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178A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178A
KR20150130178A KR1020140057429A KR20140057429A KR20150130178A KR 20150130178 A KR20150130178 A KR 20150130178A KR 1020140057429 A KR1020140057429 A KR 1020140057429A KR 20140057429 A KR20140057429 A KR 20140057429A KR 20150130178 A KR20150130178 A KR 2015013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isposed
rehabilitation exercise
safety handle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9625B1 (en
Inventor
김경화
Original Assignee
김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화 filed Critical 김경화
Priority to KR102014005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625B1/en
Publication of KR2015013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which can be used in rehabilitation exercise by a patient, by being installed in a large resort property or a large hospital or the like for patient care.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veyor in which an object is placed, for moving the object; a floor unit separately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nveyor; and a safety handle arranged between the conveyor and the floor unit.

Description

재활운동장치{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본 발명은 환자 케어용 대형 리조트 또는 대형 병원 등에 설치하여 환자의 재활운동에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an be used in a rehabilitation exercise of a patient by being installed in a large resort for a patient care or a large hospital.

일반적으로 환자가 어느 정도 병원 치료가 이루어진 후에는 재활운동을 하게 된다. 뇌졸증,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와 감각의 결손, 자세의 불균형, 신체자각 능력결여 등을 겪고 있는 환자는 마비된 근육을 필요한 순간에 적당한 크기의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특정한 신체 부위를 집중적으로 움직이거나 스트레칭과 같은 재활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재활운동은 운동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병원에 설치된 다양한 재활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활운동은 주로 병원에서 이루어지지만 환자 케어용 대형 리조트 등에 재활운동장치를 설치하여 환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재활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장치와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Generally, the patient will undergo some rehabilitation after hospital treatment. Patients suffering from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such a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or cerebral palsy suffer from ataxia and sensory deficits, imbalance in posture, lack of physical self-awareness, etc., require the paralyzed muscles to have moderate strength , It is necessary to move a specific body part intensively or to perform rehabilitation such as stretching. This rehabilitation exercise can use various rehabilitation exercises installed in the hospital to increase the effect of exercise. Although these rehabilitation exercises are mainly performed in hospitals, devices and systems are nee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therapy by inducing the interest of patients by installin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es in a large resort for patient car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706호(2010. 8. 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6706 (published on Aug. 2, 20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 케어용 대형 리조트 또는 대형 병원 등에 설치하여 흥미를 증대시켜 자연스럽게 스트레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rge-scale resort for a patient care or a large hospital for enhancing interest to allow natural stretching,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건이 놓여지며 상기 물건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떨어져 배치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는 안전손잡이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yor comprising a conveyor for conveying the object, a bottom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nveyor,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including a safety handle disposed.

상기 안전손잡이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afety handle is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and the safety handl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ttom.

상기 바닥부와 상기 안전손잡이는 상기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ortion and the safety handle are preferably disposed in pairs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the conveyor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본 발명은 물건이 놓여지며 상기 물건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장홈이 제공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including a conveyor for moving an object on which the object is placed, and a bottom portion provided on the conveyor and provided with a groove along the conveyor.

또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는 이동홈이 제공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일정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제공되는 안전손잡이, 그리고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홈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loor having a movabl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afety handl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floor and provided with a pa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oving groove; And a rolling member that rotates and moves along the mov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은 물건이 놓여지며 상기 물건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아래 부분에 배치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안전손잡이를 포함하는 재활용운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cycling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conveyor on which an object is placed and which moves the object, a bottom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and a safety handl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conveyor.

상기 컨베이어에는 상기 바닥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veyor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veyor with respect to the bottom.

상기 높이 조절부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이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스크류, 그리고 상기 회전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 하 이동하며 상기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regulating unit includes a driving source, a pair of rotating screw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mechanisms coupled to the rotating screw, And a lifting member to which the lifting member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 사이에 상기 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안전손잡이, 상기 챔버의 일측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안전손잡이에 설치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hamb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ing; a safety handle disposed between the chamber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mber; a pump for supplying a fluid to one side of the chamb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 and controlling the pump.

상기 컨베이어는 수평으로 이송되는 수평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이송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구동원, 상기 컨베이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이동하는 체인, 그리고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onveyor comprises a horizontal conveying conveyor which is conveyed horizontally, the horizontal conveying conveyor including a conveyor drive source, a sprocket rotated by the conveyor drive source, a chain moved by the sprocke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 등이 한 손으로 안전손잡이를 잡거나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컨베이어에 올려져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 등을 집는 동작에 의해 스트레칭이 이루어져 재활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y stretching the patient by holding the safety handle with one hand or by lifting the fruit or ball moving on the conveyor while the waist is b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환자 등이 안전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구름부재에 올라 타서 구름부재를 발로 굴리는 동작에 의해 하체의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환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 or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clings to the rolling member while holding the safety handle, the rolling member can be moved to the foot to perform rehabilitation of the lower body, thereby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have.

또한, 본 발명은 환자 등이 챔버에 들어가서 안전손잡이를 잡고 챔버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환자가 수중에서 걷기 운동을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patient flows in the chamber while the patient or the like enters the chamber and grips the safety handle and acts as a resistance in the flow of the flui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재활운동장치의 제1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수평이동 컨베이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재활운동장치의 제2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재활운동장치의 제3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재활운동장치의 제4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재활운동장치의 제5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moving conveyor which is the main part of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xampl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xampl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urth exampl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fth exampl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재활운동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Figs.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first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 Fig.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의 재활운동장치(1)는, 프레임(3), 컨베이어(5), 바닥부(7), 그리고 안전손잡이(9)를 포함한다.A rehabilit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 a conveyor 5, a bottom portion 7, and a safety handle 9.

프레임(3)은 틀을 이루는 것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베이어(5)는 프레임(3)에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수평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3 is a frame and preferably has a constant height. The conveyor 5 is preferably a horizontally moving conveyor installed on the frame 3 and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컨베이어(5)는 컨베이어 구동원(11), 스프라켓(13), 체인(15), 그리고 플레이트(17)를 포함한다.This conveyor 5 includes a conveyor drive source 11, a sprocket 13, a chain 15, and a plate 17.

컨베이어 구동원(11)은 프레임(3)에 설치되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라켓(13)은 컨베이어 구동원(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라켓(13)은 컨베이어 구동원(1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스프라켓과 구동 스프라켓과 대응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피동 스프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drive source 11 may be mounted on the frame 3 and may be a motor or the like. The sprocket 13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conveyor drive source 11. The sprocket 13 may include a drive sprocket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conveyor drive source 11 and a driven sprocke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ive sprocket.

체인(15)은 구동 스프라켓과 피동 스프라켓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체인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in 15 is rotated by the drive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At this time, the chain preferably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플레이트(17)는 체인(15)에 결합되어 넓은 면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7)는 가운데 부분에 과일 또는 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완만한 홈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plate 17 is coupled to the chain 15 so that the wide surface can be kept horizontal.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17 has a gentle groove to accommodate a fruit or a ball in the center thereof.

이러한 플레이트(17)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과일 또는 공과 같은 물건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물건은 환자가 손으로 직접 집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plate 17 can be lifted such as a fruit or a ball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desirable that such objects can be picked up by the patient's hand.

바닥부(7)는 프레임(3)의 상부에 제공되며 환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부(7)는 컨베이어(5)에서 일정한 간격(D)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닥부(7)는 컨베이어(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7)는 컨베이어(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portion 7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3 and flattened so that the patient can stand up.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7 is disposed at a constant distance D in the conveyor 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7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veyor 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ottom portion 7 is preferably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

안전손잡이(9)는 프레임(3) 또는 바닥부(7)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손잡이(9)는 컨베이어(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손잡이(9)는 환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굵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손잡이(9)와 바닥부(7)는 서로 마주하여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의 구조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다른 손을 길게 뻗어 컨베이어(5) 윗부분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 등을 집을 수 있다. 즉, 환자의 양 손과 허리를 각각 스트레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safety handle 9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3 or the bottom portion 7.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 [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made as thick as the patient can hold with one hand. The safety handle 9 and the bottom portion 7 can be arranged in pairs facing each oth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example of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ld fruits, balls, and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5 and extend to extend the other h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it can be used to stretch both hands and waist of a patient, respectively.

이러한 안전손잡이(9)는 바닥부(7)에서 일정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전손잡이(9)가 배치되는 위치는 컨베이어(5)와 바닥부(7) 사이에 배치되어 환자가 한 손으로 안전손잡이(9)를 잡고 다른 손을 최대한 뻗은 상태에서 컨베이어(5)의 윗부분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과일이나 공 등의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disposed at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portion 7. [ The position where the safety handle 9 is disposed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5 and the bottom portion 7 so that the patient holds the safety handle 9 with one han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5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t at a position where it can pick up a moving fruit or a thing such as a ball.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의 재활운동장치(1)에는 컨베이어(5)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er 31 for moving the conveyor 5 up and down.

높이 조절부(31)는 바닥부(7)를 기준으로 컨베이어(5)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높이조절부(31)는 구동원(33), 회전스크류(35), 승하강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er 31 is a device that can move the entire conveyor 5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ttom 7.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31 may include a driving source 33, a rotating screw 35, and a lifting member 37.

구동원(33)은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원(33)는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회전스크류(35)는 구동원(3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스크류(35)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서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다. The driving source 33 may be a motor or the like. The driving source 33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unit. The rotating screw 35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33. These rotating screws 35 may be vertically arranged in pairs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승하강부재(37)는 회전스크류(3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스크류(35)의 회전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부재(37)에는 컨베이어(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부재(37)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37 is screwed to the rotating screw 35 and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35. The conveyor 5 may be installed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7.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7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r a fram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에 바닥부(7) 등이 설치되는 기술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3) 대신에 지면을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하여 실시할 수 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프레임(3) 대신에 콘크리트 구조물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프레임(3)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합이 사용될 수 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bottom portion 7 is provided on the frame 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stead of the frame 3, have. Of course, at this time, a concrete structure or the like may be used instead of the frame 3, or a combination of the frame 3 and the concrete structure may be used.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재활운동장치(19)를 도시하고 있다.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con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9. Fig.

본 발명의 재활운동장치(19)는 상술한 실시예의 제1예시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9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ame parts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의 재활운동장치(19)는 프레임(3), 컨베이어(5), 바닥부(7)를 포함한다.The rehabilitation device 19 of the secon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 a conveyor 5, and a bottom 7.

프레임(3)과 컨베이어(5)는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바닥부(7)는 컨베이어(5)의 윗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베이어(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2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3 and the conveyor 5 will be replaced by the above description. The bottom part 7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5 and the grooves 21 are preferab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는 환자가 장홈(21)을 사이에 두고 양쪽 바닥부(7)를 발로 디딘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려 컨베이어(5)를 따라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 등을 집을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 second example of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atient is able to hold a fruit or a ball moving along the conveyor 5 by bending the waist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bottoms 7 are straddled with the grooves 21 therebetween Oper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에는 컨베이어(5)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와 같은 높이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height adjust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onveyor 5 is omitted,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재활운동장치(23)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 설명을 대치하고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23. As shown in Fig. The thir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with only the differenc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예시의 재활운동장치(33)는, 프레임(3), 바닥부(7) 안전손잡이(9), 그리고 구름부재(25)를 포함한다.The rehabilitation apparatus 33 of the thir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 a bottom portion 7, a safety handle 9, and a rolling member 25.

바닥부(7)는 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7)에는 가운데 부분에 길게 이동홈(27)이 제공된다. 이동홈(27)은 바닥부(7)에서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모양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홈(27)에는 구름부재(25)가 배치된다. 구름부재(25)는 원통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자가 올라서서 구름부재(25)를 발로 굴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전손잡이(9)는 바닥부(7) 또는 프레임(3)에 제공되어 바닥부(7)에서 일정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손잡이(9)는 이동홈(27)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art 7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3. The bottom part (7) is provided with a long moving groove (27) in the middle part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grooves 27 are arranged long in a shape of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ttom part 7. [ The rolling member 25 i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27.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ing member 2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size such that the patient can stand up and roll the rolling member 25 on the foot. And the safety handle 9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bottom 7 or the frame 3 and at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7. [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oving groove 27. [

이러한 안전손잡이(9)는 환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paired so that the patient can be held with both hands at a constant interval.

도 7과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재활운동장치(29)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으로 그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부분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s. 7 and 8 schematically illustrate a four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29. Fig.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의 재활운동장치(29)는 프레임(3), 컨베이어(5), 바닥부(7), 안전손잡이(9) 그리고 높이조절부(31)를 포함한다.The rehabilitation device 29 of the four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 a conveyor 5, a bottom 7, a safety handle 9 and a height adjuster 31.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의 바닥부(7)는 컨베이어(5)의 아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손잡이(9)는 프레임(3) 또는 바닥부(7)에 설치되며 바닥부(7)와 컨베이어(5) 사이에 배치되어 환자가 잡을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의 안전손잡이(9)는 바닥부(7)에서 일정한 높이로 배치되며 컨베이어(5)의 아래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손잡이(9)는 바닥부(7)에 설치될 수 도 있으며, 높이 조절부(3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ttom portion 7 of the four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5. [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provided on the frame 3 or the bottom portion 7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7 and the conveyor 5 to have a height enough for the patient to hol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knob 9 of the four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veyor 5 and at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portion 7. The safety handle 9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7 or may be provided on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31.

이러한 안전손잡이(9)는 환자의 손의 방향을 바꾸어 컨베이어(5)에 있는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컨베이어(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fety handle 9 is preferab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 so a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atient's hand to pick up the object on the conveyor 5. [

높이 조절부(31)는 바닥부(7)를 기준으로 컨베이어(5)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높이조절부(31)는 구동원(33), 회전스크류(35), 승하강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er 31 is a device that can move the entire conveyor 5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ttom 7.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31 may include a driving source 33, a rotating screw 35, and a lifting member 37.

구동원(33)은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원(33)는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회전스크류(35)는 구동원(3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스크류(35)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서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다. The driving source 33 may be a motor or the like. The driving source 33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unit. The rotating screw 35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33. These rotating screws 35 may be vertically arranged in pairs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승하강부재(37)는 회전스크류(3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스크류(35)의 회전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부재(37)에는 컨베이어(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부재(37)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37 is screwed to the rotating screw 35 and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35. The conveyor 5 may be installed on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7.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7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r a frame shap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는 손잡이부(9)가 프레임(3)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부(7) 또는 높이 조절부(31)에 설치될 수 도 있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which the handle 9 is provided on the frame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7 or the height adjuster 31 It can be.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로, 재활운동장치(39)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부분을 그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9 and FIG. 1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fif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9. FIG. The fif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replacing the same parts with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nly different point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예시의 재활운동장치(39)는,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41), 안전손잡이(9), 펌프(43), 스위치(45), 그리고 제어부(4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and 10,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9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41, a safety handle 9, a pump 43, a switch 45, and And a control unit 47 as shown in FIG.

챔버(41)는 물과 같은 유체가 일정한 유속으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챔버(41)의 일측에는 유체가 펌프(43)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유체 유출구(49)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유출구(49)는 펌프(43)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The chamber 41 is a space through which a fluid such as water can flow at a constant flow rate, and can be install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e side of the chamber 41 may be provided with a fluid outlet 49 through which fluid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ump 43. And the fluid outlet 49 is connected to the pump 43 to continuously supply the fluid.

특히, 유체유출구(49)가 설치되는 부분에서 쳄버(41)로 유체가 공급되는 사이 부분은 경사지거나 라운드 모양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압력으로 유체를 쳄버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Particularly, a portion where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chamber 41 from a portion where the fluid outlet 49 is installed may be inclined or round, and the fluid may be supplied to the chamber side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안전손잡이(9)는 챔버(41)의 양측에 챔버(41)의 길이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이때 안전손잡이(9)는 환자가 양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ty knobs 9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41 in pai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mber 4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handle 9 is disposed at a height enough to hold the patient with both hands.

스위치(45)는 안전손잡이(9)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45)는 환자가 안전손잡이(9)를 쥐는 정도에 따라 펌프(43)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45 may be provided on the safety handle 9 and preferably comprises a switch operated by a pressure sensor. Preferably, the switch 45 is adapt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pump 43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patient holds the safety handle 9.

즉, 환자가 쥐는 정도에 따라 스위치(45)에 입력된 신호가 제어부(47)에 전달되고 이에 대응하는 정도로 제어부(47)가 펌프(43)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45)에 입력된 상태에 따라 펌프(43)가 구동하여 챔버(41)를 흐르는 유체의 세기 또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signal inputted to the switch 45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7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ipping by the patient, and the control unit 47 can drive the pump 43 to a degre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ly, the pump 43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nput to the switch 45 to adjust the intensity or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chamber 41.

이때 챔버(41)를 흐르는 유체는 환자의 무릎 정도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chamber 41 flows to the knee of the patient.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재활운동장치(1, 19, 23, 29, 39)들은 환자 케어용 대형의 리조트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자가 각각의 재활운동장치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다른 형태의 스트레칭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재활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habilitation exercises 1, 19, 23, 29, 39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large resort for patient care. That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y arranging the patient to perform the different types of stretching operations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es.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부터 환자가 재활운동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us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rom a first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컨베이어(5)에는 상부에 과일 또는 공이 올려지고, 과일 또는 공 등은 컨베이어(5)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인 회전 상태를 유지한다.First, a fruit or a ball is placed on the conveyor 5, and the fruit or the like is kept in a continuously rotating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conveyor 5.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예시의 재활운동장치(1)에서 환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7)에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한 손으로 안전손잡이(9)를 잡고 엎드리는 자세를 취하면서 다른 손을 최대한 길게 뻗어 컨베이어(5)를 따라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 등을 집는다. 그러면 환자의 길게 뻗은 팔 쪽에 이완되면서 팔과 옆구리 쪽에 스트레칭이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정해진 세트 또는 수회 반복한다. 그리고 반대측으로 자리를 옮겨 이번에는 뻗었던 손으로 안전손잡이(9)를 잡고 다른 손으로 컨베이어(5)를 따라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을 집는다. 그러면 반대측 팔과 옆구리 부분도 이완되면서 스트레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에도 같은 동작을 정해진 세트 또는 수회 반복한다. 물론 같은자리에서 안전손잡이(9)를 잡은 손을 바꾸고 다른 손으로 컨베이어(5)를 따라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을 집는 동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atient is allowed to hold the safety knob 9 with one hand while knees bent in the bottom 7, While holding the fruit or ball moving along the conveyor 5 as long as possible with the other hand as long as possible. Then it relaxes on the patient's long extended arm and stretches to the arm and side. Such operation is repeated a predetermined set or several times. Then, move to the opposite side, this time holding the safety handle 9 with the extended hand and picking the fruit or ball moving along the conveyor 5 with the other hand. Then the opposite arm and side part are also relaxed, and the stretching effect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a predetermined set or several time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hand holding the safety handle 9 in the same place and to carry the operation of picking up the fruit or ball moving along the conveyor 5 with the other hand.

그리고 환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의 재활운동장치(19)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예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홈(21)을 사이에 두고 바닥부(7)에 발을 디딘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려 컨베이어(5)를 따라 이동하는 과일 또는 공 등을 집는 행동을 한다. 그러면 허리가 앞으로 구부려 지면서 자연스럽게 등, 허리, 배, 양팔 등이 스트레칭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을 정해진 세트 또는 수회 반복한다. The patient then moves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9 of the secon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waist is bent in a state of standing on the bottom portion 7 with the elongated groove 21 interposed therebetween, Or to act like a ball. Then, as the waist bends forward, the back, waist, abdomen and arms are stretched naturally. This operation is repeated a predetermined set or several times.

그리고 환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예시의 재활운동장치(23)로 이동한다. 환자는 안전손잡이(9)를 양손으로 잡고 구름부재(25)에 올라서서 발을 이용하여 구름부재(25)를 굴리는 동작을 한다. 구름부재(25)가 이동홈(27)을 따라 이동하면서 환자도 함께 구름부재(25) 위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은 균형 감각과 환자의 걷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은 정해진 세트 또는 수회 반복한다.Then, the patient moves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23 of the thir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holds the safety handle 9 with both hands and climbs on the rolling member 25 and moves the rolling member 25 by using the foot. As the rolling member 25 moves along the moving groove 27, the patient also moves on the rolling member 25. This behavior is a balance sense and the patient's walking motion. This operation repeats a predetermined set or several times.

계속해서 환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예시의 재활운동장치(23)로 이동한다. 이때 환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7)에 서서 한 손으로 안전손잡이(9)를 잡고 다른 손을 위로 뻗어 상부에 배치된 컨베이어(5)의 위쪽에 놓인 과일 또는 공 등을 집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정해진 세트 또는 수회 반복한다.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손을 바꾸어 같은 동작을 정해진 세트 또는 수회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patient moves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23 of the fourth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patient holds the safety handle 9 with one hand while standing on the bottom portion 7 and extends the other hand upwards to lift the fruit or the ball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5 . This operation is repeated a predetermined set or several times. Then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hange hands to perform the same set of actions or a set number of times.

이때 환자의 키와 컨베이어(5)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위치(도시생략)를 조작하여 컨베이어(5)를 승, 하강 시킨다. 컨베이어(5)의 높이는 환자가 손을 뻗어 겨우 닿을 정도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height of the patient and the height of the conveyor 5 do not match, the conveyor 5 is raised and lowered by operating a separate switc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conveyor 5 is arranged at such a height that the patient can reach and reach the hand.

환자 또는 사용자가 스위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구동원(33)이 구동하고, 회전스크류(31)가 회전하면서 회전스크류(31)와 나사 결합되어 있는 승하강 부재(37)가 올라가거나 내려오게 된다. 승하강부재(37)가 승하강함에 따라 컨베이어(5)도 함께 승하강할 수 있다.When a patient or a user actuates a switch (not shown), the driving source 33 is driven and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37, which is screwed with the rotating screw 31, is moved up or down while the rotating screw 31 is rotated . The conveyor 5 can also ascend and descend as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7 ascends and descends.

계속해서 환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예시의 재활운동장치(39)로 이동한다. 환자는 안전손잡이(9)를 양손으로 잡고 안전손잡이(9)에 설치된 스위치(45)를 작동시킨다. 이때 스위치(45)가 환자의 그립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잡는 힘의 정도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47)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47)는 펌프(43)를 구동하여 설정된 유량 또는 유속이 되도록 유체를 챔버(41)에 공급한다. 이러한 유체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환자는 양손으로 안전손잡이(9)를 잡은 상태에서 챔버(41)를 따라 유체가 흐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걷는다. 이러한 동작은 수중에서 걷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다리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걷는 동작을 수행하여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the patient moves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9 of the fif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holds the safety handle 9 with both hands and operates the switch 45 installed on the safety handle 9. At this time, if the switch 45 i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gripping force of the patient, the switch 45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47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holding force. Then, the control unit 47 drives the pump 43 to supply the fluid to the chamber 41 so that the flow rate or the flow rate is set. Such fluid may be water. Then, the patient walk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along the chamber 41 while holding the safety handle 9 with both hands. Such an operation can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by performing the walk while performing the walking motion in the water without giving a strain to the joint of the leg.

이러한 동작 역시 정해진 시간 또는 정해진 세트로 수행할 수 있다.This operation can also be performed at a fixed time or in a predetermined set.

환자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스트레칭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흥미를 유발하면서 재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환자는 이러한 과정을 놀이로 생각하면서 재활운동에 참여할 수 있어 지루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재활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the patient goes through these processes, stretching is naturally occurring and rejuvenation can be achieved while inducing interest. Particularly, the patient can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y considering this process as play,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natural rehabilitation exercise effect without being boring.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19, 23, 29, 39. 재활운동장치, 3. 프레임,
5. 컨베이어, 7. 바닥부,
9. 안전손잡이, 11. 컨베이어 구동원,
13. 스프라켓, 15. 체인,
17. 플레이트, 21. 장홈,
25. 구름부재, 27. 이동홈,
31. 높이조절부, 33. 구동원,
35. 회전스크류, 37. 승하강부재,
41. 챔버, 43. 펌프,
45. 스위치, 47. 제어부,
49. 유체유출구
1, 19, 23, 29, 39.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3. Frame,
5. Conveyor, 7. Bottom,
9. Safety handle, 11. Conveyor drive source,
13. Sprocket, 15. Chain,
17. plate, 21. groove,
25. Cloud member, 27. Moving groove,
31. Height adjusting section, 33. Driving source,
35. Rotating screw, 37. Up and down member,
41. Chamber, 43. Pump,
45. Switch, 47. Control,
49. Fluid outlet

Claims (10)

물건이 놓여지며 상기 물건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떨어져 배치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배치되는 안전손잡이
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
A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 bottom portion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nveyor,
A safety handle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and the bottom portion;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손잡이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배치되는 재활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handle
Where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is disposed long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and is disposed at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안전손잡이는
상기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재활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ortion and the safety handle
Wherein the pair of conveying belts are arranged in pairs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the conveyor interposed therebetween.
물건이 놓여지며 상기 물건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장홈이 제공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
A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 bottom portion disposed on the conveyor and provided with a groove along the conveyor,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중앙부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는 이동홈이 제공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일정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제공되는 안전손잡이, 그리고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홈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구름부재
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
A bottom portion provided with a moving groove having a constant width and height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afety handle disposed at a constant height in the bottom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ai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groove,
A rolling member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and rotating along the moving groove,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물건이 놓여지며 상기 물건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아래 부분에 배치되는 바닥부, 그리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안전손잡이
를 포함하는 재활용운동장치.
A conveyor for moving the object,
A bottom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and
A safety handl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conveyor;
. ≪ / RTI >
청구항 1, 4, 그리고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는
상기 바닥부를 기준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제공되는 재활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6,
The conveyor
And a height adjuster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conveyor based on the botto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이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스크류, 그리고
상기 회전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 하 이동하며 상기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승하강부재
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height-
Driving source,
A pair of rotating screws which are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and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lifting / lowering member coupled to the rotating screw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일정한 길이와 간격으로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 사이에 상기 챔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안전손잡이,
상기 챔버의 일측에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
상기 안전손잡이에 설치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
A chamber disposed at a constant length and spacing,
A safety handle disposed between the chambers in a pair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mber,
A pump for supplying a fluid to one side of the chamber,
A switch installed in the safety hand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input signal of the switch and controlling the pump,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청구항 1, 4, 그리고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수평으로 이송되는 수평이송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이송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구동원,
상기 컨베이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에 의해 이동하는 체인, 그리고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재활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6,
The conveyor
And a horizontal conveying conveyor horizontally conveyed,
The horizontal conveying conveyor
Conveyor drive source,
A sprocket rotated by the conveyor drive source,
A chain moving by the sprocket, and
A plurality of plates coupled to the chain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KR1020140057429A 2014-05-13 2014-05-13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KR1016696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29A KR101669625B1 (en) 2014-05-13 2014-05-13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29A KR101669625B1 (en) 2014-05-13 2014-05-13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78A true KR20150130178A (en) 2015-11-23
KR101669625B1 KR101669625B1 (en) 2016-10-26

Family

ID=5484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429A KR101669625B1 (en) 2014-05-13 2014-05-13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62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514A (en) * 1996-08-09 1998-02-24 Susumu Takiguchi Walking device
KR200176546Y1 (en) * 1999-10-30 2000-04-15 김봉석 Fruit and farm basket dumping equipment
KR20100081274A (en) * 2007-10-31 2010-07-14 다모츠 이시카와 Belt-conveyor sushi counter
KR20100086706A (en) 2009-01-23 2010-08-02 허영백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ng exercise apparatus
KR20100125514A (en) * 2009-05-21 2010-12-01 심상근 An exercise machine with a cylindrical roller covered with yellow ear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514A (en) * 1996-08-09 1998-02-24 Susumu Takiguchi Walking device
KR200176546Y1 (en) * 1999-10-30 2000-04-15 김봉석 Fruit and farm basket dumping equipment
KR20100081274A (en) * 2007-10-31 2010-07-14 다모츠 이시카와 Belt-conveyor sushi counter
KR20100086706A (en) 2009-01-23 2010-08-02 허영백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ng exercise apparatus
KR20100125514A (en) * 2009-05-21 2010-12-01 심상근 An exercise machine with a cylindrical roller covered with yellow ear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625B1 (en)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714B1 (en)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with stimul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0921985B1 (en) Gait the trace guidance apparatus of gait rehabilitation device
US8684890B2 (en) Dynamic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ic apparatus and method of rehabilitating human gait
ITMI20090435A1 (en) ROBOT MOTOR REHABILITATION DEVICE
US5099828A (en) Passive exercise apparatus for entire body
CN103976847B (en) Extremity convalescence training bed
KR101064891B1 (en) Gait Training System of Hemiplegic Patients
KR102264707B1 (en)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054784A1 (en) Suspension system for walk training
KR101330532B1 (en) Hip and le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EP2803344B1 (en) Therapeutic exercise method and therapeutic exercise apparatus
CN103610567A (en) Assistive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for stroke hemiplegic patients
KR20120025545A (en) Device for therapeutically treating and/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of a person
AU2006233505A1 (en) Walking aid for a mechanically driven treadmill
KR20180010838A (e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itation having saparated treadmil with ambulant staircase function
CN105411809A (en) Lumbar spinal cord massage device
CN111281777B (en) Recovered auxiliary assembly of sports injury
CN108096794A (en) Balance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KR101669625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CN103585740A (en) Walking correction training instru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walking correction training method
KR101577047B1 (en) A functional bed of multi purpose
CN208864735U (en) Intelligent lower limb device for rehabilitation with the fixed device of adjust automatically
KR102104262B1 (en) Riding 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KR200444415Y1 (en) Body lift traction
KR102037024B1 (en)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us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