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320A -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 Google Patents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320A
KR20150126320A KR1020150147074A KR20150147074A KR20150126320A KR 20150126320 A KR20150126320 A KR 20150126320A KR 1020150147074 A KR1020150147074 A KR 1020150147074A KR 20150147074 A KR20150147074 A KR 20150147074A KR 20150126320 A KR20150126320 A KR 20150126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corner
clean room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창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창조
Priority to KR102015014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6320A/ko
Publication of KR2015012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24F3/1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클린룸용 덕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시간, 인력 및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벽면프레임을 개시한다. 명세서에 따른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은, 벽면밀착프레임;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벽면외측프레임;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벽면내측프레임;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끝 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패널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에 연결된 벽면지지프레임; 및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중심에 곡면부가 형성되며,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으로서, 상기 곡면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벽면밀착프레임과 나란하며, 상기 곡면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끝 단과 일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WALL FLAME FOR CLEAN ROO DUCT}
본 발명은 클린룸용 덕트를 제작하기 위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작업 요소를 줄여 간편하게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한 클린룸용 덕트를 제작할 수 있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및 미세 전자 소자 등은 그 제조에 있어서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클린룸에서 제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병원 및 의학. 제약 연구실 역시 높은 수준의 청정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클린룸은 온도, 습도 및 파티클(마이크로 단위의 미세 입자 등) 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제품 제조 단계에서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구실에서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린룸에는 내부 공간에 이와 같은 청정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공조 장치를 통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 등이 조절되고, 파티클의 유입이 방지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해 공기의 이동 통로인 덕트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클린룸의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린룸(10)은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냉난방수단이 구비된 공기조화기(40)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순환된다. 클린룸(10)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기(40)로부터 공기(A)를 유입받는 공기유입덕트(20)와, 클린룸(10) 내부를 순환한 공기(A')를 공기조화기(40)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덕트(30)가 각각 구비된다.
종래 공기유입덕트(20)와 공기배출덕트(30)를 클린룸(10)에 시공할 때는, 덕트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프레임(31)을 설치하고, 프레임(31)에 패널(33)들을 결합한다. 그리고, 프레임(31)과 패널(33)의 위치고정을 위해 브래킷(35)들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해 결합해야 한다. 또한, 기밀누설을 위해 실리콘으로 패킹을 해야 한다.
또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후드관(37)을 결합시키기 위해 다시 체결부재를 이용해 체결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 덕트 시공과정은 작업공수가 많고 복잡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러한 덕트 시공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되어 클린룸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913호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린룸용 덕트 제작이 용이한 벽면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은, 벽면밀착프레임;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벽면외측프레임;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벽면내측프레임;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끝 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패널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에 연결된 벽면지지프레임; 및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중심에 곡면부가 형성되며,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으로서, 상기 곡면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벽면밀착프레임과 나란하며, 상기 곡면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끝 단과 일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끝 단 바깥 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의 안쪽 면 중 상기 패널수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은,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클린룸 덕트용 코너프레임; 및 패널;을 포함하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린룸용 덕트를 제작하는 시간,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패널을 미리 재단하여 클린룸용 덕트를 제작할 수 있어서 작업 현장의 소음 및 분진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클린룸의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너프레임의 단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프레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벽면프레임의 단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저면도이다.
도 2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프레임 및 벽면 프레임 결합체를 이용하여 구성한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은 코너외측프레임(110), 코너내측프레임(120) 및 코너지지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은 중심에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을 사용하여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만들었을 때, 디자인 및 기능적으로 부드러운 곡면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은 양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을 사용하여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만들었을 때,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 전체적으로 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은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은 양 끝 단이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의 양 끝 단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과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은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만들 때 사용할 패널의 두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코너지지프레임(130)은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과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과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코너지지프레임(130)은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2) 및 곡면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31) 및 상기 제2 지지부(132)는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 및 코너내측프레임(120)의 양 끝 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패널수용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곡면지지부(133)는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의 곡면부 안쪽 면과 코너내측프레임(120)의 바깥 면 중 상기 곡면부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널수용부(140)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만들 때 사용되는 패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지지부(131) 및 상기 제2 지지부(132)의 길이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만들 때 사용할 패널의 두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은 중심이 직각으로 접힐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은,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중심에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곡면지지부(133)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은 이하 설명될 벽면프레임(200)과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의 양 끝 단 안쪽 면에는 외측단차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의 양 끝 단 바깥 면에는 내측단차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 및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단차부(111)는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단차부(121)는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단차부(111)는 상기 코너외측프레임(110)을 깎아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단차부(121)는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에 동일/유사한 재질을 덧붙여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은 사출방식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외측단차부(111) 및 상기 내측단차부(121)는 사출단계에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측단차부(121)의 단차가 형성된 위치가 상기 외측단차부(111)의 단차가 형성된 위치보다 상기 제1 지지부(131) 및 제2 지지부(132)에 더 근접할 수 있다. 단차가 형성된 위치를 다르게 할 경우, 상기 내측단차부(121)와 상기 외측단차부(111)가 이하에서 설명될 벽면프레임(200)과 결합할 때 접하는 면적이 서로 다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결합이 해체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내측프레임(120)의 안쪽 면 중 상기 패널수용부(140)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패널을 상기 패널수용부(140)에 넣은 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해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22)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위치가 일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22)의 개수 및 위치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사용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9에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너프레임(100)의단면이 측면과 수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의 단면은 반드시 수직인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의 단면은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각도(예: 45도)를 가지도록 제작(또는 절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벽면프레임(200)은 벽면밀착프레임(210), 벽면외측프레임(220), 벽면내측프레임(230), 벽면지지프레임(240) 및 곡면프레임(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밀착프레임(2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상기 클린룸의 벽면과 접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벽면밀착프레임(210)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벽면밀착프레임(210)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과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은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사용될 패널의 두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벽면지지프레임(240)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지지프레임(240)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의 끝 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패널수용부(260)를 형성하도록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벽면지지프레임(240)의 길이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사용될 패널의 두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곡면프레임(250)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중심에 곡면부가 형성되며, 양 끝 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곡면프레임(250)의 일단은 상기 벽면밀착프레임(210)과 나란하며, 상기 곡면프레임(250)의 타단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과 끝 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곡면프레임(250)의 일단은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클린룸의 벽면과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하였을 때,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와 벽면 사이 부분을 디자인 및 기능적으로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와 벽면 사이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의 길이는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의 길이는 상기 코너프레임(100)에 포함된 코너내측프레임(120)에 형성된 내측단차부(121)의 길이 및 위치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외측프레임(220)의 끝 단 바깥 면에는 단차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21)의 높이 및 길이는 상기 코너프레임(100)에 포함된 코너외측프레임(110)에 형성된 외측단차부(111)의 위치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내측프레임(230)의 안쪽 면 중 상기 패널수용부(260)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패널을 상기 패널수용부(260)에 넣은 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해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231)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위치가 일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31)의 개수 및 위치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사용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밀착프레임(210)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제작할 때, 상기 벽면밀착프레임(210)은 클린룸의 벽면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해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211)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위치가 일정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11)의 개수 및 위치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사용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8에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벽면프레임(200)의 단면이 측면과 수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벽면프레임(200)의 단면은 반드시 수직인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벽면프레임(200)의 단면은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각도(예: 45도)를 가지도록 제작(또는 절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 및 벽면프레임(200)은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는 코너프레임(100), 벽면프레임(200) 및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해 코너프레임(100), 벽면프레임(200) 및 패널(300)의 결합 및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의 두께 및 길이는 요구되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술하였듯이, 본 명세서에 따른 코너프레임(100) 및 벽면프레임(200)은 결합이 가능하다. 도 21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코너프레임(100) 및 벽면프레임(200)이 결합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명칭 및 역할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바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8에는 단면이 소정의 각도의 각도를 가진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단면은 측면과 수직일 수 있으며, 단면은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9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해 코너프레임(100) 및 벽면프레임(200)이 결합체의 결합 및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코너프레임(100) 및 벽면프레임(200)이 결합체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측면에 패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덕트를 제작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구성들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코너프레임
110 : 코너외측프레임
111 : 외측단차부
120 : 코너내측프레임
121 : 내측단차부
122 : 가이드 홈
130 : 코너지지프레임
131 : 제1 지지부
132 : 제2 지지부
133 : 곡면지지부
140 : 패널수용부
200 : 벽면프레임
210 : 벽면밀착프레임
211 : 가이드 홈
220 : 벽면외측프레임
221 : 단차부
230 : 벽면내측프레임
231 : 가이드 홈
240 : 벽면지지프레임
250 : 곡면프레임
300 : 패널

Claims (6)

  1. 벽면밀착프레임;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벽면외측프레임;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벽면내측프레임;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끝 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여 패널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에 연결된 벽면지지프레임; 및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중심에 곡면부가 형성되며,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으로서,
    상기 곡면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벽면밀착프레임과 나란하며, 상기 곡면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벽면외측프레임과 끝 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외측프레임의 끝 단 바깥 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내측프레임의 안쪽 면 중 상기 패널수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밀착프레임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클린룸 덕트용 코너프레임; 및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용 덕트 조립체.
KR1020150147074A 2015-10-22 2015-10-22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KR20150126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74A KR20150126320A (ko) 2015-10-22 2015-10-22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74A KR20150126320A (ko) 2015-10-22 2015-10-22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320A true KR20150126320A (ko) 2015-11-11

Family

ID=5460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74A KR20150126320A (ko) 2015-10-22 2015-10-22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63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259B2 (en) Flush mounted frame for an access panel or register
ES2790868T3 (es) Unidad de fuente de calor
KR20110056109A (ko)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US11326806B2 (en)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JP49189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956642B1 (ko) 클린룸 공조 시스템 및 클린룸용 시스템 실링
KR101824701B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프레임 구조체
KR20150126320A (ko) 클린룸 덕트용 벽면프레임
KR102302440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KR20150126321A (ko) 클린룸 덕트용 코너프레임
KR100953201B1 (ko)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JP2018119738A (ja) 天井埋込ダクト型空気調和機
CN109564026B (zh) 空气处理机组
KR100824368B1 (ko) 환기유니트의 열교환소자용 고정구
JP2014224663A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0908546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891260B1 (ja) 防爆クリーンルームの天井部気密構造
JP5961751B2 (ja) 空気調和機
JP6035179B2 (ja) 空気調和機
KR102128462B1 (ko) 산업용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KR101064556B1 (ko) 이종 케이싱 조립용 프레임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TW201713906A (zh) 氣流交換裝置
KR20100027305A (ko) 공기조화기
KR20160123447A (ko)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JP6581393B2 (ja) 空気調和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