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446A -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446A
KR20150126446A KR1020140053218A KR20140053218A KR20150126446A KR 20150126446 A KR20150126446 A KR 20150126446A KR 1020140053218 A KR1020140053218 A KR 1020140053218A KR 20140053218 A KR20140053218 A KR 20140053218A KR 20150126446 A KR20150126446 A KR 20150126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rum
chip
retinispora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906B1 (ko
Inventor
안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도목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도목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도목재산업
Priority to KR102014005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 등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큐빅 형태의 편백나무 칩 표면을 연마하거나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고, 가공시에 편백나무 가루가 칩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상품성을 높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과,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고 편백나무 칩이 채워지는 드럼과, 테이블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드럼의 바닥을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트레이와, 드럼 내부의 편백나무 가루를 흡입할 수 있도록 트레이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집진기와 연결되는 흡입구 및, 드럼 내벽에 설치되어 트레이 회전시 상승하는 편백나무 칩을 하향시키기 위한 가이드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트레이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을 연마할 수 있도록 사포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에 달라붙은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고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가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타격 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Cypress chip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 등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큐빅 형태의 편백나무 칩 표면을 연마하거나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고, 가공시에 편백나무 가루가 칩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상품성을 높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톤치드(phytoncide)는 나무가 곰팡이나 세균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뿜는 물질로 항균, 살균, 이완·진정효과가 있어 인간 건강에도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10년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편백 숲이 소나무 숲에 비해 피톤치드의 함량이 1.5배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잎사귀에 함유된 피톤치드 함량에서도 편백은 소나무에 비해 3.9배, 잣나무에 비해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나무 칩은 상기와 같은 피톤치드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큐빅 형태로 가공하여 베개의 충전재, 입욕제 등으로 사용하는 제품을 말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574호(2014. 1. 20. 공개)에는 베개용 편백나무 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동 공보를 참조하면, 종래의 베개용 편백나무 칩의 제조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편백나무 칩을 담을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양측이 지지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하우징의 내측 중심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된 회전축과, 회전축의 양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이 뜬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하우징 회전장치와,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회전장치 및,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편백나무 칩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집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하우징 내면 양 측벽에는 사포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베개용 편백나무 칩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편백나무 칩이 담긴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편백나무 칩이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된 사포와 부딪쳐 연마가 이루어진다.
연마과정에서 발생한 편백나무 가루는 하우징 외측으로 날려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집진기에 의해 집진된다.
이 경우, 사포에 의한 연마로 편백나무 칩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할 수 있으나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어 충전재로 사용시에는 인체에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마과정에서 발생한 편백나무 가루가 하우징 내부를 부유하는 중에 편백나무 칩에 다시 달라붙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속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편백나무 가루의 집진이 하우징 외측으로 날려 공기 중에 떠다니는 상태에서 집진이 이루어지므로 집진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베개 등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큐빅 형태의 편백나무 칩 표면을 연마하거나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고, 가공시에 편백나무 가루가 칩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상품성을 높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테이블과,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고 편백나무 칩이 채워지는 드럼과, 테이블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드럼의 바닥을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트레이와, 드럼 내부의 편백나무 가루를 흡입할 수 있도록 트레이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집진기와 연결되는 흡입구 및, 드럼 내벽에 설치되어 트레이 회전시 상승하는 편백나무 칩을 하향시키기 위한 가이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드럼은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 일부분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편백나무 칩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편백나무 칩을 꺼낼 수 있도록 드럼 하부 측벽에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회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트레이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을 연마할 수 있도록 사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트레이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에 달라붙은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고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가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타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타격 돌기는 구 형태를 이루되 표면이 다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는 그 회전축이 테이블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테이블 하부에 장착된 모터로부터 동력전달부재를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개 등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큐빅 형태의 편백나무 칩 표면을 연마하거나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고, 가공시에 편백나무 가루가 칩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뷰 방향을 달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다른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의 실시 예는 테이블(10)과, 테이블(10)에 고정 설치되고 편백나무 칩이 채워지는 드럼(20)과, 테이블(1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드럼(20)의 바닥을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트레이(30)와, 드럼(20) 내부의 편백나무 가루를 흡입할 수 있도록 트레이(30)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집진기(미도시)와 연결되는 흡입구(40) 및, 드럼(20) 내벽에 설치되어 트레이(30) 회전시 상승하는 편백나무 칩을 하향시키기 위한 가이드판(50)이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60은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박스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테이블(10)은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드럼(2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드럼(20)은 가공하고자 하는 편백나무 칩이 소정량 채워지고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테이블(10)에 고정 설치된다.
트레이(30)는 드럼(20)의 바닥을 구성하고 테이블(1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드럼(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20) 내부에 채워지는 편백나무 칩은 트레이(30) 위에 놓이게 된다.
흡입구(40)는 트레이(30)가 회전함에 따라 편백나무 칩이 연마되거나 모서리가 둥글게 가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백나무 가루를 집진기를 통해 수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빨아당김으로써 부유 상태의 편백나무 가루가 드럼(20)과 트레이(30) 외경 사이의 틈을 통해 트레이(30)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40)와 연결된 집진기를 통해 드럼(20) 내부를 부유 중인 편백나무 가루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판(50)은 트레이(30)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20) 내벽을 타고 상승하는 편백나무 칩을 하향시켜 재차 연마되거나 둥글게 가공되도록 한다.
즉, 가이드판(50)은 드럼(20) 내벽에 설치되어 트레이(30)의 회전방향에 대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편백나무 칩을 드럼(20)에 투입하여 드럼(20) 내에 소정량의 편백나무 칩을 채운 상태에서, 트레이(30)를 회전시키면 편백나무 칩이 상호 부딪히거나 드럼(20) 내벽, 트레이(30)와의 마찰로 인하여 편백나무 칩의 표면이 연마되거나 편백나무 칩의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가공된다.
이때, 집진기의 작동으로 흡입구(40)를 통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는데, 편백나무 칩의 연마나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백나무 가루가 드럼(20) 내벽과 트레이(30)의 외경 사이의 틈을 통해 트레이(30)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흡입구(40)를 통해 집진기로 이송되어 수거되게 된다.
따라서 가공된 편백나무 칩에 편백나무 가루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기 위한 후속공정을 줄임으로써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드럼(20)은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70) 일부분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편백나무 칩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71)가 형성되고, 편백나무 칩을 꺼낼 수 있도록 드럼(20) 하부 측벽에 슬라이드 도어(80)에 의해 개폐되는 회수구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드럼(20)은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70)이 설치되고, 상판(70) 일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편백나무 칩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투입구(71)를 형성한다.
또한 드럼(20) 하부 측벽에는 가공된 편백나무 칩을 꺼낼 수 있도록 회수구가 천공되고, 회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도어(80)가 설치되며, 회수구로부터 연장되어 편백나무 칩을 모으기 위한 미끄럼판(81)이 마련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상판(70) 일부분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투입구(71)를 통해 드럼(20) 내부에 편백나무 칩을 투입할 수 있고, 편백나무 칩 가공시에는 드럼(20) 상측으로 편백나무 칩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백나무 칩의 가공이 완료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도어(80)를 들어올려 회수구를 개방한 다음 편백나무 칩을 쓸어내어 모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트레이(30)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을 연마할 수 있도록 사포(90)가 부착된다.
상기의 구성은 편백나무 칩 표면을 더욱 연마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30)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20) 내부에서 편백나무 칩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불규칙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트레이(30) 상면에 부착된 사포(90)가 편백나무 칩 표면을 갈아 더욱 매끄럽게 가공한다.
다음, 상기의 트레이(30)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에 달라붙은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고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가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타격 돌기(100)가 형성된다.
첨부도면 6을 참조하면, 트레이(30)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20) 내부에서 편백나무 칩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불규칙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트레이(30) 상면에 형성된 타격 돌기(1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 편백나무 칩 표면에 붙은 편백나무 가루가 떨어져 나가가고, 모서리부분이 무뎌져 둥글게 가공된다.
여기서, 타격 돌기(100)는 구 형태를 이루되 편백나무 칩 모서리를 깎아 무디게 하고, 편백나무 칩 표면에 마찰을 주어 광택을 낼 수 있도록 표면이 다면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사포(90)에 의해 연마공정을 거친 편백나무 칩을 트레이(30)에 타격 돌기(100)가 형성된 드럼(20) 내부에 재투입하여, 트레이(30) 회전시 편백나무 칩에 달라붙은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고, 타격 돌기(100)와의 충돌로 모서리부분이 무뎌져 둥글게 가공되며, 타격 돌기(100)와의 마찰로 표면에 광택을 낼 수 있게 된다.
물론, 편백나무 칩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편백나무 가루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기의 흡입력에 의해 트레이(30)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흡입구(40)를 통해 집진기로 수거된다.
따라서 편백나무 칩에 편백나무 가루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기 위한 후속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트레이(30)는 그 회전축(31)이 테이블(10)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테이블(10) 하부에 장착된 모터(32)로부터 동력전달부재(33)를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즉, 회전축(31)에 트레이(30)가 축설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지지된 상태에서 축(31) 하단부가 풀리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테이블(10)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테이블(10) 하부에 장착된 모터(32)는 그 회전축에 풀리가 결합되고, 동력전달부재(33)인 풀리, 벨트에 의해 트레이(30)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의 구성은 트레이(30)의 회전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모터(32)의 회전축 상에 트레이(30)를 직결시키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테이블
20: 드럼
30: 트레이
31: 회전축
32: 모터
33: 동력전달부재
40: 흡입구
50: 가이드판
60: 컨트롤박스
70: 상판
71: 투입구
80: 슬라이드 도어
81: 미끄럼판
90: 사포
100: 타격 돌기

Claims (6)

  1.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고 편백나무 칩이 채워지는 드럼과,
    상기 테이블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을 구성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트레이와,
    상기 드럼 내부의 편백나무 가루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집진기와 연결되는 흡입구 및,
    상기 드럼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 회전시 상승하는 편백나무 칩을 하향시키기 위한 가이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판 일부분이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편백나무 칩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편백나무 칩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드럼 하부 측벽에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회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을 연마할 수 있도록 사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면에 편백나무 칩에 달라붙은 편백나무 가루를 털어내고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가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타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돌기는 구 형태를 이루되 표면이 다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그 회전축이 상기 테이블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하부에 장착된 모터로부터 동력전달부재를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KR1020140053218A 2014-05-02 2014-05-02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KR10167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218A KR101672906B1 (ko) 2014-05-02 2014-05-02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218A KR101672906B1 (ko) 2014-05-02 2014-05-02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46A true KR20150126446A (ko) 2015-11-12
KR101672906B1 KR101672906B1 (ko) 2016-11-04

Family

ID=5460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218A KR101672906B1 (ko) 2014-05-02 2014-05-02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18A (ko) * 2016-12-02 2018-06-14 (주)수인테크 생산효율을 향상한 편백나무 칩 제조장치
KR102194192B1 (ko) * 2020-04-27 2020-12-22 최선귀 편백큐브의 제조공정시스템
KR102194181B1 (ko) * 2020-04-27 2020-12-22 최선귀 편백큐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편백큐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399B1 (ko) * 1999-09-27 2002-07-15 김성식 곡물탈피 및 분쇄장치
KR100807782B1 (ko) * 2007-08-28 2008-03-03 박재명 탈피부재 및 이를 구비한 밤 외피 탈피장치
KR100849498B1 (ko) * 2007-08-23 2008-07-31 윤기석 껍질탈피장치 및 그를 이용한 껍질탈피방법
KR20140007574A (ko) * 2012-07-09 2014-01-20 송영준 베개용 편백나무 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399B1 (ko) * 1999-09-27 2002-07-15 김성식 곡물탈피 및 분쇄장치
KR100849498B1 (ko) * 2007-08-23 2008-07-31 윤기석 껍질탈피장치 및 그를 이용한 껍질탈피방법
KR100807782B1 (ko) * 2007-08-28 2008-03-03 박재명 탈피부재 및 이를 구비한 밤 외피 탈피장치
KR20140007574A (ko) * 2012-07-09 2014-01-20 송영준 베개용 편백나무 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18A (ko) * 2016-12-02 2018-06-14 (주)수인테크 생산효율을 향상한 편백나무 칩 제조장치
KR102194192B1 (ko) * 2020-04-27 2020-12-22 최선귀 편백큐브의 제조공정시스템
KR102194181B1 (ko) * 2020-04-27 2020-12-22 최선귀 편백큐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편백큐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906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70420U (zh) 一种多功能环保磨粉机
KR101672906B1 (ko) 편백나무 칩 가공장치
US10493465B2 (en) Meat grinder with storage tray and cover
CN206325672U (zh) 一种中草药研磨粉碎除湿装置
US2794454A (en) Tick filling machines
CN106622482A (zh) 一种中草药研磨粉碎除湿装置
CN107088807B (zh) 磨球机
KR101242588B1 (ko) 우산 건조기
CN107019477A (zh) 洗碗机
CA2568313A1 (en) Grinding mill with air recirculation
CN106852676A (zh) 一种鞋底灰尘清洁装置
CN209162721U (zh) 具有碎石收纳箱的吸叶机
CN105937256B (zh) 一种改进型水槽
CN107486400B (zh) 一种多功能异色绒拣选机
KR102194181B1 (ko) 편백큐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편백큐브
CN109107648B (zh) 一种组合式高效中药研磨器
KR101571625B1 (ko) 곡물 기피장치
CN105691657B (zh) 西药片剂分装器
CN108435353A (zh) 一种煳辣椒粉碎机
CN205462414U (zh) 一种强力破碎机
CN205392672U (zh) 一种用于肉类加工的新型绞肉装置
KR102194192B1 (ko) 편백큐브의 제조공정시스템
CN208371637U (zh) 食物处理机
JP3199163U (ja) 卓上掃除機
CN205090758U (zh) 一种用于干燥瓶身和瓶底的新型干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