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761A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761A
KR20150125761A KR1020140052174A KR20140052174A KR20150125761A KR 20150125761 A KR20150125761 A KR 20150125761A KR 1020140052174 A KR1020140052174 A KR 1020140052174A KR 20140052174 A KR20140052174 A KR 20140052174A KR 20150125761 A KR20150125761 A KR 2015012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ispensing
information
medicament
dispen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358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4005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358B1/ko
Priority to EP15165894.5A priority patent/EP2940614A1/en
Publication of KR2015012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보관 유닛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는 장치로,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상기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한 약제의 조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불출 장치는, 처방전 등의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에 따라 약제가 보관되어 있는 복수개의 약제 보관 유닛으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약제를 불출시킨 후 약포 등의 포장유닛(이하 약포)에 포장되도록 하는 일종의 약제 포장 장치이다.
여기서, 약제 불출 장치에 수용되는 약제 보관 유닛은 크게 2가지의 종류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하나는 약제 불출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다량으로 보관되어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배될 수 있는 일반 약제 보관 유닛이며, 다른 하나는 필요할 때마다 약제를 수동으로 분배해야 하는 트레이 등의 특수 약제 보관 유닛일 수 있다.
즉, 트레이에 수용되는 약제는 마약 등 관리자의 관리 감독이 반드시 필요한 약제로,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불출시켜야 할 때에만 약제 불출 장치에 상기 트레이를 통해 불출되도록 해야 하며, 상기 약제 불출 장치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약제 불출 장치에 보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약포에 포장되어야 하는 약제는 일반 약제 보관 유닛에 보관된 약제와 특수 약제 보관 유닛에 보관된 약제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약제 불출 장치는, 수신된 처방전 등의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약포에 약제를 포장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대로 약포에 약제를 포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특수 약제 보관 유닛에 보관된 약제가 없는 경우, 상기 특수 약제 보관 유닛에 약제를 보충할 때까지 상기 약제 불출 장치의 가동이 멈추었으며, 즉, 준비가 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특수 약제 보관 유닛에 약제가 보충되는 시간 동안 약포의 조제는 구현되지 않아 조제의 효율성은 그만큼 저하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일반 약제 보관 유닛 및 특수 약제 보관 유닛을 수용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조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방전 등의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되, 상기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가변토록 하여 약제의 불출 및 약포의 조제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보관 유닛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는 장치로,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상기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상기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가 불출된 후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에 남아 있는 제1 약제의 수량이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제1 약제의 수량 보다 적은 경우, 약제 불출이 필요한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의 상기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되, 차회 약제 불출 정보가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생략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상기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상기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기초로 하여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추가로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가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상기 추가로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처방전 등의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되, 약제의 불출 및 약포의 조제 효율이 향상되도록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정보 중 특정 약제 보관 유닛에 보관된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약제 불출 정보를 다른 약제 불출 정보보다 우선되도록 하여 조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약제 보관 유닛에 약제를 보충하는 경우에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를 불출토록 하여 약제 보충에 의한 대기 시간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약제 불출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약제 불출 순서의 실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일반 약제가 보관되는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 제1 약제가 보관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14),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30) 및 약제 불출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는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 및 제1 약제 보관 유닛(14)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 불출 정보는 환자 등이 복약해야 할 약제의 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일례로 환자의 처방전 등일 수 있다.
상기 약제 불출 정보에는 환자의 인적 정보, 복용하여야 할 약제의 종류 및 수량에 관한 정보, 복약 일수에 관한 정보 및 질병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은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의 외관을 제공하는 본체부(18)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약제는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가 가동 중이 아닌 경우에도 다량으로 상기 본체부(18) 상에서 보관 가능한 일반 약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일반 약제를 보관하고 있는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은 적어도 하나 일 수 있으며, 제어부(40)는 상기 특정한 일반 약제를 불출시키는 경우 불출되는데 걸리는 시간, 불출된 약제의 이동 거리, 재고 수량 등을 기초로 하여 특정한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은 복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트레이일 수 있으며, 수용된 약제는 상기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에 보관된 약제와 달리 관리자의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한 약제로, 마약 등일 수 있으며, 보관되는 약제의 수는 한정적일 수 밖에 없는 동시에 관리 상의 이유로 불출이 필요할 때마다 수동으로 분배할 수 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은 상기 본체부(18)에 착탈 가능하거나 인출 가능한 인터페이스부(20)에 의해 상기 본체부(18)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서로 다른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일 수 있으며, 제1 약제의 종류 또는 수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의 인식 방법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에 기초한 태그 방식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NFC 기술에 기초한 리더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에 기초한 태그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RFID 기술에 기초한 리더기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의 인식 방법이 플러그 방식의 메모리칩 방식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상기 메모리칩과 연결(connect)될 수 있도록 설계된 포트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의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의 식별정보 인식 방법은 앞서 언급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단순히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의 장착되는 장착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를 본체부(18)에 장착하도록 하는 매개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장착 또는 연결되었는지 여부는 센서 등의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약제 불출 장치(10)는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 및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반 약제 및 제1 약제 중 적어도 하나를 불출시켜 약포에 포장되도록 하는 포장부(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한 약포의 조제가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0)는 상기 본체부(18) 내에 배치되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병원, 병동 또는 약국 등에 구비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을 통해 일종의 환자의 처방전인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선의 경우, 유선 케이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무선의 경우,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한 약제 불출의 순서를 결정하여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약제 불출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약제 불출 순서의 실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의 작동 순서는,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약제 불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S200) 및 약제를 불출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병동 또는 약국 등에 구비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부터 통신부(30)를 통해 일종의 환자의 처방전인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는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부(30)가 A 약제 불출 정보, B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약제 불출의 가순서는 A 약제 불출 정보가 첫번째 순서이고, B 약제 불출 정보가 두번째 순서이며, C 약제 불출 정보가 세번째 순서이고, D 약제 불출 정보가 네번째 순서이며, E 약제 불출 정보가 다섯번째 순서이고, F 약제 불출 정보가 여섯번째 순서이며, G 약제 불출 정보가 일곱번째 순서일 수 있다.
즉, 약제 불출 장치(10)는 상기 가순서에 기초하여 각각의 약제 불출 정보에 대응하는 약제를 불출시켜 약포에 포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약제 불출 정보에 대응하는 약포의 수는 복약 일 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를 통해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40)는 상기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상기 제1 약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한 약제로, 일종의 트레이 등의 제1 약제 보관 유닛(14)에 보관된 약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통신부(30)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면, 약제 불출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통신부(30)에 수신된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결정할 수 있으며(S220), 결정한 실순서에 따라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B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은 관리자의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한 제1 약제를 수용하고 있어 필요할 때마다 수동으로 분배할 수 밖에 없는 특성이 있는 관계로, 일반 약제 보관 유닛(12)과 달리 약제 불출 장치(10)의 인터페이스부(20)에 장착 또는 연결이 안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원래의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되면 A 약제 불출 정보 다음의 B 약제 불출 정보 차례 시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장착될 때까지 약제 불출 장치(10)의 가동을 중단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약제의 불출 효율 및 약포의 조제 효율을 저하시키는 결과가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40)에 의해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포함하는 B 약제 불출 정보를 약제 불출의 순서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조제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40)는 복수의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약제를 불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30)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의 가순서를 실순서로 결정(S230)하고, 상기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S300).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S220 단계에서 상기 통신부(30)에 수신된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약제가 보관된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 할 수 있다(S222).
판단 결과,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장착되었다고 판단하면, 약제 불출의 순서의 실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S224).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면, S210 단계에서 판단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상기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변경(S224)하여 상기 변경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S300)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B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S220 단계를 통해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로 결정할 수 있으나, S222 단계에서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면, 약제 불출의 순서를 B 약제 불출 정보,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로 다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된 경우, 관리자의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한 제1 약제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정보(B 약제 불출 정보)를 다른 약제 불출 정보(A, C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보다 우선하여 불출시킴으로써, 상기 다른 약제 불출 정보(A, C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에 상기 제1 약제의 보충을 구현토록 하여,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제1 약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추후에 발생될 수 있는 제1 약제의 불출 시 제1 약제의 보충에 필요한 약제 불출 장치(10)의 가동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이고,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40)는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가 불출된 후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에 남아 있는 제1 약제의 수량이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제1 약제의 수량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약제 불출이 필요한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B 약제 불출 정보 및 D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S220 단계를 통해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로 결정할 수 있으나, S222 단계에서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면, 약제 불출의 순서를 B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로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40)는 B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제1 약제 보관 유닛(14)으로부터 제1 약제가 불출된 후 남아있는 제1 약제의 수량이 D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수량보다 적게 되면, 약제 불출의 순서를 B 약제 불출 정보,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로 하여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S222 단계에서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220 단계에서 결정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S300)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통신부(30)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의 상기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되, 차회 약제 불출 정보가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생략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상기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0)가 A 약제 불출 정보, B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40)는 순차적으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를 불출시키되, 어느 하나의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를 불출하는 동안 차회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C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제어부(40)는 가순서대로 A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는 동안 차회 약제 불출 정보인 B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B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순서대로 A 약제 불출 정보에 따른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B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B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는 동안 차회 약제 불출 정보인 C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C 약제 불출 정보는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이므로, 불출 순서에서 C 약제 불출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약제 불출의 실순서는 A 약제 불출 정보, B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 순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인터페이스부(20)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상기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C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제어부(40)는 가순서대로 A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는 동안 차회 약제 불출 정보인 B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B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순서대로 A 약제 불출 정보에 따른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B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B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하는 동안 차회 약제 불출 정보인 C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C 약제 불출 정보는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이므로, 불출 순서에서 C 약제 불출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B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이 완료되면, D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인터페이스부(20)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생략하였던 C 약제 불출 정보를 최우선으로 하여 D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약제를 불출시킨 후 다음에 C 약제 불출 정보에 따라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이후에는 가순서대로 E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순으로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이고,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40)는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순서는,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00),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410), 통신부(30)를 통해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에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0), 실순서를 결정하는 단계(S430, S440) 및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통신부(30)를 통해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가 수신(S400)되면, 제1 약제가 보관된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장착되었지를 확인(S41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에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의 연결 여부를 확인(S410)하면, 상기 통신부(30)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S420)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결정(S430)하고, 결정된 실순서에 따라 약제를 불출(S450)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B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제어부(40)는 인터페이스부(20)에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연결되었다고 확인되면, 상기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B 약제 불출 정보가 제1 약제 불출 정보라고 판단되면, B 약제 불출 정보를 다른 약제 불출 정보보다 우선하는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실순서에 따라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결국, 약제 불출의 실순서는 B 약제 불출 정보, A 약제 불출 정보, C 약제 불출 정보, D 약제 불출 정보, E 약제 불출 정보, F 약제 불출 정보 및 G 약제 불출 정보 순이 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40)는 S420 단계에서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약제 불출 정보가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통신부(30)를 통해 수신된 가순서를 실순서로 하여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0)에 수신된 A 약제 불출 정보 내지 G 약제 불출 정보 중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이고, 제1 약제 보관 유닛(14)이 인터페이스부(2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40)는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통신부(30)를 통해 추가로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가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상기 추가로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약제 불출 장치
12: 일반 약제 보관 유닛
14: 제1 약제 보관 유닛
20: 인터페이스부
30: 통신부
40: 제어부

Claims (10)

  1.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보관 유닛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상기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상기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가 불출된 후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에 남아 있는 제1 약제의 수량이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포함된 제1 약제의 수량 보다 적은 경우,
    약제 불출이 필요한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5.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보관 유닛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의 상기 가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되,
    차회 약제 불출 정보가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를 생략한 나머지 약제 불출 정보의 순서를 약제 불출의 실순서로 하여 상기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상기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실순서대로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8. 약제 불출의 가순서가 정해진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보관 유닛으로부터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제1 약제를 수용하는 제1 약제 보관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약제 불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약제가 수용된 상기 제1 약제 보관 유닛이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 중 상기 제1 약제가 포함된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최우선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의 실순서를 기초로 하여 약제를 불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가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다른 하나의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추가로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가 상기 제1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킨 후, 순차적으로 상기 추가로 수신된 약제 불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제를 불출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140052174A 2014-04-30 2014-04-30 약제 불출 장치 KR10216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74A KR102162358B1 (ko) 2014-04-30 2014-04-30 약제 불출 장치
EP15165894.5A EP2940614A1 (en) 2014-04-30 2015-04-30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74A KR102162358B1 (ko) 2014-04-30 2014-04-30 약제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761A true KR20150125761A (ko) 2015-11-10
KR102162358B1 KR102162358B1 (ko) 2020-10-07

Family

ID=5327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174A KR102162358B1 (ko) 2014-04-30 2014-04-30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940614A1 (ko)
KR (1) KR102162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375A (ko) * 2014-11-28 2016-06-09 (주)제이브이엠 약제조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631B1 (ko) * 2004-08-14 2006-03-22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US20070270998A1 (en) * 2005-09-30 2007-11-22 Luciano Robert A Jr Multiple prescription production facility
KR20100074213A (ko) * 2007-10-23 2010-07-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시스템 및 약제 불출 장치
KR20120038676A (ko) 2010-10-14 2012-04-24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US20130079924A1 (en) * 2011-09-23 2013-03-28 Mckesson Automation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reamlined medication dispensing
US20130340390A1 (en) * 2012-06-21 2013-12-26 Omni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filling of packagings with medica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631B1 (ko) * 2004-08-14 2006-03-22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US20070270998A1 (en) * 2005-09-30 2007-11-22 Luciano Robert A Jr Multiple prescription production facility
KR20100074213A (ko) * 2007-10-23 2010-07-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시스템 및 약제 불출 장치
KR20120038676A (ko) 2010-10-14 2012-04-24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US20130079924A1 (en) * 2011-09-23 2013-03-28 Mckesson Automation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reamlined medication dispensing
US20130340390A1 (en) * 2012-06-21 2013-12-26 Omni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filling of packagings with med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375A (ko) * 2014-11-28 2016-06-09 (주)제이브이엠 약제조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0614A1 (en) 2015-11-04
KR102162358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0854A1 (en) Variable dose dispensing system
US20150310185A1 (en) In-home iot medication device
US9846766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illing of a medication dispenser, and medication dispenser
US20140214436A1 (en) Component based aggregation of medication orders
US201803338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ption medicine delivery
WO2016040751A1 (en) Assisted medication filling and management
CN105905508A (zh) 智能配药系统
KR20150125761A (ko) 약제 불출 장치
JP2023133331A (ja) ピッキング支援システム
JP7441440B2 (ja) 薬品払出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200160959A1 (en) Drug dispensing device, control program for drug dispen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control program
US118299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load optimization of medications in an electronic medication storage cabinet
EP3256092B1 (en) Drug dispenser
US20190164639A1 (en) Automated Pharmaceutical Organizer and Dispenser
JP2022111035A (ja) 医療機関における商品の在庫を管理する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6808996B2 (ja) 実装薬品管理システム
WO20160073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and managing commonly-used medications in a healthcare facility
JP2015222531A (ja) 医療品の管理システム
KR102114901B1 (ko) 약제 불출 장치
KR20140126952A (ko) 약제 불출 시스템
US202302748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Numeric Waiting Bin for Prescription Fulfillment
KR102191554B1 (ko) 약제 포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2110315A (ja) 医療機関における商品の在庫を管理する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CA2913040C (en) Component based aggregation of medication orders
AU2022271459A1 (en) On Site Prescrip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Car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