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097A -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097A
KR20150130097A KR1020140057234A KR20140057234A KR20150130097A KR 20150130097 A KR20150130097 A KR 20150130097A KR 1020140057234 A KR1020140057234 A KR 1020140057234A KR 20140057234 A KR20140057234 A KR 20140057234A KR 20150130097 A KR20150130097 A KR 2015013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user
shopping mall
pay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5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097A/ko
Priority to PCT/KR2015/004402 priority patent/WO2015174668A1/ko
Priority to US14/710,207 priority patent/US20150332234A1/en
Publication of KR2015013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7Passive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06Q20/425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using two different networks, one for transaction and one for security confi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필요한 액티브X(ActiveX)가 필요 없이 주문정보, 배송정보 및 결제정보 등을 이용한 복합적인 하이브리드 인증방식으로 카드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액티브X 프로그램들로 인한 인증 및 보안상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ARD PAYMENT IN THE ELECTRONIC COMMER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필요한 액티브X(ActiveX)가 필요 없이 주문정보, 배송정보 및 결제정보 등을 이용한 복합적인 하이브리드 인증방식으로 카드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액티브X 프로그램들로 인한 인증 및 보안상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생활용품, 가정용품, 전자제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품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의 발달 계기는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에 힘입은 바 크지만, 무엇보다도 판매자와 구매자가 전통적인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얻지 못했던 또 다른 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면도 적지 않게 작용하고 있다.
즉, 판매자는 매장과 물품 보관을 위한 별도의 대형창고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만큼 시설자금이 절약되어 이것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한편,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번거롭게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편리하게 쇼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을 더 싼 값에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와 유사하게, 상거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게 된다. 가장 간단한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상점(cyber mall), 상점에서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 등이 전자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가 된다.
상기 전자상거래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소비자는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로 가상 상점에 접속하여 쇼핑을 한다.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발견하면 가상상점에 구매의사를 전달하고, 예컨대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와 같은 결재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상점은 고객이 제시한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에 조회하고 대금지급을 요청한다.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가 대금을 가상 상점에 지급하면 가상 상점은 제품을 고객에게 배달함으로써 구매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현재 온라인 쇼핑몰(예컨대, 옥션, 지마켓, 11번가 등)에서 사용하는 카드결제는 내부적으로 액티브X(ActiveX)를 사용하고 있고, 결제를 하려면 카드번호 입력 관련, 키보드 보안 관련 액티브X를 다운로드(download)하여 설치해야 하며, 일정금액(예컨대, 30만원)이상 결제 시에는 공인인증서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카드결제방식은 MS 윈도우에서만 가능하고, 멀티(Multi) OS하에서의 카드결제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액티브X는 사용자의 PC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 웹상 문서나 콘텐츠를 사용자 PC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넷 기술로서,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설치되며, 온라인 쇼핑몰을 사용할 때 결제 버튼을 누르면 설치되는 프로그램들이다.
최근에는 모든 장치들(예컨대, 데스크탑PC, 노트북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모든 OS(예컨대, MS 윈도우, 맥 OS, 리눅스 등), 모든 브라우저들(예컨대, MS 익스플로러, 구글 크롬 등)이 지원 가능한 카드결제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것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노 팝업(No Popup), 노 플러그인(No PlugIn) 방식의 액티브X를 설치하지 않는 카드결제 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액티브X 퇴출관련 정책과도 같은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정부에서 2014년 6월부터는 인터넷 쇼핑몰의 카드결제시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을 철폐할 예정이다. 다만,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보안 및 인증 수단을 마련하기 전까지는 공인인증서를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금융감독원은 인증방법평가위원회를 개최해 LG CNS 엠페이와 페이게이트 금액인증(AA)을 공인인증서 대체 보안인증 수단으로 심의 중이다. 상기 LG CNS 엠페이는 옥션에 적용했던 모카페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본인 카드정보를 서버와 단말기에 분리하여 저장해서 비밀번호만으로 결제하는 방식이고, 상기 페이게이트 금액인증(AA)은 본인인증을 위해 임의의 금액을 2번 결제하고 그 금액을 인증번호로 인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한 건의 결제를 위해 3번의 결제와 2번의 취소가 발생하여 불편하며, HTML5를 이용할 경우 브라우저간 호환성이나 표준문제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652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필요한 액티브X(ActiveX)가 필요 없이 주문정보, 배송정보 및 결제정보 등을 이용한 복합적인 하이브리드 인증방식으로 카드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액티브X 프로그램들로 인한 인증 및 보안상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상품을 구매하도록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가 제공되는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요청된 사용자의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 승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쇼핑몰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카드사명,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으로 이루어진 본인인증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카드사명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하고,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된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 서버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기설정된 시범결제금액이 결제되도록 상기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요청한 시범결제를 자동 취소시킴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시범결제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시범결제 요청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정보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일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몰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의 상품카드결제 요청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에 대해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드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설정된 배송불가 상태를 배송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쇼핑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으로서, (a)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카드사명,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으로 이루어진 본인인증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카드사명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b)에서 저장된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 서버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기설정된 시범결제금액이 결제되도록 상기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요청한 시범결제를 자동 취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시범결제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시범결제 요청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정보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일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의 상품카드결제 요청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에 대해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드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설정된 배송불가 상태를 배송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기존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필요한 액티브X(ActiveX)가 필요 없이 주문정보, 배송정보 및 결제정보 등을 이용한 복합적인 하이브리드 인증방식으로 카드결제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액티브X 프로그램들로 인한 인증 및 보안상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 쇼핑몰 서버(200) 및 적어도 하나의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통신망(10)을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등의 웹페이지(Web Page)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통신망(10)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임의의 사용자(예컨대, 구매자 또는 판매자 등)가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통신망(1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예컨대,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망(10)을 통하여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 접속하여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다양한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게임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이 통상의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경우, 예컨대, 앱 스토어(App Store)를 통해 오픈마켓인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옥션, G마켓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쇼핑몰 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 접속하여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매매 중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10)을 통하여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운영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일반적인 매매, 경매, 역경매, 흥정 등을 중계하는 서버인 쇼핑몰 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판매자가 판매하는 다양한 판매상품들을 등록 받고, 등록 받은 다양한 판매상품들을 통신망(10)에 연결된 웹서버(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제공하여 구매자가 필요한 판매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쇼핑몰 운영에 필요한 웹페이지 또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판매상품 리스트 중에서 구매자가 구입 결정하여 선택한 판매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으며, 결제된 판매상품에 대해서는 구매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판매자에게 결제된 판매상품에 대한 안내를 통보하는 등 배송에 필요한 과정과 배송 중인 판매상품의 위치 추적이나 결과 등이 조회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필요한 웹페이지 또는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과 쇼핑몰 서버(200)를 서로 연결시켜주며, 소정의 웹페이지 또는 쇼핑몰 전용 앱(App)을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웹서버(210)에서도 쇼핑몰 서버(200)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과 통신망(1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접속에 응답하여 쇼핑몰 페이지를 전송하고,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쇼핑몰 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예컨대, 회원 ID 및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모듈 등)을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회원인증데이터 수신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에 구비된 판매자 정보 DB(220)는 회원 가입된 판매자가 등록하는 판매자 정보(예를 들어, 판매자 ID, 패스워드, 연락처 등), 상품정보(예를 들어, 판매상품들의 상품명, 가격, 상품 브랜드, 상품의 특징 등) 또는 서비스 정보 등을 기록/관리하는 DB로서, 쇼핑몰 서버(200)에 의해 해당 정보들이 독출되거나 새로운 판매자 정보들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에 구비된 구매자 정보 DB(230)는 회원 가입된 구매자가 등록하는 구매자 정보, 예를 들어, 구매자 회원 ID, 패스워드, 연락처, 장바구니 정보, 입찰 중인 상품정보, 낙찰된 상품정보, 흥정중인 상품정보, 결제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배송정보, 구매결정 여부 정보, 및 단골매장에 대한 상품정보들 등을 기록/관리하는 DB로서, 쇼핑몰 서버(200)에 의해 해당 정보들이 독출되거나 새로운 구매자 정보들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에 구비된 상품정보 DB(240)는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DB로서, 쇼핑몰 서버(200)에 의해 해당 정보들이 독출되거나 새로운 판매상품 정보들로 갱신될 수 있다.
특히,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 등으로 이루어진 본인인증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카드사명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시범결제를 요청한다.
이때, 쇼핑몰 서버(200)는 기설정된 시범결제금액(예컨대, 천원 등)이 결제되도록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부터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요청한 시범결제를 자동 취소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시범결제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시범결제 요청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쇼핑몰 서버(200)는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예컨대, 카드번호 앞자리 6자리(BIN번호로 카드종류) + 뒷자리 4자리), 배송주소, 결제가능지역(예컨대, 국가, 지역설정(대한민국, 서울) 등) 및 일단위 e쿠폰결제가능금액 등을 판매자 정보 DB(220), 구매자 정보 DB(230)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카드번호의 일부는 카드사, 카드 종류를 구분하는 앞자리 6자리와 끝자리 4자리를 저장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그 범위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도 있다.
이때,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미리 생성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결제가능지역 및 일단위 e쿠폰결제가능금액 등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미리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의 상품카드결제 요청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미리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에 대해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아 미리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설정된 배송불가 상태를 배송가능 상태로 변경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통신망(10)을 통하여 쇼핑몰 서버(200)와 연동되어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요청된 사용자의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 승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정보와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일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카드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쇼핑몰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각각 생성하여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 자체에서 각각의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전송한 후, 쇼핑몰 서버(200)에서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와 연동하여 고유인증번호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는 서로 다르게 생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하나의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동일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회원으로 가입한 후, 1차로 카드 사전 본인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카드 사전 본인인증 절차는, 먼저,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서 제공하는 카드 사전 본인인증을 위한 인증메뉴에 본인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쇼핑몰 서버(200)로 본인인증을 요청한다(S100).
이때, 상기 본인인증정보는 예컨대, 카드사명(또는 카드사 종류),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예컨대, 국가, 지역설정(대한민국, 서울) 등)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쇼핑몰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카드사명,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으로 이루어진 본인인증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카드사명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시범결제를 요청한다(S200).
이때, 쇼핑몰 서버(200)는 기설정된 시범결제금액(예컨대, 천원 등)이 결제되도록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부터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요청한 시범결제를 자동 취소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쇼핑몰 서버(200)는 시범결제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시범결제 요청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를 통해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정보와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일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한다(S300).
이때,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쇼핑몰 서버(200)를 통해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예컨대, 카드번호 앞자리 6자리(BIN번호로 카드종류) + 뒷자리 4자리),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한다(S400).
이때,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미리 생성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단계S100 내지 단계S400을 수행하여 1차로 카드 사전 본인인증 절차를 마친 다음, 2차로 사용자에 의해 상품을 구매하여 기존의 인증창 없이 실제 카드결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서 제공되는 주문서에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입력하여 쇼핑몰 서버(200)로 실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한다(S500).
이때, 쇼핑몰 서버(2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미리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카드결제정보 입력시 키보드 보안은 가상 키패드로 대체할 수 있다.
이후에, 쇼핑몰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S400에서 저장된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한다(S600).
이때, 쇼핑몰 서버(200)는 사용자의 상품카드결제 요청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미리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에 대해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를 통해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카드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한다(S700).
이때,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쇼핑몰 서버(200)로부터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300-1 내지 300-N)는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확인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쇼핑몰 서버(200)의 웹서버(210)에서 제공되는 주문내역 및/또는 주문완료 메뉴에 상기 확인된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쇼핑몰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후에, 쇼핑몰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미리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설정된 배송불가 상태를 배송가능 상태로 변경하여 배송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쇼핑몰 서버(2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미리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횟수이상 틀린 경우, 카드결제 불가 락(LOCK)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차로 실제 카드결제 과정을 수행한 후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품카드결제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첫째, 실제 카드결제 후 배송지 입력시 배송지는 1차 카드 사전 본인인증시 사용한 배송지만 사용가능하고, 인증된 배송지가 아닌 경우 결제를 비활성한다. 이에 따라, 본인인증을 한 배송지로만 배송하기 때문에 도용, 불법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만약, 배송지를 변경하려면 재인증을 해야한다.
한편, e쿠폰과 같이 배송을 하지 않는 물품의 경우에는 일일 결제한도금액을 설정하여 누적결제금액, 누적결제횟수를 체크하여 도용,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실제 카드결제시 사용자 IP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 후, 1차 카드 사전 본인인증시 설정한 카드결제 사용가능 지역이 아니면(예컨대, 외국 결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증 결제를 비활성화한다.
셋째, 일일 누적결제금액이 일정한도 초과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증 결제를 비활성화한다.
넷째, 상품주문 후 일정시간(예컨대, 1시간) 안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증을 진행하지 않으면 자동 주문취소 및 환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인증 카드 결제 방법은, 1차 본인인증으로 설정한 정보들과 매 주문시마다 주문후 승인방식을 배송제한기능과 복합 적용하여 인증하는 결제 방식으로서, 실제 상품카드결제시 비인증 카드결제를 사용하고, 결제 후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에 대한 인증을 받아야만 배송단계 또는 결제 이후 프로세스가 가능한 인증방식 즉, 실제 상품카드결제시 인증이 없고, 결제 후 본인인증을 받는 방식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사용자 단말, 200 : 쇼핑몰 서버,
210 : 웹서버, 220 : 판매자 정보 DB,
230 : 구매자 정보 DB, 240 : 상품정보 DB,
300-1 내지 300-N : 카드사 서버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가 기등록된 상품을 구매하도록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가 제공되는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요청된 사용자의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 승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쇼핑몰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카드사명,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으로 이루어진 본인인증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카드사명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하고,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된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 서버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기설정된 시범결제금액이 결제되도록 상기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요청한 시범결제를 자동 취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시범결제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시범결제 요청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정보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일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의 상품카드결제 요청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에 대해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드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설정된 배송불가 상태를 배송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8. 쇼핑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으로서,
    (a)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카드사명, 카드번호,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으로 이루어진 본인인증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카드사명에 해당하는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쇼핑몰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 및 배송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계(b)에서 저장된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사 서버로 상품카드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기설정된 시범결제금액이 결제되도록 상기 카드사 서버로 시범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요청한 시범결제를 자동 취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시범결제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시범결제 요청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정보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시범결제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된 카드사 회원일 경우, 해당 시범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카드사명, 카드번호의 일부, 배송주소 및 결제가능지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인증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을 통해 구매상품에 대한 카드결제시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사용자의 상품카드결제 요청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나머지 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및 카드비밀번호로 이루어진 카드결제정보와 함께 해당 카드사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에 대해 배송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카드결제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상품카드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완료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와 상기 생성된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상기 설정된 배송불가 상태를 배송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해당 구매상품의 배송을 위한 고유인증번호를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
  15. 제8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57234A 2014-05-13 2014-05-13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0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34A KR20150130097A (ko) 2014-05-13 2014-05-13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5/004402 WO2015174668A1 (ko) 2014-05-13 2015-04-30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4/710,207 US20150332234A1 (en) 2014-05-13 2015-05-12 System for card payment in the electronic commer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34A KR20150130097A (ko) 2014-05-13 2014-05-13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276A Division KR20160045657A (ko) 2016-04-11 2016-04-11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097A true KR20150130097A (ko) 2015-11-23

Family

ID=5448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234A KR20150130097A (ko) 2014-05-13 2014-05-13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32234A1 (ko)
KR (1) KR20150130097A (ko)
WO (1) WO2015174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01796D0 (en) * 2016-02-01 2016-03-16 Comcarde Ltd Paymen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24A (ko) * 2001-04-13 2001-07-25 김영익 신용카드 소지자의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승인방법
AU2002326635A1 (en) * 2001-08-15 2003-03-03 Shea Writer Methods for verifying cardholder authenticity and for creating billing address database
US8175938B2 (en) * 2004-04-13 2012-05-08 Ebay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rchant-initiated online payments
US8285639B2 (en) * 2005-07-05 2012-10-09 mConfirm, Ltd.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system
KR20100084068A (ko) * 2009-01-15 2010-07-23 정태우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2254A (ko) * 2010-10-25 2012-05-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카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4668A1 (ko) 2015-11-19
US20150332234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5784246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用いた製品およびサービスの個人化された買い物体験および個人化された価格設定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138588B2 (en) Method, electronic transaction instruction system, sales unit, transaction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ecu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instruction
US10909518B2 (en) Delegation payment with picture
US20130159077A1 (en) Local affiliate marketing
US9846877B2 (en) In-store mobile payment
CN103503008A (zh) 销售点处的条形码结账
KR20140047719A (ko) 소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머천트 개시형 지불
US11270280B2 (en) Obtaining instant credit at a POS with limited information
US20130173426A1 (en) Rapid checkout after payment
JP5779615B2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6615980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処理方法
KR20150130112A (ko) 신용 거래 서비스를 위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586737B1 (ko) 전자상거래를 위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결제 서버
JP7237294B2 (ja) 取引支援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20150142937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리스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3918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0097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276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5657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7783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758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간편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0711A (ko) 무선 인터넷 주소 연결용 전화번호와 가상 계좌를 이용한휴대폰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5633A (ko) 일련번호 전자화폐 발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