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147A -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147A
KR20150126147A KR1020140053329A KR20140053329A KR20150126147A KR 20150126147 A KR20150126147 A KR 20150126147A KR 1020140053329 A KR1020140053329 A KR 1020140053329A KR 20140053329 A KR20140053329 A KR 20140053329A KR 20150126147 A KR20150126147 A KR 2015012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lding
polyethylene pipe
polyethylene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355B1 (ko
Inventor
김새미
Original Assignee
유라이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라이닝(주) filed Critical 유라이닝(주)
Priority to KR102014005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3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PE파이프 생산공법에서,
(1) 원형 단면의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폴리에틸렌칩(polyethylene chip)으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2)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외주면의 한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어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폴딩단계; (3) 외부에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만드는 견인단계; (4) 상기 견인단계에서 감소된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테이프고정단계; 및, (5)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로 고정된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원형틀에 감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와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 그리고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는 끊김없이 연속된 과정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으로 생산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1)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 구역을 선정하여 상기 관로 양단에 작업을 위한 맨홀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2) CCTV로 상기 관로 내부의 손상부위를 파악하는 검색단계; (3) 브러시를 구비한 청소장치를 상기 관로에 투입하여 관로 내벽의 이물질은 청소하는 청소단계; (4) 상기 원형틀에서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풀어 상기 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양단은 절단하는 PE파이프거치단계; (5)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양단을 밀폐하고 내부를 가압 및 가열하여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팽창시켜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가압단계; 및, (6)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냉각시켜 안정화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jointless polyethylene pipe a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nd the pipeline repair method using the jointless polyethylene pipe}
본 발명은 PE파이프 생산공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길이로 절단된 PE파이프를 열융착하여 길게 연결하고 이를 수작업으로 접어 원형틀에 감게 되므로 열융착 부위가 파손되는 등 하자가 발생하는 종래의 공법의 단점을 보완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관 및 하수관을 포함한 관로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 내부에 삽입하여 보강하는 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PE파이프는 보통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1) 아래 사진과 같이 먼저 원형의 PE파이프가 약 8m 길이로 절단되어 운반된다.
Figure pat00001
(2) 아래 사진과 같이 절단되어 운반된 PE파이프를 열융착 방법을 사용하여 약 50~150m 길이로 연결한다.
Figure pat00002

(3) 수작업으로 PE파이프를 U형으로 접는다.
(4) 아래 그림과 같이 접힌 PE파이프를 원형틀에 감는다.
Figure pat00003

위와 같은 종래의 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열을 가한 연결 작업(열융착 연결 방법)으로 원재료의 물성 변화.
열융착된 연결부위가 경화되고 굳어지는 고형화로 인하여 PE파이프의 유연성 감소한다. 따라서 원형틀에 PE파이프를 감을 때와 현장에서 시공을 위해 원형틀에서 PE파이프를 풀 때 상기 열융착된 연결부위의 파손이 자주 발생한다.
2. 연결 부위가 돌출되어 통수시 유속 저하.
연결부위의 돌출은 열융착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관로에 삽입된 PE파이프에서 연결부위의 관경(r)이 원래관경(R)보다 연결부위의 돌출로 인하여 줄어들어 유속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E파이프 내부를 압력이 가해져 빠르게 이동되는 물, 모래, 이물질 등에 의해 돌출부위가 손상을 입으며, 이로 인해 연결부위의 하자가 발생한다.
Figure pat00004

3. 연결 작업의 어려움.
보통 열융착 방법은 (1) PE파이프 절단면 오염제거 (2) 운반시 변형된 PE파이프의 단면 원형가공 (3) 절단면의 수평가공 (4) 절단면의 가열 (5) 2개의 PE파이프 양단을 마주하고 상호간을 압착 등 여러 일련의 공정을 거친다.
더구나 길이 100m의 PE파이프를 제작하려면 약 12번 이상 연결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열융착 부위오염, 제작공기의 증가, 제작비의 증가 등이 발생하며 미숙련공이 작업할 경우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Figure pat00005
또한, 위의 그림과 같이 열융착면의 단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워 제작과정에서 연결부위의 파손이 발생함과 동시에 관로 삽입후 연결부위의 파손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21481호 ‘상하수 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및 장치’, 2009.10.31.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86199호 ‘관로 부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방법’, 2010.10.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PE파이프 상호간을 연결하는 이음부가 없으므로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논스톱 생산이 가능하도록 여러 생산장치를 일렬로 배치하여 전자동으로 PE파이프를 연속하여 제작하므로 품질의 저하가 없고 공기 및 공비 절감이 가능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간단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실현하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생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PE파이프 생산공법에서,
(1) 원형 단면의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폴리에틸렌칩(polyethylene chip)으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2)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외주면의 한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어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폴딩단계; (3) 외부에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만드는 견인단계; (4) 상기 견인단계에서 감소된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테이프고정단계; 및, (5)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로 고정된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원형틀에 감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와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 그리고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는 끊김없이 연속된 과정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PE파이프 상호간을 연결하는 이음부가 없으므로 하자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을 제공한다.
둘째, 논스톱 생산이 가능하도록 여러 생산장치를 일렬로 배치하여 전자동으로 PE파이프를 연속하여 제작하므로 품질의 저하가 없고 공기 및 공비 절감이 가능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제공한다.
셋째, 간단한 구조와 기능으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실현하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딩장치의 수평단면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견인장치 및 바인딩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인딩장치를 사용하여 PE파이프에 테이프를 감은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장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장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딩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은 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PE파이프 생산공법에서,
(1) 원형 단면의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폴리에틸렌칩(polyethylene chip)으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2)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외주면의 한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어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폴딩단계; (3) 외부에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만드는 견인단계; (4) 상기 견인단계에서 감소된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테이프고정단계; 및, (5)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로 고정된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원형틀에 감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와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 그리고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는 끊김없이 연속된 과정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압출성형단계는 우측부터 압출성형기, 다이스, 사이징 그리고 진공냉각조 및 분사냉각조를 차례로 배치하고 원형 단면의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폴리에틸렌칩(polyethylene chip)으로 압출성형하는 단계로써 종래부터 사용하던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되 단 종래공법과 다르게 절단하지 않고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다음 단계로 전달한다.
상기 (2) 폴딩단계는 상기 (1) 압출성형단계를 거쳐 연속적으로 전달된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외주면의 한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어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단계로써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은 상하좌우 어느 방향이라도 무관하나 되도록 측면에서 가해지는 것이 이후 단계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3) 견인단계는 상기 (2) 폴딩단계를 거쳐 연속적으로 전달된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상부 및 하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만드는 단계를 말하며, 상부 및 하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기능보다는 주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당기며 인장 또는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4) 테이프고정단계는 상기 견인단계에서 감소된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단계로써 PE 특성상 상온에서 원형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고려하여 접힌 상태로 최소 부피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T) 대신에 끈이나 와이어 등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5) 포장단계는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로 고정된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원형틀에 감는 단계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딩장치의 수평단면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폴딩장치(100)는 주로 상기 (2) 폴딩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4분원 형태의 블레이드(110); 및, 상기 블레이드(110)의 외곽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롤러바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레이드(110)의 관입깊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롤러바퀴(12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 측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고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40)가 눌러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는 수직단면도로써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 측면을 도 2(a`)와 같이 상기 롤러바퀴(12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 측면에 압력을 가해 단면이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도 2(b)는 수평단면도로써 도 2(b`)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40)가 각각 상하에서 눌러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만든다. 상기 블레이드(110)의 관입깊이를 조절하면 PE파이프의 다양한 관경이나 두께에 대응하여 본 단계를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딩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의 폴딩장치(100`)의 실시예는 상기 (2) 폴딩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고정대(110`);
상기 고정대(110`)에 부착되는 롤러바퀴(120`); 및,
개방된 측면으로 상기 롤러바퀴(120`)가 관입되어 있는 원통가이더(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롤러바퀴(120)의 관입깊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롤러바퀴(12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 측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고 상기 원통가이더(15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의 외면을 눌러 단면을 U자형으로 만들며 이어서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4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압착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견인장치 및 바인딩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견인장치(200)는 주로 상기 (3) 견인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롤러레일(210) 및 하부롤러레일(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가 상기 상부롤러레일(210) 및 하부롤러레일(220) 사이를 통과하며 당겨져 부피가 감소된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인딩장치를 사용하여 테이프를 감은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인딩장치(300)는 상기 견인장치(200)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견인장치(200)를 통과하여 나온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인딩장치(300)는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외주면을 한바퀴나 두바퀴 테이프(T)나 끈을 감는 통상적인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현장사정에 따라서 상기 바인딩장치(300)를 생략하고 인력으로 테이프(T)나 끈을 감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장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포장장치(400)는 상기 (5) 포장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단만 지지대(41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중단부터 타단까지는 개방된 회전축(420); 및, 상기 회전축(420)의 타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형틀(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틀(430)에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가 감기고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가 감긴 상기 원형틀(430)을 상기 회전축(420)의 타단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포장장치는 회전축의 양단이 지지대에 구속되고 원형틀이 상기 회전축의 중단에 설치되어 있어 PE파이프가 감긴 원형틀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대로부터 회전축을 분리하는 공정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장장치(400)는 종래의 회전축 분리 공정을 생략하여 바로 원형틀(430)이 회전축에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제작공기를 감소시켰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장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의 포장장치(400)는 지면에 설치된 본체지지판(450)의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회전축(440)을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원형틀(430)을 유격을 두고 회전시킬 수 있어 PE파이프가 상기 원형틀(430)에 균일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공법과 다르게, 압출 성형하여 PE파이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과 열융착하는 과정을 생략하였으며,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PE파이프를 ‘① 폴딩장치(100), ② 견인장치(200), ③ 바인딩장치(300) 및 ④ 포장장치(400)를 차례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U자로 접고 원형틀에 감아 관로 보수현장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은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으로 생산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1)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 구역을 선정하여 상기 관로 양단에 작업을 위한 맨홀을 굴착기로 굴착하는 굴착단계;
(2) 도 6(a)와 같이 CCTV를 탑재한 이동로봇을 상기 관로에 투입하여 상기 관로 내부의 손상부위를 파악하는 검색단계;
(3) 도 6(b)와 같이 브러시를 구비한 청소장치를 상기 관로에 투입하여 관로 내벽의 이물질은 청소하는 청소단계;
(4) 도 7(c)와 같이 상기 원형틀에 감겨있는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일단에 윈치를 연결하여 상기 원형틀에서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풀어 상기 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양단은 관로양단으로 조금 노출되도록 남기고 절단하는 PE파이프거치단계;
(5) 도 7(d)와 같이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양단을 밀폐하고 내부를 가압 및 가열하여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팽창시켜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가압단계; 및,
(6) 도 8(e)와 같이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냉각시켜 안정화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100`: 폴딩장치
110: 블레이드
110`: 고정대
120, 120`: 롤러바퀴
130, 130`: 상부롤러
140, 140`: 하부롤러
200: 견인장치
210: 상부롤러레일
220: 하부롤러레일
300: 바인딩장치
400: 포장장치
410: 지지대
420: 회전축
430: 원형틀

Claims (7)

  1. 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PE파이프 생산공법에서,
    (1) 원형 단면의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폴리에틸렌칩(polyethylene chip)으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2)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외주면의 한부분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어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폴딩단계;
    (3) 외부에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만드는 견인단계;
    (4) 상기 견인단계에서 감소된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테이프고정단계; 및,
    (5)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로 고정된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를 원형틀에 감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와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 그리고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는 끊김없이 연속된 과정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2. 제1항의 상기 (2) 폴딩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대(110`);
    상기 고정대(110`)에 부착되는 롤러바퀴(120`); 및,
    개방된 측면으로 상기 롤러바퀴(120`)가 관입되어 있는 원통가이더(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롤러바퀴(120)의 관입깊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롤러바퀴(12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 측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고 상기 원통가이더(15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의 외면을 눌러 단면을 U자형으로 만들며 이어서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4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를 당기면서 압착한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폴딩장치(100`).
  3. 제1항의 상기 (2) 폴딩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4분원 형태의 블레이드(110); 및,
    상기 블레이드(110)의 외곽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롤러바퀴(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레이드(110)의 관입깊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롤러바퀴(120)가 상기 원형PE파이프(polyethylene pipe) 측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접고 상부롤러(130) 및 하부롤러(140)가 눌러 단면이 U자형인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폴딩장치(100).
  4. 제1항의 상기 (3) 견인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롤러레일(210) 및 하부롤러레일(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1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가 상기 상부롤러레일(210) 및 하부롤러레일(220) 사이를 통과하며 당겨져 부피가 감소된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로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견인장치(200).
  5. 제4항에서,
    상기 견인장치(200)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견인장치(200)를 통과하여 나온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의 소정 길이마다 테이프(T)를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바인딩장치(300).
  6. 제1항의 상기 (5) 포장단계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단만 지지대(41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중단부터 타단까지는 개방된 회전축(420); 및,
    상기 회전축(420)의 타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형틀(4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원형틀(430)에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가 감기고 상기 2차폴딩PE파이프(folding polyethylene pipe)가 감긴 상기 원형틀(430)을 상기 회전축(420)의 타단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을 위한 포장장치(400).
  7. 제1항의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으로 생산된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1) 보수를 필요로 하는 관로 구역을 선정하여 상기 관로 양단에 작업을 위한 맨홀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2) CCTV로 상기 관로 내부의 손상부위를 파악하는 검색단계;
    (3) 브러시를 구비한 청소장치를 상기 관로에 투입하여 관로 내벽의 이물질은 청소하는 청소단계;
    (4) 상기 원형틀에서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풀어 상기 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양단은 절단하는 PE파이프거치단계;
    (5)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양단을 밀폐하고 내부를 가압 및 가열하여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팽창시켜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가압단계; 및,
    (6) 상기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냉각시켜 안정화시키는 냉각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1020140053329A 2014-05-02 2014-05-02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10158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29A KR101583355B1 (ko) 2014-05-02 2014-05-02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29A KR101583355B1 (ko) 2014-05-02 2014-05-02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47A true KR20150126147A (ko) 2015-11-11
KR101583355B1 KR101583355B1 (ko) 2016-03-28

Family

ID=5460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29A KR101583355B1 (ko) 2014-05-02 2014-05-02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8756A (zh) * 2016-02-27 2016-05-04 云南驰通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钢带增强中空双平壁聚乙烯缠绕排水管的生产方法
KR101996481B1 (ko) * 2018-07-19 2019-07-03 김정민 롤링 밀봉과 연속 폴딩을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튜브라이너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보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685A (ja) * 1998-05-15 1999-11-24 Kubota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ライナ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606188B1 (ko) * 2006-04-28 2006-07-31 동도기공 주식회사 노후 수도관의 비 굴착 pe 라이닝 갱생공법
KR100921481B1 (ko) 2009-04-20 2009-10-13 (주)크린텍 상하수 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및 장치
KR100986199B1 (ko) 2009-08-20 2010-10-07 (주)로터스지이오 관로 부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방법
KR101352688B1 (ko) * 2013-07-29 2014-01-17 이수기공(주) 노후 상수관 갱생용 절첩 라이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685A (ja) * 1998-05-15 1999-11-24 Kubota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ライナ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606188B1 (ko) * 2006-04-28 2006-07-31 동도기공 주식회사 노후 수도관의 비 굴착 pe 라이닝 갱생공법
KR100921481B1 (ko) 2009-04-20 2009-10-13 (주)크린텍 상하수 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및 장치
KR100986199B1 (ko) 2009-08-20 2010-10-07 (주)로터스지이오 관로 부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방법
KR101352688B1 (ko) * 2013-07-29 2014-01-17 이수기공(주) 노후 상수관 갱생용 절첩 라이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8756A (zh) * 2016-02-27 2016-05-04 云南驰通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钢带增强中空双平壁聚乙烯缠绕排水管的生产方法
KR101996481B1 (ko) * 2018-07-19 2019-07-03 김정민 롤링 밀봉과 연속 폴딩을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튜브라이너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355B1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100B1 (ko) 하수구 맨홀을 보수하기 위한 방법
RU2352853C2 (ru) Монтаж отверждаемой на месте облицовки с внутренним непроницаемым слоем и устройство
NO339436B1 (no) Harpiksimpregneringstårn for vulkanisert på stedet kledning
JPH0243024A (ja) 既存のパイプラインに挿入される熱可塑性の補修用のパイプ製品、パイプ製品を除去する方法及びパイプ製品の製造装置
US10113672B2 (en) Multilayer tube having a tubular inner film,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CN104690933A (zh) 一种热塑性缠绕增强塑料复合管的生产装置及制备方法
JP6851050B2 (ja) 管用ライナー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583355B1 (ko)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 생산공법 및 이를 위한 생산장치 그리고 이음부가 없는 pe파이프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20180109913A (ko) 도관을 복구하기 위한 라이너를 포함하는 팽창가능한 파이프
EP0888513B1 (en) Method and tool for joining, repairs and maintenance of insulating line pipes
US3554999A (en) Method of making a shrink device
JP4667315B2 (ja) 大口径管路内面の補修装置
KR100950065B1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2244388B1 (ko) 수밀 유지와 강성 향상을 위한 선단 메움 차단형 하수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32022B1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JP4804952B2 (ja) 埋設取付管の更生方法
JP2021055834A (ja) 更生管、更生管の製造方法および既設管の更生方法
US20190375131A1 (en) Inflatable tub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member, and pipeline arrangement method applying the same
CN202147375U (zh) 一种生产螺旋缠绕式热塑性管的设备
KR100939346B1 (ko) 내구성 및 강도 보강 기능을 갖는 차수벽 관 및 그 제조장치
KR102517139B1 (ko) 확관에 따른 두께 감소를 보완하는 편수칼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성형장치
JP6792263B2 (ja) 管更生部材の加熱方法
KR102575404B1 (ko) 확관에 따른 두께 감소를 보완하는 편수칼라형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방법
KR100907701B1 (ko) 내, 외경 보강용 복층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2299676B1 (ko)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