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297A -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297A
KR20150128297A KR1020140055420A KR20140055420A KR20150128297A KR 20150128297 A KR20150128297 A KR 20150128297A KR 1020140055420 A KR1020140055420 A KR 1020140055420A KR 20140055420 A KR20140055420 A KR 20140055420A KR 20150128297 A KR20150128297 A KR 2015012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ndoscope
affected part
image
terminal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봉교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297A/ko
Publication of KR2015012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환부가 식별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캡슐내시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캡슐내시경을 제어하고, 캡슐내시경이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단말기에 전송하며, 단말기가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환부의 위치를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의료 서버로부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하되,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한다.

Description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information using capsule endoscopy}
본 발명은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가진단용 캡슐용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장기관을 촬영하여 환부를 식별하고, 의료 서버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진단 결과를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내시경 검사는 사용자에게 힘든 경험과 큰 부담을 주게 되어 감사를 꺼리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수면내시경 검사를 하더라도 검사 후 내장기관에 일부 손상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마취제로 사용하는 프로포폴(propofol)의 부작용이나 마취된 상태에서 호흡곤란으로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도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그냥 삼키기만 하면 되는 사용이 편리한 캡슐내시경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캡슐 내시경 시스템은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의료진이 환자의 소화기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로 최근 주목 받는 융합 기술이다. 상기 캡슐 내시경 시스템은 일단 환자가 비타민 크기의 캡슐을 삼키면 캡슐 내 무선 또는 인체통신 모듈에 의해 전송된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의료진은 캡슐 내시경 진단 시스템을 통해 혈액 이상, 용종, 궤양, 크론병 등 다양한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인용되는 선행기술 1은 자율 이동 시스템을 부착한 무선조작 내시경 캡슐을 소개하고, 선행기술 2는 캡슐 내시경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는 캡슐 내시경이 촬영한 영상을 판독할 수 없으며,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없어 의료 진단을 위한 영상 분석이 비효율적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를 추적하고,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환부를 식별하여 진단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PCT/IB2005/000398 (2005.09.09)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96198 (2011.09.2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환부가 식별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캡슐내시경을 제어하며, 환부의 상세 이미지와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의료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받을 수 있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캡슐내시경이 촬영된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하여 판독하고, 환부가 식별될 경우 의료 서버가 캡슐내시경을 제어함에 따라 환부의 상세 이미지와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의료 서버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받을 수 있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환부가 식별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캡슐내시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상기 캡슐내시경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내장기관 내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의료 서버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산도를 감지하고, 세균센서를 통해 상기 세균 수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캡슐내시경의 이동거리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산도, 상기 세균 수, 상기 캡슐 내시경의 이동거리, 및 상기 각각의 내장기관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캡슐내시경이 각각의 환부의 특징에 따라 변화되는 값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자동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상기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Computer-Aided Detection: CAD)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캡슐내시경은, 센서 모듈, 신호처리 모듈, 배터리 모듈, CPU 모듈, 통신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이 촬영된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결과, 환부가 식별될 경우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내장기관 내 위치를 도출하여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진단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산도를 감지하고, 세균센서를 통해 상기 세균 수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캡슐내시경의 이동거리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산도, 상기 세균 수, 상기 캡슐 내시경의 이동거리, 및 상기 각각의 내장기관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수행 전, 상기 캡슐내시경과 상기 단말기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의료 서버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상기 캡슐내시경과 상기 의료 서버 사이에서 게이트웨이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촬영된 내장기관의 영상을 상기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내장기관의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단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캡슐내시경은, 센서 모듈, 신호처리 모듈, 배터리 모듈, CPU 모듈, 통신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상기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시경이 촬영한 내장기관의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의료 서버가 환부를 식별하여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를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함으로써, 의료 서버에서의 의료영상처리 및 진단을 위한 소프트웨어 실행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해 캡슐내시경을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의 이동경로인 내장기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판독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의 영상을 처리 및 진단할 수 있는 의료 클라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의료영상 검색기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수행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수행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의 캡슐내시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후,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종래의 내시경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캡슐내시경은 식도, 위, 소장, 대장 등의 영상을 한꺼번에 모두 볼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위나 대장을 보기에는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최근에 식도, 대장을 볼 수 있는 캡슐내시경이 일부 소개되고 있지만, 기존 일반 내시경 감사에 비해 정확도 및 기능이 많이 떨어진다.
한편, 캡슐내시경을 이용하면 소장 병변의 진단에서 기존의 고위관장법이나 소장내시경에 비해 고통이 없고 합병증이 적어 더욱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캡슐 내시경은 촬영한 영상을 판독할 수 없으며,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영상 분석이 비효율적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를 추적하고,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환부를 식별하여 진단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환부가 식별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캡슐내시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상기 캡슐내시경을 제어하고,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내장기관 내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의료 서버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되,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한다. 도 1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환부가 식별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캡슐내시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상기 캡슐내시경을 제어한다. S110 단계는 이하에서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해 캡슐내시경을 원격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캡슐내시경(21)은 센서 모듈, 신호처리 모듈, 배터리 모듈, CPU 모듈, 통신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단말기(22)와 연결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위와 대장을 촬영하기 위해 올챙이 꼬리 모양의 지느러미를 이용해 자체 추진을 할 수 있고, 캡슐내시경(21)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가 정확히 환부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가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자세제어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캡슐내시경(21)에 장착된 로봇팔을 통해 환부의 살점을 일정량 떼어내어 검사에 이용하거나 특정 부위에 약물을 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캡슐내시경(21)을 체내에 투입하고, 단말기(22)의 캡슐내시경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캡슐내시경에 내장된 꼬리 지느러미 추진, 로봇 다리 움직임, 진동을 이용한 자세제어 및 이동, 정지, 회전 등의 움직임을 통해 캡슐내시경(21)의 움직임과 방향을 조정하여 캡슐내시경(21)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캡슐내시경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면서 환부를 식별하여 상기 환부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캡슐내시경(21)의 조정은 상기에서 소개한 선행기술 1에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또한, 캡슐내시경(21)으로부터 단말기(22)가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받는 방법은 상기에서 소개한 선행기술 2에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환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캡슐내시경이 각각의 환부의 특징에 따라 변화되는 값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자동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슐내시경이 촬영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의료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존의 환부 이미지와 상기 캡슐내시경이 촬영한 환부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환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부의 특징에 따라 변화되는 값은 상기 환부 이미지에 포함된 환부 테두리에 대한 변화된 픽셀 값일 수 있다. 또한, 이는 의료 서버에 구비된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Computer-Aided Detection: CAD)를 통해서도 환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1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20 단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내장기관 내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S110 단계에서 식별한 환부를 더욱 상세하게 촬영하도록 단말기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캡슐내시경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산도를 감지하고, 세균센서를 통해 상기 세균 수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캡슐내시경의 이동거리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산도, 상기 세균 수, 상기 캡슐 내시경의 이동거리, 및 상기 각각의 내장기관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통해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각각의 내장기관에 대한 구조 및 기능을 우선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내장기관의 구조는 도 3과 같이 크게 구강으로부터 식도(31), 위(32), 소장(33), 대장(34), 및 항문(35)으로 이어진다. 우선 위(32)에서 위벽의 구조는 매우 두꺼우며, 점막, 근층, 및 장막의 세 겹으로 이루어진다. 위(32)의 속에 있는 안 껍질을 위점막이라 하는데 붉고 부드러우며 길이로 큰 주름을 이루며, 상기 위점막에는 많은 선을 포함하는 있다. 상기 선을 위선이라 하며 상기 위선에는 소화에 꼭 필요한 위액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액은 하루에 1.5리터가량 생성되며, 성분의 수분, 염산, 레인, 및 리파제 등이다. 위(32)가 정상인 경우는 3시간에서 5시간에 걸쳐 음식물이 소화되어 소장(33)으로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위(32)에서는 영양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고 알코올과 약간의 당분을 흡수할 수 있다.
소장(33)은 둥근 기둥모양의 소화관으로 길이는 약 5m에서 6m 정도이고, 굵기는 윗부분이 약 4cm, 아랫부분이 약 2cm 정도이며, 십이지장, 공장, 회장 세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십이지장에는 총담관이 이어져 있으며, 십이지장은 길이가 손가락 12개를 포개 놓은 길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길이가 약 25cm 정도이며, 영어의 알파벳 C자 모양이다. 또한, 공장과 회장은 모두 부채모양의 장간막에 의해서 후복벽에 위치한다. 후장 속의 점막에는 둥글둥글한 차바퀴 모양의 주름이 있고 여기에는 비로드천에 솟은 털 모양의 융모가 있는데 여기서 영양분을 흡수한다. 소장(33)은 꿈틀꿈틀 움직이는 연동 운동을 하며 내용물을 항문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장(33) 속의 점막에는 장액을 만들어 내는 장선이 있는데 여기서 소화흡수에 필요한 끈적끈적한 알칼리성 액을 생성할 수 있다. 소장(33)에서 섭취한 음식물 중에서 영양분을 빨아들이는데 주로 췌액의 작용에 따라 영양분을 흡수하고, 쓸개즙(담즙)과 장액이 소화흡수를 도우며, 물도 영양분의 일종으로 주로 소장에서 흡수한다.
대장(34)은 길이가 약 1.5m 이며, 직경이 약 8cm 되는 굵은 소화관이다. 대장(34)은 위치에 따라 맹장, 결장, 및 직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맹장은 소장(33)과 이어지는 부분이며 맹장 끝에 충수 돌기가 달려있다. 상기 출수 돌기는 길이가 약 8cm에서 10cm 굵기가 0.5cm 에서 1cm 정도로 끝이 막혀 있으며, 이것이 세균 등으로 감염되면 염증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속칭 맹장염이라 한다. 상기 결장은 대장(34)의 가운데 부분인데 다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및 에스상결장과 같이 네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상은 에스상결장에 이어져 둘째 허리뼈 높이에서 천골(웅치뼈) 정중앙을 따라 밑으로 내려가 꼬리뼈 끝에서 급히 뒤쪽으로 굽어져 항문으로 열리는 15cm 정도의 대장 끝 부분이다. 항문(35)이 오므라져 있는 것은 항문부의 근육을 닫고 여는 내괄약근과 외괄약근이 있기 때문이며 배변을 할 때면 이 근육이 늘어나 항문이 열린다.
상기와 같은 인체 내 내장기관의 구조에 따른 부위별 특성을 정리하면 이하에서 표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체류시간은 음식물이 소화되어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공복상태에서 캡슐내시경 투입시 상기 체류시간은 훨씬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캡슐내시경은 미리 정의된 사진촬영 프로파일(pre-defined photographing profile)에 따라 내장기관 내 특정 위치로 캡슐내시경을 이동시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내시경이 인체에 투입된 후 표 1과 같이 일반 성인의 내장기관의 부위별 길이와 해당 체류시간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해당 부위를 가늠하고, 구체적으로는 지역적인 산도를 측정하여 장관(intestinal tract)의 특정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관의 임의의 위치는 특정 pH(산도 측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는데, 위는 표 1과 같이 높은 산도(1 ~ 3.5)를 가지며 위의 출구부에서부터 내장의 산도는 급격히 떨어진다. 이러한 pH 정보와 캡슐내시경의 속도와 이동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갖추면, 장관에서 정확한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촬영중인 내장기관의 색상, 질감, 모양 등을 참고하고, 총 세균수 등을 측정하여 특정위치 판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판별된 캡슐내시경의 내장 부위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함에 따라 환부가 발생된 위치 또한 확인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와 촬영 영상 및 이미지를 의료 서버인 영상처리 및 진단 시스템에 전송하여 함께 처리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환부를 훨씬 빨리 식별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에 따른 환부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은 아래에서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판독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pH값, 세균수, 장관의 길이 등을 이용하여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위치를 판독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w가 총누적거리, t가 타이머, r이 현재 위치, ul이 위장의 길이(0.65m), zl이 십이지장의 길이(0.25m), sl이 소장의 길이, dl이 대장의 길이(1.5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총누적거리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상기 타이머가 인체에 투입되기 직전에 캡슐내시경의 전원이 켜져 자동 리셋 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
Figure pat00002
과 캡슐내시경의 속도변화
Figure pat00003
에 대한 가속도센서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Figure pat00004
를 구하면, 상기 총누적거리 w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또한, 상기 현재위치 r은 각 내장기관 내의 캡슐내시경의 차감거리인 오프셋을 도출함으로써, 해당 내장기관 내 캡슐내시경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각각의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S411 단계에서, 인체로 투입된 캡슐내시경의 산도 센서를 이용하여 pH 산도를 측정하고, 상기 pH 산도가 갑자기 증가하는 지점의 누적거리인 u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H 산도가 갑자기 증가하는 지점의 pH 값은 표 1의 위에 대한 pH 값에 따라 3.5일 수 있다.
S412 단계에서, S411 단계에서 측정한 pH 값이 1 < pH < 3.5 인지 확인하여 만족할 경우 S413 단계로 진행하며, 만족하지 못할 경우 S41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413 단계에서, 0 < (w - u) < ul를 만족할 경우 S414 단계로 진행하며, 만족하지 못할 경우 S41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414 단계에서, 위장의 컬러, 질감, 모양과 내부의 거리비율인
Figure pat00006
로부터 캡슐내시경의 현재 위치인 r을 도출하고, 이를 해당지점의 촬영 영상과 함께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412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S415 단계에서, 캡슐내시경의 산도 센서를 이용하여 pH 산도를 측정하고, 상기 pH 산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지점의 누적거리인 s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H 산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지점의 기준 값은 표 1의 소장에 대한 pH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416 단계에서, S415 단계에 측정한 pH 값이 5 < pH < 7을 만족하면 S417 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지 못할 경우 캡슐내시경은 내장기관을 이동하며 S416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S417 단계에서, 0 < (w - s) < zl을 만족할 경우 S418 단계로 진행하며, 만족하지 못할 경우 S41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418 단계에서, 소장에 포함된 십이지장의 컬러, 질감, 모양과 내부의 거리비율인
Figure pat00007
로부터 현재 캡슐내시경의 위치인 r을 도출하고, 이를 해당지점의 촬영 영상과 함께 캡슐내시경과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417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S419 단계에서, zl < (w - s) < 0.4*sl을 만족할 경우 S420 단계로 진행하며, 만족하지 못할 경우 S421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소장에 포함된 공장의 컬러, 질감, 모양과 내부의 거리비율인
Figure pat00008
로부터 현재 캡슐내시경의 위치인 r을 도출하고, 이를 해당지점의 촬영 영상과 함께 캡슐내시경과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419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S421 단계에서, 0.4*니 < (w - s) < sl을 만족할 경우 S422 단계로 진행하며, 만족하지 못할 경우 S423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422 단계에서, 소장에 포함된 회장의 컬러, 질감, 모양과 내부의 거리비율인
Figure pat00009
로부터 캡슐내시경의 현재 위치인 r을 도출하고, 이를 해당지점의 촬영 영상과 함께 캡슐내시경과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421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S423 단계에서,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세균센서를 이용하여 세균 수를 측정하고, 세균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지점의 누적거리인 d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균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지점의 세균 수는 표 1의 대장에 대한 총 세균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424 단계에서, 1010 < 세균 수 < 1012를 만족할 경우 S425 단계로 진행하며, 만족하지 못할 경우 캡슐내시경은 항문으로 이동하여 인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S425 단계에서, 대장의 컬러, 질감, 모양과 내부의 거리비율인
Figure pat00010
로부터 캡슐내시경의 현재 위치인 r을 도출하고, 이를 해당지점의 촬영 영상과 함께 캡슐내시경과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424 단계를 이동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2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30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의료 서버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는다. 다시 말해,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상기 의료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Computer-Aided Detection: CAD)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슐 내시경은 기존의 케이블 내시경을 대신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지만 정확한 병변 진단 및 분석 소요 시간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즉, 캡슐 내시경은 캡슐 내의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6~12만 프레임의 방대한 양의 정지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된 영상을 의료진이 확인하고 정확한 병변을 분석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S130 단계에서는 캡슐내시경이 촬영한 의료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의료 영상에 포함된 정보(컬러, 질감, 모양) 등을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내용기반 의료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 서버는 의료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 시스템을 고속의 대용량 의료 클라우드 시스템에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캡슐 내시경이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병변을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의 영상을 처리 및 진단할 수 있는 의료 클라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슐내시경이 전송한 영상은 먼저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되고, 다시 단말기에서 원거리 통신을 경유하여 인터넷을 통해 캡슐 내시경을 의료 서버인 의료용 모바일 클라우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클라우드로 전송된 영상들은 상기 의료용 클라우드에 구비된 의료영상진단 S/W를 통해 1차적으로 판독되고, 판독 결과를 진단 결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의료기간의 전문의가 상기 진단 결과에 대하여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영상은 등록된 전문의를 통해 2차 원격 판독을 받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환부에 문제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직접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료 서버인 의료용 클라우드에서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상기 의료 서버에 구비된 의료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는 디지털 신호 및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영상 이미지를 해석함으로써, 병을 자동으로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찰자 간의 주관성이 줄어들고 의사들이 수행하는 수작업 진단 절차들의 전반적인 민감도, 정확도 및 발견 능력이 증가할 수 있다.
종래의 질병 진단을 위한 의료용 이미지의 해석은 주관적일 수 있다. 그 결과는 의사에 의해 좌우되며, 때로는 의사마다 달라질 수 있다. 그 한 예로서, 내시경이 촬영한 영상에 의한 진단은 사진 영상의 특정 병소들을 발견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는 다시 양성이나 악성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는 숙련되지 못할 경우 발견한 병소를 악성이나 양성으로 분류하기가 쉽지 않다. 의사들의 능력 외에도 부정확한 진단, 즉 진단오류(false-positive)를 가져오는 다른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첫째는 디지털 이미지 내의 노이즈이고, 둘째는 이미징 장치에서의 이미지간 편차일 수 있다. 상기 노이즈는 진단오류의 주된 원인이다. 질병 진단이 치료에서 예방 단계로 옮겨가면서 조기 진단 및 치료의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의료계의 주된 목표는 진단오류를 최소화하거나 심지어는 완전히 없애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질병 발전을 위한 비주관적이며 정확한 재현 가능한 방법들이 필요한데, IT 기반의 첨단 질병 발견 기술들이 이를 보조 및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신호 및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들을 이용해 질병 표지인자(Disease Marker)을 질병 발견 라이프사이클 초기에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알고리즘들은 의사들이 수행하는 이미지 해석의 수작업 진단 절차들을 흉내 내어 질병 표지 인자들을 알고리즘 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알고리즘에 의한 수량화된 결과들은 의사들에게 2차 소견으로서 주어져 이들의 전반적인 질병 발견 및 진단 절차를 보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고리즘에 의한 질병 진단을 가리키는 업계 표준 용어가 의료영상 CAD이다. 여기서, 상기 CAD는 'D'가 진단(Diagnosis)이 아니라 발견(Detection)이다. 이러한 의료영상 CAD 알고리즘들은 질병 표지 인자의 발견에만 도움을 줄 뿐, 이러한 표지 인자들을 질병으로 분류하는 책임은 의사에게 있다. 즉, 상기 표지 안자들을 질병으로 분류하는 것은 도 5에서의 전문의 2차 원격 판독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료영상 CAD는 비주관성, 조기발견 능력, 신속한 평가 및 결과 복제 능력을 통해 의사들이 수행하는 전반적인 질병 발견 및 진단 절차들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의료영상 검색기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의료 영상을 의료 서버에서 상기 의료 영상에 포함된 내용 정보인 컬러, 질감, 및 모양 등을 추출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검색에 사용할 수 있는 내용기반 의료 영상 검색기법(Image Retrieval)일 수 있다. 이는 영상처리 및 분석단계를 거쳐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내장기관의 특정부위의 데이터들로 검색범위를 좁혀줌으로써, 검색해야할 이미지 데이터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간 빠른 병변 진단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는 이하에서 도 7의 수행절차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수행절차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의 각 수행절차에 대한 구성은 도 1의 각 단계에 대한 구성에 대응되는바, 도 7은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흐름도로서, 캡슐내시경이 촬영된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영상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결과, 환부가 식별될 경우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내장기관 내 위치를 도출하여 의료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진단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도 1과 달리 S810 단계 수행 전 상기 캡슐내시경과 상기 단말기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의료 서버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상기 캡슐내시경과 상기 의료 서버 사이에서 게이트웨이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의료 서버인 의료 클라우드 내의 의료영상 판독 및 진단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으로 직접 캡슐내시경을 제어하고, 실시간으로 환부를 촬영하여 영상처리, 영상인식, 및 영상 판독을 통하여 자동으로 진단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 없이 캡슐내시경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1과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S810 단계에서, 캡슐내시경이 촬영된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영상을 판독한다. 다시 말해,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촬영된 내장기관의 영상을 상기 의료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내장기관의 영상을 판독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상기 판독결과, 환부가 식별될 경우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S830 단계에서,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내장기관 내 위치를 도출하여 의료 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산도를 감지하고, 세균센서를 통해 상기 세균 수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캡슐내시경의 이동거리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산도, 상기 세균 수, 상기 캡슐 내시경의 이동거리, 및 상기 각각의 내장기관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S840 단계에서,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진단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는 이하에서 도 9의 수행절차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수행절차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의 각 수행절차에 대한 구성은 도 8의 각 단계에 대한 구성에 대응되는바, 도 9는 상세한 설명은 도 8의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내시경과 단말기를 연동시켜 가정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누구나 쉽게 캡슐내시경을 통해 자가진단함으로써, 캡슐내시경 시행을 위한 시간과 장소의 하계를 뛰어넘어 누구나 어디서나 쉽게 위, 대장, 소장 등의 내장기관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캡슐내시경을 사용자가 제어하여 촬영된 영상을 단말기에 1차적으로 저장하고, 촬영종료 직후 자동으로 의료 영상 처리 및 진단 클라우드로 보내지며, 영상인식 소프트웨어에 의해 판독됨으로써, 해당 결과에 대한 정보를 바로 고객에게 통보해줄 수 있다. 또는, 도 8의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의료서버인 클라우드 상에 위치한 의료 영상처리 및 진단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되어 단말기를 통해 캡슐내시경에 원격으로 접속을 하고, 캡슐내시경을 원격 제어하면서 환부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 없이 실시간으로 의료영상을 처리하고 진단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내시경이 저렴한 가격에 대중화가 이루어질 경우 최소 1년에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해서 진행하는 건강검진보다 각종 질환의 조기발견으로 2차 의료비가 절감됨으로써, 국민건강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캡슐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서 환부가 식별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의 캡슐내시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상기 캡슐내시경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내장기관 내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의료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의료 서버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산도를 감지하고, 세균센서를 통해 상기 세균 수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캡슐내시경의 이동거리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산도, 상기 세균 수, 상기 캡슐 내시경의 이동거리, 및 상기 각각의 내장기관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를 식별하는 것은,
    상기 캡슐내시경이 각각의 환부의 특징에 따라 변화되는 값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자동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받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를 상기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Computer-Aided Detection: CAD)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내시경은,
    센서 모듈, 신호처리 모듈, 배터리 모듈, CPU 모듈, 통신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6. 캡슐내시경이 촬영된 영상을 의료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결과, 환부가 식별될 경우 상기 의료 서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를 상세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내장기관 내 위치를 도출하여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환부의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진단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각각의 내장기관에 따라 상이한 산도, 세균 수 및 내장기관의 길이를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기관 내 환부의 위치는,
    상기 캡슐내시경에 포함된 산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산도를 감지하고, 세균센서를 통해 상기 세균 수를 감지하며, 가속도 센서 및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캡슐내시경의 이동거리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산도, 상기 세균 수, 상기 캡슐 내시경의 이동거리, 및 상기 각각의 내장기관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환부의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수행 전,
    상기 캡슐내시경과 상기 단말기를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의료 서버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상기 캡슐내시경과 상기 의료 서버 사이에서 게이트웨이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캡슐내시경이 상기 촬영된 내장기관의 영상을 상기 의료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내장기관의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 서버가 의료 영상 컴퓨터 보조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상세 이미지 및 상기 환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환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서버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내시경은,
    센서 모듈, 신호처리 모듈, 배터리 모듈, CPU 모듈,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KR1020140055420A 2014-05-09 2014-05-09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KR20150128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20A KR20150128297A (ko) 2014-05-09 2014-05-09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20A KR20150128297A (ko) 2014-05-09 2014-05-09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297A true KR20150128297A (ko) 2015-11-18

Family

ID=5483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420A KR20150128297A (ko) 2014-05-09 2014-05-09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82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585B1 (ko) * 2015-10-28 2017-03-1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안이 강화된 캡슐 내시경 시스템
KR20180128215A (ko) * 2017-05-23 2018-12-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캡슐내시경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1593A (ko) * 2017-11-07 2019-05-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산도 센서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소화기관 상태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631427B1 (ko) * 2022-10-31 2024-01-30 (주)케어마인드 환부의 회복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585B1 (ko) * 2015-10-28 2017-03-1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안이 강화된 캡슐 내시경 시스템
KR20180128215A (ko) * 2017-05-23 2018-12-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캡슐내시경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1593A (ko) * 2017-11-07 2019-05-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산도 센서를 포함하는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소화기관 상태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631427B1 (ko) * 2022-10-31 2024-01-30 (주)케어마인드 환부의 회복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708B2 (en) Displaying image data from a scanner capsule
US9081992B2 (en) Confirming that an image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a target region of interest
EP3811845A1 (en) Method of assisting disease diagnosis based on endoscope image of digestive organ, diagnosis assistance system, diagnosis assistanc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said diagnosis assistance program stored thereon
JP7313512B2 (ja) 内視鏡用プロセッサ、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389136B2 (ja) 内視鏡撮影部位特定装置、プログラム
CN113164010A (zh) 利用消化器官的内窥镜影像的疾病的诊断支持方法、诊断支持系统、诊断支持程序及存储了该诊断支持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2004321796A (ja) カプセル形内視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支援3次元画像形成方法、無線内視鏡装置および医療技術装置
JP2017534322A (ja) 膀胱の診断的マッピ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128297A (ko) 캡슐내시경을 이용한 의료 정보 처리 방법
CN114451848B (zh) 内窥镜胶囊轨迹引导方法、装置及系统
He et al. Magnetic capsule endoscopy: concep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RU2798224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недоступных для эзофагогастродуоденоскопии элементов гастродуоденального перехода видеокапсулой &#34;pillcam colon2&#34;
CN117198473B (zh) 一种肠道准备质量判断系统
US202304017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mages containing indicators of a celiac-like disease
Raj et al. Wireless capsule endoscopy for diagnosis of small intestinal lesions
Yan et al. A practical measuring system for intestinal pressure activity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Sonu et al. Capsul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A Game Changer
CN116807365A (zh) 针对家用场景的胶囊内镜的控制方法
WO2017195204A1 (en) Capsule imag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