 관계없이 홈 화면 영역의 실행 아이콘에 매칭시켜 정보 객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어플리케이션별 화면화 레벨과 스크린 목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역동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b)에 도시된 역동 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2의 상황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상황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상황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도 2의 배너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도 2의 배너 화면 영역에 표시된 시청 예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계정 기반의 개인화된 홈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도면,
도 17은 계정 생성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Them Mode 계정시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예시도,
도 19 내지 도 25는 도 15의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동 화면 영역의 구성 및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역동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역동 화면 영역에 정보 객체를 추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9는 역동 화면 영역에 자동 채널의 이력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A는 사용 상황에 따라 기능이 변화하는 가변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B는 도 30A의 (b)에서 키패드 부분을 다시 나타낸 도면,
도 31은 홈 화면에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A 내지 도 32C는 도 30의 매크로 아이콘을 가변시키기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좀더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홈 화면에 생성된 매크로 아이콘을 통해 이력 화면으로 바로 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홈 화면에 프로포즈 아이콘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도 34의 (b)에 나타낸 로그 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앱 목록의 편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은 서치 아이콘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8A 내지 도 38C는 도 37의 서치 아이콘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동일 키워드이고 다른 속성일 때의 검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가변 아이콘을 TV에 적용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화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화면 구현 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화면 제공 서비스 시스템(90)은 영상표시장치(100), 통신망(110) 및 컨텐츠 제공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고, 가령 영상표시장치(100)는 주변의 컨텐츠제공장치(120)와 다이렉트 통신을 통해 화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DTV,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PMP, MP3 및 웨어러블 장치 등 영상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가령,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100)의 경우에는 셋탑박스(STB)와 같은 방송수신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100)들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 객체를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형태의 정보 객체란 단위 화면으로 구현되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의미하며, 정지영상은 가령 사진, 웹 브라우저 및 디렉토리 화면을 포함하고, 동영상은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3C에서와 같이 가령 4개의 부가 화면 영역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가 화면 영역은 사용자의 시청 흐름을 단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로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단위 화면(200)의 영상과 부가 화면을 분리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4개의 부가 화면 영역은 홈(Home) 화면 영역(210), 역동(Dynamic) 화면 영역(220), 상황(Contextual) 화면 영역(230) 및 배너(Banner) 화면 영역(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홈 화면 영역(210)과 역동 화면 영역(220)은 동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에는 서로 다른 속성의 영상 또는 영상 정보가 표시된다고 볼 수 있다.
좀더 살펴보면,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의 단위 화면(200)에 영상 1(혹은 제1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홈 화면 영역(21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혹은 제3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도 3A에서와 같이 홈 화면 영역(210)과 역동 화면 영역(220)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홈 화면 영역(210)과 역동 화면 영역(220)에는 영상 2(혹은 제4 영상)와 영상 3(혹은 제5 영상)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 영역(21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의 홈 버튼(Home key)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사용자 명령은 영상표시장치(100)에 설치된 버튼 및 음성 인식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버튼도 포함한다.
홈 화면 영역(201)에 표시되는 영상 2는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단위 화면(200)의 형태로 자유롭게 등록하고 호출하는 실행 아이콘(210a)의 목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행 아이콘(120a)은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의 단위 화면(200)에 표시된 영상 1을 새로운 유형의 정보 객체로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을 의미한다. 즉 실행 아이콘(120a)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정보 객체 단위의 전환에 사용된다.
역동 화면 영역(220)에 표시되는 영상 3은 각 실행 아이콘(210a)에 매칭되어 표시되며, 가령 현재 하이라이트(highlight)(혹은 커서)가 위치하는 실행 아이콘(210a)에 매칭되는 영상 3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역동 화면 영역(220)은 다른 화면 즉 다른 정보 객체의 상태나 정보를 영상 3으로 표시하며, 사용자의 시청 몰입 경험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현재 화면 즉 단위 화면(200)에 표시된 영상 1과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영상 1의 단위 화면(200)을 덮지 않고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영상 3은 각 실행 아이콘(120a)을 통해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한 영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황 화면 영역(23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혹은 제1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도 3B에서와 같이 홈 화면 영역(210)과 역동 화면 영역(220)은 사라지고, 상황 화면 영역(230)이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된다. 물론 상황 화면 영역(230)의 경우에도 영상 1을 덮지 않고 영상 1과 분리되어 분리 화면(partial view)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화면 영역(230)은 영상 4(혹은 제2 영상)를 표시하며, 영상 4는 현재의 단위 화면(200)에 표시된 영상 1의 주요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모아 보여준다. 이후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여기서 주요 정보는 영상 1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 중에서 다른 데이터보다 중요하게 판단되는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1이 특정 가수의 앨범에 관련되는 경우, 메타 데이터는 타이틀, 아티스트(명), 앨범 및 장르를 포함할 수 있고, 주요 정보는 그 중 아티스트(명)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황 화면 영역(230)은 아티스트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와 관련한 콘서트가 있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이때, 관련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컨텐츠 제공장치 1(120-1) 및 컨텐츠 제공장치 2(120-2)와 같은 복수의 정보 제공원으로부터 제공받아 표시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관련 정보는 다시 필터링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메타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정보 제공원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주요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원은 주요 정보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마다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주요 정보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상황 화면 영역(230)에 보여지는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은 상황 화면 영역(230)을 제공하기 위하여 컨텍스트 데이터 즉 표시된 화면에 관련된 정보의 공유를 통해 화면-웹간 메쉬 업 기회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쉬-업은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로 다른 다양한 서비스를 합쳐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상황 화면 영역(230)을 형성하는 N개의 화면 간의 연계 시나리오를 위한 상황 공유 통로를 갖게 된다.
나아가,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명령(혹은 제2 사용자 명령)을 통해 배너 화면 영역(240)을 호출하는 경우, 도 3A에서와 같은 홈 화면 영역(210)과 역동 화면 영역(220) 또는 도 3B에서와 같은 상황 화면 영역(230)은 사라지고, 도 3C에서와 같은 배너 화면 영역(240)이 현재의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단위 화면(200)과 함께 표시된다. 이러한 배너 화면 영역(240)은 영상 1과 분리 화면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위 화면(200)을 실질적으로 많이 가리지 않으므로 단위 화면(200)에 중첩되어 표시되어도 무관할 것이다.
배너 화면 영역(240)은 현재의 단위 화면(200)에 표시된 영상 1과 관련한 명칭과 대표 정보를 보여주고 유사한 인접 화면을 간략히 표시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배너 화면 영역(240)은 영상 1의 채널명과 채널 번호를 보여줄 수 있는데, 가령 현재의 단위 화면(200)에 표시된 영상 1이 KBS 방송국의 채널 7에 관련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면, 동일 시간대의 채널 5 또는 채널 11에 해당되는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배너 화면 영역(240)은 현재의 단위 화면(200)에 표시된 영상 1과 관련한 정보와 더불어 과거에 시청한 영상과 관련한 정보를 표시해 주거나, EPG 상에서 예약해 둔 정보를 더 표시해 줄 수 있다. 예컨대, 과거의 정보는 동일 장르의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배너 화면 영역(240)은 자동 채널링 정보를 더 표시해 줄 수 있다.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가령 사용자가 자동 채널링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선호 채널이 해당 시간에 방영되고 있을 경우, 자동 채널링을 통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물론 자동 채널링 선택시 별도의 채널 재핑(zapping) 즉 급속채널이동이 없다 하더라도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볼만한 채널을 자동 변경하여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영상표시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장치(12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컨텐츠 또는 정보 제공원으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장치 1(120-1)이 방송국에서 운용하는 서버라면, 컨텐츠 제공장치 2(120-2)는 네이*와 같은 검색포탈 전문업체에서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장치 1(120-1)에 접속하고, 인터넷 검색이 필요한 경우, 컨텐츠 제공장치 2(120-2)에 접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장치(12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가령 컨텐츠 제공장치 1(120-1)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에 앞서 방송 프로그램들에 관련되는 메타 데이터를 함께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주요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주요 정보를 근거로 검색된 관련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제공해 줄 수 있는데, 이러한 관련 정보는 상황 화면 영역(230)에 표시되는 정보의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및 디스플레이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인터페이스부(4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인터페이스부(400)가 디스플레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4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경우,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외부의 컨텐츠 제공장치(120)로 컨텐츠 또는 정보를 요청하여 요청한 컨텐츠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는 가령 파워 버튼과 같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 명령을 음성의 형태로 취득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음성 인식부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인터페이스부(400) 및 디스플레이부(42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사용자 기반의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를 실행시켜 디스플레이부(420) 상에 사용자 기반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반의 화면이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대로, 사용자마다 내부의 정보 속성이 상이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홈 화면 영역(210) 및 역동 화면 영역(220), 상황 화면 영역(230) 및 배너 화면 영역(240)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는 홈 화면 영역(210) 및 역동 화면 영역(220)은 단위 화면(200)과 동일층(layer)에 형성하되, 분리된 화면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410)는 디스플레이부(420)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으로 각각의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10)는 디스플레이부(420)의 좌측에 홈 화면 영역(210) 및 역동 화면 영역(220)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부(420)의 우측에는 단위 화면(200)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는 상황 화면 영역(230)의 경우에도 단위 화면(200)과 동일층에 형성하되, 분리 화면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지만, 배너 화면 영역(240)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하여, 배너 화면 영역(240)을 팝업 창의 형태로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는 소프트웨어 즉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제어부(410)는 이러한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 내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CP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는 RAM과 같은 메모리일 수 있지만, 마스크 롬, EPROM 및 EEPROM과 같이 영구적으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쓰고 지울 수 있는 ROM과 같은 메모리로 구현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0)는 각각의 사용자 명령에 근거하여 서로 다르게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고, 각 화면의 영역에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부(420)는 도 2의 단위 화면(200)에 영상 1을 표시하고, 표시한 영상 1에 관련된 관련 정보를 상황 화면 영역(230)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때, 상황 화면 영역(230에 표시된 관련 정보는 영상 1에 표시된 정보와 직접적으로 관계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영상 1에 아티스트가 표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420)는 가령 아티스트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가 아니라, 표시된 영상 1에 관련된 메타 데이터 중 주요 데이터를 이용해 제공되는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의 다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500), 저장부(510), 제어부(520), 디스플레이부(530) 및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10)와 같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저장부(510)가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5의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20), 디스플레이부(530) 및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는 도 4의 인터페이스부(400),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410a)를 포함한 제어부(410) 및 디스플레이부(42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다만, 도 4의 제어부(410)는 가령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메모리 내에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에 관련된 SW 모듈을 포함하고, CPU의 제어하에 이를 실행시키거나, 제어 동작 및 화면 생성에 관련된 동작을 모두 SW 모듈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면, 도 5의 제어부(520)는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와 함께 모두 HW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도 5의 제어부(520)는 CPU를 통해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 내의 SW 모듈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는 마스크 롬, EPROM 및 EEPROM과 같은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는 물론 저장부(51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54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것이라면, 저장부(510)는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510)는 제어부(52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 또는 정보는 제어부(520)의 요청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화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도 6의 (a)에서와 같이 영상 1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홈 화면 영역(21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도 6의 (b)에서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복귀 버튼(return key) 또는 방향 버튼을 이용해 도 6의 (a)와 같은 화면으로 회귀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홈 화면 영역(210) 및 역동 화면 영역(2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실행 아이콘(210a)을 변경할 수 있고, 또 실행 아이콘(210a)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좌우 방향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도 6의 (c) 및 도 6의 (d)에서와 같이 정보가 변경된 화면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나아가, 도 6의 (b)에서와 같은 화면 상태에서, 엔터(ENTER) 키를 이용해 특정 실행 아이콘(210a)을 선택한 경우, 해당 실행 아이콘(210a)에 매칭된 도 6의 (e)에서와 같은 웹 브라우저 화면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때, 도 6의 (e)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복귀 버튼을 선택하면, 도 6의 (a)에서와 같은 화면으로 회귀할 수 있다.
도 7A는 정보 수준에 관계없이 홈 화면 영역의 실행 아이콘에 매칭시켜 정보 객체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A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정보 구조적으로 뎁스(depth)를 가지는 채널, 어플리케이션, 웹페이지, 소스(ex. 외부 입력), 설정 메뉴 등 가령 TV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면 객체는 기본적으로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필요한 뎁스의 객체를 선택하여 새로운 화면으로 등록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 단위로 화면에 제공되는 체계에서 화면 항목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등록 및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A의 (a)에서와 같이 홈 화면 영역(210)을 표시한 상태에서, 방향 버튼을 이용해 실행 아이콘(210a)을 이동시킴으로써 도 7A의 (b)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정보를 갖는 역동 화면 영역(22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의 상태에서, 특정 실행 아이콘(210a)을 선택한 경우, 도 7A의 (c)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A의 (c)에서와 같이 동일 레벨의 다른 화면이 있는 경우에는 도 7A의 (d)에서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c)에서와 같은 화면 상태에서 가령 리모컨의 좌측 방향 키를 선택한 경우, 도 7A의 (c)에 표시된 정보 객체는 좌측으로 밀리고, 그 정보 객체가 표시되었던 동일 영역에 도 7A의 (d)에서 같은 정보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7A의 (d)에서 같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일 레벨의 다른 화면이 없는 경우에는 가령 리모컨의 좌측 방향 키를 선택하더라도 더 표시되는 정보 객체는 없게 된다. 이는 도 7A의 뎁스 구조표(7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A의 (c)에서와 같은 화면 상태에서, 특정 뎁스의 정보 객체에 가령 하이라이트 표시(또는 커서)를 이동시킨 후 등록을 위한 OK 버튼을 선택한 경우, 해당 정보 객체는 새로운 실행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화면으로 등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A의 (d)에서 같은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해당 정보 객체로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도록 한 후 등록을 위한 OK 버튼을 선택한 경우, 해당 정보 객체는 새로운 실행 아이콘에 매칭되는 새로운 화면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 객체를 뎁스에 관계없이 실행 아이콘(210a)에 매칭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아이콘(210a)으로 등록한다는 것은 실행 아이콘(210a)을 단순히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뎁스의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러한 화면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체 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 7B는 어플리케이션별 화면화 레벨과 스크린 목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가령 도 7B의 (a)에서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사진 및 블로그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 객체에 대하여 정보 수준 즉 뎁스에 제한 없이 화면화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화면으로 찾아 들어가 해당 화면을 등록시킨 후, 사용자가 홈 화면 영역(210)에 등록된 해당 화면에 매칭된 실행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화면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B의 (b)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방송 프로그램 및 다양한 소스원에 대하여, 그 정보 수준 즉 뎁스에 관계없이 홈 화면 영역(210)에 등록시킴으로써 홈 화면 영역(210)의 실행 아이콘 목록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2의 역동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b)에 도시된 역동 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 및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홈 화면 영역(21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을 때, 홈 화면 영역(210)과 함께 역동 화면 영역(220)을 표시한다. 이때, 홈 화면 영역(210)과 역동 화면 영역(220)은 가령 TV에서의 시청 몰입 경험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현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단위 화면(200)과 각각 부분 화면의 형태로 제공되며,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를 위한 멀티 태스킹을 지원하게 된다. 역동 화면 영역(220)을 통해서는 다른 화면의 상태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역동 화면 영역(220)은 각 화면의 목적에 따라 미리 보기, 즐겨찾기, 주요 기능 및 히스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동 화면 영역(220)은 도 8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이전 시청 패턴(ex. 로그 데이터)을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는 이력 화면 영역(800)과 추천을 위한 추천 화면 영역(8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력 화면 영역(8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정보 표시 영역(900),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910) 및 프로그램 정보 표시 영역(920)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표시 영역(900)은 사용자가 최근 본 채널과 해당 채널에서 현재 방영되고 있는 혹은 최근 방영했던 프로그램 혹은 주요 프로그램으로 광고하고 있는 메인 프로그램의 썸네일 이미지와 개략 정보를 같이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표시 영역(910)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한 어플리케이션과 그 어플리케이션을 바탕으로 진행한 컨텐츠, 가령 웹 사이트의 특정 주소, 특정 피드(feed), 수신인, 음악 및 데이터 등을 별도로 표시해 줄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정보 표시 영역(920)은 사용자가 최근 감상한 특정 프로그램과 그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한 경우에는 관련 VOD 보기로 바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2의 상황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상황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A 내지 도 12D는 상황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가령 사용자가 단위 화면(200), 즉 전체 화면으로 TV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황 화면 영역(23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즉 버튼을 누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1 영역에는 단위 화면(200)의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영역인 상황 화면 영역(230)에는 단위 화면(200)의 영상에 관련된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2A 내지 도 12D에서와 같이, 단위 화면(100)에 다양한 유형의 정보 객체를 표시해 줄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 객체에는 라이브 영상, 사진이나 비디오 영상, 웹 브라우저 영상, 뮤직 영상, 파일 브라우저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황 화면 영역(230)에는 각각의 단위 화면(100)을 이루는 영상과 관련된 관련 정보가 제공된다.
상황 화면 영역(230)에 표시되는 이러한 관련 정보는 프레임 검색 쿼리와 주요 검색 쿼리를 이용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1A에서와 같이 가령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항목을 이용하여 프레임 검색 쿼리를 추출할 수 있고, 주요 검색 쿼리는 현재 화면에 실행되는 주요 데이터로서, 도 11B에서와 같은 개방된 메타 데이터 중에서 선별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컨텐츠의 제공시 함께 제공될 수 있지만,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장면 분석(ex. 인물, 텍스트, 장소 등)이나 음성 및 음악 분석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가령 프레임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관련 정보를 상황 화면 영역(230)에 나타내기 위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사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 집합 형태로 위젯과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서비스의 경우, 상황 화면 영역(230)이 제공하는 기본 UI 집합에 대응할 수 있도록 XML 페이지를 정의할 수 있다(도 11B 참조). 가령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서비스 제공업체는 자사 서비스와 연계되는 프레임(혹은 프레임 영상)만을 독립적으로 스토어에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스토어는 도 1에 나타낸 컨텐츠 제공장치(120)가 될 수 있다.
좀더 살펴보면, 도 11A를 참조하여 언급한 검색된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된다. 가령, 선택된 프레임에 컨텍스트(context)에서 추출된 주요 데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하고, 선별된 프레임에 데이터의 변경없이 표시하며,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전에 지정된 프레임에 컨텍스트에서 추출된 주요 데이터를 적용하여 표시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전에 지정된 프레임에 데이터 변경없이 표시한다. 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전에 지정한 프레임이 아닌 추천되어 표시되는 프레임은 다음의 기준으로 정렬(sorting)되어 표시된다. 도 11B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내에서의 인기 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기 간의 데이터가 연동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제품 간에 동일한 추천 값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디즈니 채널을 시청하고 있고, 단위 화면(200)으로 디즈니 채널에 관련된 영상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상황 화면 영역(230)에는 위젯(1200)과 사운드 트랙커(1201)가 표시될 수 있다. 가령, 위젯(1200)을 통해 아마*은 프로그램에 관련된 장난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운드 트랙커(1201)는 에피소드에 관련된 OST 앨범을 제공할 수 있다. 위젯(1200)은 서드파티 업체에서 개발하여 제공된 것이며, 이는 프로그램 메타 데이터에 관련되는 것이다. 위젯(1200)은 프로그램에 관련된 장난감 및 상품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상품은 상위에 해당되는 상품일 수 있다. 이때 특정 상품이 선택된 경우, 아마*의 앱상의 상품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프로그램 타이틀과 방송 제공자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운드 트랙커(1201)에서 재생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앨범은 사운드 트랙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재생된다. 이때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프로그램 타이틀 및 프로그램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위 화면(200)으로 사진 및 비디오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영상은 사진 및 비디오에 관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된다. 그리고, 상황 화면 영역(230)은 현재 단위 화면(200)으로 제공된 사진 및 비디오에 관련된 관련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도 12B에서 볼 때, (A) 내지 (I)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관련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A) 및 (B)는 위치 또는 생성 데이터에 관련된 다른 사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이나 웹 브라우저로 이동하게 된다. (C)는 컨텐츠에 관련된 효과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이고, (D)는 위치에 관련된 노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선택하는 경우, 배경 음악으로 실행될 수 있다. (E)는 사진 공유 위젯이고, (F)는 업로드 위젯이다. 이를 통해 사진에 대한 설명을 써넣을 수 있다. (G)는 위치에 관계된 여행 사진 및 지도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시 구*에서 관련 URL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H)는 포스트 위젯을 나타내고, (I)는 업로드 위젯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비디오의 타이틀이나 설명을 써넣을 수 있다.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비메*(Vime*)에 포스트되거나 유투*에 업로드될 수 있다.
도 12B의 (A) 및 (B)는 도 12C에서의 사진 컨텐츠 제공자 어플리케이션 영역(1210)에 관계된다. 다시 말해, 사진 컨텐츠 제공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일 데이터 또는 동일 위치를 가진 다른 사진들을 표시해 주고, 이를 위하여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생성된 데이터와 위치 정보이다.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URL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B의 (C)는 도 12C에서의 서드파티 사진 효과 어플리케이션 영역(1211)에 관계된다. 이는 서드파티 사진 효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용된 효과 사진들을 표시해 주고,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타이틀과 파일 위치 정보가 된다. 도 12B의 (D)는 도 12C에서의 서드파티 음악 어플리케이션 영역(1212)에 해당된다. 생성된 데이터 및 위치 등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고, 이를 통해 제공된 음악을 표시해 준다. 도 12B의 (E) 및 (F)는 도 12C에서의 서드파티 SNS 제공자(ex. instagra*/Flick*) 영역(1213)에 해당된다. 사진, 가령 해쉬 태그를 갖는 설명 텍스트 필드, 태그된 사람, 공유 버튼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진 및 비디오에 해쉬 태그 및 사람을 추가할 수 있고, 공유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플릭(Flick*) 상에서 사진 및 비디오를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타이틀과 파일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12의 (H) 및 (I)는 도 12C에서의 서드파티 비디오 제공자(ex. You Tub*/Vime*) 영역(1214)에 해당된다. 해당 영역에는 비디오, 타이틀, 설명 필드 및 포스트 버튼이 표시된다.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타이틀 및 파일 위치가 된다. 도 12의 (G)는 도 12C에서의 서드파티 맵 제공자 또는 여행 어플리케이션(ex. googl* map) 영역(1215)에 해당된다. 업로드된 동일 위치, 거리 뷰 모드 및 맵의 다른 사진을 표시하고, 메타 데이터는 위치가 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2D에서와 같이 단위 화면(200)으로 웹 브라우저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황 화면 영역(230)에는 웹 브라우저 영상과 관련된 관련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2D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뉴스 기사를 검색하는 경우, 서드파티 업체는 해당 영상에 관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젯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A)는 포켓 어플리케이션 영역으로 서드파티 스크랩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크랩핑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있는 컨텐츠를 후에 읽을 수 있다. 포켓 어플리케이션 영역에는 추가 버튼과 3가지 유형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데, 추가 버튼을 누르면 새로 추가된 컨텐츠가 카운트된다. 여기서, 3가지 유형은 기사, 비디오 및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포켓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여기서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URL 링크 정보가 될 수 있다. (B)는 플립 보드 어플리케이션 영역으로, 서드파티 RSS 리더를 통해 RSS 리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관심있는 웹에 가입할 수 있다. 플립 보드 어플리케이션 영역에는 업로드 버튼, 이미지와 2줄 정도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다. 가입자가 "subscribe" 버튼을 선택하면 최근에 추가된 새로운 기사가 표시된다.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URL 링크 정보이다. (C)는 검색 엔진 영역으로 서드파티 포탈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다. 만약 다른 검색 엔진을 사용하고자 하면, 검색 바를 누르면 키워드 입력없이 검색 결과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색 엔진 영역에는 실시간 검색 결과가 표시되고, 검색 결과를 선택하면 해당 검색 엔진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URL 링크 정보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2E의 (a)에서와 같이 단위 화면(200)으로 음악에 관련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E는 콘서트 티켓을 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존 메이*의 음악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서드파티 음악 어플리케이션은 상황 화면 영역(230)에 존 메이*에 대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 및 사건(event)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의 전기(biography), 모든 앨범, 페이스*, 트위*에 업데이트된 메시지, 상위 랭킹 노래 목록, 투어 날짜, 음악 비디오 및 라이브 비디오, 유사한 아티스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E의 (b)에서와 같이 투어 날짜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2달 후에 서울에서 콘서트가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티켓 예약을 위하여 직접 웹/어플리케이션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도 12E의 (C)에서와 같이 티켓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2F에서와 같이 단위 화면(200)으로 파일 브라우저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소스를 열어 폴더를 발견한다. 서드파티 업체는 폴더 메타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위젯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A)는 드롭박스 영역으로, 관심 있는 폴더를 업로드하기 위해 버튼을 제공한다. 드롭박스 영역은 폴더 이름과 사용자 드롭박스 계정을 표시한다.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폴더 이름과 사용자 드롭박스 계정이 된다. (B)는 파일 잠금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역이며, 이를 통해 관심있는 폴더 및 폴더 내의 파일들에 대한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B)의 영역에는 패스코드(passcode)의 텍스트 필드가 표시된다.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파일 이름과 파일 위치가 된다. 잠긴 폴더는 폴더상에 잠금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B) 영역에는 또한 관심있는 폴더 내에 파일의 썸네일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된 메타 데이터는 파일 이름, 파일 위치 및 파일 썸네일이 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2의 배너 화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배너 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도 13A에서와 같이 EPG 테이블(1300) 상에서 예약 시청 보기로 선택된 채널에 관한 예약 정보(240a)와 자동 채널링 정보(240b)를 배너 화면 영역(240)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자동 채널링은 사용자의 시청 패턴, 가령 시간대별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선호 채널이 해당 시간에 방영되고 있는 경우 자동 채널링을 통해 해당 사용자 선호 채널의 방송을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자동 채널링이 설정된 경우, 별도의 채널 재핑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볼만한 채널로 자동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배너 화면 영역(240)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화면 모음에서 화면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배너 화면 영역(240)에는 채널명 및 채널 번호 등과 같이 각 화면에서 대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배너 화면 영역(240)에 도 13B의 (a)에서와 같이 채널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도 13B의 (b)에서와 같이 블로그와 같은 RSS 리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방향 버튼 중에서 상하 버튼을 조절하는 경우 채널 명이 변경될 수 있고, 좌우 버튼을 조절하는 경우, 동일 채널 내에서 이전 시간대의 프로그램과 다음 시간대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블로그 정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2의 배너 화면 영역에 표시된 시청 예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보고 싶은 방송 프로그램을 배너 화면 영역(240)에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EPG상에서 예약 시청 보기로 선택한 채널에 관해 배너 화면 영역(240)에 표시하고, 이를 삭제 및 관리할 수 있다.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선택시 상단에 예약 상태가 나타나며 선택한 예약 프로그램의 좌에서 우로 하나씩 추가되어 우선 시간 순으로 추가된다. 삭제 버튼으로 예약 프로그램의 삭제가 가능하며, 예약한 채널 영역을 선택할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A에서 도면번호 1410은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정보이고, 도면번호 1420은 예약한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이다. 이때 예약한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에는 자동 채널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4A의 (b)는 배너 화면 영역(240)을 호출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단위 화면(200)에 배너 화면이 중첩되어 표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4B에서와 같이 배너 화면 영역(240)에 자동 채널링 정보(1400b)를 표시한다.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통해 정기적 또는 규칙적으로 보는 일일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자동 채널링을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동 채널링의 경우에 도 14C에서와 같이 각 요일과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요일의 시간에 사용자가 실행하였던 프로그램, 채널을 로그(log)를 기록함으로써 가장 빈도수가 높았던 항목, 가령 프로그램, 채널을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이에 자동 채널링을 선택할 경우 해당 조건, 즉 등록된 채널링 항목, 요일, 시간 방송 상황에 부합하는 항목을 사용자의 액션없이 자동 실행해 주고, 순차 방영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 결과, 화면 단위의 단순한 구조로 사용 학습성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정황에 근거한 관련 정보 또는 기능을 추천하여 편의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컨텐츠의 소비 행위를 단절하지 않으므로 동시에 다양한 항목의 미리 보기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5는 계정 기반의 개인화된 홈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도면이며, 도 17은 계정 생성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Them Mode 계정시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홈 화면 영역(1500)을 호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단위 화면(1500)상에 홈 화면 영역(1500)과 역동 화면 영역(1510)을 함께 표시해 준다.
홈 화면 영역(1500)은 2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나타나는 홈 화면 영역(1500)은 TV의 제조업자가 디폴트(default)로 제공하는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홈 화면 영역(1500)에는 사용자별 계정을 생성 및 선택할 수 있는 계정 아이콘(1500a)이 추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계정 아이콘(1500a)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사용자 기반의 홈 화면 영역(1500)과 역동 화면 영역(151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설정과 관련해 보면, 사용자는 도 15에서와 같이 사용 환경에 따라 계정 생성 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라 하더라도 가정에 있는지 공공 장치에 있는지에 따라 계정 생성 방법이 다를 수 있다. 계정 생성시 입력된 정보를 통해 홈 화면 영역(1500) 및 역동 화면 영역(1510)의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7에서 볼 때, Public은 사용자 구분없이 활용시 제공하는 공용 계정이고, Personal은 기본적인 개인 계정으로 이름, 사진, 비밀번호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Kids Mode는 아동 모드, 연령을 추가로 설정 가능하며, 설정시 해당 연령에게 부적합한 컨텐츠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m Mode는 월드컵, 올림픽 등 특정 이벤트에 특화된 Them Mode의 설정이 가능하다. Them Mode는 컨텐츠 제공자, OS 등 장치에서 제공한다. 각 Them Mode들은 제작자가 미리 홈 화면 영역(1500)의 항목을 설정해 둘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 계정을 생성시 도 18에서와 같이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일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B2B 고객을 위한 Mode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 호텔, 학교 등 B2B에 특화된 모드 설정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5는 도 15의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홈 화면 영역(1500)에서 항목을 설정 또는 편집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령 TV 내에 어플리케이션, 소스, 기능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라이브 TV는 개별 방송이나 방송의 묶음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개별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일 수 있으며, 소스는 개별 소스 또는 소스의 묶음일 수 있다. 홈 화면 영역(1500)의 설정은 홈 화면 즉 단위 화면에서 선택된 계정에 귀속된다.
홈 화면 영역(1500)에 항목을 추가하기 위하여 도 19의 (a)에서와 같이 추가 항목 버튼을 선택하고, 정보 객체 B와 C를 선택함으로써 홈 화면 영역(1500) 상에 B 및 C의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반면, 삭제가 필요한 경우, 도 19의 (b)에서와 같이 해당 항목 B를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삭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9의 (c)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 내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 단위로 설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5의 역동 화면 영역에 항목이 추가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역동 화면 영역의 다양한 유형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도 15 또는 도 21의 역동 화면 영역(1510)은 홈 화면 영역(1500) 내부의 항목들에 대한 미리 보기를 해 주는 영역에 해당된다. 역동 화면 영역(1510)에 배치되는 항목들은 각 어플리케이션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20에서 사용자 고객 영역(2000)의 카테고리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역동 화면 영역(1510) 내의 정보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며,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쉬(push)될 수 있다. 이때 푸쉬되는 정보 객체는 유아 모드 또는 학생 모드 등의 계정 정보에 따라 필터링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15의 홈 화면 영역에서 개인 설정 활성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계정 변경에 따른 홈 화면 영역 설정 활성화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우선적으로 도 15의 영상표시장치(100'')는 홈 화면 영역(1500)을 도 22에서와 같이 사용자 A에 대하여 개인화된 홈 화면 영역(1500a)으로 변경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5의 홈 화면 영역(1500)에서, 상단에 위치한 계정 아이콘(1500a)을 선택하고, 도 23에서와 같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표시된 사용자 계정 영역(2210)에서 사용자 A의 계정을 선택함으로써 도 22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도 22에서 사용자 A의 계정을 다시 선택하게 되면, 화면의 상단 영역에 사용자 계정 영역(22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계정 영역(2200)에서, 특정 계정, 가령 사용자 C를 선택하면, 사용자 A로 개인화되어 표시된 홈 화면 영역(1500a)이 사용자 C로 개인화된 홈 화면 영역(1500b)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3은 계정 변경에 따른 역동 화면 영역의 설정 활성화를 예시한 도면으로,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 및 사용자 B의 역동 화면 영역은 각각의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3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 A 및 사용자 B는 각자에게 할당된 ID를 통해 로그인하여 자신의 홈 화면 영역에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4는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설정 항목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령 도 24의 (a)에서와 같이 홈 화면 영역(1500a)에 표시된 Youtub*에 해당되는 실행 아이콘(2400)을 선택하게 되면 Youtub*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도 24의 (b)에서와 같이 역동 화면 영역(1510a)에 표시된 비디오 1(2410)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비디오 1(1240)에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홈 화면 영역(1500a)에서 실행시 어플리케이션의 첫 화면(ex. splash screen)으로 진입 가능하고, 역동 화면 영역(1500b)에서 실행시 해당 컨텐츠 또는 기능으로 직접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의 설정 항목 실행 과정에 대한 다른 예시도로서, 도 25A에서와 같이 "밝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일일이 찾아 들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도 25B 및 도 25C에서와 같이, 홈 화면 영역 및 역동 화면 영역에 자주 사용하는 항목을 등록해 둔 후, 홈 화면 영역의 특정 실행 아이콘이나 역동 화면 영역의 정보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항목에 바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 결과, 홈 화면 영역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위젯 배치뿐 아니라 내부의 설정까지 계정에 연동시키고, 각 사용자의 추가 정보를 통한 필터링을 제공함으로써 계정 기반 연동을 통한 개인화가 가능하며, 역동 화면 영역을 통해 최상단에 원하는 항목을 배치하고, Theme mode를 통해 UI 전체를 특정 주제로 국한된 컨텐츠로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사용자에게 직접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동 화면 영역의 구성 및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역동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8은 역동 화면 영역에 정보 객체를 추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9는 역동 화면 영역에 자동 채널의 이력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6을 도 8 및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홈 화면 영역(210) 및 역동 화면 영역(220)을 표시하고, 하이라이트를 히스토리(HISTORY)에 해당되는 실행 아이콘에 위치시킴으로써 도 26과 같은 역동 화면 영역(2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역동 화면 영역(220)은 제1 영역(2600)과 제2 영역(2610)을 포함한다. 제1 영역(2600) 및 제2 영역(2610)은 사용자 의도를 가지고 시행되는 동작과 이를 표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채널 및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최소 단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인포 배너(Info-banner)라 명명할 수 있다. 역동 화면 영역(220)의 이력 구성은 최근 사용한 인포 배너 단위로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제2 영역(2610)은 현재 시청 중이거나 사용 중인 또는 마지막으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 채널 또는 프로그램의 인포 배너에 해당된다.
이력의 경우 사용자가 감상한 최근 방송 프로그램, 특정 채널,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인포 배너 형식으로 시간순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으로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스크롤(2620)을 업/다운하는 것에 따라 사용 일주일 간의 이력 로그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력 진입시 보여지는 영역의 가장 하단에는 최근 마지막으로 실행, 또는 사용 중인 인포 배너가 나타날 수 있고, 원하는 이전 인포 배너 로그를 보고 싶을 경우 상단으로 스크롤 업하면 된다.
도 27에서 ①은 인포 배너 유형 중 최근 채널을 나타낸다. 해당 채널로 진입이 가능하고, 해당 채널이 방송 종료인 상태에서는 채널의 웹 페이지나 VOD 메인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 ② 및 ③은 인포 배너 유형 중 최근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를 나타내며, ②는 어플리케이션 선택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진입 및 활성화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이 열려있는 상태라면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③은 컨텐츠 선택시 해당 컨텐츠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상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이고 "홍길동"인 경우 "홍길동" 연락처로 전화를 거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④는 인포 배너 유형 중 최근 프로그램에 관련된다.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 중일 경우 바로 해당 프로그램에 연결되거나 현재 방송하지 않을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VOD 서비스로 연결하게 된다.
한편, 도 28의 (a)에서 스크롤 다운하면, 도 28의 (b)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수 있는데, 도 8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 로그 기반으로 추천 인포 배너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력에서 가장 최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채널의 인포 배너에서 더 하단으로 스크롤 다운하면 현재 컨텐츠(ex. 요일, 시간대, 사용 빈도 등)를 기반으로 한 로그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가 현 조건에서 가장 볼만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채널을 한가지씩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의도를 쉽게 접근 및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별도의 선택을 하지 않고 위로 스크롤 업할 경우 추천 인포 배너는 사라지게 된다.
나아가,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자동 채널링 기능을 설명한 경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동 화면 영역(200)에 최신 인포 배너가 자동 채널링으로 표시된다. 역동 화면 영역(200)에는 자동 채널링으로 제공 가능한 프로그램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자동 채널링 제공 시간, 해당 날짜를 인포 배너에 표시할 수 있다. 도면번호 2900a는 자동 채널링으로 선정되어 예약 재생될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30A는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 기능이 변화하는 가변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0B는 도 30A의 (b)에서 키패드 부분을 다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홈 화면상의 하단부에 매크로 아이콘, 프로포즈 아이콘 및 서치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00, 3010, 30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00)은 접속하고자 하는 항목의 빈도와 동작을 지정하여 바로 가기를 작성하기 위한 것에 관련되고, 프로포즈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10)은 사용자의 시간별 체류장소를 클러스터링하여 시각화하고 해당 맵에 진입했을 때 그 상황별로 자주 사용한 앱을 추천하여 제공하는 것에 관련되며, 서치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20)은 카테고리 검색어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결과를 표시하며, 검색어와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지로 지정해 두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근하려는 것에 관련된다.
가령, 매크로 아이콘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어떠한 조건에서 매크로 아이콘이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설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0A의 (a)에 도시된 홈 화면상에서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00) 상의 추가(+) 버튼을 선택하고, 이어 나타나는 도 30A의 (b)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Contact, App 및 Contents의 세가지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아이템에 대한 빈도와 작업을 순서대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30A의 (b)에서와 같이 종류는 Contents, 빈도는 Most, 작업은 Shared를 각각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단의 Done 버튼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 아이콘을 가변하기 위한 설정이 완료된다. 이후 생성된 매크로 아이콘을 다시 선택하게 되면, 도 30A의 (c)의 화면으로 바로 가기가 가능하고, 앞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도 30A의 (c)에서와 같이 아이콘들이 생성 및 배치되어 표시된다. 이때 생성 및 배치된 특정 아이콘을 길게 누름(long press)으로써 항해(Navigation)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1은 홈 화면에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각 속성은 도 31B에서와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ecently Added + Contents의 경우 가장 최근에 생성한(또는 다운로드한) 파일로 자동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일 브라우저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파일을 찾아갈 필요없이 직전 다운로드한 파일에 바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Most Contacted + Contact를 통해 가장 선호하는(Favorite) 연락처를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Recently Used + Application 속성의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면 최근 실행한 앱들을 빠르게 접근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도 31에 나타낸 표는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도 30의 매크로 아이콘을 가변시키기 위한 조건 설정 과정을 좀더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32A의 (a)와 같은 화면에서, 매크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00)을 선택 또는 홈 화면으로 드래그 시, 도 32A의 (b)에서와 같은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설정 화면에서, 주체(subject), 조건(condition) 및 동작(action) 순으로 선택한다. 물론 역순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Done 버튼(3200)은 흐릿하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2A의 (c)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주체가 없는 경우 contacted 버튼(3210) 또한 흐릿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32A의 (b) 및 도 32A의 (c)를 통해 종류 및 빈도를 각각 설정한 후, 도 32B의 (d) 및 도 32B의 (e)에서와 같이 스크롤 동작 등을 통해 작업을 마지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도 32B의 (f)에서와 같이 Done 버튼(3200)이 활성화된다. 해당 Done 버튼(3200)을 선택하게 되면, 설정이 완료된다. 설정이 완료되면, 도 32C의 (g)에서와 같이 홈 화면에 해당 아이콘에 대한 속성값들이 반영되어 배치된다. 이후, 도 32C의 (g)에서 탭한 아이콘에 따라 해당 화면으로 진입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된다.
앞서와 같이 종류, 빈도 및 작업을 각각 설정할 때마다 미리 보기는 층(layer)의 개념으로 홈 화면에는 하나씩 속성값이 미리 보여지고, 그 하단에는 디스크립션(discription)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가령 어플리케이션의 조건과 동작이 텍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앞의 주체 및 조건은 고정될 수 있지만, 동작은 가령 Contacted, added, missed, used, shared 등이 모두 하나의 세트로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롤 동작을 통해 선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화면마다 복귀 버튼(또는 취소 버튼)을 선택하여 이전 화면이 있는 경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3은 홈 화면에 생성된 매크로 아이콘을 통해 이력 화면으로 바로 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가령 도 33의 홈 화면에 Recent Contact 속성을 지니는 매크로 아이콘(3300)을 도 33의 (a)에서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이어 해당 매크로 아이콘(3300)을 선택함으로써 도 33의 (b) 및 (c)에서와 같이 최근 연락한 이력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33의 (b)에서 썸네일 이미지로 표현된 특정 사용자(3310)를 선택함으로써 도 33의 (c)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하고,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 버튼(3320)을 선택하여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3의 (b)에서 특정 사용자(3310)가 선택되면 도 33의 (c)에서와 같이 탭한 아이콘의 크기가 확대되며, 연락 경로 메뉴 및 세부 정보가 제공된다.
도 34는 홈 화면에 프로포즈 아이콘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의 (a)와 같은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프로포즈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10)을 통해 앞서 도 32A 내지 도 32C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설정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간별 체류 장소를 클러스터링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데, 가령 해당 맵에 진입하였을 때 그 상황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앱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를 통해 도 34의 (b)에서와 같이 프로포즈 위젯을 생성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로그 맵은 통상 체류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장소를 시간별로 표시하고, 각 클러스터별로 추천 앱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장소에 다른 시간대에 있는 경우, 추천 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안양에 있는 경우 날씨, 버스, 뉴스에 대한 앱을 추천하였다면, 저녁에 안양에 있을 때는 목록, 비디오, 알람과 같은 앱을 추천해 줄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해당 구역에 진입하게 되면, 로그를 기반으로 도 34의 (c)에서와 같은 앱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해 준다. 한편, 사용자는 도 34의 (d)에서와 같이 보여질 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경우, 매일(혹은 매주/매달) 사용자의 장소와 시간을 클러스터링하고, 각 클러스터 단위에 실행했던 어플리케이션을 기억하여 동일 클러스터에 진입했을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추천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로그 맵을 통해 자신의 장소와 시간 패턴의 클러스터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 추천 대신 제안되는 앱들을 지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명시적인 컨텍스트, 즉 시간과 장소를 통해 2차원 매트릭스상에서 각 상황을 대표하는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이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 35는 도 34의 (b)에 나타낸 로그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에서, ① 내지 ⑦은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정의해 볼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36은 앱 목록의 편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로그 맵상에서 특정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6의 (b)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클러스터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앱 목록이 없거나 추가하길 원하는 경우에 도 36의 (b)에 도시된 화면에서 추가 버튼(3600)을 이용하여 편집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7은 서치 아이콘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A에서와 같은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서치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20)을 선택하면, 도 37의 (a)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화면을 통해 검색어, 가령 People, Location 및 Media와 같은 세 가지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검색어를 지정하면, 해당 카테고리의 변수를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에 관련된 항목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항목들을 통해 설정 과정이 완료되면, 생성한 검색어는 도 37의 (b)에서와 같이 홈 화면상에 등록됨으로써 쉽게 검색어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등록된 검색어는 하나 이상의 타겟 어플리케이션에 검색어를 전달함으로써 도 37의 (c)에서와 같이 1:N의 형태로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어와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지로 지정해 두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소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도 37의 서치 아이콘 생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A의 (a)에서와 같은 홈 화면에서, 사용자는 서치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버튼(3020)을 선택함으로써 도 38A의 (b)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8A의 (b)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가령 생성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키워드(Keyword), 토큰(Token) 및 어플리케이션(App) 순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디스크립션은 설정하고자 하는 App의 Keyword가 화면에 보여지게 된다. 여기서, Keyword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검색한 값들을 로그로 반영하고, Token은 고정되어 있다. App은 Token에 따라 다르게 추천될 수 있다. 도 38A의 (b)에서 도 38B의 (e)에서와 같이 모든 설정을 마친 후 Next하게 되면 도 38B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해당 Keyword와 Token을 기준으로 App의 검색값을 미리 보기로 제공하고, 이어 사용자가 add to home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홈 화면에 추가된다. 이때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인 경우, 해당 키워드가 아이콘이 되고,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지(badge)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37의 (c)에서와 같은 형태로 화면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Token은 키워드의 속성을 정의하는 카테고리로, Token의 종류에 따라 키워드를 받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People의 경우 주소록이나 SNS 등이 될 수 있다.
도 39는 동일 키워드이고 다른 속성일 때의 검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동일한 Amanda라는 키워드라고 하더라도, 속성을 People로 설정하면, 주소록, 페이*북에서 검색하지만, 미디어 카테고리로 설정하면 다른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검색어를 전달한다. 여기서, 키워드는 구* 검색어 이력에서 가져오거나 직접 입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9의 (a)는 미디어 카테고리로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홈 화면에 도 39의 (b)에서와 같이 해당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때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여러 개일 경우 다중적으로 보여진다는 큐(cue)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UI는 GUI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9의 (c)는 미디어 카테고리로 설정하는 것에 따른 검색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40은 가변 아이콘을 TV에 적용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금까지 도 35 내지 도 39를 통해 살펴본 내용들은 실질적으로 도 40과 같은 TV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도 40에서 홈 화면 영역(4000)은 다양한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고, 역동 화면 영역(4010)은 SNS와 같은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연계된 항목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상황에 기반하여 이를 표시해 주는 등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사용자는 직접 속성과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황에 맞게 추천하여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정된 홈 화면에서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제1 영상을 표시한다(S4100).
이와 같은 제1 영상, 즉 단위 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된 영상과 관련한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취득한 제1 영상에 관련된 관련 정보를 상황 화면 영역에 제공하게 된다(S1410, S1420).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청 흐름을 단절시키지 않기 위해서, 제1 영상과 제2 영상은 분할 화면(partial view)에 각각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황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단순히 상황 화면 영역을 호출하는 명령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와 같이 화면에 표시된 영상에서 특정 아이템을 선택하여 검색 정보를 얻는 것과 구별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서버와 같은 하나의 정보 제공원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영상에 연계된 메타 데이터 중에서도 주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채널 즉 정보 제공원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한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메뉴 버튼과 같은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 EPG를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과 관련해 보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메타 데이터를 이용해 복수의 정보 제공원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설정된 포맷으로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청 흐름을 단절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메뉴 버튼을 통해 EPG를 호출하는 것은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다기 보다는 메뉴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EPG를 호출하는 명령임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EPG 화면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구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 명령이 있다고 판단될 때,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영상을 전체 화면이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취득되는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한다(S4200). 이러한 과정은 전체 화면에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제1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체 화면으로 제1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제2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제1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S4210). 가령 제3 영상은 사용자의 시청을 많이 방해하지는 않기 때문에 전체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제1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만약 S420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분할 화면에 표시된 제2 영상은 사라지고, 제1 영상은 다시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영상표시장치 110: 통신망
120: 컨텐츠 제공장치 200: 단위 화면
210: 홈 화면 영역 210a: 실행 아이콘
220: 역동 화면 영역 230: 상황 화면 영역
240: 배너 화면 영역 400, 500: 인터페이스
410, 520: 제어부 410a, 540: 사용자 기반의 화면 생성부
420, 530: 디스플레이부 510: 저장부

Claims (20)

  1.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전체 화면(full screen)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체 화면의 분할된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지정된 복수의 주요 데이터(key data)와 연계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주요 데이터에 연계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사용자마다 다르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청 가능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에 관련된 채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3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지정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제4 영상과, 상기 각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화면의 상태 및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제5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상은 정보 구조적으로 뎁스(depth)를 가지는 정보 객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객체를 상기 아이콘의 형태로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상에서 사용자 계정 관련 아이콘이 선택될 때, 임의의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는 새로운 제4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영상을 자동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과 관련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한 결과를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0.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제1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전체 화면(full screen)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체 화면의 분할된 제1 영역에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 중 지정된 복수의 주요 데이터(key data)와 연계된 정보를 상기 제2 영상에 표시하며,
    상기 복수의 주요 데이터에 연계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사용자마다 다르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시청 가능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에 관련된 채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3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지정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제4 영상과, 상기 각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화면의 상태 및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제5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상은 정보 구조적으로 뎁스(depth)를 가지는 정보 객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객체를 상기 아이콘의 형태로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4 영상에서 사용자 계정 관련 아이콘이 선택될 때, 임의의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는 새로운 제4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영상을 자동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과 관련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메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한 결과를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영상표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 및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근거하여 선정된 사용자의 시청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제1 영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의 메타 데이터와 연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기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가능한 정보는,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시청 패턴에 근거한 영상으로 변경해 주는 자동 채널링 기능에 관련된 채널링 정보를 포함하고,
    제3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상을 분할된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지정된 정보 객체를 아이콘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제4 영상과, 상기 각 아이콘에 매칭되어 새로운 영상 화면의 상태 및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제5 영상을 분할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167709A 2014-05-14 2014-11-27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131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2,322 US20150331551A1 (en) 2014-05-14 2015-05-14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6652P 2014-05-14 2014-05-14
US61/996,652 2014-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917A true KR20150131917A (ko) 2015-11-25

Family

ID=5484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709A KR20150131917A (ko) 2014-05-14 2014-11-27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9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854A (ko) * 2016-03-16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277745A (zh) * 2018-12-04 2020-06-1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目标人员的追踪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854A (ko) * 2016-03-16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277745A (zh) * 2018-12-04 2020-06-1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目标人员的追踪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277745B (zh) * 2018-12-04 2023-12-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目标人员的追踪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3155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768771B2 (en) Social interaction in a media streaming service
JP4652485B2 (ja) グラフィックタイルベース拡大セルガイド
JP5189978B2 (ja) メディア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スタートメニュー
US20110289458A1 (en) User interface animation for a content system
US201202721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media content guidance
US20130257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CN104427376A (zh) 信息显示装置、信息显示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20120116905A (ko) 사용자 정의된 애셋의 집합의 생성 및 공유를 가능화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WO2012040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media guidance
JP2012142011A (ja) 高密度の対話型メディアガイド
JP2013500540A (ja) 属性を共有する異なる種類の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関連付け、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326178A (zh) 通过综合频道管理来再现内容的方法和设备
US9374610B1 (en) Index channel technology
KR201700111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692746B (zh) 具有基于知识的媒体内容推荐和统一用户界面的联网电视装置
US20140298385A1 (en) Theme-based media program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US20150161238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search result providing methods of the same
US20110107219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ervice thereof
KR20150131917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096853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WO2021183146A1 (en) Mixing of media content items for display on a focus area of a network-connected television device
US20180367838A1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browsing and viewing huge and heterogeneous media collections on tv with unified interface
JP7208244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テレビ装置における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キャスティング
KR201501172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