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17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177A
KR20170011177A KR1020150103283A KR20150103283A KR20170011177A KR 20170011177 A KR20170011177 A KR 20170011177A KR 1020150103283 A KR1020150103283 A KR 1020150103283A KR 20150103283 A KR20150103283 A KR 20150103283A KR 20170011177 A KR20170011177 A KR 2017001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content
content
conten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묵
박성진
어소윤
정승연
최연석
강태훈
이관민
이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177A/ko
Priority to EP16171167.6A priority patent/EP3121737A1/en
Priority to US15/170,194 priority patent/US20170026528A1/en
Publication of KR2017001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5Cluster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5Cluster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04N21/4358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e.g. for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개개인의 미디어 컨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미디어 컨텐츠들을 저장하는 서비스 및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를 관리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초대형의 고성능 컴퓨터가 일정 용량의 웹 저장공간(서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PC 등을 통해, 문서,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컨텐츠를 편리하게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미디어 컨텐츠의 공유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PC 또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개별 컨텐츠 단위로 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신저 서비스 등을 통해 전송하였으나,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개별 컨텐츠를 업로드한 후에 온라인 상에서 공유하는 방법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공유 폴더에서는 해당 계정과 서로 다른 계정을 가지는 허가된 사용자가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유 방식은 단순히 타 계정 사용자가 폴더 트리 형식의 해당 공유 폴더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것에 중점을 둔 것으로, 기본적인 수준의 감상 환경만을 제공하여 감상 만족도가 충족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계정 생성 및 사용자의 물리적인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동을 통해 데이터를 이동 및 복사해야 하므로 사용장벽(usage barrier)이 존재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가족이 여행을 다녀온 후, 사용자는 가족 구성원 각자의 기기로 찍은 사진을 쉽게 하나로 모으고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여행 앨범을 TV를 통해 감상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각자의 단말 장치의 클라우드 서버에 대한 계정 생성 및 로그인(Log-in)의 어려움 및 클라우드 서비스의 컨텐츠 제공 방식에 의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로의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고 공유된 컨텐츠가 가공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로의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고 공유된 컨텐츠가 가공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로 구성하는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상기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시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지도를 구성하기 위한 지도 구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지도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식별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채널 식별 번호를 할당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채널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가상 채널 상에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에 삽입된 복수 개의 화면을 상기 가상 채널 상에서 슬라이드 쇼(slide show)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각의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삽입되는 템플릿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세션(session)을 생성하는 시점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세션이 모두 종료되는 시점까지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로 구성하는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상기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시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지도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채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채널 식별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채널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가상 채널 상에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식별 번호를 통해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에 삽입된 복수 개의 화면을 상기 가상 채널 상에서 슬라이드 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각의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삽입되는 템플릿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세션을 생성하는 시점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세션이 모두 종료되는 시점까지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로의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고 공유된 컨텐츠가 가공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감상 경험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영상 컨텐츠에 코멘트를 부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코멘트가 부가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제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화면에서 선택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을 선택할 수 있는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형식의 템플릿으로 구성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템플릿으로 구성된 영상 컨텐츠가 가상 채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채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템플릿으로 구성된 영상 컨텐츠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MS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앨범 컨텐츠 또는 변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앨범 컨텐츠 또는 변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시스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를 포함하여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모니터,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노트 패드(note pad), 타블렛 PC(tablet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각종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복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Bluetooth, Wi-Fi,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IR(Infrared) 등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복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Zigbee 통신 모듈, Bluetooth 통신 모듈, BLE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Wi-Fi 통신 방식을 통해 복수의 단말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각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소자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단말 장치를 인식하거나 별도의 NFC 통신 장치에 태깅된 단말 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세션을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팝업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간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단말 장치 간에 영상 컨텐츠를 전송을 위한 통신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에 포함된 통신 모듈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영상 컨텐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영상 컨텐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영상 컨텐츠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Wi-Fi 통신모듈,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은 Bluetooth 통신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로부터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각종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복수의 단말 장치 각각에 대하여 등록된 단말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단말 장치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영상 컨텐츠를 교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기 정보가 미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각각의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고유 번호 또는 MAC 주소 등의 인증 키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인증 키를 기초로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DRAM 메모리, SRAM 메모리, FRAM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란, 문자(text), 사진(photo), 그림(picture), 동영상(video) 등이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영상 컨텐츠는 각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사진인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영상 컨텐츠는 각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사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거나 다운로드받은 문자,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이란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기준을 의미한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란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특정 날짜, 특정 장소,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정보(제품 번호 등) 등의 메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은,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기준일 수도 있다.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한 시간 및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한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프로세서(14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크기의 썸네일(thumbnail)의 형태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식별자는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테두리 색깔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썸네일로 디스플레이되는 각 영상 컨텐츠의 테두리 색깔을 단말 장치별로 다르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각 영상 컨텐츠가 어느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었는지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각 영상 컨텐츠에 식별자를 부가하여 사용자별로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마크(mark)를 식별자로서 영상 컨텐츠 또는 영상 컨텐츠의 주위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각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별로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템플릿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템플릿은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개수 및 크기로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레이아웃(layout)이 짜여져 있는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도록 레이아웃, 배경 또는 표지가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은 지도(map)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또는 영상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로 구성되는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지도 구성 모듈을 이용하여 일정한 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도(map)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상에서,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를 해당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 파일이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공유자에 의해 열람 가능한 전자 앨범을 의미한다. 앨범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이벤트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영상 컨텐츠의 전송이 모두 완료된 후,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이벤트는, 복수의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간에 생성된 통신 세션이 모두 종료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구체적으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또는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란 영상 컨텐츠 파일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교환이미지 파일 형식(EXIF) 정보 등의 메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EXIF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정보,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정보(경도/위도 등), 영상 컨텐츠의 파일 크기 정보, 영상 컨텐츠의 색상 정보, 영상 컨텐츠를 촬영한 카메라 기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란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 일시 정보,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시간 및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특정 날짜, 특정 장소 또는 영상 컨텐츠에 특정 인물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등의 특정 조건에 따른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 중 특정 조건에 맞는 영상 컨텐츠만을 필터링하여 하나의 앨범으로 맵핑함으로써, 앨범 형식의 템플릿을 자동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세션(session)을 생성하는 시점부터 복수의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통신 세션이 모두 종료되는 시점까지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제1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단말 장치와 통신 세션을 생성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제2 단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 장치, 제2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통신 세션이 모두 종료되는 시점까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된 영상 컨텐츠는 하나의 앨범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영상 컨텐츠 또는 영상 컨텐츠가 삽입되는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편집 화면 상에서 사용자는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의 배치 변경, 크기 조절, 위치 조절, 코멘트 작성, 효과 설정 및 영상 컨텐츠 변경 등의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편집 화면의 일 측에 편집 작업을 위한 효과 툴 및 편집 툴을 제공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편집된 템플릿 또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의 감상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 또는 편집을 거쳐 새로 생성된 화면을 가상 채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채널 식별 번호를 생성하고, 분류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채널 번호 등의 채널 식별 번호를 할당하며, 채널 식별 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을 가상 채널이라 명명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가상 채널에 맵핑하여 기존의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는 것과 같이 해당 가상 채널을 잽핑(zapping)하여 편리하게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가상 채널에 채널 번호 등의 채널 식별 정보를 할당하여 추후 사용자가 부여된 채널 번호를 선택하면,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채널에 할당되는 채널 번호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번호로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컨에 구비된 물리적 버튼을 이용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디스플레이된 UI 버튼을 선택하여, 가상 채널로 진입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가상 채널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접근 권한 및 가상 채널상에서 일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접근 권한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해당 가상 채널에 접근하는 경우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등록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인증 키 전송을 요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셋톱 박스(Set-Top Box)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셋톱박스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적절히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그 내용을 표시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셋톱박스에 외부 신호를 주는 장치로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위성파 수신 안테나, 동축 케이블, 전화선, 일반 VHF 혹은 UHF 안테나 등이 있다.
셋톱 박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이 특정 가상 채널에 맵핑되도록 가상 채널 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셋톱 박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내에 내장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잽핑을 통해 가상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에 삽입된 복수 개의 화면을 가상 채널 상에서 슬라이드 쇼(slide show)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화면은 서로 다른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화면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화면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는 복수 개의 화면마다 각기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 채널 상에서 기 설정된 템플릿에 영상 컨텐츠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변형 컨텐츠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 등의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EXIF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부가 정보가 변형 컨텐츠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는 영상 컨텐츠와 함께 해당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자 및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변형 컨텐츠에 포함되는 영상 컨텐츠는 가상 채널에 진입할 때마다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영상 컨텐츠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복수의 앨범 중에서 제1 앨범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슬라이드 쇼 방식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후, 재차 가상 채널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제2 앨범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슬라이드 쇼 방식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슬라이드 쇼 방식의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채널 상에서 특정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앨범 화면 또는 앨범 선택이 가능한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앨범 컨텐츠 또는 변형 컨텐츠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계정을 등록하고 계정 등록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등록된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의 공유를 원하는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상대방이 선택되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초대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상대방이 초대 메시지를 수락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들 간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공유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된 상대방이 공유하여 시청하지 못하도록 비공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 컨텐츠를 보다 흥미롭고 신선한 느낌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의 단말 장치(10, 20, 3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 장치(10, 20, 30)는 각각 제1 단말 장치(10), 제2 단말 장치(20) 및 제3 단말 장치(30)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20)가 스마트 폰, 제3 단말 장치(30)가 카메라로 구현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 단말 장치(10)는 영상 컨텐츠 공유를 요청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홍길동)의 단말 장치이고, 제2 단말 장치(20) 및 제3 단말 장치(30)는 제1 단말 장치(10)와 병렬적으로 영상 컨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장치(20) 및 제3 단말 장치(30)는 제1 단말 장치(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공유를 요청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 내지 제3 단말 장치(30)는 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등으로부터 영상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진 파일 등의 영상 컨텐츠를 정리할 수 있다. 사진 파일 관리 시에는 폴더 또는 앨범을 구분하거나, 사진에 대한 내용 등을 텍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진과 각종 이미지를 합성하거나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진에 지오-태깅(geo-tagging)을 하는 등 다양한 편집 및 관리가 가능하다.
제1 단말 장치(10) 내지 제3 단말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 내지 제3 단말 장치(30)는 TV로부터 BLE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특히, BLE의 경우 BT보다 거리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Wi-Fi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Wi-Fi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있으면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 장치 외에는 BLE 통신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거리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 내지 제3 단말 장치(30)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21-1, 21-2, 21-3)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단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간에 통신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세션이 생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단말 장치(1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 수신 전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 수신 전용 화면은 복수의 단말 장치(10 ~ 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21)를 기 설정된 크기(예를 들어, 200x100mm)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단말 장치(10 ~ 30)로부터 어떤 파일을 수신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 장치(10 ~ 30)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21-1, 21-2, 21-3)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말 장치(10 ~ 30)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기화(photo sync)된 외부 서버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컨텐츠(21)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등 다른 경로에 의해 단말 장치에 저장된 사진, 그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단말 장치(10 ~ 30)로부터 영상 컨텐츠(21)를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수신된 영상 컨텐츠(21)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영상 컨텐츠(21)는 축소된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된 영상 컨텐츠(21)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화면(22)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화면(22)은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화면일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템플릿은 미리 디자인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UI를 의미한다. 기 설정된 템플릿은 앨범 형식의 템플릿, 지도 형식의 템플릿, 변형 컨텐츠의 슬라이드 쇼에 이용되는 템플릿 등 다양한 형식의 템플릿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21)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21)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EXIF 정보 등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그룹 각각이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EXIF 정보의 촬영 장소 정보(경도/위도 등)를 이용하여 촬영 장소에 따라 영상 컨텐츠(21)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에는 각각의 영상 컨텐츠(21)가 어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한 범위의 경도/위도 정보를 갖는 영상 컨텐츠만 따로 그룹핑되어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같이 여행을 다녀와서 찍은 사진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는 2015년 5월 1일에 여행지 A, 2015년 5월 2일에 여행지 B 및 여행지 C, 2015년 5월 3일에 다시 여행지 A 순서대로 여행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 장치(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영상 컨텐츠(21-1)에는 2015년 5월 1일에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 및 2015년 5월 2일에 여행지 B에서 찍은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 장치(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영상 컨텐츠(21-2)에는 2015년 5월 2일에 여행지 B에서 찍은 사진 및 여행지 C에서 찍은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고, 제3 사용자의 제3 단말 장치(3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영상 컨텐츠(21-3)에는 2015년 5월 3일에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40)가 각각의 영상 컨텐츠의 EXIF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장소에 따라 영상 컨텐츠(21)를 분류하면,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1 앨범, 여행지 B에서 찍은 사진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2 앨범, 여행지 C에서 찍은 사진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3 앨범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앨범에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3 단말 장치(30)에서 전송된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이 포함될 것이다. 제2 앨범에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여행지 B에서 찍은 사진이 포함될 것이다. 제3 앨범에는 제2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여행지 C에서 찍은 사진이 포함될 것이다.
프로세서(140)는 EXIF 정보의 촬영 일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일자에 따라 영상 컨텐츠(21)를 분류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각각의 영상 컨텐츠의 EXIF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일자에 따라 영상 컨텐츠(21)를 분류하면, 2015년 5월 1일에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4 앨범, 2015년 5월 2일에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5 앨범, 2015년 5월 3일에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6 앨범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앨범, 제5 앨범, 제6 앨범을 비롯하여 2015년 5월에 촬영한 사진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앨범이 생성될 수도 있다.
제4 앨범에는 제1 단말 장치(1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1일에 찍은 사진들이 포함될 것이다. 제5 앨범에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2일에 찍은 사진이 포함될 것이다. 제6 앨범에는 제3 단말 장치(3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3일에 찍은 사진이 포함될 것이다.
또한, 기 설정된 기준은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및 촬영 일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XIF 정보의 촬영 장소 정보(경도/위도 등) 및 촬영 일시를 이용하여 촬영 장소 및 촬영 일자에 따라 영상 컨텐츠(21)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촬영 장소 및 촬영 일시에 따라 영상 컨텐츠(21)를 분류하여 2015년 5월 1일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7 앨범, 2015년 5월 2일 여행지 B에서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8 앨범, 2015년 5월 2일 여행지 C에서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9 앨범, 2015년 5월 3일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만이 일 그룹으로 분류된 제10 앨범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7 앨범에는 제1 단말 장치(1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1일에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들이 포함될 것이다. 제8 앨범에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2일에 여행지 B에서 찍은 사진들이 포함될 것이다. 제9 앨범에는 제2 단말 장치(2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2일에 여행지 C에서 찍은 사진들이 포함될 것이다. 제10 앨범에는 제3 단말 장치(30)에서 전송된 2015년 5월 3일에 여행지 A에서 찍은 사진들이 포함될 것이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영상 컨텐츠가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복수의 그룹이 구별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130)는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 모듈(30), 시스템 구동 모듈(31) 및 데이터베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CMS 모듈(30)은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화면으로 구성하고, 이를 복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하며 이를 가상 채널로 제공하기 위한 각종 모듈로 구성된다.
시스템 구동 모듈(31)은 프로세서(140)를 구동하기 위한 모듈이다.
데이터베이스(32)는 각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이름 등을 포함하는 기기 정보(32-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 컨텐츠 정보(32-2),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분류된 앨범 정보(32-3), 가상 채널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변형 컨텐츠와 관련된 변형 컨텐츠 정보(32-4) 및 다른 사용자들과의 공유 정보(32-5)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MS 모듈(30)은 앨범을 구성하기 위한 ①앨범 구성 모듈, ②데이터 추출 모듈, ③자동 분류 모듈, ④변형 컨텐츠 생성/편집 모듈, ⑤슬라이드 쇼 영상 제작 모듈, ⑥지도 구성 모듈, ⑦공유 처리 모듈 및 ⑧컨텐츠 스케쥴링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①앨범 구성 모듈은 영상 컨텐츠를 앨범 단위로 공유하기 위한 각 앨범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특정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여 하나의 앨범으로 구성하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영상 컨텐츠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앨범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선택되거나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논리적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정보를 앨범 정보 데이터베이스(42-4)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앨범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영상 컨텐츠로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앨범 구성 모듈은 앨범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레이아웃 구성 모듈,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영상 컨텐츠 업로딩 모듈, 앨범을 생성하고 앨범의 배경을 구성하는 앨범 생성 모듈 및 배경 구성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이아웃 구성 모듈의 실행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앨범 형식의 템플릿에 따라 가공할 수 있다. 레이아웃 구성 모듈은 사용자가 앨범 형식의 템플릿을 편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집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집에 의해 구성된 레이아웃 정보는 앨범 정보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레이아웃 정보는 앨범의 크기, 위치, 가로/세로 비율, 해상도, 모양, 형태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영상 컨텐츠 업로딩 모듈의 실행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업로딩하여 영상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2-2)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영상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하나의 앨범으로 그룹핑하여 업로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②데이터 추출 모듈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선택 조건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를 영상 컨텐츠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 모듈은 컨텐츠 정보 추출 모듈 및 부가 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추출 모듈의 실행에 의해 각 영상 컨텐츠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촬영 일시, 촬영 장소(경도/위도) 등과 같은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지리상의 위치 정보, 영상 컨텐츠 파일의 해상도, 영상 컨텐츠 파일의 용량에 대한 정보,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및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얼굴 인식 정보는 영상 컨텐츠 내에서 식별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얼굴의 윤곽선, 색상 등의 분석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인물이 누구인지 식별된 정보를 의미한다. 얼굴 인식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고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가 컨텐츠 정보 추출 모듈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얼굴 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영상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사진으로부터 가족, 친구 등의 얼굴을 직접 식별하고, 식별된 결과로부터 누가 포함된 사진인지 구별할 수도 있다. 또한, 얼굴 인식 정보는 영상 컨텐츠 내에서 몇 명의 얼굴이 식별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영상 컨텐츠 내에서 식별되는 영역은 얼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 설정된 다양한 오브젝트가 될 수도 있다.
부가 정보 추출 모듈의 실행에 의해 추가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각종 부가 정보들이 추출될 수 있다. 추가로 추출되는 부가 정보로는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 일시, 액세스 시간 및 액세스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색상 정보는 영상 컨텐츠 내에 포함된 색상이 분석된 것으로 동일 종류의 영상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③자동 분류 모듈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기준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영상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각 분류 항목에 따라 기준(criteria)을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추출 모듈을 통해 추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데이터 추출 모듈의 실행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을 촬영 일자 별 분류, 지역별 분류, 단말 장치의 기종별 분류, 파일 용량별 분류, 색상 정보별 분류, 얼굴 분류와 같은 항목들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④변형 컨텐츠 생성/편집 모듈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변형 컨텐츠 생성/편집 모듈을 실행하여 변형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2-4)에 저장된 다양한 템플릿과 영상 컨텐츠가 결합된 변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⑤슬라이드 쇼 영상 제작 모듈을 실행하여 가상 채널상에서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를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드 쇼 영상 제작 모듈에 의해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가 화면의 전환, 애니메이션, 음악 등의 효과가 적용된 다양한 슬라이드 쇼 영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⑥지도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단말 장치에 내장된 GPS를 이용한 지오태깅을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에 포함되는 EXIF 정보에서 촬영 장소(경도/위도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지도를 구성하기 위한 지도 구성 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범위로 하는 맵 이미지 또는 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각각의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⑦공유처리 모듈을 실행하여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복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제공하며, 공유 설정 모듈, 공유자 인증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유 설정 모듈의 실행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사용자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사용자(즉, 공유자)에 대한 정보는 공유 정보 데이터베이스(42-5)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등록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유 설정 모듈의 실행에 의해 영상 컨텐츠 가공 모듈에 의해 생성된 앨범, 변형 컨텐츠 등에 대하여 공유할 대상을 설정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앨범 단위로 공유할 대상이 구별되어 설정할 수도 있다.
공유자 인증 모듈의 실행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사용자가 공유자로 설정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공유자 인증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의 업로딩을 요청하는 사용자 또는 단말 장치의 정보를 공유 정보 데이터베이스(32-5)에 저장된 공유자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영상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⑧컨텐츠 스케쥴링 모듈을 실행하여 가상 채널 상에서 변형 컨텐츠를 다양하게 편성하고 스케쥴링할 수 있다. 컨텐츠 스케쥴링 모듈은 컨텐츠의 검색, 컨텐츠의 편성, 채널 설정 및 채널 공유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때, 가상 채널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변형 컨텐츠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작된 영상뿐만 아니라,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작된 후 공유되는 변형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채널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변형 컨텐츠는 우선순위를 가지고 배열되며, 우선순위는 최근 제작된 컨텐츠, 최근 공유받은 컨텐츠 및 재생 횟수가 낮은 컨텐츠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단말 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사진을 한꺼번에 선택하여 전송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됨으로써 통신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할 사진을 선택하고 전송 아이콘(41)을 터치함으로써 선택된 사진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유할 사진이 모두 전송되어 더 이상 전송하고자 하는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모든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42)을 터치함으로써 사진 전송 과정을 종료하고 통신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42)에 대한 터치 입력은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타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통신 세션이 모두 종료되고 단말 장치(10)와의 통신 세션만이 유일한 통신 세션이 된 경우라면, 단말 장치(10)상의 아이콘(42)의 터치가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조건은 모든 단말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통신 세션이 종료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단말 장치(10)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사진을 하나씩 선택하여 전송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디스플레이된 사진(51)에 대하여 플리킹(flicking) 동작이 수행되면, 플리킹 동작이 수행된 사진(5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플리킹 동작이 수행된 사진(51)이 플리킹되는 방향으로 넘겨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의 직관적 전송을 위해 멀티터치(multi-touch),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등의 동작을 통하여 사진(51)이 전송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서 사진(51)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역의 방향으로 스와이핑(swiping)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의 해당 영역에 해당 사진(5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플리킹 동작이 완료되면, 플리킹된 사진(51)은 사라지고 다음 순서의 사진(52)이 단말 장치(1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플리킹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복수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 컨텐츠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사용자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61) 및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61)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의 각 사용자 이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이름은 해당 단말 장치에 저장된 식별 정보, 예를 들면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름 혹은 이메일 계정 등의 정보가 추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혹은 기존에 연결되었던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기 정보 데이터베이스(32-1) 등에 등록되어 추후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이름은 각 단말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자동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이름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캐릭터 아이콘, 이미지 등이 맵핑되어 각 사용자 이름이 그에 맵핑된 캐릭터 아이콘 또는 이미지 등으로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62)에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수신된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각 썸네일 이미지는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도록 서로 다른 식별자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로부터 업로딩된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의 테두리(63)와 제2 사용자로부터 업로딩된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의 테두리(64)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 컨텐츠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62)에는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의 사진을 압정으로 보드에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의 사진을 공유하는 것과 같은 생동감을 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는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도록 서로 다른 식별자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썸네일 이미지는 단말 장치별로 압정 이미지의 색상(65, 66)이 다르게 표시되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영상 컨텐츠에 코멘트를 부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 상에서 전송될 사진(71)에 코멘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 장치(10)의 가상 키보드(73)를 통해 사진(71)에 포함된 인물 또는 사물이 누구인지 또는 언제 찍은 사진인지 등에 대한 정보나 사진에 대한 감상 등을 코멘트로 작성하여 해당 사진(71)에 부가할 수 있다. 부가된 코멘트는 메타 데이터로서 해당 사진(71)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송될 사진(71)에 대하여 코멘트를 입력하기 위한 코멘트 창(72)을 통해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다. 코멘트 창(72)이 디스플레이되면, 코멘트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73)가 디스플레이되며, 가상 키보드(73)를 통해 "메리와 함께"라는 코멘트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코멘트가 부가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멘트가 부가된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75) 및 사용자에 의해 부가된 코멘트(74)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b는 썸네일 이미지(75)의 하단에 코멘트(74)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제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에서 영상 컨텐츠의 전송을 완료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통신 세션을 종료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생성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말 장치(10)가 앨범 제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8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컨텐츠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되고, 분류된 영상 컨텐츠가 각각의 앨범으로 그룹핑된 UI를 갖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영상 컨텐츠의 전송은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단말 장치(10)의 화면에서 완료 버튼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는 앨범 형식으로 맵핑된 템플릿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앨범이 펼쳐져 있는 것과 같은 디자인의 템플릿에 각 영상 컨텐츠가 페이지 당 기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어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앨범의 좌측 페이지 상단에는 앨범의 제목(9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앨범의 제목(9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단말 장치(10)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구 또는 기 설정된 앨범 제목(앨범 1, 앨범 2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앨범의 제목(1001)은 영상 컨텐츠의 공통적인 메타데이터로서, 촬영 일자 또는 촬영 장소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앨범의 제목(1001)은 복수의 사용자 중 최초로 공유 완료 아이콘(42)을 누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에서 작성한 앨범 제목이 재구성된 것일 수 있다.
앨범의 우측 페이지 상단에는 영상 컨텐츠의 공통적인 메타데이터로서 촬영 장소(92) 및 촬영 날짜(93)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로드된 영상 컨텐츠들이 모두 2015년 4월 1일에 경기도 수원시에서 찍은 사진들인 경우, "경기도 수원시/ 2015.4.1"과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된 영상 컨텐츠들의 촬영 일자 및 촬영 장소가 다른 경우에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2015.4.1~4.3"과 같이 병기되어 표시되거나 화면 상에 구간별로 나뉘어져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가장 많은 영상 컨텐츠를 촬영한 날짜 또는 장소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에는 앨범의 페이지를 넘겨 나머지 영상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디스플레이된 앨범의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페이지 정보(94, 95)가 앨범의 각 페이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화면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들은 시간 순으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화면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 별로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영상 컨텐츠에 근접한 일 영역에는 해당 영상 컨텐츠를 전송한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이름이 디스플레이되어 서로 구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앨범 내 영상 컨텐츠들의 정렬 방식은 영상 컨텐츠를 전송한 사용자, 촬영 시간, 촬영 장소 및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등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옵션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앨범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영상 컨텐츠(1001)가 풀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풀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된 영상 컨텐츠(1001)의 일 영역에 해당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촬영 일시 및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100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앨범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컨텐츠는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앨범 선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앨범 선택 화면은 기 생성된 복수 개의 앨범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인 화면을 의미한다. 가상 채널 상에서의 기 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앨범 선택 화면으로 진입될 수 있다.
앨범은 연도별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촬영 일시에 따라 일, 월 또는 년 별로 분류하여 그룹핑하여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앨범 선택 화면의 좌측에는 앨범의 촬영 년도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1101)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2014년을 선택한 경우에는 앨범 선택 화면의 우측 상단(1102)에 2014년도에 촬영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앨범(1103, 1104, 1105, 1106)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앨범은 월별 또는 일별로 그룹핑된 앨범일 수 있다.
앨범 선택 화면의 하단(1107)에는 기 설정된 다양한 테마(theme)에 따라 구성된 앨범 및 영상 컨텐츠가 지도 형식의 템플릿으로 구성된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기 설정된 테마에 따라 구성된 앨범은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주제에 따라 분류된 앨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테마에 따라 구성된 앨범에는 "2014년 부산에서의 여름 휴가"에 대한 주제로 구성된 앨범(1108), "첫째 아이 성장기"의 주제로 구성된 앨범(1109), "1년 전 오늘 우리 가족"의 주제로 구성된 앨범(111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2014년 부산에서의 여름 휴가"에 대한 주제로 구성된 앨범(1108)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서 촬영 일시 및 촬영 장소에 대한 EXIF 정보를 추출하여 2014년의 특정 기간(6월 ~ 8월)에 부산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만이 그룹핑된 앨범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모든 영상 컨텐츠의 GPS 데이터를 분석하고, 근접 수준에 따라 앨범을 구성할 수 있다. 촬영 장소의 범위는 국가 단위, 도 단위, 시 단위 등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첫째 아이 성장기"에 대한 주제로 구성된 앨범(1109)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얼굴 인식에 대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첫째 아이의 얼굴이 인식된 영상 컨텐츠만이 그룹핑된 앨범일 수 있다. 이때, "첫째 아이 성장기"에 대한 주제로 구성된 앨범(1109)은 첫째 아이의 얼굴이 인식된 영상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에서 촬영 일시에 대한 EXIF 정보를 통해 시간/날짜 순서로 영상 컨텐츠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얼굴 인식에 대한 부가 정보는 영상 컨텐츠를 전송한 단말 장치에서 얼굴 인식이 수행되어 첫째 아이에 대한 얼굴 정보를 메타 데이터에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첫째 아이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40)가 해당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고, 기 저장된 첫째 아이의 얼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첫째 아이의 얼굴이 포함된 영상 컨텐츠만으로 구성된 앨범을 구성할 수도 있다.
"1년 전 오늘 우리 가족"의 주제로 구성된 앨범(1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서 촬영 일시에 대한 EXIF 정보 및 얼굴 인식에 대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날짜로부터 1년 전에 촬영된 영상 컨텐츠 중에서 가족 중 적어도 한 명의 얼굴이 인식된 영상 컨텐츠만을 그룹핑하여 구성된 앨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년 전 오늘 우리 가족"의 주제로 구성된 앨범(1110)은 현재 날짜가 2015년 4월 1일인 경우, 촬영 일시에 대한 EXIF 정보가 2014년 4월 1일인 영상 컨텐츠만 추출되어 그룹핑된 것일 수 있고,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을 인식하여 가족 중 적어도 한 명이 포함된 컨텐츠만 추출되어 그룹핑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가족의 얼굴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의 실행 로그(log) 기록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빈번하게 실행되거나, 가장 최근 실행된 영상 컨텐츠를 가장 높은 순위부터 기 설정된 개수로 추출하여 하나의 앨범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테마에 따른 앨범이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용자가 복수의 앨범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앨범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가 책의 페이지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UI를 가지는 앨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며 이와 함께 배경 음악이 재생될 수도 있다.
또한, 앨범 선택 화면 상에서 지도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특정 아이콘(1111)이 선택될 수도 있다. 특정 아이콘(1111)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된 지도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일정한 지역을 범위로 하는 맵 이미지 또는 맵 어플리케이션 상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영상 컨텐츠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a 및 도 12b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상에서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영상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또는 특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아이콘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그 형태의 아이콘일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경도/위도에 대한 EXIF 정보를 이용하여 각 영상 컨텐츠를 촬영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지도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컨텐츠를 촬영한 장소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지도상에서 해당하는 지역에 플래그 형태의 아이콘을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도상에서 사용자는 단말 장치 또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에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1201)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선택된 아이콘이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를 1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의 범위는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가 대한민국에만 국한되어 있다면 디스플레이되는 지도는 대한민국 지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장소가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지도는 세계 지도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지도 상에서 일정한 범위 내의 지역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를 1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지도가 세계 지도인 경우, 사용자는 특정 대륙 또는 특정 국가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를 1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2b는 일정한 범위 내의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를 1차적으로 선택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계 지도상에서 오스트레일리아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도가 표시된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도가 표시된 화면으로 진입하는 경우, 오스트레일리아의 각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의 일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1202, 1203, 1204) 및 해당 지역에서 촬영된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한 화면에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1205, 1206, 1207)이 해당 촬영 지역의 부근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영상 컨텐츠가 어느 지역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지도상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채널에서 재생되는 슬라이드 쇼 형식의 변형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가상 채널이란 해당 변형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상으로 채널 번호를 부여하여 생성되는 채널로서, 가상 채널은 일반 물리적 채널과 같이 사용자의 잽핑에 의해 진입할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변형 컨텐츠는 다양한 템플릿(#1, #2, #3)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컨텐츠는 템플릿 화면상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배치되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부가된 부가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템플릿 #1에서는 화면상의 일 영역(1301)에 영상 컨텐츠가 배치되고, 다른 영역(1305)에는 컨텐츠 정보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코멘트, 영상 컨텐츠 제목 등의 정보일 수 있다.
템플릿 #2에서는 화면상의 일 영역(1302)에 영상 컨텐츠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모양으로 배치되고, 다른 영역(1306)에는 영상 컨텐츠의 EXIF 정보로부터 추출된 촬영 시간 및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템플릿 #3에서는 EXIF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상의 복수의 영역(1303, 1304)에 같은 날짜 및 장소에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 컨텐츠가 각각 배치되고, 다른 영역(1307)에는 영상 컨텐츠들의 촬영 시간 및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템플릿 #3과 같이 복수 개의 영상 컨텐츠가 하나의 변형 컨텐츠에 포함되도록 템플릿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템플릿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들은 슬라이드 쇼 형식의 영상으로 가공되어, 순차적으로 기 설정된 가상 채널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템플릿 #1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기 설정된 효과가 발생하면서, 템플릿 #2로 구성된 새로운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 #1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템플릿 #1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가 페이드 아웃되면서, 템플릿 #2로 구성된 새로운 변형 컨텐츠가 페이드 인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템플릿 #2로 구성된 새로운 변형 컨텐츠가 현재 디스플레이된 템플릿 #1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를 일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템플릿 #2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기 설정된 효과가 발생하면서 템플릿 #3로 구성된 새로운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가상 채널에 진입할 때마다 각 템플릿(#1, #2, #3)에 포함되는 영상 컨텐츠는 변경될 수 있고, 변형 컨텐츠의 순서 또한 기 설정된 기준 또는 무작위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각 템플릿은 변형 컨텐츠 정보 데이터 베이스(32-4)에 저장된 템플릿이 이용되거나 사용자가 웹 상에서 구매한 템플릿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템플릿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변형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컨텐츠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변형 컨텐츠에 대한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으며, 편집 모드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편집 화면은 변형 컨텐츠가 일 영역(1401)에 디스플레이되며, 변형 컨텐츠에 특정한 효과를 주기 위한 효과 툴(1403), 변형 컨텐츠를 구성하는 템플릿의 배치, 모양, 색상, 영상 컨텐츠의 크기 및 메타 데이터로부터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등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툴(1404)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편집 화면은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변형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변형 컨텐츠가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된 선택 영역(140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이벤트, 예를 들어 변형 컨텐츠의 편집 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변형 컨텐츠의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화면상에서 효과 툴(1403) 및 수정 툴(1404)을 이용하여, 변형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완료 버튼(1405)을 누르면 변형 컨텐츠가 수정된 컨텐츠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변형 컨텐츠를 편집하여 새롭게 생성된 컨텐츠를 편집 컨텐츠로 명명하기로 한다. 생성된 편집 컨텐츠는 기존의 변형 컨텐츠를 대체할 수 있다.
편집 화면을 통해 템플릿의 배치, 모양, 색상 등 템플릿의 구성이 편집될 수 있으며, 편집된 템플릿이 저장됨으로써, 새로운 템플릿으로 추가되거나 편집된 템플릿이 기존의 템플릿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변형 컨텐츠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1504)는 기 설정된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템플릿(1501)의 기 설정된 영역(1503)에 변형 컨텐츠의 일 영역이 포함된 형태로 가공되어 가상 채널(예를 들어, channel 31)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영역(1503) 외의 다른 일 영역(1502)에는 영상 컨텐츠(1504)의 메타 데이터로부터 영상 컨텐츠(1504)의 촬영 장소 및 촬영 날짜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1504)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경도/위도에 대한 EXIF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경도/위도가 대응되는 주소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주소가 '서울 한남동 이태원'인 경우,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이태원에서'와 같이 영상 컨텐츠(1504)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선택 메뉴(150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컨텐츠는 복수 개로 생성되어 가상 채널상에서 슬라이드 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변형 컨텐츠와 함께 기 설정된 효과 및 배경 음악이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슬라이드 쇼에 적용되는 효과 및 배경 음악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 언급되는 효과 및 배경 음악은 기존의 템플릿에서 제공되며, 추가적으로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업로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는 배경 음악의 러닝 타임에 맞게 변형 컨텐츠의 개수 및 각각의 변형 컨텐츠의 재생 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 컨텐츠(1601, 1602)가 템플릿(1603)의 기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영상 컨텐츠(1601, 1602)는 촬영 날짜 또는 촬영 장소 등 각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하나의 템플릿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 컨텐츠 중 촬영 장소가 '서울 한남동 이태원'으로 서로 동일한 영상 컨텐츠(1601, 1602)가 선택되어 하나의 템플릿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템플릿(1603)의 일 영역(1604)에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1701)는 템플릿으로 구성되지 않고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때,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IN 서울 한남동 이태원'과 같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영상 컨텐츠(1701)의 일 영역(1702)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변형 컨텐츠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 영상 컨텐츠(1801)에 영상 컨텐츠(1801)로부터 추출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휘도 및 투명도를 가지는 커버 이미지에 포함되어 화면 상의 일 영역(18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커버 이미지가 벗겨지면서, 영상 컨텐츠(1801)가 디스플레이되는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 컨텐츠가 슬라이드 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변형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특정 변형 컨텐츠를 추천하는 목록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추천 목록에서 사용자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변형 컨텐츠가 우선적,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선택된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후에는 기 설정된 컨텐츠 편성 기준에 따라 기존에 예정되었던 변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2000)를 통해 외부의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켜서 서버(200)에 등록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로그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향후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서버(20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 장치(10, 2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된 영상 컨텐츠는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200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21-1, 21-2, 21-3)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컨텐츠(21-1, 21-2, 21-3)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컨텐츠(21-1, 21-2, 21-3)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생성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그룹에 따른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도 19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통신 네트워크(200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가 모듈을 이용하여 생성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컨텐츠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서버(20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하여 별다른 가공 없이 스케쥴링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별다른 가공 없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 기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의 통합 및 분류 기능을 제공하여 영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며, 개방형(Open) API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인증된 디스플레이 장치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MAC 주소와 Device ID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로그인(Log-In) ID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는 서버(2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전송되거나, 서버(200)와 직접 연결된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사진 및 동영상 등의 영상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부가된 코멘트 및 영상 컨텐츠에 적용된 효과 등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서버(200)에 저장되는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는 프로젝트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프로젝트 파일에 들어있는 정보는 사용된 컨텐츠의 배열 순서, 부가된 코멘트 및 변형 컨텐츠의 편집 정보, 타임라인 정보를 포함하며, 이렇게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은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0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200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영상 컨텐츠를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 즉 CMS 모듈(30)의 구성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아닌 서버(200)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서버(200)를 CMS 서버라고 호칭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MS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S 서버(200)는 앨범 구성부(220), 데이터 추출부(230), 자동 분류부(240), 변형 컨텐츠 생성/편집부(250), 슬라이드 쇼 영상 제작부(260), 지도 구성부(270), 공유 처리부(280) 및 컨텐츠 스케쥴링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CMS 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저장부(140)의 CMS 모듈(40)이 수행하는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앨범 구성부(220)는 영상 컨텐츠를 앨범 단위로 공유하기 위한 각 앨범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앨범 구성부(220)는 사용자가 특정 영상 컨텐츠를 선택하여 하나의 앨범으로 구성하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영상 컨텐츠가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 선택되거나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논리적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정보를 앨범 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앨범 구성부(22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영상 컨텐츠로 앨범을 생성할 수 있다.
앨범 구성부(220)는 앨범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레이아웃 구성 모듈(221),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진 업로딩 모듈(222), 앨범을 생성하고 앨범의 배경을 구성하는 앨범 생성 모듈(223) 및 배경 구성 모듈(224)을 이용하여 앨범을 구성할 수 있다.
앨범 구성부(220)는 레이아웃 구성 모듈(221)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컨텐츠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이아웃 구성 모듈(221)의 실행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가공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템플릿 또는 영상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집 툴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집에 의해 구성된 레이아웃 정보는 영상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레이아웃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크기, 위치, 가로/세로 비율, 해상도, 모양, 형태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앨범 구성부(220)는 영상 컨텐츠 업로딩 모듈(222)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업로딩하여 영상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영상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그룹핑하면, 선택된 영상 컨텐츠가 하나의 앨범으로 그룹핑되어 업로딩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230)는 영상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2)에 업로드되어 저장된 영상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선택 조건 또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해 각 영상 컨텐츠 파일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230)는, 컨텐츠 정보 추출 모듈(231) 및 부가 정보 추출 모듈(232)을 포함한다.
데이터 추출부(230)는 컨텐츠 정보 추출 모듈(231)을 실행하여 EXIF 정보 등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EXIF 정보는 촬영 일시, 촬영 장소(경도/위도) 등과 같은 영상 컨텐츠가 촬영된 지리상의 위치 정보, 영상 컨텐츠의 파일 용량 정보, 촬영 기기의 기종 정보, 혹은 촬영 기기의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230)는 부가 정보 추출 모듈(232)을 실행하여 컨텐츠 정보 추출 모듈(231)에 의한 컨텐츠 정보 추출 후 추가로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추가로 추출되는 부가 정보로는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 일시, 액세스된 시간 및 횟수 정보, 색상 정보, 수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색상 정보는 영상 컨텐츠 내에 포함된 색상이 분석된 것으로, 동일 종류의 영상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 분류부(240)는 데이터 추출부(230)를 통해 추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영상 컨텐츠를 분류하여 필터링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각 분류 항목에 따라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기준에 의해 특정 조건에 맞는 영상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즉, 영상 컨텐츠는 데이터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을, 촬영일자, 지역, 단말 장치의 기종, 파일 크기, 색상 정보,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과 같은 항목들로 설정할 수 있다.
변형 컨텐츠 생성/편집부(250)는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변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변형 컨텐츠 생성/편집부(250)는 변형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된 다양한 템플릿과 영상 컨텐츠를 결합하여 변형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드 쇼 영상 제작부(260)는 가상 채널상에서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를 슬라이드 쇼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드 쇼 영상 제작부(260)에 의해 복수 개의 변형 컨텐츠가 화면의 전환, 애니메이션, 음악 등의 효과가 적용된 다양한 슬라이드 쇼 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지도 구성 부(270)는 단말 장치에 내장된 GPS를 이용한 지오태깅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에 포함되는 EXIF 정보에서 촬영 장소(경도/위도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지도 구성 부(270)는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한 지역을 범위로 하는 맵 이미지 또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지도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상에 각각의 사진이나 영상을 각각의 촬영된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시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공유 처리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유 처리부(280)는 공유 설정 모듈(281), 공유자 인증 모듈(28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유 처리부(180)는 공유 설정 모듈(281)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사용자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사용자(즉, 공유자)에 대한 정보는 공유 정보 데이터베이스(21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CMS 서버(200)에 대한 등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유 처리부(180)는 공유 설정 모듈(281)을 실행하여 앨범 구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앨범, 변형 컨텐츠 생성/편집부(250)에서 생성된 변형 영상 컨텐츠 등에 대하여 공유할 대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CMS 서버(200)는 앨범 단위로 공유할 대상(단말 장치)을 구별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공유 처리부(180)는 공유자 인증 모듈(282)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사용자가 공유자로 설정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유 처리부(180)는 공유자 인증 모듈(28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또는 영상 컨텐츠의 EXIF 정보에 포함된 기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의 업로딩을 요청하는 사용자 또는 단말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처리부(180)는 사용자 정보 또는 기기 정보를 공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유자 정보와 비교하여, 영상 컨텐츠의 공유가 허가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컨텐츠 스케쥴링부(2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상 채널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슬라이드 쇼 방식의 변형 컨텐츠를 다양하게 편성하고, 스케쥴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스케쥴링부(290)는 컨텐츠의 검색, 컨텐츠의 편성, 채널 설정 및 채널 공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채널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변형 컨텐츠는 해당 CMS 서버(200)에서 제작된 컨텐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채널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변형 컨텐츠는 우선 수위를 가지고 배열되며, 우선 순위는 최근 제작된 변형 컨텐츠, 최근 공유받은 변형 컨텐츠 및 재생 횟수가 낮은 변형 컨텐츠 순 등 다양한 로직에 의해 배열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3명의 사용자가 각각의 단말 장치 A(10), B(20) 및 C(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서 영상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들은 각각의 단말 장치 A(10), B(20) 및 C(30)에 설치된 영상 컨텐츠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S2110). 이때, 단말 장치 A(10)가 어플리케이션을 먼저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세션을 생성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영상 컨텐츠 공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이 후, 단말 장치 B(20) 또는 C(3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각각의 통신 세션을 생성함으로써 공유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3명의 사용자는 각각의 단말 장치 A(10), B(20) 및 C(3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상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2120). 선택된 영상 컨텐츠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며(S2130), 전송된 영상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내에 저장됨과 동시에 썸네일 형식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2140).
이 후, 기 설정된 이벤트로서 복수의 단말 장치 A(10), B(20) 및 C(30)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선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S2150),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기 설정된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가장 먼저 통신 세션을 생성한 단말 장치 A(10)가 선택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기 설정된 이벤트는 모든 단말 장치 A(10), B(20) 및 C(30)로부터 선택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선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S2160),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2170).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촬영 장소,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인식에 대한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분류된 영상 컨텐츠의 그룹 각각이 앨범 형식으로 맵핑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앨범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S2180), 생성된 앨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2190). 생성된 앨범 컨텐츠는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가상 채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상 채널 상에서는 영상 컨텐츠가 다양한 템플릿에 의해 구성된 변형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200)에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2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이벤트로서 단말 장치 A(10)로부터 공유할 영상 컨텐츠의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선택 완료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면(S22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CMS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2260).
CMS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S2270),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2280).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촬영 장소,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인식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MS 서버(200)는 분류된 영상 컨텐츠의 그룹 각각이 앨범 형식으로 맵핑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앨범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S2290), 생성된 앨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300). 생성된 앨범 컨텐츠는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가상 채널로 제공될 수 있다(S2310). 한편, CMS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가 다양한 템플릿에 의해 구성된 변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채널상에서 CMS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변형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프로세서(140), 튜너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및 버스(146)를 포함한다. 이때,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4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및 CPU(14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CPU(144)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CPU(144)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가공 모듈부에 포함된 각종 모듈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모듈을 실행시켜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분류 및 가공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4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CPU(144)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CPU(144)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컨텐츠,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가공한 변형 컨텐츠 및 변형 컨텐츠가 편집된 편집 컨텐츠를 저장하며, 이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특히, 저장부(130)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4에 따르면, 저장부(130)에는 베이스 모듈(131), 센싱 모듈(132), 통신 모듈(133), 프레젠테이션 모듈(134), 웹 브라우저 모듈(135), 서비스 모듈(136) 및 CMS 모듈(30)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31)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31)은 스토리지 모듈(131-1), 보안 모듈(131-2) 및 네트워크 모듈(13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3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3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3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3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통신 모듈(13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33)은 IR 통신 모듈 및 RF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시징 모듈 및 전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모듈(13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3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3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3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3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3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3에 대해 설명하면, 튜너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소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하는 구성이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6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튜너부(150)를 통해 수신한 각종 방송 컨텐츠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컨텐츠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처리부(18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비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마이크(미도시), 적외선 신호 수신부(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S2510). 이 후,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한다(S2520).
이때,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후,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S2530). 이때,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후,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2540). 분류된 그룹 각각은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기 설정된 기준은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부가된 정보는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시간 및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지도 구성 모듈을 이용하여 일정한 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도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 상에서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가상 채널을 생성하고, 가상 채널에 채널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채널 식별 정보를 통해 가상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고, 가상 채널이 선택되면 가상 채널을 통해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에 삽입된 복수 개의 화면을 가상 채널상에서 슬라이드 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영상 컨텐츠는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영상 컨텐츠,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템플릿으로 구성된 화면인 앨범 컨텐츠, 앨범 선택 컨텐츠 및 변형 컨텐츠 등을 편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서로의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고, 공유된 컨텐츠가 가공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20: 제2 사용자 단말 장치
30: 제3 사용자 단말 장치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프로세서
200: 서버

Claims (25)

  1. 디스플레이;
    복수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로 구성하는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상기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시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지도를 구성하기 위한 지도 구성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지도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식별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채널 식별 번호를 할당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채널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가상 채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에 삽입된 복수 개의 화면을 상기 가상 채널 상에서 슬라이드 쇼(slide show)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각의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삽입되는 템플릿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criteria)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로 구성하는 앨범 형식으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일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얼굴 인식에 대한 정보, 상기 영상 컨텐츠에 태깅된 코멘트, 상기 영상 컨텐츠에서 인식된 오브젝트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 디바이스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부가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시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에 액세스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지도 구성 모듈을 실행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도 이미지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촬영 장소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위치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채널 식별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채널 식별 번호를 할당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채널 식별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채널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가상 채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식별 번호를 통해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채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가 기 설정된 템플릿에 삽입된 복수 개의 화면을 상기 가상 채널 상에서 슬라이드 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송부한 각각의 단말 장치별로 구별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삽입되는 템플릿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된 영상 컨텐츠 또는 템플릿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3283A 2015-07-21 2015-07-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1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83A KR20170011177A (ko) 2015-07-21 2015-07-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6171167.6A EP3121737A1 (en) 2015-07-21 2016-05-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170,194 US20170026528A1 (en) 2015-07-21 2016-06-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283A KR20170011177A (ko) 2015-07-21 2015-07-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77A true KR20170011177A (ko) 2017-02-02

Family

ID=5608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83A KR20170011177A (ko) 2015-07-21 2015-07-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26528A1 (ko)
EP (1) EP3121737A1 (ko)
KR (1) KR201700111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198B1 (ko) * 2023-02-24 2023-09-01 와우하우스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 기반의 미디어월 서비스 운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039B2 (en) * 2016-02-25 2020-05-12 Lionheart Legacy Uco Customizable world map
JP6765977B2 (ja) * 2017-01-31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843797A (zh) * 2017-03-13 2017-06-1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文件的编辑方法及装置
CN110393008A (zh) * 2017-03-31 2019-10-2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相册生成装置、相册生成系统及相册生成方法
CN106980696B (zh) * 2017-04-06 2023-06-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照片文件的分类方法及装置
US11074475B2 (en) 2017-10-09 2021-07-27 Box, Inc. Integrating external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with a cloud-based collaboration platform
EP3702929A4 (en) * 2017-10-24 2021-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ORDERING PROCESS
JP2022507963A (ja) * 2018-11-26 2022-01-18 フォト バト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レゼンテーションファイル生成
US11438466B2 (en) * 2019-12-19 2022-09-06 HCL Technologies Italy S.p.A. Generating an automatic virtual photo album
CN111163170A (zh) * 2019-12-31 2020-05-15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照片分享方法、系统及服务器
CN112269891A (zh) * 2020-10-26 2021-01-26 深圳市雷鸟网络传媒有限公司 动态影集生成方法、服务器、显示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23190193A1 (ja) * 2022-03-31 2023-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ファイル管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7651A1 (en) * 2001-12-26 2003-06-2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using affective information recorded with digital images for producing an album page
KR101851241B1 (ko) * 2011-12-06 2018-04-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통합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4052557A (ja) * 2012-09-07 2014-03-20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198B1 (ko) * 2023-02-24 2023-09-01 와우하우스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 기반의 미디어월 서비스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1737A1 (en) 2017-01-25
US20170026528A1 (en)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11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843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creen mirroring
US9798464B2 (en) Computing device
US2015033155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2692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descriptive metadata to digital content
US11531442B2 (en) User interface providing supplemental and social information
US8726153B2 (en) Multi-user networked digital photo display with automatic intelligent organization by time and subject matter
JP2013254496A (ja) ユーザの様々な装置にわたるコンテンツ管理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
JP6628115B2 (ja) 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管理方法、電子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527628A (ja) 異なる機器の間での画像及びコメントの共有
US8683336B2 (en) Inter-device operation interface, device control terminal, and program
US20160078582A1 (en) Sharing Media
US8943020B2 (en) Techniques for intelligent media show across multiple devices
KR102470925B1 (ko) 비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디바이스 그리고 저장 매체
EP366084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control, and carrier means
KR20160053462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13253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컨텐츠 검색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단말기
US202203120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verification, organization, search, and exchange
US201400131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information-enhanced images
US20120072869A1 (en) Copy supporting device, terminal device, copy support method, and copy supporting program
US20180367838A1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browsing and viewing huge and heterogeneous media collections on tv with unified interface
KR101427308B1 (ko) 온라인 앨범 셀프 출판시스템
JP2016224658A (ja) 電子アルバム作成装置
JP2021005390A (ja) コンテンツ管理機器、および、制御方法
JP2012235304A (ja) 電子機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