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491A -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491A
KR20150126491A KR1020140053431A KR20140053431A KR20150126491A KR 20150126491 A KR20150126491 A KR 20150126491A KR 1020140053431 A KR1020140053431 A KR 1020140053431A KR 20140053431 A KR20140053431 A KR 20140053431A KR 20150126491 A KR20150126491 A KR 2015012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dy current
current probe
body case
main body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열
하태구
신기보
이영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6491A/ko
Publication of KR2015012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 G01N27/902Arrangements for scanning by moving th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와전류 프로브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와전류 프로브가 냉각유로의 깊은 곳까지 삽입될 수 있어 냉각유로의 결함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방 이동블록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는 와전류 프로브와, 상기 본체 케이스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각유로에 삽입되는 상기 와전류 프로브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캡과, 상기 전방 이동블록 상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파이프 형상의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와전류 프로브에 전달하여 상기 와전류 프보르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Cooling flow test device of gas turbine}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에 와전류 프로브를 삽입하여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와전류 프로브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와전류 프로브가 냉각유로의 깊은 곳까지 삽입될 수 있어 냉각유로의 결함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전류검사(Eddy Current Testing)는 항공기, 발전설비 및 기타 산업설비 등의 표면 결함 검출 및 열교환기 등의 건전성 검사 등에 적용되는 비파괴 검사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와전류 검사의 원리는 코일에 교류전류를 통과시키면 주위에 1차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를 도체(피검체) 표면에 접근시키면 도체 표면에서 2차 자기장이 형성되며, 그 2차 자기장은 다시 도체 표면에 와전류(맴돌이 전류)를 생성시킨다.
피검체인 도체 표면에 결함이 존재할 때 와전류가 왜곡되면 이를 센서 코일을 통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상에 그 변화를 나타내고 이를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와전류 검사는 발전소의 가스터빈의 터빈 및 압축기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결함을 검출하는데도 사용하고 있으며, 결함의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검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가스터빈의 블레이드는 플랫폼(Flatform)을 기준으로 디스크에 조립되는 루트부와 공기 및 고온의 가스와 부딪치는 에어포일(Airfoil)로 구성된다. 루트는 도브테일(Dovetail)과 생크(Shank)로 구성되며, 에어포일은 컨케이브(Concave or pressure), 켄벡스(Convex or suction),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와 리딩 에지(Leading Edge) 구성되며 공기역학적(Areodynamic)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스터빈의 블레이드는 1100℃ 이상의 고온 및 고압의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초합금(Superalloy) 및 TBC(Thermal Barrier Coating)과 같은 열차단 코팅 등이 적용되어 제작되나, 열악한 운전조건 및 환경속에서 피로(Fatigue)등에 의한 결함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형광침투탐상검사(FPI, Fluorescent Penetrant Inspection)라는 비파괴 검사방법을 적용하나 이것은 블레이드가 분해되었거나, 검사설비가 갖춰진 상태에서나 가능한 방법이며, 또한 미세한 피로, 균열 등은 검출이 불가하고, 결함의 존재 유무만 확인할 수 있을 뿐 결함깊이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와전류 검사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핸드헬드 펜슬 프로브(Handheld Pencil Probe)를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접근 또는 접촉시켜 와전류 검사를 수행하였다. 종래의 핸드헬드 펜슬 프로브는 프로브 팁이 돌출된 펜슬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핸드헬드 펜슬 프로브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공기역학적(Areodynamic) 구조를 검사하는데 많은 제한적 요소가 있다.
특히 블레이드의 에어포일(Airfoil)은 컨케이브(Concave)의 오목한 형상과 컨벡스(Convex)의 볼록한 형상이 공기역학적 구조로 뒤틀린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와전류 프로브(Probe)의 팁(Tip)부분이 블레이드 에어포일(Airfoil)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접촉하기가 쉽지 않고, 손으로 핸드헬드 펜슬 프로브를 잡고 스캐닝(Scanning)하기 때문에 리프트 오프(Lift-off)나 떨림 현상 등이 발생되어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와전류 프로브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와전류 프로브가 냉각유로의 깊은 곳까지 삽입될 수 있어 냉각유로의 결함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방 이동블록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는 와전류 프로브와, 상기 본체 케이스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각유로에 삽입되는 상기 와전류 프로브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캡과, 상기 전방 이동블록 상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파이프 형상의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와전류 프로브에 전달하여 상기 와전류 프보르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하부면에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 스케일이 표시된 거리측정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방향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에 소정 이격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등이 구비되며, 후방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전류 프로브는 8자 형상으로 냉각유로의 결함과 비결함 신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양측에 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비교코일과 절대코일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어 상기 와전류 프로브와 연결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나사축 상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나사축에 전달하여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기어부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나사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너트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내측 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이 고정너트에 의해 회전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나사축의 회전 이동시 상기 와전류 프로브에 연결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나사축 후방 단부에 슬립링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전방 이동을 정지시키는 전방 리미티드 스위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후방 이동을 정지시키는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와,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후방 이동시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에 의하면,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는 와전류 프로브의 전,후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냉각유로의 깊이에 따라 자유롭게 삽입이 가능하며, 냉각유로 깊은곳까지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전류 프로브에 비교코일과 절대코일이 연결 설치됨에 따라 상호 비교 검사가 가능하여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가스 터빈의 냉각 유로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가스 터빈의 냉각 유로 검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가스 터빈의 냉각 유로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1)는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 내부에서 이격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20)과, 본체 케이스(10)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는 와전류 프로브(30)와, 본체 케이스(10)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각유로에 삽입되는 와전류 프로브(3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캡(40)과, 이동블록(20) 상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파이프 형상의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50)와, 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와전류 프로브(30)에 전달하여 와전류 프보르(30)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60) 및 구동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와전류 프로브(30)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1)의 구성 부재 및 그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10)는 추후에 설명될 이동블럭(20)이 포함된 구성 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체 케이스(10)의 상,하부면에는 추후에 설명될 와전류 프로브(30)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 스케일이 표시된 거리측정홈(1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추후에 설명될 구동모터(50)의 작동 방향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12)가 각각 구비되고, 이 작동 스위치(12)에 소정 이격하여 구동모터(5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등(13)이 구비되며, 후방 일측면에는 구동모터(50)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컨넥터(14)가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작동 스위치(12)는 구동모터(5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타측면에 위치하는 작동 스위치(12)는 구동모터(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작동 스위치(12)에 소정 이격된 LED 표시등(13)은 구동모터(50)의 정방향 회전시 녹색등으로 표시하며, 구동모터(50)의 역방향 회전시 적색등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동블록(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이동블록(20)은 전방 이동블록(21)과 후방 이동블록(22)으로 구분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방 이동블록(21)에는 추후에 설명될 구동모터(50)와 동력 전달부(60)의 나사축(61)과 가이드축(64)을 지지하며, 후방 이동블록(22)에는 추후에 설명될 가압부재(73)와 동력전달부(60)의 가이드축(64)을 지지한다.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전방에는 와전류 프로브(3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와전류 프로브(30)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추후에 설명될 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동력 전달부(60)로부터 전달받아 회전 이동되어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에 삽입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와전류 프로브(30)는 8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냉각유로의 결함과 비결함 신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양측면에 슬릿(31)이 각각 형성되어 비교코일과 절대코일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비교 코일과 절대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와전류 프로브(30)의 양측 단부에 컨넥터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전술한 본체 케이스(10) 전방에서 가이드 캡(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 캡(40)은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가 냉각유로에 직선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본체 케이스(1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킨다.
한편, 전술한 이동블록(20) 상에는 구동모터(50)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 구동모터(50)는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파이프 형상의 구동축을 갖는다. 전술한 구동모터(50)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모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명세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동력 전달부(6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동력 전달부(60)는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게 전술한 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력 전달부(60)는 전술한 이동블록(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어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와 연결 설치되는 나사축(61)과, 전술한 구동모터(50)의 구동축(51)과 나사축(61) 상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50)의 구동력을 전술한 나사축(61)에 전달하여 나사축(61)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기어부재(62)와,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전방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되는 나사축(6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너트(63)와, 본체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나사축(61)이 고정너트(63)에 의해 회전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이동블럭(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나사축(61)은 후방 단부에 슬립링(61a)이 연결 설치되어 회전 이동시 전술한 와전류 프로브(30)에 연결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구동 제어부(7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구동 제어부(70)는 냉각유로에 삽입되는 회전 이동되는 와전류 프로브(30)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동 제어부(70)는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거리측정홈(11)에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전술한 나사축(61)의 전방 이동을 제한시키는 전방 리미티드 스위치(71)와, 전술한 본체 케이스(10)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술한 나사축(61)의 후방 이동을 제한시키는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72)와, 전술한 후방 이동블록(22) 상에 고정 설치되어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72)를 가압하는 가압부재(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의 깊이만큼 삽입될 와전류 프로브(30)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전방 리미티드 스위치(71)를 본체 케이스(10)의 거리측정홈(11)에 위치 고정시킨 후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컨넥터(14)에 케이블을 연결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에 가이드 캡(40)을 위치시킨 후에 와전류 프로브(30)가 직선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작동 스위치(12)를 가압하여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킨다. 이때, 구동모터(50)는 정회전되며 LED 표시등(13)은 녹색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구동모터(50)가 정회전되면 한 쌍의 기어부재(62)와, 본체 케이스(10)의 전방 내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너트(63)에 의해 이동블록(20)과 나사축(61)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나사축(61)에 연결 설치된 와전류 프로브(30)도 함께 전방으로 회전 이동되어 검사를 실시한다. 이때 와전류 프로브(30)는 냉각유로의 깊이만큼 도달하면 전방 이동블록(21)이 전방 리미티드 스위치(71)를 가압하여 구동모터(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와전류 프로브(30)가 냉각유로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구동모터(50)의 작동이 정지된 이후에는 본체 케이스(10)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작동 스위치(12)를 가압하여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킨다. 이때, 구동모터(50)는 역회전되며 LED 표시등(13)은 적색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구동모터(50)가 역회전되면 한 쌍의 기어부재(62)와, 본체 케이스(10)의 전방 내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너트(63)에 의해 이동블록(20)과 나사축(61)이 후방으로 이동되며, 나사축(61)에 연결 설치된 와전류 프로브(30)도 후방으로 회전 이동하여 원 위치된다. 이때 와전류 프로브(30)가 원 위치되면 후방 이동블록(22)에 고정 설치된 가압부재(73)가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72)를 가압하여 구동모터(5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냉각유로의 검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1: 냉각유로 검사장치
10: 본체 케이스
11: 거리측정홈 12: 작동 스위치
13: LED 표시등 14: 컨넥터
20: 이동블록
21: 전방 이동블록 22: 후방 이동블록
30: 와전류 프로브
31: 슬릿
40: 가이드 캡
50: 구동모터
60: 동력 전달부
61: 나사축 62: 한 쌍의 기어부재
63: 고정너트 64: 가이드축
70: 구동 제어부
71: 전방 리미티드 스위치 72: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
73: 가압부재

Claims (6)

  1.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방 이동블록;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스터빈의 냉각유로의 결함을 검출하는 와전류 프로브;
    상기 본체 케이스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각유로에 삽입되는 상기 와전류 프로브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캡;
    상기 전방 이동블록 상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파이프 형상의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와전류 프로브에 전달하여 상기 와전류 프보르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회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하부면에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 스케일이 표시된 거리측정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방향을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작동 스위치에 소정 이격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등이 구비되며, 후방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 프로브는 8자 형상으로 냉각유로의 결함과 비결함 신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양측에 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비교코일과 절대코일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어 상기 와전류 프로브와 연결 설치되는 나사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나사축 상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나사축에 전달하여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기어부재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되는 상기 나사축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너트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내측 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나사축이 고정너트에 의해 회전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의 회전 이동시 상기 와전류 프로브에 연결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나사축 후방 단부에 슬립링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전방 이동을 정지시키는 전방 리미티드 스위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후방 이동을 정지시키는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와, 상기 와전류 프로브의 후방 이동시 후방 리미티드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KR1020140053431A 2014-05-02 2014-05-02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KR20150126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31A KR20150126491A (ko) 2014-05-02 2014-05-02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31A KR20150126491A (ko) 2014-05-02 2014-05-02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91A true KR20150126491A (ko) 2015-11-12

Family

ID=5460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431A KR20150126491A (ko) 2014-05-02 2014-05-02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64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2470A (zh) * 2015-12-31 2017-07-07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涡流检测的探头传动装置
CN107991382A (zh) * 2017-10-16 2018-05-04 中广核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涡流检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2470A (zh) * 2015-12-31 2017-07-07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涡流检测的探头传动装置
CN106932470B (zh) * 2015-12-31 2023-08-18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涡流检测的探头传动装置
CN107991382A (zh) * 2017-10-16 2018-05-04 中广核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涡流检查装置
CN107991382B (zh) * 2017-10-16 2024-04-05 中广核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涡流检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4535B2 (ja) 管状コンポーネントの内部輪郭または外部輪郭を測定する装置
US201900918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pipe weld joint
JPH11160286A (ja) タービン羽根検査装置及びタービン羽根を検査する方法
US20140067185A1 (en) In-situ robotic inspection of components
US9523712B2 (en) Eddy current probe rotator
CN202486104U (zh) 一种检测汽轮机枞树型叶根的系统
JP5085115B2 (ja) 水車構造物の三次元欠陥検査装置
KR20150126491A (ko) 가스터빈의 냉각유로 검사장치
US9970901B2 (en) Device for the nondestructive test of a part
JP2009186446A (ja) タービンロータ翼溝部の探傷方法及び装置
CN110186826A (zh) 一种制粉系统、检测煤粉浓度和粒径的装置和方法
KR101289921B1 (ko) 와전류 프로브
CN202066834U (zh) 一种无损检测装置
US202101464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chining a component by removing material
WO2016076316A1 (ja) 渦電流探傷装置および渦電流探傷方法
US8395378B2 (en) Nondestructive robotic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120000725U (ko) 접촉식 변위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터빈로터 간극 측정장치
KR20180126274A (ko) Ect 센서 어레이 고정기 및 이를 이용한 검사대상물의 표면 결함 검사장치
CN107063052A (zh) 一种空间内孔轴线角度检测设备
JP2013124978A (ja) 配管挿入型超音波探傷装置
CN201548523U (zh) 气阀涡流探伤装置
CN108132300B (zh) 一种用于风电叶片后缘合模胶黏剂对穿测试的工装及方法
KR101174211B1 (ko) 블레이드 에지부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가이드 고정장치
CN208206878U (zh) 一种带电作业用绝缘管的超声检测装置
US20160123932A1 (en) Method for ultrasound scanning of a weld build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