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687A - 간병용 의자 - Google Patents

간병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687A
KR20150131687A KR1020140058753A KR20140058753A KR20150131687A KR 20150131687 A KR20150131687 A KR 20150131687A KR 1020140058753 A KR1020140058753 A KR 1020140058753A KR 20140058753 A KR20140058753 A KR 20140058753A KR 20150131687 A KR20150131687 A KR 2015013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backrest
seat porti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재
Original Assignee
이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재 filed Critical 이철재
Priority to KR102014005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687A/ko
Publication of KR2015013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간병용 의자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 후방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앞다리부 및 상기 시트부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회전가능한 뒷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병용 의자{Nursing chair}
본 발명은 간병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자 겸용 침대는 침대본체를 이루는 등받이부, 중간부 및 다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부, 중간부 및 다리부는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한쪽 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하판이 상하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판은 의자로의 변형시 등받이로 사용되며 하판은 후방의 다리로 사용되어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는 침대면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절첩가능하도록 그 상단부 하부면이 중간부에 결합된다.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는 바퀴가 설치된다.
종래 의자 겸용 침대는 거동이 불편하신 분이나 기력이 없으신 어르신, 환자분의 목욕이나 세정을 위해 이동할 때 의자에 앉은 채로 문턱을 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환자를 보호하는 간병인에게 있어 환자의 이동이나 자세변경시에 2인 이상의 노동력이 필요하여 간병인 1인이 이를 할 때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의자에서 침대로 변형시 지면에서부터 떨어진 높이가 낮아서 침대에 누워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욕실로 이동시 환자를 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하기 위한 간병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가 문턱을 넘을 때 앉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넘을 수 있는 간병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침대에서 환자를 의자로 이동시킬 때 의자를 침대로 변형하여 수월하게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간병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부, 상기 시트부 후방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앞다리부 및 상기 시트부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회전가능한 뒷다리부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등받이 부재 및 상기 등받이 부재에 결합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손잡이부는 제1 손잡이,상기 제1 손잡이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 일측에 결합된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시트부 후방 측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대에 설치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시트부 후방 측에 형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고정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제1 연장바 및 상기 제1 연장바를 상기 제1 지지대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바는 상기 제1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관형의 제1 지지대의 단부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바의 단부에는 상기 슬릿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형의 제1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스위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뒷다리부는 상기 시트부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가능도록 결합된 한 쌍의 뒷다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뒷다리부재에 결합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 일측에 결합된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뒷다리부재가 회전하거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대에 설치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시트부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부 일측이 상기 제 2 지지대의 일측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2 연장바 및 상기 제2 지지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장바의 상단부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바는 상기 제2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2 연장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 2 스위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의 내부 일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상기 제2 스위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스위치부재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의 양 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부에 형성된 제 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팔걸이 부재,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는 타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측으로 연장되며,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의 타측은 연결바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뒷다리부재가 후방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뒷다리부재의 회전 각도가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의 상기 타측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뒷다리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뒷다리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보조 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다리는 상기 뒷다리부재가 후방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닥면에 닿음으로써 상기 뒷다리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다리가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다리의 회전을 멈추기 위하여 상기 뒷다리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는 침대에서 환자를 의자로 옮길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는 문턱을 넘을 때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바닥면에서 뒷다리를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제1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가 회전하여 팔걸이부가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뒷다리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제2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가 문턱을 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뒷다리부 및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뒷다리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보조다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제2 손잡이부 및 뒷다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제1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가 회전하여 팔걸이부가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는 시트부(20), 등받이부(30), 앞다리부(50) 및 뒷다리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는 시트부(20)의 양 측면에 팔걸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간병용 의자를 설명함에 있어, 간병용 의자(10)의 발판이 위치되는 방향을 간병용 의자(10)의 전방으로 규정하고 등받이부(30)가 위치되는 방향을 간병용 의자(10)의 후방으로 규정하고 간병용 의자(10)의 제1 손잡이(35)가 위치되는 방향을 간병용 의자(10)의 상방으로 규정하고, 간병용 의자(10)의 바퀴(51)가 위치되는 방향을 간병용 의자(10)의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시트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판형일 수 있다. 시트부(20)의 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단면이 곡선인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환자가 앉았을 때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등받이부(30)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부(20)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판형일 수 있다. 등받이부(30)는 등받이 부재(31) 및 등받이 부재(31)에 결합된 제1 손잡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부재(31)는 시트부(20)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32)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는 침대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를 간병용 의자(10)로 옮길 때 환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손잡이부(33)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손잡이(35), 제1 지지대(37) 및 제1 걸림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35)는 상기 등받이 부재(31)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1 손잡이의 상부면은 손가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잡이(35)는 간병용 의자(10)에 환자를 태우고 전진하거나 후진할 때 상기 제1 손잡이(35)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대(37)는 도 3을 볼 때,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35)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31)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대(37)는 제1 지지대(37)의 단부에 형성되는 슬릿부(41) 및 제1 스위치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재(43)는 도 3을 볼 때, 상기 슬릿부(41)를 관통하여 상기 관형의 제1 지지대(37)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재(43)는 제1 손잡이(35)와 평행하고 이격되게 위치하여 한 손으로 제1 스위치부재(43) 및 제1 손잡이(35)를 한번에 잡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를 제1 손잡이(35) 및 제1 스위치부재(43)를 한번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걸림부(39)는 도 3을 볼 때, 제1 지지대(37)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재(46), 제1 연장바(47) 및 제1 탄성부재(48)와 시트부(20)에 후방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39)는 제1 지지대(37)가 상기 시트부(20) 후방 측에 세워져서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탄성부재(48)는 상기 제1 손잡이(35)와 제1 스위치부재(43) 사이에 위치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스위치부재(43)를 제1 손잡이 방향으로 손으로 잡아당겨서 이동시키면 제1 탄성부재(48)는 제1 스위치부재(43)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손으로 잡아당긴 제1 스위치부재(43)를 놓으면 제1 탄성부재(48)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스위치부재(43)는 원상태로 돌아가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연장바(47)는 도 3을 볼 때, 제1 지지대(37)의 내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바(47)의 일측은 제1 스위치부재(43)와 결합되며 제1 지지대(37)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은 제1 체결부재(46)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연장바(47)는 제1 스위치부재(43)와 결합되어 제1 스위치부재(4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연장바(47) 및 제1 체결부재(46)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체결부재(46)는 도 3을 볼 때, 상기 제1 지지대(37) 내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6)는 제1 연장바(47)와 결합되어 제1 체결부재(46)의 이동에 따라 제1 연장바(47)도 함께 움직인다.
제1 고정부재(45)는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부(20) 후방 측에 결합되며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6)는 고정홈(44)을 통해서 상하 방향으로 삽입가능하다. 따라서 제1 체결부재(46)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적이 고정홈(46)보다 작아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37)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재(46)가 고정홈(44) 안에 위치하면 제1 지지대(37)와 결합된 등받이 부재(31)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버팀목 역할을 한다. 제1 체결부재(46)가 고정홈(44) 밖으로 나오게 되면 등받이 부재(31)의 회전을 막는 버팀목이 사라지게 되어 등받이 부재(31)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부재(43)를 제1 손잡이(35) 쪽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스위치부재(43)와 연결된 제1 연장바(47)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연장바(47)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연장바(47)의 하측에 결합된 제1 체결부재(46)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홈(44) 내부에 위치한 제1 체결부재(46)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홈 밖으로 나와 회전하게 된다. 이러면 제1 지지대(37)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등받이 부재(31)가 제1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팔걸이부(90)는 팔걸이 부재(91) 및 연결부재(93)를 포함할 수 있다.
팔걸이 부재(91)는 시트부(20) 양 측부에 결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팔걸이 부재(91)는 등받이부(30)의 양 측부에 형성된 제3 회전축(9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다만 팔걸이 부재(91)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시트부(20) 양 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해제하여야 하는데 이는 연결부재(93)의 해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해제된 팔걸이 부재(91)는 회전한 등받이 부재(31)를 지지한다.
도 2를 볼 때, 한 쌍의 팔걸이 부재(91)의 타측은 상기 등받이부(30)의 후방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등받이 부재(31)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이후 설명할 뒷다리부재(61)가 후방 측으로 회전시 뒷다리부재(61)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한 쌍의 팔걸이 부재(91)의 타측은 연결바(95)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95)는 등받이 부재(31)가 후방 측으로 회전시 등받이 부재(31)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연결부재(93)는 도 2을 볼 때,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91)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시트부(20) 양 측부의 연결홈(99)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93)는 핀이나 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93)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91)가 상기 시트부(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위치하는 연결홈(99)에 끼워져서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뒷다리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제2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는 앞다리부(50) 및 뒷다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앞다리부(50)는 시트부(2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앞다리부재(53) 및 발판(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앞다리부재(53)는 시트부(2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판(55)은 앞다리부재(53)의 전방 방향으로 앞다리부재(53)에 설치되어 환자가 간병용 의자(10)에 앉을 때 발을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뒷다리부(60)는 시트부(20)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뒷다리부재(61) 및 제2 손잡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뒷다리부재(61)는 도 5를 볼 때, 시트부(20)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51)가 설치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뒷다리부재(61)는 제2 체결부재(86)와 연결되고 제2 체결부재(86)의 일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손잡이부(63)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손잡이(71), 제2 지지대(73) 및 제2 걸림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손잡이(71)는 상기 등받이 부재(3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위치되며 제2 손잡이(71)의 상부면은 손가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잡이(71)는 간병용 의자(10)에 환자를 태우고 전진하거나 후진할 때 상기 제2 손잡이(71)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지지대(73)는 도 6에서 볼 때,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7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31)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대(73)는 제2 스위치부재(83) 및 지지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73)는 제2 스위치부재(83)와 지지부재(81) 사이는 내측으로 홈(도면 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스위치부재(83)가 상기 홈에 걸려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지지부재(81)는 제2 지지대(73)의 내부 일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이하 설명할 제2 탄성부재(88)가 압축과 이완을 반복할 때 제2 탄성부재(88)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스위치부재(83)는 도 6을 볼 때, 제2 지지대(73)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재(83)는 일단은 제2 지지대(73)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타단은 제2 지지대(73)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2 스위치부재(83)는 제2 지지대(73)의 상부측 단부와 지지부재(81)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걸림부(75)는 제2 지지대(75)에 설치되는 제2 체결부재(86), 제2 연장바(87) 및 제2 탄성부재(88)와 시트부(20)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75)는 제2 체결부재(8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한 쌍의 뒷다리부재(61)가 회전하거나 고정되도록 한다.
제2 탄성부재(88)는 상기 제2 스위치부재(83)와 지지부재(81) 사이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부재(83)를 상기 지지부재(81) 방향으로 손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면 제2 탄성부재(88)는 제2 스위치부재(83)를 상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손으로 누른 제2 스위치부재(83)를 놓으면 제2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스위치부재(83)는 원상태로 돌아가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때 제2 스위치부재(83)는 제2 지지대 내측에 형성된 홈(도면 미도시)에 걸려서 고정된다.
제2 연장바(87)는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제2 지지대 내측에 위치하며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바(87)의 일측은 제2 스위치부재(83)와 결합되며 제2 지지대(73)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은 제2 체결부재(86)와 결합된다. 상기 제2 연장바(87)는 제2 스위치부재(83)와 결합되어 제2 스위치부재(8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연장바(87) 및 제2 체결부재(86)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체결부재(86)는 도 6을 볼 때, 상기 제2 지지대(73)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제2 연장바(87)와 결합되어 제2 체결부재(86)의 이동에 따라 제2 연장바(87)도 함께 움직인다. 제2 체결부재(86)와 제2 연장바(87)는 제2 회전축(6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부재(86)가 제2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의 제2 손잡이부 및 뒷다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체결부재(86)와 뒷다리부재(61)는 제5 회전축(8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뒷다리부재(61)는 제2 체결부재(86)가 회전하는 것과는 별개로 제5 회전축(8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뒷다리부재(61)를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문턱을 넘을 때 문턱에 뒷다리부재(61)가 닿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재(85)는 상기 시트부(20) 후방 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홀(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86)가 고정홀(82)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부재(86)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적이 고정홀(82)보다 작아야 한다.
제2 체결부재(86)가 고정홀(82) 안에 위치하면 뒷다리부재(61)가 회전하지 않고, 제2 체결부재(86)가 고정홀(82) 밖으로 나오게 되면 뒷다리부재(61)가 제2 체결부재(86)에 형성된 제2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위치부재(83)를 지지부재(81) 쪽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스위치부재(83)와 연결된 제2 연장바(87)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연장바(87)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연장바(87)의 하측에 결합된 제2 체결부재(8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홀(82) 내부에 위치한 제2 체결부재(86)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홀(82) 밖으로 나와 제2 체결부재(86)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면 제2 체결부재(85)와 결합된 뒷다리부재(61)가 제2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가 문턱을 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에 환자가 앉아 있는 경우 문턱 앞까지 가면 뒷다리부재(61)로 지탱하여 의자를 뒤로 젖힌다. 그런 다음 뒷다리부재(61)의 바퀴(51)를 이용하여 앞다리부재(53)가 문턱을 넘도록 한다. 두 번째로 제2 스위치부재(83)를 눌러서 뒷다리부재(6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앞다리부재(53)의 바퀴(51)를 이용하여 뒷다리부재(61)가 문턱을 지나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문턱을 넘은 뒷다리부재(61)를 고정하도록 제2 스위치부재(83)를 해제하면 뒷다리부재(61)가 다시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뒷다리부 및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뒷다리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보조다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보조다리(67)를 포함하는 구성만 다르다. 이하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은 설명한다.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간병용 의자(10)의 뒷다리부재(61)는 보조다리(67), 스토퍼(68) 및 제3 고정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다리(67)와 결합된 뒷다리부재(61)의 일측에 제4 회전축(69)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다리(67)는 제4 회전축(69)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조다리(67)는 상기 뒷다리부재(61)보다 짧은 길이를 갖으며 하부에 바퀴(51)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다리(67)는 뒷다리부재(61)가 회전하여 고정되어 있을 때 뒷다리부재(61)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의 지지력을 높여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뒷다리부재(61)는 내부에 뒷다리 홈(66)이 형성된다. 뒷다리부재(61)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 보조다리(67)는 뒷다리부재(61) 내부에 형성된 뒷다리 홈(66) 안에 들어가 있다. 제3 고정부재(65)는 뒷다리 홈(66)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조다리(67)가 걸려 고정되게 한다. 제3 고정부재(65)는 재질이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보조다리(67)를 뒷다리 홈(66) 안에 넣으면 제3 고정부재(65)가 나와서 보조다리(67)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스토퍼(68)는 제4 회전축(69)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막대모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68)는 보조다리(67)가 뒷다리부재(61) 내부에 형성된 홈에서 나오면서 회전할 때 보조다리(67)가 스토퍼(68)에 걸리게 하여 회전을 제한한다. 따라서 도 8을 볼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용 의자(10)에 환자가 않아서 욕실에서 머리를 감을 때 보조다리(67)로 인해서 좀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 머리를 감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간병용 의자 20 : 시트부
21 : 시트 부재 30 : 등받이부
31 : 등받이부재 32 : 제1 회전축
33 : 제1 손잡이부 35 : 제1 손잡이
37 : 제1 지지대 39 : 제1 걸림부
41 : 슬릿부 43 : 제1 스위치부재
44 : 고정홈
45 : 제1 고정부재 46 : 제1 체결부재
47 : 제1 연장바 48 : 제1 탄성부재
50 : 앞 다리부 51 : 바퀴
53 : 앞다리부재 55 : 발판
60 : 뒷다리부 61 : 뒷다리부재
62 : 제2 회전축 63 : 제2 손잡이부
65 : 제3 고정부재 66 : 뒷다리 홈
67 : 보조다리 68 : 스토퍼
69 : 제4 회전축 71 : 제2 손잡이
73 : 제2 지지대 75 : 제2 걸림부
81 : 지지부재 82 : 고정홀
83 : 제2 스위치부재 84 : 제5 회전축
85 : 제2 고정부재 86 : 제2 체결부재
87 : 제2 연장바 88 : 제2 탄성부재
90 : 팔걸이부 91 : 팔걸이부재
93 : 연결부재 95 : 연결바
97 : 제3 회전축 99 : 연결홈

Claims (14)

  1. 시트부;
    상기 시트부 후방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시트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앞다리부 및 상기 시트부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후방 측으로 회전가능한 뒷다리부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등받이 부재 및
    상기 등받이 부재에 결합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부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 일측에 결합된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시트부 후방 측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대에 설치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시트부 후방 측에 형성되며 상측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고정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제1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제1 연장바 및
    상기 제1 연장바를 상기 제1 지지대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바는 상기 제1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되는, 간병용 의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제1 지지대의 단부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바의 단부에는 상기 슬릿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형의 제1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스위치부재가 설치되는, 간병용 의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부는,
    상기 시트부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가능도록 결합된 한 쌍의 뒷다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뒷다리부재에 결합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잡이부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부재 일측에 결합된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뒷다리부재가 회전하거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대에 설치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시트부 후방측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부 일측이 상기 제 2 지지대의 일측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 2 연장바 및
    상기 제2 지지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장바의 상단부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바는 상기 제2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 2 연장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 2 스위치부재가 설치되는, 간병용 의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내부 일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상기 제2 스위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스위치부재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간병용 의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양 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부에 형성된 제 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팔걸이 부재;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는 타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의 타측은 연결바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간병용 의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팔걸이부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뒷다리부재가 후방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뒷다리부재의 회전 각도가 상기 한 쌍의 팔걸이 부재의 상기 타측에 의하여 제한되는 간병용 의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뒷다리부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보조 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다리는 상기 뒷다리부재가 후방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닥면에 닿음으로써 상기 뒷다리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간병용 의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다리가 바닥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다리의 회전을 멈추기 위하여 상기 뒷다리부재의 타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간병용 의자.
KR1020140058753A 2014-05-16 2014-05-16 간병용 의자 KR20150131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53A KR20150131687A (ko) 2014-05-16 2014-05-16 간병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53A KR20150131687A (ko) 2014-05-16 2014-05-16 간병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87A true KR20150131687A (ko) 2015-11-25

Family

ID=5484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753A KR20150131687A (ko) 2014-05-16 2014-05-16 간병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0359A1 (en) * 2021-03-04 2022-09-08 Sallie Stroble Reclining Wheelchair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0359A1 (en) * 2021-03-04 2022-09-08 Sallie Stroble Reclining Wheelchair Apparatus
US11911322B2 (en) * 2021-03-04 2024-02-27 Sallie Stroble Reclining wheelchai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983B1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US20150320625A1 (en) Method of apparatus for ingress and egress of chair
JP2012507311A (ja) ベッド、特には病院用ベッド又は看護用ベッド
JPWO2016031110A1 (ja) アームレストロック機構とそれを有する合体ベッド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JP2014140435A (ja) 起立着座支援椅子
KR101419672B1 (ko) 다용도 의자
KR200448295Y1 (ko)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JP2006175181A (ja) 療養ベッド
US20130119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gress and egress of chair
US20110156465A1 (en) Dissembled chair with deployable stirrups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150131687A (ko) 간병용 의자
KR200464682Y1 (ko) 국부세척용 접이식 목욕 의자
KR101673092B1 (ko) 의자용 발 받침대
KR20170011902A (ko) 원터치 스프링탄성판 접이 목욕의자
WO2015029132A1 (ja) 移動用リフト
KR20120011203A (ko) 목욕용 접이식 의자
KR20150004730A (ko) 변기 시트 및 그 변기 시트를 갖춘 이동식 변기
JP2014176542A (ja) 排泄補助具
JP6305153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並びに椅子、座椅子及び車椅子
CN211355127U (zh) 老年人护理沐浴装置
JP6712390B2 (ja) 椅子
KR101853911B1 (ko) 관절보호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