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987A -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987A
KR20150129987A KR1020140056914A KR20140056914A KR20150129987A KR 20150129987 A KR20150129987 A KR 20150129987A KR 1020140056914 A KR1020140056914 A KR 1020140056914A KR 20140056914 A KR20140056914 A KR 20140056914A KR 20150129987 A KR20150129987 A KR 2015012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dleware
area
data
shared memory
memor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441B1 (ko
Inventor
강광운
한만교
Original Assignee
(주)큐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센텍 filed Critical (주)큐센텍
Priority to KR102014005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4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수의 미들웨어에 제공되며 복수의 미들웨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는 오픈 API, 및 오픈 API에 연결되는 공유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공유메모리 영역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들웨어의 ID를 기록하는 미들웨어 ID 영역과, 데이터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것인지 다른 미들웨어에 전달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령어를 기록하는 명령어 영역과, 데이터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체크 영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Meddlewar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llection of Heterogeneous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비들 간의 데이터 통신은 시리얼 통신, 소켓 통신 등의 물리적인 통신 구조와 물리적인 통신 구조상에서 동작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또한, 종래의 다수의 데이터 통신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이들 사이에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일례로, 제1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장치와 제2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2장치를 포함한 이기종 장치들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장치와 제2장치 모두가 통신 프로토콜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1장치와 제2장치 사이에 제1통신 프로토콜과 제2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로 변환하는 수단이나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들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들이 서로 통신 프로토콜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정 통신 인터페이스나 프로토콜 변환 장치가 필요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060호(2013.09.0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물리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를 생략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의 소형화와 성능 및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기종 장치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가능케 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에 연결되는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복수의 미들웨어에 제공되며 복수의 미들웨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오픈 API에 연결되는 공유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공유메모리 영역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들웨어의 ID를 기록하는 미들웨어 ID 영역과, 데이터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것인지 다른 미들웨어에 전달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령어를 기록하는 명령어 영역과, 데이터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체크 영역을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공유메모리 영역은 복수의 미들웨어의 쓰기, 읽기 및 접근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쓰루풋(Throughput) 영역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공유메모리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미들웨어 ID 영역, 명령어 영역, 데이터 영역, 에러 체크 영역 및 쓰루풋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에 연결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복수의 미들웨어에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오픈 API는 복수의 미들웨어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함-; 및 오픈 API에 연결된 공유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유메모리 영역은 데이터를 기록한 미들웨어의 ID를 저장하는 미들웨어 ID 영역과, 데이터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는 것인지 다른 미들웨어에 전달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령어를 기록하는 명령어 영역과, 데이터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 영역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체크 영역을 구비한다.
일실시예에서,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공유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후에, 공유메모리 영역에 대한 복수의 미들웨어의 쓰기, 읽기 및 접근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쓰루풋(Throughput)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미들웨어 ID 영역, 명령어 영역, 데이터 영역, 에러 체크 영역 및 쓰루풋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도록 공유메모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리얼 통신이나 소켓 통신 기반의 물리적인 통신 모듈이나 이러한 물리적인 통신 모듈에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기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에 대한 성능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 간에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이하, 간략히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라 한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공유메모리 영역의 변형예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의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의 주요 모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이하, 간략히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이라 한다)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도 6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의 변형예에 대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이하, 간략히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라 한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1) 및 공유메모리 영역(12)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오픈 API(11)는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집합으로서, 이기종 장치의 다수의 미들웨어(2, 3, 4)가 오픈 API(11)를 통해 기수집된 데이터를 공유메모리 영역(12)에 저장하도록 기능한다. 오픈 API(11)는 미들웨어(2, 3, 4)에서 수집되고 공유메모리 영역(12)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존에 알려져 있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공유메모리 영역(12)은 오픈 API(11)에 연결되어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공유메모리 영역(12)은 이기종 장치의 각 미들웨어에서 해당 미들웨어의 수집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소정 저장장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유메모리 영역(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5, 6, 7)에 연결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공유메모리 영역(12)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영역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오픈 API(11)와 공유메모리 영역(12)을 이용하여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들이 일정한 패턴을 가진 메모리(공유메모리영역)에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물리적인 시리얼 통신이나 소켓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생략하면서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과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 간 데이터 공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오프 API(11) 및 공유메모리 영역(12)을 포함하고, 여기서 공유메모리 영역(12)은 미들웨어 ID 영역(121), 명령어 영역(122), 데이터 영역(123) 및 에러 체크 영역(124)을 구비한다.
미들웨어 ID 영역(121)은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들웨어의 ID를 저장한다. 여기서, ID(Identification)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장치의 고유정보 또는 고유식별자를 지칭한다. 예컨대, 미들웨어 ID 영역(121)에는 Scr ID, Dst ID 등의 포맷을 갖는 ID가 저장될 수 있다.
명령어 영역(122)은 공유메모리 영역(12)의 데이터 영역(123)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일반적인 쓰기 데이터인지, 다른 미들웨어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인지를 지정하는 명령어가 저장된다. 공유메모리 영역(12)에 연결되는 제어부나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명령어 영역(122)에 저장된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인식하고 해당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다른 미들웨어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123)은 이기종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123)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은 오픈 API(11)에서 결정된다. 즉, 이기종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제1 데이터 형식을 갖더라도 수집된 데이터가 오픈 API(11)을 통해 공유메모리 영역(12)에 저장될 때에는 공유메모리 영역(12)에서 제공하는 제2 데이터 형식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데이터 형식은 제1 데이터 형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에러 체크 영역(124)은 데이터 영역(123)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에러 체크 영역(124)에 저장되는 정보는 데이터 영역(123)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송되거나 기록되거나 읽혀지는 과정에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에러 체크 영역(124)은 구현에 따라서 오류 검사 정정(Error correction code 혹은 error checking and correcting)과 같이 오류를 검출할 뿐 아니라 정정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10)에서 미들웨어가 오픈 API(11)를 통해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오픈 API(11)에서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기종 장치 간의 데이터를 미리 준비된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수집하여 공유메모리 영역(12)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가 공유메모리 영역(12)에 저장된 임의의 데이터를 읽어내어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공유메모리 영역의 변형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메모리 영역(12)은 제1영역(121), 제2영역(122), 제3영역(123), 제4영역(124) 및 쓰루풋 영역(125)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영역(121), 제2영역(122), 제3영역(123) 및 제4영역(124)은 기재된 순서대로 도 2에서 설명한 미들웨어 ID 영역(121), 명령어 영역(122), 데이터 영역(123) 및 에러 체크 영역(124)에 각각 대응한다.
쓰루풋 영역(125)은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대한 미들웨어의 쓰기, 읽기 및 접근 시간 등의 정보(작동 정보)를 저장한다. 쓰루풋 영역(125)의 정보는 데이터 수집용 미들웨어가 일정 시간 동안 공유메모리 영역에 대하여 수행한 작업량(혹은 전송한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 수집용 미들웨어의 정상 동작이나 이상 동작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쓰루풋 영역(125)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미들웨어의 작동 정보를 토대로 특정 미들웨어(예컨대, 장애가 발생한 미들웨어)에 대하여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미들웨어에 의하여 오픈 API(11) 및 공유메모리 영역(12)의 작동에 원하지 않는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유메모리 영역(12)에 다수의 오류 메시지나 불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미들웨어 관리 정책을 채용함으로써,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의 성능 및 효율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는 소정의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시스템(12a), 메모리 시스템(12a)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10a), 중앙 처리 장치(10a)에 연결되는 입출력 장치(13) 및 통신장치(14)를 구비한다.
중앙 처리 장치(10a)는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이 기록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계산을 수행하는 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 101a),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101b), 및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러(101c)를 구비한다.
중앙 처리 장치(10a)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회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2a)은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의 메인 메모리(120a)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3)는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와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 장치(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13)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패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키보드나 마우스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물리적 변환기(Physical transduc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질의에 응답하거나 장치의 관리를 위한 그래픽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동영상 보드(13a)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장치(13)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데이터 수집용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들과 연결된다. 통신장치(13)는 미들웨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장치(13)는 유선, 무선 또는 이들 모두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처리 장치와 메모리 시스템과 입출력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오픈 API를 탑재하고 메모리 시스템(12a)의 보조 메모리(120b)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여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장치(혹은 서버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가 서로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컴퓨터 시스템의 주요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오픈 API에 연결되는 하이레벨 명령어 처리부(100a), 송수신 처리부, 미들웨어 ID 관리부, 쓰루풋 처리부 및 UI 처리부를 포함한다. 송수신 처리부, 미들웨어 ID 관리부, 쓰루풋 처리부 및 UI 처리부는 응용 모듈 제어부(100b) 및 응용 모듈(100c)을 각각 구비한다.
송수신 처리부는 송수신 처리 모듈(1013)과 이 응용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매핑부(1011) 및 인터페이스부(1012)를 구비한다. 즉, 송수신 처리 모듈 매핑부(101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100a)로부터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와 유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송수신 처리 모듈(1013)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송수신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012)를 통해 송수신 처리 모듈(1013)로 전달한다. 송수신 처리 모듈(1013)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거리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와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미들웨어 ID 관리부는 미들웨어 ID 관리 모듈(1023)과 이 응용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매핑부(1021) 및 인터페이스부(1022)를 구비한다. 즉, 미들웨어 ID 관리 모듈 매핑부(102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100a)로부터 미들웨어의 ID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미들웨어 ID 관리 모듈(1023)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미들웨어 ID 관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022)를 통해 미들웨어 ID 관리 모듈(1023)로 전달한다. 미들웨어 ID 관리 모듈(102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청에 따라 공유메모리 영역의 미들웨어 ID 영역에 저장된 미들웨어 ID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들웨어 ID의 설정을 추가, 삭제, 변경 혹은 권한제한 등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쓰루풋 처리부는 쓰루풋 처리 모듈(1033)과 이 응용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매핑부(1031) 및 인터페이스부(1032)를 구비한다. 즉, 쓰루풋 처리 모듈 매핑부(103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100a)로부터 미들웨어의 쓰루풋을 처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쓰루풋 처리 모듈(1033)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쓰루풋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032)를 통해 쓰루풋 처리 모듈(1033)로 전달한다. 쓰루풋 처리 모듈(1033)은 이기종 장치의 각 미들웨어의 쓰루풋을 저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청에 따라 쓰루풋 영역에 저장된 미들웨어의 쓰루풋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처리부는 UI 처리 모듈(1043)과 이 응용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매핑부(1041) 및 인터페이스부(1042)를 구비한다. 즉, UI 처리 모듈 매핑부(104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100a)로부터 UI의 질의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UI 처리 모듈(1043)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그것을 UI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1042)를 통해 UI 처리 모듈(1043)로 전달한다. UI 처리 모듈(104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질의나 요청에 따라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나 명령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 처리 모듈(1043)은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의 관리를 위해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소정의 신호에 따라 동영상 보드를 통해 상호 작용가능한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이하, 간략히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이라 한다)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먼저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에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S61)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픈 API는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가 하기의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도록 구현된다.
다음, 본 실시예의 방법은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에 오픈 API에 연결된 공유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S62)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는 오픈 API를 통해 공유메모리 영역에 기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미들웨어는 오픈 API에서 제공하는 혹은 결정되는 데이터 형식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 형식을 미리 설정하여 원하는 형식의 데이터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유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가 서로 손쉽게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형식은 정수 데이터, 문자 데이터, 통화 데이터, 날짜 및 시간 데이터, 이진 문자열 또는 이들의 조합 형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데이터 형식은 데이터 원본 그대로 저장되거나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의 근사치가 저장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재정렬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의 변형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에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S61)과,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에 오픈 API에 연결된 공유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S62)에 더하여 인터페이스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인터페이스 장치와 미들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공유메모리 영역에 대한 미들웨어의 쓰기, 읽기 및 접근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쓰루풋(Throuthput)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S63)를 포함한다. 쓰루풋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미들웨어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량을 나타내며, 공유메모리 영역에서 데이터를 쓰거나, 읽거나 혹은 이를 위해 공유메모리 영역에 접근한 시간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쓰루풋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면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에 대한 성능이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에 원하지 않는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미들웨어를 식별한 후 해당 미들웨어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해당 미들웨어를 수리하거나 새로운 미들웨어로 대체할 수 있다.
다음,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유메모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64)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유메모리 영역의 설정은 공유메모리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제한적인 접근 허용을 포함한다.
즉, 공유메모리 영역의 접근 설정은 공유메모리 영역 중 제1영역 내지 제4영역 및 쓰루풋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유메모리 영역의 접근 설정 단계는 상기의 단계들(S61, S62 및 S63)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전이나 이후의 임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공유메모리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명령어나 소트프웨어를 이기종 장치의 미들웨어들에 동시에 전송하거나 업데이트 혹은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미들웨어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기타 유지관리를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양한 기능 구현과 우수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 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3, 4: 미들웨어
5, 6, 7: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10: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10a: 중앙 처리 장치
11: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2: 공유메모리 영역
12a: 메모리 시스템
13: 입출력 장치
14: 통신장치

Claims (4)

  1.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에 연결되는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미들웨어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미들웨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상기 오픈 API에 연결되는 공유메모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미들웨어의 ID를 기록하는 미들웨어 ID 영역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것인지 다른 미들웨어에 전달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령어를 기록하는 명령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형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체크 영역을 구비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은 상기 복수의 미들웨어의 쓰기, 읽기 및 접근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쓰루풋(Throughput) 영역을 더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상기 미들웨어 ID 영역, 상기 명령어 영역, 상기 데이터 영역, 상기 에러 체크 영역 및 상기 쓰루풋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설정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3.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에 연결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실행되는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미들웨어에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오픈 API는 상기 복수의 미들웨어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결정함-; 및
    상기 오픈 API에 연결된 공유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은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한 미들웨어의 ID를 저장하는 미들웨어 ID 영역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는 것인지 다른 미들웨어에 전달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령어를 기록하는 명령어 영역과, 상기 데이터 형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에러 체크 영역을 구비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미들웨어의 쓰기, 읽기 및 접근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쓰루풋(Throughput)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상기 미들웨어 ID 영역, 상기 명령어 영역, 상기 데이터 영역, 상기 에러 체크 영역 및 상기 쓰루풋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기 공유메모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40056914A 2014-05-13 2014-05-13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66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14A KR101668441B1 (ko) 2014-05-13 2014-05-13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914A KR101668441B1 (ko) 2014-05-13 2014-05-13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87A true KR20150129987A (ko) 2015-11-23
KR101668441B1 KR101668441B1 (ko) 2016-10-21

Family

ID=5484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914A KR101668441B1 (ko) 2014-05-13 2014-05-13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5022A (zh) * 2020-07-09 2020-11-03 河南信大网御科技有限公司 基于通信接口的拟态通信方法、通信架构及终端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095B1 (ko) * 2016-12-20 2018-10-17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기기의 호환성을 위한 스마트홈 게이트웨이의 정보 변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52B1 (ko) *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KR101306060B1 (ko) 2011-06-22 2013-09-09 주식회사 브레인넷 이기종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JP2014085732A (ja) * 2012-10-19 2014-05-12 Univ Of Tokyo 異なるタイプのロボットミドルウェア間を連携する変換モジュールの生成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52B1 (ko) *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KR101306060B1 (ko) 2011-06-22 2013-09-09 주식회사 브레인넷 이기종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JP2014085732A (ja) * 2012-10-19 2014-05-12 Univ Of Tokyo 異なるタイプのロボットミドルウェア間を連携する変換モジュールの生成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5022A (zh) * 2020-07-09 2020-11-03 河南信大网御科技有限公司 基于通信接口的拟态通信方法、通信架构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441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58787B (zh) 区块链系统升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013379B (zh) 在智能卡上的多线程运行时间环境中支持传统应用程序的方法
JP4729262B2 (ja) ロケーション・アウェアネスのアーキテクチャとシステム
US11614926B2 (en) Consensus mechanism deploy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727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rvation of USB Keyboard
EP2867820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asserting trust level using persistent trust log
CN102985914A (zh) 通过端口共享硬件对存储设备的带外访问
CN109656886B (zh) 基于键值对的文件系统实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30123582A (ko) 로그 모니터링 방법, 그 서버 및 기록 매체
CN104932972A (zh) 一种反动态调试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US20100325738A1 (en) Dynamic dual permissions-based data capturing and logging
CN107817962B (zh) 一种远程控制方法、装置、控制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977401B1 (ko) 동적 모드버스 프로토콜 매핑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US9734307B2 (en)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of information using the same
JP2002007182A (ja) 外部記憶装置の共有ファイル管理方式
KR101668441B1 (ko) 이기종 장치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미들웨어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20080123677A1 (en) System management bus port switch
US79966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storage devices attached to a stateless client
CN114296646A (zh) 基于io业务的缓存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JP526859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3523745B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8250386A (ja) 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655590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064867B (zh) 防止网页中焦点陷入的控制方法及采用该方法的网页装置
KR20190019670A (ko)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의 동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