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676B1 -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676B1
KR102299676B1 KR1020200102700A KR20200102700A KR102299676B1 KR 102299676 B1 KR102299676 B1 KR 102299676B1 KR 1020200102700 A KR1020200102700 A KR 1020200102700A KR 20200102700 A KR20200102700 A KR 20200102700A KR 102299676 B1 KR102299676 B1 KR 10229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tube
manufacturing
reinforcemen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필
Priority to KR102020010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8Lining other than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측 튜브를 와인딩 유닛에 연속 공급하여 별도의 적재 유닛(지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더라도 적재 유닛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캔틸레버형 적재 유닛의 처짐 등으로 인한 내측 튜브의 공급 불량과 제품 불량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은, 각각 판형으로 이루어진 2매의 필름을 공급하는 상하부 필름 공급롤(10,20)과; 상기 상하부 필름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필름의 양쪽 가장자리를 수밀하게 고정하여 내측 튜브를 제조하는 융착기(40)와; 상기 융착기에 의해 융착된 내측 튜브를 와인딩 유닛에 공급하는 몰드(60)와; 상기 몰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름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2매의 필름을 지지하는 지지관(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Continuous type manufacturing supply unit of inner tube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underground pipe and Fac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지중 관로를 라이닝하여 보수보강하는 튜브라이너(보수보강 튜브)의 제조를 위한 내측 튜브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라이너의 제조와 동시에 내측 튜브를 제조하면서 공급하는 연속 공정을 통해 설비를 단순화하고 생산성도 높이며 튜브라이너의 품질도 향상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관로는 식수(상수도관), 하수(하수도관), 우수(빗물), 오수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관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관로는 장시간 매설되어 노후되거나 지반 침하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균열 등이 발생되며, 균열부를 통해 유체의 누출과 지하수의 침투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관로의 보수와 교체가 필요하며, 관로의 교체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굴착에 의해 관로의 교체를 대신하여 관로를 보수하는 방법이 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관로 보수 방법으로 비굴착 관로 보수 방법이 있다.
이러한 비굴착 관로 보수 방법은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 내부에 보수 튜브(경화 수지)를 삽입한 후, 보수 튜브를 관로의 내벽에 붙도록 팽창시키고 보수 튜브 안에 상기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매체(UV 또는 열)를 불어 넣어 보수 튜브를 관로 내벽에 경화시키는 것이다.
비굴착 관로의 보수 튜브는 보수와 보강의 2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품으로 발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166247호)는 일면에 필름이 코팅된 펠트로 이루어진 관형의 보강 튜브와; 상기 보강 튜브의 외부에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라이닝 튜브와; 비닐에스테르,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페놀수지 및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보강 튜브와 하이브리드 라이닝 튜브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라이닝 튜브는, 하이브리드 원단, 상기 하이브리드 원단의 외부에 적층되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원단은, 내경측에서부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원단을 이용한 상하수관거 보강보수 튜브이다.
종래 관거 보수보강 튜브의 제조방법으로 필름을 상하로 겹친 상태에서 좌우 양쪽을 실링하는 방법, 수지함침 필름을 와인딩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발명은 와인딩식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와인딩식 제조와 관련된 기술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특허문헌(US 2018/0281270 A1)은 지지관(support tube)의 둘레부에 내측 튜브 호스(inner film hose)를 끼워 공급을 준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측 튜브 호스는 공급롤(supply roll)에 감긴 상태로 지지관과 떨어진 곳에 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롤에서 풀리면서 지지관에 동일 축선으로 연결되는 권선축(mandrel)의 둘레부를 통과한 후 지지관의 둘레부에 수납된다. 이 때, 내측 튜브 호스는 보수보강 튜브의 길이에 맞춰 수십 m에서 백여 m에 이르는 길이로 이루어지지만 지지대를 내측 튜브 호스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조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내측 튜브 호스를 포개어 수납한다, 물론, 내측 튜브 호스의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지지관을 너무 짧게 할 수 없으므로 지지관도 예를 들어 5m 이상의 길이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도 1은 공급롤(1)에 감겨 있던 내측 튜브 호스(2)가 지지관(3)에 감긴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내측 튜브 호스(2)가 지지관(3)에 비해 긴 길이이기 때문에 겹쳐지면서 포개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튜브 호스(2)를 지지관(3)에 수납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내측 튜브 호스(2)와 지지관(3)의 길이, 내측 튜브 호스(2)의 수납 방법(겹침) 등으로 인하여 1인의 작업자가 내측 튜브 호스(2)를 지지관(3)의 둘레부로 당기고 다른 작업자가 앞선 작업자가 당긴 지지관(3)의 끝쪽으로 옮기면서 포개어 정렬하여야 하고, 즉 최소 2인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작업자간의 충돌 위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관(3)에 적재된 내측 튜브 호스(2)를 연속으로 공급하면서 이 내측 튜브 호스(2)의 표면에 수지함침 튜브를 와인딩하게 되는데, 지지관(3)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내측 튜브 호스(2)를 와인딩부에 공급하는 기술이 없어 작업자가 와인딩 속도에 맞춰 지지관(3)을 조금씩 와인딩부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작업자에 의한 공급속도가 일정하지 못하여 와인딩 품질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관은 길이방향의 일측만 프레임(5)에 지지되고 반대쪽은 공중에 떠 있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이기 때문에 프레임(5)에 지지되지 않은 자유단부가 중력방향으로 처질 수밖에 없다. 특히, 지지관(3)은 권선축(4)이 연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지지관(3)이 지지되는 프레임(5)에서부터 권선축(4)까지의 길이가 매우 길고 중량도 무거워 처짐이 더욱 극심하고, 이러한 처짐은 프레임(5)과 지지관(3)의 탈락을 유발하고 와인딩 유닛에 의한 튜브의 와인딩 시 와인딩 불량을 유발하여 제품의 품질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관은 설비 특성상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내부원통필름의 거치공간의 필요로 인하여 최소 5미터 이상의 길이로 제작되어야 한다(내부 원통필름 최대 200M 거치). 소형관경 튜브의 경우 예컨대 직경 250mm의 튜브 제작을 위해서는 지지관의 직경이 200mm내외가 되어야 하는데 5M 이상의 직경 200mm내외의 지지관이 캔틸레버로 거치되어 작업 중 강성을 유지하며 출렁임을 최소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US 2018/0281270 A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튜브를 와인딩 유닛에 연속 공급하여 별도의 적재 유닛(지지 유닛)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더라도 적재 유닛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캔틸레버형 적재 유닛의 처짐 등으로 인한 내측 튜브의 공급 불량과 제품 불량을 해결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은, 각각 판형으로 이루어진 2매의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롤과; 상기 필름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필름의 양쪽 가장자리를 수밀하게 고정하여 내측 튜브를 제조하는 융착기와; 상기 융착기에 의해 융착된 내측 튜브를 와인딩 유닛에 공급하는 몰드를 포함하여 내측 튜브를 제조하면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몰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름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2매의 필름을 지지하는 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2매의 필름은 상기 지지관의 둘레를 따라 좌우 양측이 모아지면서 상기 융착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 캔틸레버 형태의 지지관에 길이가 매우 긴 내측 튜브를 적재한 후 공급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튜브라이너의 생산과 동시에 평판형 필름의 융착으로 내측 튜브를 제조하면서 와인딩 유닛에 공급하여 종래 캔틸레버 형태의 지지관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따라서 지지관에 의한 몰드의 처짐으로 발생하는 와인딩 불량을 방지하며 지지관과 몰드의 처짐 방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이유도 없어 장비를 단순화하고 그에 따른 제조원가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제조한 내측 튜브를 지지관에 적재하는 불필요한 작업도 생략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관거 보수보강 튜브 중 내측 튜브가 지지관에 수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내측 튜브를 지지관에 수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에 적용된 지지관의 피딩 롤러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에 적용된 융착기의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융착기를 이용하여 융착된 내측 튜브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에 적용된 융착기의 다른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융착기를 통해 융착된 내측 튜브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의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100)은, 2매의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롤로서 상부 필름 공급롤(10)과 하부 필름 공급롤(20)과; 상부 필름 공급롤(10)과 하부 필름 공급롤(20)에서 각각 공급되는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을 지지하는 지지관(30), 지지관(3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가장자리를 수밀 내지 기밀하게 융착하는 융착기(40), 융착기(40)를 지지하는 프레임(50)으로 구성된다.
상부 필름 공급롤(10)과 하부 필름 공급롤(20)은 각각 내측 필름(2)을 제조하는 원단으로 동일한 재질이며 그 폭은 융착 방식에 따라 동일하거나 어느 하나가 더 넓게 형성된다.
상부 필름 공급롤(10)과 하부 필름 공급롤(20)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프레임(50)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포스트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지지관(30)은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을 지지하며, 내측 튜브(2)가 와인딩 유닛을 통해 보강섬유가 와인딩될 때 원형으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맞춰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단,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가장자리를 융착할 수 있도록 내측 튜브(2)가 팽창된 상태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이다.
지지관(30)은 프레임(50)이나 지면에 세워지는 포스트(31)에 캔틸레버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포스트(31)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도면 기준으로 우측)에는 상부 필름 공급롤(10)과 하부 필름 공급롤(20)이 배치되는 한편 좌측에는 지지관(30)이 배치된다.
지지관(30)은 몰드(60)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몰드(60)의 확장을 위한 전원 케이블의 배선, 내측 튜브(2)의 팽창을 위한 에어의 공급을 위하여 내부가 빈 형태이다.
또한, 지지관(30)은 몰드(60)가 연결되는 단부에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확관부가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31)는 바람직하게 좌우 양쪽의 다리가 지면이나 프레임(50)에 지지되어 하부에 지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이 각각 상부와 하부를 통과하여 지지관(30)에 공급되도록 한다.
포스트(31)에는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공급을 돕기 위한 상부 피딩봉(33)과 하부 피딩봉(34)이 적용될 수 있다.
상부 피딩봉(33)과 하부 피딩봉(34)은 바람직하게 원형의 봉이며, 또는 원형의 봉에 롤러가 감긴 형태이다.
지지관(30)은 둘레부의 표면과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마찰저항을 줄여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피딩 롤러(32)가 구성될 수 있다.
피딩 롤러(32)는 예를 들어 지지관(30)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또한, 지지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피딩 롤러(32)는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는 아이들 롤러이고, 물론,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로 상부 필름(1)과 하부 필름(2)을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평판형의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을 원형의 지지관(30)의 형태로 이송하기 위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피딩 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융착기(40)는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내측 튜브(2)를 제조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프레임(50)의 좌우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되고, 좌우 양쪽 사이의 거리는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폭에 따라 달라진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융착기(40)는 바람직하게 롤러 방식이며,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가 상하로 적층된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각각 열압으로 눌러 융착한다.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는 바람직하게 실리콘 재질이다.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 롤러(42)는 각각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진행방향을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롤러 트레인의 형태로 운용되며,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융착롤러와 냉각롤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는 8개로 이루어지고, 이 중에서 5개는 고온의 열로 융착하는 융착롤러이고 나머지 3개는 냉각롤러이다.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 중 하나 이상은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하며, 따라서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을 융착하면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측 튜브(2)의 이송 속도는 보강섬유의 와인딩 속도에 맞춰 설정된다.
융착과 보수 등을 위하여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 중 하나 이상은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면은 상부 융착롤러(41)가 에어실린더(43)에 의해 승강 가능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내측 튜브(2)의 크기에 맞춰 사용이 가능하도록, 융착기(40)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예를 들어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는 롤러 프레임(44)에 함께 설치되고 이 롤러 프레임(44)은 하나 이상(바람직하게 2개)의 스크류 볼트(45)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류 볼트(45)는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쪽에 반대 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며 수동이나 전동식으로 회전하는 방식이고, 좌우 한 쌍의 융착기(40)는 스크류 볼트(45)의 좌우 양쪽 나사부에 각각 결합되어 스크류 볼트(45)의 회전에 의해 서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융착기(40)의 좌우 이동은 전술한 스크류 볼트식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볼트봉을 고정식으로 하고 융착기(40)를 볼트봉에 직선 이동시키면서 양쪽에 록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이 상하 열압에 의한 융착에 따르면 융착 부위(2a)(도 7 참고)가 돌출되고, 시공 시 돌출된 융착 부위로 수지가 흘러들어 경화 후 필름을 제거할 때 융착부위를 따라 깨지거나 갈라질 수 있다. 또한 융착 부위의 비규칙적인 접힘으로 경화 후 내부의 미관이 좋지 못하다. 또한 융착 부위가 접히면서 많은 필름층이 형성되어 UV경화의 경우 조사효율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융착 방식으로 상하부 필름(11,21)을 덮어 포개어 융착하는 방식이 있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부 필름(21)을 하부 융착롤러(42)의 하부와 좌우 양쪽을 감싸도록 하면서 좌우 양쪽을 하부 융착롤러(42)의 상부에 덮어 공급하고 그 위에 상부 필름(11)을 공급하면서 융착하는 것이며, 즉,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을 튜브의 형태로 공급하면서 융착하는 것이다.
이상의 방식은 반대로 상부 필름(11)을 하부 필름(21) 처럼 공급하여 융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융착 방식이 다르더라도 하부 필름(21)의 공급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전술한 융착기(4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융착기(40) 등을 지지하고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5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51)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공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물론 이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몰드(60)는 내측 튜브(2)에 보강섬유를 와인딩하기 위한 틀이며,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60)에는 다수의 에어 분사홀이 형성되며, 에어컴프레서와 몰드(60)의 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 공기(에어) 또는 송풍기로 생성되는 에어를 에어 분사홀을 통해 몰드(60)의 외부로 분사하는 구성이다.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은, 본 발명에 의한 내측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100), 내측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내측 튜브(2)의 둘레부에 보강섬유(210)를 와인딩하는 와인딩 장치(200), 보강섬유(210)의 둘레부에 보강보호층을 형성하는 부착유닛(300), 보수보강 튜브를 포장하는 포장유닛(400), 완제품의 적재유닛(500)을 포함한다.
와인딩 유닛(200)은 예를 들어 내측 튜브(2)가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하도록 홀이 구비되며 상기 홀을 따라 이동하는 내측 튜브(2)의 둘레부를 따라 회전하는 로터와; 수지가 함침된 보강섬유(210)가 감겨 있으며, 상기 로터에 의해 상기 내측 튜브의 둘레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보강섬유(210)를 상기 내측 튜브의 둘레부에 와인딩하는 하나 이상의 함침 보강섬유 롤과; 상기 함침 보강섬유 롤과 내측 튜브(2)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측 튜브(2)의 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함침 보강섬유 롤에서 풀리는 보강섬유(210)를 상기 내측 튜브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감기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보강섬유의 처짐을 방지하고 텐션을 유지하는 두께 조절 드럼을 포함한다.
보강보호층의 부착유닛(300)은 보강섬유(210)의 와인딩 완료 후 보강(견인 시 손상 방지 등을 위한 보강)을 위하여 보강섬유(210)의 와인딩에 의한 보강층의 외부에 축방향 보강층을 형성하며, 와인딩 유닛(200)에서 원형을 유지하던 보수보강 튜브{보강섬유(210)에 의한 보강층까지만 형성된 상태}를 납작하게 하면서 상하 양쪽에 띠 형태의 축방향 보강재를 각각 부착하는 동시에 축방향 보강재의 외측에 외측 필름(외부보호필름)을 부착한다.
축방향 보강재는 수지가 미리 함침된 광물섬유(유리섬유 등) 직물 또는 광물섬유 로빙이며, 상하부측 공급 롤(310,311)에 각각 감겨 보관된다.
외측 필름은 보수보강 튜브의 보호 및 광이나 가스의 차단이 가능한 재질(비닐 등)이며, 상하부측 공급 롤(320,321)에 각각 감겨 보관된다.
축방향 보강재는 납작해진 보수보강 튜브의 면적보다 좁은 면적으로 보수보강 튜브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외측 필름은 납작해진 보수보강 튜브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좌우 양측이 실링된다.
포장유닛(400)은 보수보강 튜브의 시공 전까지 외부에 있는 외측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포장지로 감싸는 것이며, 포장지는 롤에 감겨 보수보강 튜브의 상하측에 각각 비치되고 보수보강 튜브를 이송하는 중에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포장지를 덮어 포장한다.
완제품의 적재유닛(500)은 포장유닛(400)을 통과한 보수보강 튜브를 적은 부피로 적재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상향 경사지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보수보강 튜브를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로 운반한 후 아래로 떨어뜨리면서 접어 적재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이용한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은, 내측 튜브 공급 단계와 와인딩 단계 및 외측 필름 부착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이용한 내측 튜브 공급 방법은 튜브라이너를 제조할 때 판형의 필름을 원형의 내측 튜브로 제조하여 공급하는 것을 해결원리로 하고 있으며, 즉, 내측 튜브를 미리 제작한 후 적재하는 종래 방식과 차이가 있다.
삭제
1.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 공급.
상부 필름 공급롤(10)에 감긴 상부 필름(11)의 끝과 하부 필름 공급롤(20)에 감긴 하부 필름(21)의 끝을 융착기(40)에 걸어 세팅한다.
2. 융착기 세팅.
융착기(40)의 상부 융착롤러(41)를 승강시키면서 높이를 세팅한다.
3. 내측 튜브 제조 및 공급.
융착기(4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부 융착롤러(41)와 하부 융착롤러(42)가 구동하여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융착한다.
융착기(40)를 통과하면 원형의 내측 튜브(2)가 제조된다.
내측 튜브의 와인딩 단계로 내측 튜브 공급 단계와 와인딩 단계가 포함된다.
4. 내측 튜브 공급과 와인딩.
내측 튜브(2)를 몰드(60)의 둘레부에 씌워 보강 섬유의 와인딩을 준비하고, 와인딩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와인딩 작업을 하는 중에도 상부 필름(11)과 하부 필름(21)을 융착하여 내측 튜브(2)를 제조하여 공급함으로써 제조와 공급의 연속화가 이루어진다.
5. 외측 필름 부착.
보강 섬유가 와인딩된 내측 튜브의 외부에 외측 필름을 부착한다.
2 : 내측 튜브,
10 : 상부 필름 공급롤, 11 : 상부 필름
20 : 하부 필름 공급롤, 21 : 하부 필름
30 : 지지관, 31 : 포스트
32 : 피딩 롤러, 33 : 상부 피딩봉
34 : 하부 피딩봉,
40 : 융착기, 41 : 상부 융착롤러
42 : 하부 융착롤러, 43 : 에어실린더
44 : 롤러 프레임, 45 : 스크류 볼트
50 : 프레임, 60 : 몰드

Claims (7)

  1. 각각 판형으로 이루어진 2매의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롤과;
    상기 필름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필름의 양쪽 가장자리를 수밀하게 고정하여 내측 튜브를 제조하는 융착기와;
    상기 융착기에 의해 융착된 내측 튜브를 와인딩 유닛에 공급하는 몰드와;
    상기 몰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름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2매의 필름이 둘레를 따라 좌우 양측이 모아지면서 상기 융착기를 통과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을 포함하여 내측 튜브를 제조하면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기는 상기 2매의 필름을 상부와 하부에서 열압으로 융착하는 상부 융착롤러와 하부 융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융착롤러와 하부 융착롤러 중 하나 이상은 높이가 조절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융착롤러와 하부 융착롤러는 상기 2매의 필름의 좌우 폭에 맞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
  6. 청구항 1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상기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내측 튜브의 둘레부에 보강섬유를 와인딩하는 와인딩 유닛과;
    상기 와인딩 유닛에 의해 보강섬유가 와인딩 된 튜브의 둘레부에 외측 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유닛과;
    상기 부착 유닛을 통과한 보수보강 튜브의 표면에 포장지를 부착하는 포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7. 청구항 1에 의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이용한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으로서,
    각각 판형으로 이루어진 2매의 필름을 공급하는 제1단계와;
    상기 2매의 필름의 좌우 양쪽을 융착하여 길이방향의 양측만 개방된 내측 튜브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내측 튜브를 공급받아 상기 내측 튜브의 둘레부에 보강섬유를 와인딩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보강섬유가 감긴 내측 튜브의 둘레부에 외측 필름을 부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을 이용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KR1020200102700A 2020-08-14 2020-08-14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KR10229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00A KR102299676B1 (ko) 2020-08-14 2020-08-14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00A KR102299676B1 (ko) 2020-08-14 2020-08-14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676B1 true KR102299676B1 (ko) 2021-09-09

Family

ID=7777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00A KR102299676B1 (ko) 2020-08-14 2020-08-14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39A (ko) * 1993-09-29 1995-04-17 김광호 열전사 프린터
US20180281270A1 (en) 2015-10-05 2018-10-04 Brandenburger Patentverwertung Gb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liner hose for pipes
KR102141689B1 (ko) * 2020-01-07 2020-08-06 주식회사 오필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식 제조를 위한 내측 튜브 자동 적재 유닛과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식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39A (ko) * 1993-09-29 1995-04-17 김광호 열전사 프린터
US20180281270A1 (en) 2015-10-05 2018-10-04 Brandenburger Patentverwertung Gb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liner hose for pipes
KR102141689B1 (ko) * 2020-01-07 2020-08-06 주식회사 오필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식 제조를 위한 내측 튜브 자동 적재 유닛과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식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9973C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pipe liners
US73741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pipe liners
JP6547216B2 (ja) 管を補強するためのライナ及びその製造方法
CA2168756C (en) A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a tubular lining hose
US31282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iber reinforced plastic pipe
US20160053922A1 (en) Endless on-site pipe manufacturing
US20100075078A1 (en) Cured-in-place liner material and methods and systems for manufacture
US201202919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pip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pipe in a pipeline
KR101126814B1 (ko) 일체의 내부 불침투성 층을 구비하는 현장 경화형 라이너및 연속 제조 방법
US20030113489A1 (en) Fiber reinforced cured in place liner for lining an existing condui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6828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liner hose for pipes
CN101107471A (zh) 用于制造管衬的系统和方法
KR101126852B1 (ko) 내부의 불침투성 층을 구비하는 현장 경화형 라이너의 설치방법 및 장치
JP2954906B2 (ja) 地中管路の部分補修方法
JP2018531161A6 (ja) 管用ライナー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20190063642A1 (en) Onsite real-time manufacturing of long continuous jointless pipes
US20220371261A1 (en) Internal lining or repair of pipelines and conduits with continuous on-site-manufactured pipe
KR102299676B1 (ko) 관거 보수보강 튜브라이너용 내측 튜브의 연속형 제조겸용 공급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및 보수보강 튜브 제조 방법
JP4583380B2 (ja) 現場硬化型ライナー用樹脂含浸タワー
KR102141689B1 (ko)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식 제조를 위한 내측 튜브 자동 적재 유닛과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식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50692B1 (ko) 두께조절이 용이한 관거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 시설
US20130213562A1 (en) Continuous onsite-manufactured pipe
JP2020513342A (ja) 配管補修用乾式ライナ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2215551B1 (ko) 와인딩식 관거 보수보강 튜브 제조용 스마트 내측 튜브 공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튜브 와인딩 방법
KR102057704B1 (ko) 비굴착식 지중 관거 보강·보수용 튜브라이너의 적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