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514A - 표고버섯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표고버섯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514A
KR20150126514A KR1020140053564A KR20140053564A KR20150126514A KR 20150126514 A KR20150126514 A KR 20150126514A KR 1020140053564 A KR1020140053564 A KR 1020140053564A KR 20140053564 A KR20140053564 A KR 20140053564A KR 20150126514 A KR20150126514 A KR 2015012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
bar
shiitake
hole
hol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344B1 (ko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장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철 filed Critical 장영철
Priority to KR102014005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3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2Racks;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을 가지런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직립상태와 수평상태로의 전환을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표고버섯의 품질과 수확성을 높이면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양측에서 서포터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구성하는 재배프레임과, 상기 서포터의 상단에 베어링을 내장하여 고정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는 유지축과, 상기 유지축 사이를 연결하는 각바형태의 원목유지바와, 상기 원목유지바에 표고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원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목결합홈과 결속홀을 가지고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원목유지구와, 상기 원목유지바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하여 원목을 직립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을 결정하는 스토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표고버섯 재배장치{SHIITAKE GROWING DEVICE}
본 발명은 표고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고버섯을 재배할 때 최소의 인력으로 원목을 뒤집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재배효율성을 높이면서 재배되는 표고버섯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 재배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고버섯의 갓은 지름 5 ∼ 20㎝로 반구형이고, 갓의 색은 담갈색이며 농갈색의 섬유상 또는 비늘 모양의 인피가 덮여 있고, 독특한 맛과 향기가 있어 강장제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혈중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과 더불어 항암작용, 혈압강하, 항바이러스 작용이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고버섯은 자연에서 자생하지만 수십 년 전부터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기법이 개발되어 계절에 관계없이 대량으로 시설재배가 가능해졌으며, 시설재배를 하기 위해서는 표고버섯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자연적인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함으로써 가능해 졌다.
표고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시설로는, 온도와 습도를 고려하여 다소 습한 음지에 시설물을 설치하고 참나무에 구멍을 뚫어 그 속으로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재배하게 되는 데, 통상 하우스 형태의 골격으로 재배사를 구성하고, 재배사의 외부는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면서 음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검은색 계열의 차양막으로 피복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참나무류 중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 등의 탄닌성분이 많은 참나무류를 소정의 직경과 길이(120㎝)를 가지도록 절단한 원목(1)을 X형 또는 삿갓형상이 되도록 지면에 세우고, 원목(1)에 구멍을 뚫은 후 종균을 접접하여 재배함으로써 원목(1)의 표면으로 표고버섯(2)을 성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출원 제 10 - 2003 - 0048956 호 특허출원 제 10 - 2012 - 0035082 호 특허 제 10 - 0906015 - 0000 호 특허 제 10 - 1120392 - 0000 호
상기와 같이 표고버섯을 재배하기 원목을 X형태 또는 삿갓형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는 자연 조건과 동일 유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절대적인 사항이며, 이 중에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월 1회 배치한 원목을 지면에 무너뜨린 상태에서 3일간의 물주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습도유지를 위한 작업을 작업자가 일일이 원목을 바닥에 나열시킨 상태에서 3일간 물주기를 수행하는 데, 원목 전체에 고르게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원목을 뒤집어 가면서 물주기를 수행하여야 하고, 물주기 과정에서도 수분에 원목 내부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망치로 두드리는 부수적인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원목 하나의 무게가 상당함은 물론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목의 수가 최소한 1,000 본 이상씩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원목을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는 작업과 더불어 수분공급을 위하여 바닥에 누이는 작업을 반복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특히 농촌의 작업 가능한 청년인력이 부족하고 노령인구가 많은 상황에서 많은 수의 원목을 세우는 작업과 원목을 바닥에 눕히는 작업을 반복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표고버섯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수분의 공급시기를 놓쳐 수확량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표고버섯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되므로 농가 소득이 줄어드는 원인이 된다.
또한 중량체의 원목을 노약자가 세우고 눕히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근골격계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원목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원목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쓰러지거나, 원목과 부딪치는 등의 현상에 의하여 작업자의 신체를 손상시키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원목을 재배사의 바닥에 세우고 다시 눕히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이를 전문적인 인력을 배치하여 재배할 경우에는 많은 인건비의 지출로 인하여 경제성이 줄어들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양측에서 서포터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구성하는 재배프레임과, 상기 서포터의 상단에 베어링을 내장하여 고정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는 유지축과, 상기 유지축 사이를 연결하는 각바형태의 원목유지바와, 상기 원목유지바에 표고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원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목결합홈과 결속홀을 가지고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원목유지구와, 상기 원목유지바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하여 원목을 직립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을 결정하는 스토퍼로 구성하여;
원목을 가지런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직립상태와 수평상태로의 전환을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표고버섯의 품질과 수확성을 높이면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원목을 지지하면서도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재배에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족한 농가 일손을 도우면서 표고버섯의 재배효율성을 높여 농가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A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표고버섯 재배장치(100)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10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서포터(102)를 클램프로 고정하거나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여 재배프레임(103)을 구비한다.
상기 재배프레임(103)을 구성하는 서포터(102)는 원목(104)의 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서포터(102) 사이의 중간위치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더 설치하여 원목(104)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서포터(102)의 상단에는 베어링(105)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106)을 고정하고, 상기 베어링(105)에는 원목유지바(107)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지축(108)을 결합하여 원목유지바(107)이 회전 자유롭도록 한다.
상기 원목유지바(107)에는 표고버섯(109)을 재배하기 위한 원목(104)을 유지할 수 있는 원목유지구(110)를 하나 이상을 등 간격을 유지시켜 배치하고, 상기 원목유지구(110)는 원목(104)을 유지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원목결합홈(111)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원목유지구(110)의 상,하측에는 원목(104)을 타이밴드, 로프, 와이어 또는 철사와 같은 결속수단(112)으로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홀(11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목유지바(107)는 원목유지구(11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각바형상으로 구성하고, 유지축(108)은 베어링(105)과의 결합을 위하여 원형으로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원목유지구(110)는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개략 ∩형상의 받침대를 원목유지바(107)에 용접 또는 볼트나 리벳 등으로 고정하여도 되고, 다른 형상으로는 ∧형상, 반원형상과 같이 원목(104)을 수용할 수 있는 원목결합홈(111)을 가지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무방할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목유지바(107)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원목(104)을 직립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스토퍼(115)를 더 설치하여 원목(104)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115)는, 판상부재로 구비되는 스토퍼바디(116)의 상측에는 원목유지바(107)과 회전과 비회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홀(117)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홀(117)의 하측에는 장공(118)을 형성하여 서포터(102)에 고정되는 가이드핀(119)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선택홀(117)은 원목유지바(107)의 상면과 양측면과 결합되어 원목유지바(107)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홀(120)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홀(120)의 하방에 원목유지바(107)의 대각선길이(L)보다 큰 폭(B)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원목유지바(10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홀(121)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장공(118)의 길이(L1)는 스토퍼바디(116)를 상승으로 이동시켰을 때 원목유지바(107)가 회전홀(121)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함은 당연할 것이며, 스토퍼바디(116)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어 항상 스톱홀(120)과 원목유지바(107)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원목유지바(107)에는 스토퍼(115)가 원목유지바(107)에 고정된 원목유지구(110) 방향으로 이동하고, 장공(118)이 가이드핀(119)을 벗어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핀(122)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표고버섯 재배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배프레임(103)에 세워진 서포터(102) 사이에 연결되는 원목유지바(107)에 등 간격으로 고정되는 원목유지구(110)에 버섯종균을 심은 원목(104)을 밀착시킨 후 결속수단(112)으로 고정시켜 원목(104)이 움직이거나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물론, 원목유지구(110)에 고정시키는 원목(104)은 가지런한 상태를 유지시켜 불규칙적인 상태보다는 규칙적인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원목유지구(110)에 원목(104)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원목(104)이 재배프레임(103)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수분을 공급시키기 위하여 물주기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목(104)이 재배프레임(103)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행하면 된다.
이러한 동작의 선택은 원목유지바(107)의 일단 또는 양단에 설치되는 스토퍼(115)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목(104)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목(104)을 고정한 원목유지구(110)가 서포터(102)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면 되고, 원목(104)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목(104)을 고정한 원목유지구(110)가 서포터(102)에 대하여 직각이 유지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원목유지구(110)의 방향은 원목유지구(110)를 고정한 원목유지바(107)를 회전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키면 되는 데, 원목유지바(107)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스토퍼바디(116)를 잡고 상승시키면 원목유지바(107)는 선택홀(117)의 스톱홀(120)을 벗어나 회전홀(121)에 위치하게 되는 데 이때 원목유지바(107)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원목유지바(107)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는 상승시켰던 스토퍼바디(116)를 원래의 위치로 하강시키면 원목유지바(107)가 회전홀(121)에서 스톱홀(120)과 결합되므로 원목유지바(107)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원목유지바(107)는 결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115)가 안정된 상태로 작동하고 작동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선택홀(117)의 하방에 형성된 장공(118)이 서포터(102)에 고정된 가이드핀(119)과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면서 원목유지바(107)에 더 고정된 탈락방지핀(122)에 의하여 스토퍼바디(116)가 가이드핀(119)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목을 가지런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직립상태와 수평상태로의 전환을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쉽고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표고버섯의 품질과 수확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표고버섯 재배장치
102; 서포터
107; 원목유지바
110; 원목유지구
111; 원목결합홈
115; 스토퍼
117; 선택홀
117; 선택홀
118; 장공
120; 스톱홀
121; 회전홀

Claims (3)

  1. 베이스(101)의 양측에서 서포터(102)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구성하는 재배프레임(103)과;
    상기 서포터(102)의 상단에 베어링(105)을 내장하여 고정되는 베어링하우징(106)과;
    상기 베어링(105)에 결합되는 유지축(108)과, 상기 유지축(108) 사이를 연결하는 각바형태의 원목유지바(107)와;
    상기 원목유지바(107)에 표고버섯(109)을 재배하기 위한 원목(104)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목결합홈(111)과 결속홀(113)을 가지고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원목유지구(110)와;
    상기 원목유지바(107)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하여 원목(104)을 직립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을 결정하는 스토퍼(11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 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15)는, 판상부재로 구비되는 스토퍼바디(116)와;
    상기 스토퍼바디(116)의 상측에 원목유지바(107)과 회전과 비회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선택홀(117)과;
    상기 선택홀(117)의 하측에 형성하여 서포터(102)에 고정되는 가이드핀(119)과 결합되는 장공(118)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 재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홀(117)은 원목유지바(107)의 상면과 양측면과 결합되어 원목유지바(107)가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스톱홀(120)과;
    상기 스톱홀(120)의 하방에 원목유지바(107)의 대각선길이(L)보다 큰 폭(B)을 가지고 원목유지바(10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회전홀(12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 재배장치.
KR1020140053564A 2014-05-02 2014-05-02 표고버섯 재배장치 KR10162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64A KR101621344B1 (ko) 2014-05-02 2014-05-02 표고버섯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64A KR101621344B1 (ko) 2014-05-02 2014-05-02 표고버섯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514A true KR20150126514A (ko) 2015-11-12
KR101621344B1 KR101621344B1 (ko) 2016-05-16

Family

ID=5460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64A KR101621344B1 (ko) 2014-05-02 2014-05-02 표고버섯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702A (ko) * 2019-01-03 2020-07-13 리빙애그로 주식회사 회전형 식물재배장치용 재배상자 지지대
KR20200143761A (ko) * 2019-06-17 2020-12-28 김사무엘 표고버섯 재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702A (ko) * 2019-01-03 2020-07-13 리빙애그로 주식회사 회전형 식물재배장치용 재배상자 지지대
KR20200143761A (ko) * 2019-06-17 2020-12-28 김사무엘 표고버섯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344B1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6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US7937888B2 (en) Foliage lifter
AU2010325765B2 (en) Cultivation of hazel tree with the crown having the form of vertical spindle on the support
KR101621344B1 (ko) 표고버섯 재배장치
KR101560346B1 (ko) 입식농사장치용 롤러농기구
RU26361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несущих проволок в ряду растений
KR101633424B1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DE942358C (de) Topf od. dgl. Behaelter fuer Pflanzen
GB2269731A (en) Support for climbing plants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US221620A (en) Improvement in plant and vine culture
CN205755919U (zh) 一种室内树苗培育装置
CN207847160U (zh) 一种园林廊架
KR100809502B1 (ko) 화분용 흙공급장치
KR101925013B1 (ko) 비닐하우스용 프레임
KR100547613B1 (ko) 버섯 재배장치
CN209134772U (zh) 一种省力化林果育苗栽植器
KR20200034132A (ko) 넝쿨작물 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넝쿨작물 재배방법
KR20200057210A (ko) 과수목의 위치 이동 및 재배 장치
KR102617032B1 (ko) 가정용 원예재배기
KR20130114391A (ko) 작물 재배 장치
CN212786857U (zh) 一种芒果吊果装置
DE820988C (de) Kulturverfahren fuer Pflanzen, insbesondere von Nadel- und Laubbaeumen und Traggeraet und Erdbohrer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CN112913558A (zh) 一种可作花架用的绿化树的培育方法
JPH04498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