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121A -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121A
KR20150124121A KR1020140050499A KR20140050499A KR20150124121A KR 20150124121 A KR20150124121 A KR 20150124121A KR 1020140050499 A KR1020140050499 A KR 1020140050499A KR 20140050499 A KR20140050499 A KR 20140050499A KR 20150124121 A KR20150124121 A KR 20150124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terilizer
supply pip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934B1 (ko
Inventor
황용신
Original Assignee
황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신 filed Critical 황용신
Priority to KR102014005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93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의 유니트 체어에 공급되는 물을 관리하는 장치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립적으로 유니트 체어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정수와 소독을 병행 및 어느 한 기능만을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체어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급수관에 설치되는 공급수 관리장치로서, 소독약품이 희석된 저장수를 저장하는 소독용기와, 급수관을 통해 유입구로 유입된 공급수를 여과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소독기와, 소독용기에 저장된 저장수를 소독기의 배출구에 공급하는 공급기를 포함하며, 소독기에서 배출된 공급수는 급수관을 통해 체어로 공급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A Water Managing Apparatus and Managing System for Dental Unit Chair}
본 발명은 치과의 유니트 체어에 공급되는 물을 관리하는 장치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립적으로 유니트 체어에 공급되는 공급수의 정수와 소독을 병행 및 어느 한 기능만을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통상 환자는 치과에 설치된 유니트 체어에 앉아 진료 및 치료를 받게 되는데, 환자의 치료 중에 발생하는 혈액 등의 배출을 위해 환자에게 공급수를 공급하여 가글하도록 한다. 공급수는 가글 뿐만 아니라 치공구의 냉각의 효과를 갖는다.
한편, 공급수는 환자의 피질이 개방된 상태에서 공급됨에 따라 공급수의 수질의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미국 치과의사 협회(A.D.A)에서는 핸드피스나 스켈러 끝에서 나오는 치과 공급수의 ml당 세균수를 200CFU/ml 이하로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미국 보건국 음용수 기준인 500FU/ml 보다 훨씬 더 엄격한 수준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미국의 권고 사양보다 엄격한 ml당 세균수를 100CFU/ml 이하로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물속에 함유되어 있거나 2차로 발생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치과 공급수 관리시스템은 상수도를 통해 치과로 공급되는 수도직수를 정수기로 정화한 후에 이를 유니트 체어의 급수관을 통해 공급하는 방식을 갖는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정수기를 이용하여 기준치 이하의 공급수로 관리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할 경우 급수관의 내부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어 수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수기의 경우 부피가 커서 유니트 체어와 별도로 치과 기계실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기계실에서 유니트 체어까지 연결된 급수관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바이오필름에 의한 수질오염이 심해진다.
치과에서는 급수관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급수관을 소독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별도의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 정수기에서 유니트 체어까지 연장된 급수관을 정수기에서 분리한 후 급수관에 소독액을 주입하여 급수관에 형성된 바이오필름 등의 오염원을 소독한다.
하지만, 급수관을 소독하기 위해서는 급수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진료를 할 수 없어 휴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급수관을 정수기에서 분리 및 재설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급수관들이 여러 유니트 체어와 연결되어 있어 역류에 의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823호(공개일 2010.02. 02)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유니트 체어로 공급되는 공급수에 음용 가능한 범위의 소독액을 함유시켜 급수관 내부에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은 부피가 작아 유니트 체어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 가능함에 따라 해당 유니트 체어에 공급되는 공급수만을 소독하여 소독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정수 및 소독이 함께 병행되거나 단독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구성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체어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급수관에 설치되는 공급수 관리장치로서, 소독약품이 희석된 저장수를 저장하는 소독용기와, 급수관을 통해 유입구로 유입된 공급수를 여과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소독기와, 소독용기에 저장된 저장수를 소독기의 배출구에 공급하는 공급기를 포함하며, 소독기에서 배출된 공급수는 급수관을 통해 체어로 공급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독기는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필터를 장입 및 교체하도록 개방 부위를 폐쇄하는 커버와, 바닥에 놓이도록 하우징의 외측 하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유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제1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1암나사부에는 부싱이 장착되며, 부싱은 공급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중공과, 일측에 형성되어 제1암나사부에 장착되는 제1수나사부와, 중공 내부에 체크밸브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단차와, 타측에 잠금밸브 또는 3웨이 배관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암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에 장착된 부싱의 제2암나사부에는 잠금밸브가 장착되며 잠금밸브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배출구에 장착된 부싱의 제2암나사부에는 3웨이 배관이 장착되며, 3웨이 배관의 다른 한 쪽에는 급수관이 연결되고, 또 다른 한 쪽에는 공급기가 연결되어 저장수가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독용기에서 연장된 제1호스는 공급기의 입구에 연결되고, 공급기의 출구에서 연장된 제2호스는 3웨이 배관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기에는 버블발생장치가 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체어로 분기된 급수관을 통해 소독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으로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를 소독하기 위해 급수관에 설치된 소독기와, 소독기에 소독약품이 희석된 저장수를 공급하는 공급기를 포함하며, 공급기는 소독기에서 배출되는 공급수가 음용 가능하도록 저장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독기로 유입되는 공급수를 개폐하는 잠금밸브를 포함하며, 잠금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저장수만을 소독기로 공급하여 소독기에서 체어까지의 급수관을 소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독기의 내부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정화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은 각각의 유니트 체어로 분기되어 연장된 급수관에 설치되어 해당 유니트 체어로 공급되는 공급수만을 정화 및 소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유니트 체어를 구비한 치과의 경우 해당 유니트 체어만을 정화 및 소독함으로 휴진 없이 다른 유니트 체어로 진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은 소독기의 내부에 정수용 필터가 내장되어 공급수의 정수와 소독을 함께 구현하거나 정수용 필터의 탈착에 따라 소독의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다. 치과 기계실에 별도의 정수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소독의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은 체크밸브를 통해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오염 및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은 소독약품이 함유된 저장수를 포함하고 있어 단수 시에도 저장수를 이용하여 진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의 설치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소독만 구현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독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독기의 분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의 설치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소독만 구현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독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독기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는 소독약품이 함유된 저장수(111)를 저장하고 있는 소독용기(110)와, 저장수(111)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급기(120)와, 수도직수에 저장수(111)를 공급하는 소독기(130)와, 소독기(130) 내부에 탈장착되며 수도직수를 정화하는 필터(16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체어(1)의 내부에는 급수관(3)이 위치하고 수도직수는 급수관(3)을 통해 유니트 체어(1)로 공급되며, 수도직수는 급수관(3)에 설치된 본 발명의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에 의해 정화 및 소독되어 환자에게 공급된다.
급수관(3)은 소독기(130)의 유입구(133)에 연결되고, 소독기(130)에서 정수 및 소독된 공급수는 소독기(130)의 배출구(135)에 연결된 급수관(3)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개념도에는 치과로 공급되는 수도직수가 별도의 정수기를 통과하지 않고 소독기(130)에서 정수 및 소독되는 개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치과 내에 별도의 정수기가 설치된 경우로서 소독기(130)에서는 소독만을 수행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통도이다. 도 3의 개념도에서는 차후에 설명하고 있는 소독기(130) 내부의 필터(160)를 제거하더라고 무방하다.
소독기(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60)를 수용하는 하우징(131)과 하우징(131)을 개폐하는 커버(132) 및 소독기(130)를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도록 4개의 지지대(137)가 형성되며, 커버(132)의 일측에는 유입구(13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135)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소독기(130)의 지지대(137)에 의해 바닥에 놓였을 때 유입구(133)와 배출구(135)는 소독기(130)의 측부에 위치한다.
유입구(133)에 연결된 급수관(3)을 통해 수도직수 또는 별도의 정수기에서 정화된 물(이하 통칭하여 수도직수라 함)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하우징(131) 내부에 장착된 필터(160)를 통과한 후 배출구(135)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소독기(130)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유입구(133)와 배출구(135) 각각에는 부싱(140)이 장착되고, 부싱(140)에는 체크밸브(145)가 장착되어 역류를 방지한다. 부싱(140)의 특징은 차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유입구(133)에는 분리 가능한 잠금밸브(151)가 장착되며, 잠금밸브(151)에 급수관(3)이 연결된다. 소독기(130)를 분리하여 정비 및 보수하여야 할 경우, 잠금밸브(151)를 잠금하고 잠금밸브(151)를 유입구(133)에서 분리함으로 소독기(130)를 분해 정비 및 보수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내부에 필터(160)가 위치할 공간이 형성되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수도직수는 필터(16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필터(160)는 중공사막필터(U/F filter)로서, 멤브레인을 통해 0.1㎛의 여과도를 갖는다. 따라서 수도직수에 포함된 세균 및 미세입자를 제거하여 청정수로 정화한 후 배출구(135)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하우징(131)의 타측은 개방되어 필터(160)의 교체가 가능하며 하우징(131)의 개방부는 커버(132)가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 고정된다.
하우징(131)의 배출구(135)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145)가 장착되며, 배출구(135)에는 T자형 3웨이 배관(153)이 장착된다. 3웨이 배관(153)의 한 쪽은 배출구(135)에 장착되고 다른 한 쪽은 급수관(3)이 장착되며, 또 다른 한 쪽에는 소독약품이 함유된 저장수(111)가 공급된다. 여기에서 3웨이 배관(153)에 연결된 급수관은 유니트 체어 상부로 연장되어 환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소독약품이 함유된 저장수(111)는 소독용기(110)에 채워지며, 소독용기(110)에서 연장된 제1호스(113)는 공급기(120)의 입구(121)에 연결된다. 그리고 공급기(120)의 출구(123)에서 연장된 제2호스(125)는 3웨이 배관(153)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공급기(120)는 소독용기(110)에 저장된 저장수를 소독기(130)의 3웨이 배관(153)에 공급하는 기기로서, 정격 사용압력은 0.5kg/cm2 내지 7.0kg/cm2의 압력을 갖는다.
또한, 공급기(120)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버블생성장치가 포함되어 저장수가 공급기(120)를 통과하면서 버블과 함께 3웨이 배관(153)으로 공급된다. 저장수(111) 내에 버블이 포함됨에 따라 급수관(3) 내부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의 제거효과를 증대시킨다. 버블생성장치는 온(On)/오프(Off)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소독을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버블생성장치를 작동하여 버블에 의해 소독 효과를 증대시키며, 단수 등에 의해 저장수(111)를 공급하여야 할 경우에는 버블생성장치를 오프(Off)시켜 저장수를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버블이 포함된 저장수(111)를 환자에게 공급할 경우 저장수(111)가 노즐에서 배출될 때에 버블에 의해 저장수(111)가 튀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저장수에 의해 옷 또는 신체가 젖을 수 있기 때문에, 저장수(111)를 환자에게 공급할 경우에는 버블생성장치를 미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급기(120)를 작동시키면, 소독용기(110)에 저장된 저장수(111)가 제1호스(113)를 통해 공급기(120)로 유입되고, 공급기(120)에서 설정된 압력으로 제2호스(125)를 통해 3웨이 배관(153)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소독기(130)의 필터(160)에서 정화된 공급수는 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저장수(111)와 함께 급수관(3)을 통과하면서 급수관(3) 내부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제거 및 살균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20)는 포터블로서 복수의 유니트 체어(1)들 중에서 일부의 유니트 체어에만 장착하여 공급수를 소독할 수 있으며, 공급기(120)를 설치하지 않은 유니트 체어에는 정수의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소독기(130)의 유입구(133)와 배출구(135)에 장착되는 부싱(140)과 체크밸브(145)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기(130)의 유입구(133)와 배출구(135)에는 제1암나사부(139)가 형성된다. 제1암나사부(139)에는 부싱(140)이 나사체결되는데, 부싱(140)의 일측에는 제1암나사부(139)와 체결되는 제1수나사부(141)가 형성되고, 타측의 외주면은 육각구조로 형성되어 제1암나사부(139)와 제1수나사부(141)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싱(140)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유체가 흘러갈 수 있게 구성되며, 중공의 내부에는 체크밸브(145)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차(147)가 형성되며, 중공의 타측에는 제2암나사부(14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2암나사부(142)에는 앞서 설명한 잠금밸브(151) 또는 3웨이 배관(153)이 나사체결된다. 한편 부싱(140)의 제1수나사부(141)에는 오링이 장착되어 부싱(140)을 소독기(130)의 유입구(133)와 배출구(135)에 장착함에 있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음용 가능한 범위의 소독액이 함유된 저장수(111)를 소독용기(110)에 채웠을 경우에는 필터(160)를 통과한 공급수와 저장수(111)가 설정된 비율로 함께 공급됨으로써, 급수관(3) 내부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수도직수의 단수 시에도 저장수(111)의 저장량에 따라 진료를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수(111)를 대신하여 고농도의 소독액을 소독용기(110)에 보관할 경우, 평상 진료 시에는 공급기(120)를 정지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호스(125)를 제거한 후 마개로 3웨이 배관(153)을 폐쇄하여 소독액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필터(160)를 통과한 공급수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소독이 필요할 시에는 마개를 제거하고 제2호스(125)를 연결한 후 공급기(120)를 작동시켜 고농도의 세척액을 공급하여 급수관(3)을 소독하므로 고농도의 소독액에 의한 소독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소독이 완료된 후에 사용 조건에 따라 공급기(120)를 정지시키면, 수도직수는 소독기(130)의 필터(16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급수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은 각 유니트 체어(1)로 연장된 개별 급수관(3)에 설치됨으로써,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수 및 소독이 가능하다.
한편, 소독기(130)의 내부에 위치한 필터(160)는 사용주기에 따라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커버(132)를 분리한 상태에서 필터(160)만 교체한다.
1 : 유니트 체어
3 : 급수관
110 : 소독용기
120 : 공급기
130 : 소독기
131 : 하우징
140 : 부싱
151 : 잠금밸브
153 : 3웨이 배관
160 : 필터

Claims (9)

  1. 각각의 체어(1)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급수관(3)에 설치되는 공급수 관리장치로서,
    소독약품이 희석된 저장수(111)를 저장하는 소독용기(110)와,
    급수관을 통해 유입구(133)로 유입된 공급수를 여과하여 배출구(135)로 배출하는 소독기(130)와,
    소독용기에 저장된 저장수를 소독기의 배출구에 공급하는 공급기(120)를 포함하며,
    소독기에서 배출된 공급수는 급수관을 통해 체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독기는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131)과, 필터(160)를 장입 및 교체하도록 개방 부위를 폐쇄하는 커버(132)와, 바닥에 놓이도록 하우징의 외측 하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137)와,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유입구(133)와 배출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제1암나사부(139)가 각각 형성되며, 제1암나사부에는 부싱(140)이 장착되며, 부싱(140)은 공급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중공과, 일측에 형성되어 제1암나사부(139)에 장착되는 제1수나사부(141)와, 중공 내부에 체크밸브(145)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단차(147)와, 타측에 잠금밸브(151) 또는 3웨이 배관(153)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제2암나사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유입구에 장착된 부싱의 제2암나사부에는 잠금밸브가 장착되며 잠금밸브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배출구에 장착된 부싱의 제2암나사부에는 3웨이 배관이 장착되며, 3웨이 배관의 다른 한 쪽에는 급수관이 연결되고, 또 다른 한 쪽에는 공급기가 연결되어 저장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소독용기에서 연장된 제1호스(113)는 공급기의 입구에 연결되고, 공급기의 출구에서 연장된 제2호스(125)는 3웨이 배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급기에는 버블발생장치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7. 각각의 체어로 분기된 급수관을 통해 소독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으로서,
    급수관(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를 소독하기 위해 급수관에 설치된 소독기(130)와,
    소독기에 소독약품이 희석된 저장수(111)를 공급하는 공급기(120)를 포함하며,
    공급기는 소독기에서 배출되는 공급수가 음용 가능하도록 저장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소독기(130)로 유입되는 공급수를 개폐하는 잠금밸브(151)를 포함하며,
    잠금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저장수만을 소독기로 공급하여 소독기에서 체어까지의 급수관을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소독기(130)의 내부에는 필터(160)가 장착되어 급수관(3)을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시스템.
KR1020140050499A 2014-04-28 2014-04-28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KR10159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99A KR101599934B1 (ko) 2014-04-28 2014-04-28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99A KR101599934B1 (ko) 2014-04-28 2014-04-28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21A true KR20150124121A (ko) 2015-11-05
KR101599934B1 KR101599934B1 (ko) 2016-03-04

Family

ID=5460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499A KR101599934B1 (ko) 2014-04-28 2014-04-28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21B1 (ko) * 2016-01-05 2016-12-1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823A (ko) 2008-07-23 2010-02-02 전종찬 치과용수 관리시스템
KR20100100360A (ko) * 2009-03-06 2010-09-15 전종찬 용수 관리 시스템
JP2010269138A (ja) * 2009-04-23 2010-12-02 Family Life:Kk チェアユニット用殺菌水製造装置
KR20130022175A (ko) * 2011-08-25 2013-03-06 이영훈 개량된 필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823A (ko) 2008-07-23 2010-02-02 전종찬 치과용수 관리시스템
KR20100100360A (ko) * 2009-03-06 2010-09-15 전종찬 용수 관리 시스템
JP2010269138A (ja) * 2009-04-23 2010-12-02 Family Life:Kk チェアユニット用殺菌水製造装置
KR20130022175A (ko) * 2011-08-25 2013-03-06 이영훈 개량된 필터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21B1 (ko) * 2016-01-05 2016-12-1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유닛체어에 적용되는 수관멸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934B1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995B2 (ja) 透析治療用セントラルシステム及びその消毒方法
US20120039751A1 (en) Bottled ozonated water system
KR20060049297A (ko) 치과 용수 급수방법 및 장치
KR101020517B1 (ko) 의료용 핸드피스의 멸균 및 건조 장치
KR100843154B1 (ko)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KR101433853B1 (ko) 치과용수 공급장치
KR101599934B1 (ko)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KR101031684B1 (ko) 치과용수 관리시스템
JP7129757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滅菌方法
TW201219318A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disinfection/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70011467A (ko) 살균소독수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765669B1 (ko)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CN100368310C (zh) 对水管路杀菌和消毒的方法
KR20080078171A (ko) 치과용 의료배관 및 치과용 의료기기를 소독하기 위한정수장치
KR100745159B1 (ko) 치과용 유닛의 핸드피스에의 유체 반송 도관을 멸균 또는 소독하는 방법 및 치과용 유닛
KR101849088B1 (ko)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RU2718609C2 (ru) Противозасто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убоврачебной установки
CN217150482U (zh) 一种自动清洁的水箱
KR20100100360A (ko) 용수 관리 시스템
JPH05253252A (ja) 歯科用清浄水供給装置
EP1542610B1 (en) Dental instrument cleansing apparatus
JP2006142046A (ja) 管路洗浄方法及び装置、この管路洗浄装置を備えた診療装置
KR20150101220A (ko) 치과의료기 석션장치용 정화기
KR200365284Y1 (ko) 치과 용수 급수장치
KR20170095628A (ko) 살균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