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676A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676A
KR20150123676A KR1020140080894A KR20140080894A KR20150123676A KR 20150123676 A KR20150123676 A KR 20150123676A KR 1020140080894 A KR1020140080894 A KR 1020140080894A KR 20140080894 A KR20140080894 A KR 20140080894A KR 20150123676 A KR20150123676 A KR 2015012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ed lighting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security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모리토모 하나와
타다시 스미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코
모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코, 모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코
Publication of KR2015012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6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communications method using the system. Th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nables easy pairing of wireless communications connections by including a mobile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a random device address (RDA) during an access control operation executed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s between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and is capable of ensuring high security.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name of a device (D/N) are transmitted once the power of an LED lamp device (20) is on. When a remote control operation or a full-less operation is performed, a security number (S/ID) other than the data is transmit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mobile terminal device (1) keeps the S/ID and conducts a pairing operation. The mobile terminal device (1) transmits at least the D/N, S/ID, and U/D-A which means a control content, thereby enabling various control operations to be conducted for the LED lamp device (20)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1) and the LED lamp device (20).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헤드셋, 마우스, 키보드, 스테레오, 프린터, 조명기구 등 Bluetooth(등록상표, 이하 동일)를 탑재하는 슬레이브 장치에 대하여,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PHS 전화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PC 등 Bluetooth 탑재의 휴대단말장치인 마스터 장치가 제어를 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HS telephone, a tabl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종래에 조명기구 등을 휴대단말장치에 의하여 조작하는 경우, Bluetooth 기기끼리 높은 시큐리티를 유지하기 위하여, 접속 설정시에는 Bluetooth 고유의 어드레스와 비밀번호코드에 의한 페어링 설정 조작을 행하고 있다.Conventionally, when a lighting apparatus or the like is operated by a portable terminal device, a pairing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 Bluetooth specific address and a password code at the time of connection setting, in order to maintain high security between Bluetooth devices.

이와 같이 조명기구에 휴대단말장치를 통신에 의하여 접속하여 조명기구의 조광, 조색, 조명의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통신확립방식으로서 다음의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와, 조명기구의 Bluetooth 컨트롤러(BT컨트롤러)가 주종관계가 된 경우, 각각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라고 부를 수 있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establish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apparatus by communication and the on / off control of dimming, coloring, and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the Bluetooth controller (BT controller) of the lighting apparatus have a main relationship, they may be referred to as a master apparatus and a slave apparatus, respectively.

도 9는 LED조명기구를 복수의 조작단말이 컨트롤할 수 있는 통신방식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rminals can control the LED lighting apparatus.

조작단말 A, B, X는 각각 Bluetooth가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다. LED조명기구도 마찬가지로 Bluetooth가 탑재되어 있고, Bluetooth 통신(BT통신)에 의하여 각 조작단말 A, B, X와의 사이에서 접속할 수 있다.The operating terminals A, B and X are smart phones each equipped with Bluetooth.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also equipped with Bluetooth, and can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terminals A, B, and X by Bluetooth communication (BT communication).

Bluetooth 통신은 1대 1의 접속이므로, 조작단말 A가 LED조명기구와 연결되어 있을 때, 다른 조작단말은 LED조명기구와 접속할 수 없다.Sinc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is a one-to-one connection, when the operating terminal A is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the other operating terminals can not be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이러한 통신방식은, 시큐리티를 부여하고 있지 않으므로, 어떤 조작단말도 각각 LED조명기구를 조작할 수 있는 점에서 편이성이 있는데, LED조명기구의 소유자 이외의 사람, 예를 들어 악의가 있는 제3자가 조작단말 X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LED조명기구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This communication method is not advantageous in that any operating terminal can operate the LED lighting apparatuses because it does not provide security, and a person other than the owner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for example, a malicious third party Even if the terminal X is owned,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safety because the LED lighting apparatus can be operated.

도 10은 안전성을 고려한 LED조명기구를 복수의 조작단말이 컨트롤할 수 있는 통신방식의 종래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on terminals can control an LED lighting apparatus considering safety.

LED조명기구에 대하여 조작단말 A도 C도 페어링을 행함으로써, 각각 배타적으로 LED조명기구와 접속할 수 있는 통신방식이다. LED조명기구에 대하여, 접속하기 위한 PIN코드가 있어, 페어링을 위하여 PIN코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exclusively connect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by pairing the operation terminal A and the terminal C as well. For the LED lighting fixture, there is a PIN code for connec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PIN code for pairing.

PIN코드는 LED조명기구를 입수하였을 때, LED조명기구 자체에 붙어 있는 암호키 또는 LED조명기구를 입수하였을 때에 Web 등의 방법으로 입수한 암호키로, LED조명기구를 소유하고 있는 자만이 알고 있는 키이다. The PIN code is a key obtained only by the person who owns the LED lighting fixture when the user obtains the LED lighting fixture and obtains the encryption key or the LED lighting fixture attached to the LED lighting fixture itself, to be.

따라서, 조작단말 A에 의하여 LED조명기구를 접속할 때, PIN코드가 예를 들어 '1234'인 경우에는, 조작단말 A에서 키조작을 하여 PIN코드를 입력한다. 조작단말 C도 LED조명기구에 페어링에 의하여 접속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는 단말이기는 하지만, 다른 PIN코드 예를 들어 '0000'을 입력하면 접속할 수 없다. 악의가 있는 제3자는 정당한 PIN코드를 취득하지 않는 한, LED조명기구에 접속할 수 없다.Accordingly, when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connected by the operating terminal A, for example, when the PIN code is '1234', the operating terminal A performs a key operation to input a PIN code. The operation terminal C is also a terminal that can be set to be connectable to the LED lighting device by pairing, but it can not be connected by inputting another PIN code, for example, '0000'. A malicious third party can not access the LED lighting fixture unless it obtains a valid PIN code.

하지만, 이러한 통신확립방식에서는, 조작단말에 PIN코드를 키조작 등으로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통신확립시에 있어서 조작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PIN코드는 시큐리티의 고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자릿수가 많고, 더욱이 페어링에 수고가 들게 되어 있다.However, in such a communication establishing method, the PIN code must be input to the operating terminal by key operation or the lik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becomes troublesome at the time of communication establishment. Generally, the PIN code has a lot of digits in order to improve the security, and the pairing is troublesome.

도 11은 안전성을 고려하고, 더욱이 페어링 조작이 번잡해지지 않는 LED조명기구를 복수의 조작단말이 컨트롤할 수 있는 통신방식의 종래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rminals can control an LED lighting apparatus which takes safety into consideration and which does not make the pairing operation complicated.

LED조명기구는, LED조명기구 내에 사전에 등록된, 또는 페어링시에 송신한 조작단말의 PDA(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등록 리스트로서 보존되어 있다.The LED lighting apparatus stores a PDA (unique device addres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LED lighting apparatus or transmitted at the time of pairing as a registration list.

조작단말 A는 PDA를 송신하는 타입의 것으로, 페어링시에 스스로 PDA를 송신하고, LED조명기구는 송신되어 온 PDA를 등록 리스트에 올린다.The operating terminal A is a type that transmits a PDA, and transmits a PDA by itself when pairing, and the LED lighting device puts the transmitted PDA on the registered list.

이와 같은 통신확립방식에 의하여, LED조명기구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단말만이 다른 조작단말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조명기구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With this communication establishing method, only the operating terminal registered in the LED lighting apparatus can exclusively connect to the light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the other operating terminals.

Bluetooth에 고유의 PDA를 탑재하고 있는 조작단말만이, 다음 회의 접속시에 LED조명기구에 연결된다.Only an operating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specific PDA is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at the next connection.

한편, RDA(random device address)를 송신하는 타입의 조작단말은, 페어링시에 보존된 어드레스와 재접속하였을 때의 어드레스가 다르기 때문에, LED조명기구에 접속할 수 없다. 즉, RDA 송신 타입의 조작단말은, 접속할 때마다 임의의 어드레스를 송신하므로, LED조명기구의 등록 리스트에 기재된 어드레스와는 일치하지 않아, 접속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terminal of the type that transmits RDA (random device address) can not connect to the LED lighting device because the address stored at the time of pairing and the address at the time of reconnection are different. That is, since the RDA transmission type operating terminal transmits an arbitrary address every time it connects, it does not coincide with the address written in the registration list of the LED lighting fixture and can not be connected.

일부의 스마트폰에는, 상기와 같이 PDA는 가지고 있어도, 스마트폰에 탑재된 소프트에 의하여 판독할 수 없게 되어 있고, 더욱이 Bluetooth 통신에서는 송출되는 BD어드레스가 임의로 발송되어, 상기와 같은 통신확립방식을 채용하여도, LED조명기구에는 접속할 수 없다.In some smartphones, even if a PDA is used as described above, it can not be read by software installed in a smart phone. Further, a BD address to be transmitted in Bluetooth communication is arbitrarily sent, and the abov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It can not be connected to the LED lighting fixture.

이와 같이 제어되는 것은, 외부로부터 스마트폰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This control is believed to avoid the risk of direct access to the smartphone from outside.

시큐리티가 높은 페어링을 행하는 경우, Bluetooth 고유의 어드레스와 비밀번호코드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채용하는데, 스마트폰 중에는 내장되어 있는 Bluetooth 고유의 PDA를 'Bluetooth 통신에서 사용하지 않음',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지 않음'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어, 접속마다 다른 임의의 어드레스를 송신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PDA를 사용한 시큐리티가 높은 접속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When pairing with a high degree of security is performed,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using a unique Bluetooth address and a password code is adopted. Among the smart phones, Bluetooth built-in PDA 'is not used in Bluetooth communication, Not set ', and an arbitrary address is transmitted for each connection.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high-security connection using such a PDA can not be performed.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9256호Patent Document 1: JP-A-2003-9256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17646호Patent Document 2: JP-A-2005-217646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532404호 Patent Document 3: JP-A-2012-532404

Bluetooth를 탑재한 제어대상이 되는 슬레이브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PC 주변기기로는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등, 오디오, AV기기로는 디지털 카메라, 헤드셋, 스테레오 등, 가전설비로는 LED조명기구 등 다양한 기기가 존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lave device to be controlled with Bluetooth is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use, a keyboard, a printer and the like for audio equipment, a digital camera, a headset and a stereo for AV equipment, Lt; / RTI >

이것을 휴대단말장치인 마스터 장치로 Bluetooth 통신에 의하여 제어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A system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is is controlled by a master device that is a portable terminal device by Bluetooth communication.

특허문헌 1은 제어대상이 복수의 공조기이고, 공조기에 설치된 공조기용 컨트롤러의 근거리 전파송수신부에 의하여 휴대전화기로부터의 근거리 전파를 수신하여 공조기 하나 하나를 온도 설정, 풍량,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다.In Patent Document 1, the control target is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and the near-field radio waves from the portable telephone are received by the near-field radio wav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ntroller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o control temperature, air volume and on-off control of each air conditioner.

공조기용 컨트롤러는 휴대전화기로부터 소유자를 특정하는 고유의 디바이스 번호가 송신되면, 이러한 디바이스 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식별번호(디바이스 번호)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여, 포함되어 있으면 휴대전화기를 설정허가단말로 판단하고, 휴대전화기로부터의 설정 데이터를 접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the unique device number specifying the owner is transmitted from the cellular phone to the air conditioner controller,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such a device number is included in an identification number (device number) group registered in adv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an authorized terminal, and configuration data from the portable telephone is accepted.

디바이스 번호의 일치를 보고, 그 휴대전화기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한다는 점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공조기를 틀림없이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휴대전화단말이어도 같은 디바이스 번호를 송출함으로써, 제3자가 공조기와 대응시킨 휴대전화단말을 사용하지 않아도, 공조기가 제어될 가능성이 있다. 디바이스 번호를 사용하여도 시큐리티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특별한 통신확립방식을 사용하여 페어링함으로써 시큐리티를 높이기 위한 개시는 존재하지 않는다.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arget air conditioner in view of matching of the device numbers and accepting access from the portable telephone. However, by transmitting the same device number to other portable telephone terminal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even if the third party does not use the portable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air conditioner. Security is not sufficient even with device numbers. Also, there is no disclosure to increase security by pairing using a special communication establishment method.

특허문헌 2는 어려운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무선통신장치끼리의 인증과 페어링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통신을 높은 시큐리티 강도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함으로써, 호스트 기기(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는 클라이언트 기기(휴대단말 등)를 발견하면, 호스트 기기는 인증 코드를 난수 발생에 의하여 생성하는 동시에, 그 인증 코드에 대한 액세스권를 설정하고, 그 액세스권과 인증 코드를 관련지어 기억하여, 생성한 인증 코드를 클라이언트 기기에 송신하여 클라이언트 기기에 기억시키도록 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번잡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호스트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와의 페어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authentication and pairing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without requiring a difficult operation and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high security strength. By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a client device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host device (slave device to be controlled) is found, the host device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by random number generation, sets an access right to the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cod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device and stored in the client device. So that the host device and the client device can be paired without a complicated operation by the user.

이러한 무선통신장치는 호스트 기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거리 내에 클라이언트 기기가 들어간 경우에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페어링시에 클라이언트 기기측에서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host apparatus enters the client apparatus with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f inputting an authentication code at the client device side when pairing.

하지만, 호스트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가 일정한 거리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나 추가의 클라이언트 기기가 호스트에 근접하지 않는 경우는 페어링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호스트 기기를 천장에 부착한 후, 새로운 클라이언트 기기가 페어링을 하려고 하여도 일정거리에 근접할 수 없으므로, 추가의 클라이언트 기기는 페어링을 할 수 없다.However, when the host device and the client device are not close to each other or when the additional client device is not close to the host, pairing can not be performed. For example, after attaching the host device to the ceiling, additional client devices can not pair because a new client device can not approach a certain distance even if it tries to pair.

특허문헌 3은, 조명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것으로, 그 조명 네트워크와의 인터랙션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제어 가능한 조명 네트워크 및 시스템과의 인터랙티브의 적합한 수준을 결정하고, 유저 정보에 대한 시스템의 액세스상의 제어를 행사하며, 유저의 존재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 상의 제어를 행사하여, 유저 취향의 변경을 통신하는 것이다. 제어 가능한 조명 네트워크 외에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이동장치에 프로세서가 링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장치에서는 인터랙티비티 레벨(오프, 무시, 퍼스널, 알림, 조정)을 선택하여, 선택된 레벨로 조명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것이다. 유저에게 휴대되는 개인장치(개인이동 전자통신장치)로서, 예를 들어 IPHONE(등록상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Patent Document 3 is a system that controls an illumination network and manages the interaction with the illumination network.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interactivity with the controllable lighting network and system, exercise control over the access of the system to the user information, exercise control over the reaction of the system to the presence of the user, will be. The mobile device has a processor and a memory in addition to the controllable lighting network and is configured to link the processor to the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selects the interactivity level (off, ignore, personal, notify, adjust) . For example, an IPHONE (registered trademark) device can be applied as a personal device (personal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carried by a user.

이것은 임의로 출력하여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시스템은 Bluetooth 통신에서의 페어링을 확립하여 1대 1로 배타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This means that a smartphone can be used to transmit and output arbitrarily. Such a system does not start establishing pairing i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and exclusively performing communication on a one-to-one basis.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서 Bluetooth 통신으로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 무선통신접속을 RDA를 송신하는 휴대단말장치도 포함하여, 쉽게 페어링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시큐리티를 가지고 실현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slave device which can easily perform a pairing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y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탑재하고,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 및 시큐리티 번호를 가지며, 제어대상부를 구비하는 슬레이브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체 탑재한 근거리 무선통신기기와 페어링을 조직할 수 있는 마스터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탑재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1 이상의 휴대단말장치인 마스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전원 투입에 의하여, 상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을 송신하며, 그 상태로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대하여 적외선 송신 또는 풀레스(pull-less) 조작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그 조작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시간, 상기 마스터 장치와 통신가능 상태로 하며, 상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에 더하여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수신한 시큐리티 번호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 가능 상태로 이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취득한 마스터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기의 규격에 근거하여 무작위로 발생하는 자(自)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임의로 발생하는 자 어드레스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시큐리티 번호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취득한 마스터 장치로부터 지시되는 제어내용을 제어대상부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ave device that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has a unique device address, a device name and a security number, A slave devic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master device, which is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 devices, which i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mastering which can organize pairing with a slav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s the slave device, Wherein the slave device transmits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the device name by input and performs infrared transmission or pull-less operation on the slave device in the state, and when the slave device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 The master device is brought into a communicable state with the master device The master device transmits the security number in addition to the slave address and the device name, and the master device enters a state in which the slave device can transition to the communicable state by storing the received security number. , And generates randomly generated self address based on the specific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the arbitrary generated self address, and transmits the security number and the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s of the slave device to The slave device executes the control content instructed by the master device from which the security number is acquired by the control subject.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복수의 LED부를 포함하는 LED조명제어부를 구비한 LED조명기구이고, 상기 LED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조광, 조색, 온오프 제어 또는 타이머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항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ave device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ave device is an LED lighting device having an LED lighting control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parts, And control items including dimming, coloring, on-off control, or timer control are executed by data representing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기구는, BT 콘트롤러와 CPU를 포함하고, 상기 BT컨트롤러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는 BT통신을 행하며, 상기 CPU와의 사이에서는 UART 통신을 행하고, 상기 LED조명기구의 전원 투입에 의하여, 상기 LED조명기구가 상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을 패킷으로 송신하기 위한 모드 N 상태로 이행하며, 상기 CPU으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있었을 때, 소정의 시간,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통신가능상태로 하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에 더하여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패킷으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모드 P로 이행하며,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적어도 자(自)장치명, 시큐리티 번호 및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접속 요구를 하였을 때, 상기 BT컨트롤러로부터 상기 CPU에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어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 C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LED lighting apparatus includes a BT controller and a CPU, and the BT controller performs BT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ART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LED lighting apparatus and the CPU, and when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powered on, the LED lighting apparatus shifts to a mode N state for transmitting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device name in packets,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allowed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a pairing request is made and transmits the security number in addition to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the device name in packets, Mode P, and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displays at least the device name, the security number, and the control contents When an access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mode C to the BT controller for executing control information to transmit the data represen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CPU.

본 발명에 따른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BT컨트롤러는 소정의 시간, 모드 C를 유지하고, 모드 C에서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을 때, 체크섬(Check Sum)을 행하고,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정상인 것을 체크하며, 그 후에 모드 C를 종료하고,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큐리티 번호가 LED조명기구가 가지고 있는 시큐리티 번호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CPU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며, 모드 C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BT controller maintains the mode C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 is transmitted in the mode C, Check Sum), checks that the transmitted data is normal, then ends the mode C, and if the securi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coincides with the security number held by the LED lighting apparatus,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and the mode C is returned to.

본 발명에 따른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PHS 전화기, 태블릿, PDA, 휴대 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and 4,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HS phone, And is a portable PC.

본 발명에 따른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1 이상의 휴대단말장치인 마스터 장치와, BT컨트롤러와 CPU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가지고, 상기 BT컨트롤러와 상기 마스터 장치 사이에서는, BT통신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BT컨트롤러와 상기 CPU 사이에서는 UART 통신을 행하며,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투입에 의하여,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그 슬레이브 장치의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을 BT통신으로 패킷에 의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리모컨 조작 또는 풀레스 조작에 의하여 상기 CPU로부터 상기 BT컨트롤러에 대하여 UART 통신으로 페어링 요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페어링 요구가 있었을 때, 소정의 시간,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통신가능상태로 하고,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에 더하여 시큐리트 번호를 BT통신으로 패킷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적어도 자장치명, 시큐리티 번호 및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BT통신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BT컨트롤러가 상기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UART 통신으로 상기 CP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av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master device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 slave device including a BT controller and a CPU and performs BT communication between the BT controller and the master device, A step of performing UART communication between the BT controller and the CPU, the slave device transmitting a unique device address and a device name of the slave device by a packet in BT communication by power-on of the slave device; A step of performing a pairing request from the CPU to the BT controller by UART communication by a pullless operation; and a step of making 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airing request is made, In addition to the name, the security number is transmitted as a packet in the BT communication A step in which the master device stores and registers the security number; a step in which the master device transmits data indicating at least a device name, a security number, and control contents through BT communication; To the CPU via UART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복수의 LED부를 포함하는 LED조명제어부를 구비한 LED조명기구이고, 상기 LED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조광, 조색, 온오프 제어 또는 타이머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 항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slave device is an LED lighting device having an LED lighting control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parts, And control items including dimming, coloring, on-off control, or timer control are executed by data representing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BT컨트롤러는 소정의 시간, 모드 C를 유지하고, 모드 C에서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을 때, 체크섬을 행하며,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정상인 것을 체크하고, 그 후에 모드 C를 종료하며,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큐리트 번호가 LED조명기구가 가지고 있는 시큐리티 번호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CPU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고, 모드 C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the BT controller maintains the mode C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hen the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 is transmitted in the mode C, , Checks that the transmitted data is normal, then ends the mode C, and if the securi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matches the security number held by the LED lighting fixture, communication with the CPU is performed , And returns to the mode C.

본 발명에 따른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PHS 전화기, 태블릿, PDA, 휴대 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7, and 8,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HS phone, a tablet, a PDA, .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임의로 BD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타입의 스마트폰도 마스터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페어링시에 마스터 장치측에서 시큐리티 번호(ID)를 입력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 쉽게 페어링 설정할 수 있어, 고도의 시큐리티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smart phone of a type in which a BD address is arbitrarily generated and transmitted can be used as a master device. Moreover, at the time of pairing, the master device can easily pair and set without inputting a security number , High security can be maintained.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통신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단말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단말장치의 회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어대상이 되는 LED조명기구의 회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휴대단말장치와 LED조명기구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LED조명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처리하는 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LED조명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BT컨트롤러가 행하는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이다.
도 7은 휴대단말장치가 처리하는 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BT통신으로 주고 받는 데이터 패킷의 구조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LED조명기구를 복수의 조작단말이 컨트롤할 수 있는 통신방식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안전성을 고려한, LED조명기구를 복수의 조작단말이 컨트롤할 수 있는 통신방식의 종래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안전성을 고려하고, 더욱이 조작성도 번잡해지지 않는 LED조명기구를 복수의 조작단말이 컨트롤할 수 있는 통신방식의 종래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utline of a communication flow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to be controll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communication perform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the LED lighting apparatus.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ach mode processed by the microcomputer built in the LED lighting apparatus.
6 is a transi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control performed by the BT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LED lighting apparatus.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ach mode to be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data packet exchanged in BT communica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rminals can control the LED lighting apparatus.
10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rminals can control an LED lighting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safety.
11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terminals can control an LED lighting apparatus which takes safety into consideration and which is not complicated in operabil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통신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LED조명기구(20)와 휴대단말장치(1) 사이에서 BT통신을 행하는 흐름은, LED조명기구(20) 및 휴대단말장치(1)는 각각 대응하는 각 모드가 되어 동작을 행하고, 다음 모드로 이행하여 통신의 각 과정의 처리를 행한다.1 (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utline of a communication flow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performing the BT communication between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is such that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operate in the corresponding modes and operate in the next mode And processes each process of communication.

슬레이브 장치로서 제어대상인 LED 조명장치(20)는 거실이나 주방, 세면소, 화장실 등의 방이나 건물 내의 복도, 출입구 그리고 가게, 사무소, 사업소, 공공기관의 건물 등의 조명으로서의 천장이나 벽, 더욱이는 건축물의 구조체 부분 등에 설치된다. LED조명기구(20)는 LED 발광하는 LED부(26)를 1 이상,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LED조명기구(20)가 가지는 LED조명제어부는, LED의 조광, LED의 조색, ON/OFF, ON/OFF 타이머 등의 제어를 행한다. LED조명제어부는 마이크로 컴퓨터, 구동부, LED부를 포함한 부분이 대응하는 회로부이다(도 3을 참조).The LED lighting device 20 to be controlled as a slave device can be a ceiling or a wall as a lighting for a living room, a kitchen, a washroom, a bathroom, a hallway in a building, a doorway, a store, an office, It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part of the building.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includes one or more LED units 26 for emitting LED light. The LED lighting control uni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controls the dimming of the LED, the coloring of the LED, the ON / OFF, and the ON / OFF timer. The LED lighting control part is a circuit part corresponding to a part including the microcomputer, the driving part, and the LED part (see Fig. 3).

마스터 장치로서 LED조명기구(20)의 제어를 행하는 휴대단말장치(1)는 LED조명기구(20)가 설치된 방, 옆 방 등 소정의 거리 내에서 LED조명기구(20)를 조작 컨트롤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1)는 복수대 준비할 수 있다. 서비스 영역(통신가능범위)은, 트인 환경 하에서 규격에서 10m 또는 100m까지의 거리이다. 하지만, LED조명기구(20)를 시인할 수 있는 트인 환경 하에 없는 위치에서의 조작가능거리는 트인 거리에 비하여 짧아진다.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that controls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as a master device can operate and control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a room where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is installed or a side room .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 apparatuses 1 can be prepared. The service area (communication coverage area) is a distance of 10 m or 100 m from the standard under open environment. However, the operable distance at a position that is not under the open environment in which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can be seen is shorter than the open distance.

휴대단말장치(1)는 통화, 데이터 송수신, 카메라 기능 등의 휴대단말장치 본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것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비하고 있다(도 2를 참조).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circuit section (not shown) for realizing functions inherent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communica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mera function, etc., as well as a circuit section for realiz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2).

LED조명기구(20)를 설치한 후, LED조명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을 켠다. 이에 따라 LED조명기구(20)는 초기화되어 무선통신을 위한 준비가 정비되고, 대기 모드가 된다(도 5를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최초로 BT컨트롤러(22)(도 3을 참조)는 자신이 가지는 PDA(Bluetooth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D/N(디바이스 명칭)을 외부를 향하여 발신한다(모드 N이라고 함).After the LED lighting fixture 20 is installed, the power is turned on to operate the LED lighting fixture. Thus,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is initialized to be read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enters the standby mode (see FIG. 5). In this state, the BT controller 22 (see FIG. 3) first sends out a PDA (Bluetooth unique device address) and D / N (device name) of its own to the outside (referred to as mode N).

이러한 모드 N 하에 있어서, 외부 스위치(리모컨 조작 또는 풀레스 조작)에 의하여 LED조명기구(20)의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페어링 요구(도 4를 참조)가 이루어지면, 모드 P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리모컨이란 종래의 조명기구에 부속하고 있는 적외선 리모컨이나 그것과 유사한 원격조작할 수 있는 단말 등을 나타내고, 풀레스 조작이란 전원 스위치를 단시간에 ON-OFF 반복하는 조작을 나타낸다.In this mode N, when a pairing request (see FIG. 4) is made from the microcomputer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by an external switch (remote control operation or pullless operation), the mode P is entered. Here, the remote controller is an infrared remote controller attached to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or a remote-controllable terminal similar to the infrared remote controller, and the pullless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witch in a short time.

모드 P에서는 소정시간 동안에, 자신이 자기는 PDA, D/N 및 S/ID(시큐리티 번호)를 외부를 향하여 송신한다. 휴대단말장치(1)는 LED조명기구(20)로부터 PDA, D/N 및 S/ID(시큐리티 번호)가 송신되어 오면, 이 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부(9)에 S/ID를 저장한다(도 2를 참조).In the mode P, the user himself / herself transmits PDA, D / N, and S / ID (security number) toward the outsid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DA, the D / N and the S / ID (security number) are transmitted from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receives this information and stores the S / ID in the memory unit 9 (See FIG. 2).

페어링이 확립된 후, BT통신시에 휴대단말장치(1)는 이와 같은 LED조명기구(20)로부터 주어진 S/ID(시큐리티 번호)를 인증하는 정보로서 송신한다. S/ID에 의하여 휴대단말장치(1)는 인증되어 BT통신을 안전하게 배타적(1대 1)으로 행할 수 있다.After the pairing is established,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transmits the S / ID (security number) given from the LED lighting device 20 a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S / ID (security numbe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is authenticated by the S / ID and can perform the BT communication securely (one-to-one).

휴대단말장치(1)는 페어링시에 LED조명기구 대응의 ID 등을 입력할 필요는 없으므로, 페어링 확립시의 유저의 조작은 쉬워진다.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does not need to input an ID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at the time of pair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at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pairing.

LED조명기구(20)는 대기모드에 있고, 휴대단말장치(1)로부터 접속 요구가 이루어지면, 모드 C로 이행한다. 모드 C는 S/ID가 인증된 휴대단말장치(1)와 LED조명기구(2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휴대단말장치(1)는 입수한 S/ID에 의하여 LED조명기구를 제어하는 유저 데이터(도 8의 (d)의 U/D-A)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도 1의 (a)의 번호 a 부분). 또한, 휴대단말장치(1)의 요구에 의하여 LED조명기구(20)는 자신의 유저 데이터(도 8의 (c)의 U/D-B)를 휴대단말장치(1)에 송신할 수 있다(도 1의 (a)의 번호 b 부분).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is in the standby mode and shifts to mode C when a connection request is made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 The mode C is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authenticated with the S / ID and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are connected.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can transmit a data packet including user data (U / DA in FIG. 8 (d)) for controlling the LED lighting apparatus by the obtained S / ID ) ≪ / RTI >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can transmit its own user data (U / DB in Fig. 8 (c)) to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at the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Part (b) of FIG.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단말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단말장치(1)의 표시부에 LED조명기구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조작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이 예는 3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늘어서서 표시되고 있다. 아이콘을 탭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처리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1c는 페어링 설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아이콘(1c)을 탭하여, 다음의 화면이 열리고, 실행을 탭함으로써, 모드 P에서 LED조명기구(20)가 LED조명기구의 PDA, D/N과 함께 송신되어 오는 S/ID를 수신하여, 메모리부에 기억할 수 있다. 1d는 조명기기 일람화면을 표시하는 아이콘이고, 아이콘(1d)을 탭함으로써 선택해야 할 LED조명기구가 늘어선 화면이 표시되며, 희망하는 LED조명기구를 선택하여 유저가 원하는 다양한 조명 컨트롤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N의 LED조명기구가 있으며, 그 중의 LED조명기구 C를 선택한다. 화면 상에는 '아침', '저녁', '단란'의 환경에 따른 조명내용을 실현하는 각각의 아이콘이 표시되므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LED조명기구 C는 선택한 환경에 적합한 조명의 밝기나 색상 등으로 설정된다. 1e는 LED조명기구의 다양한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아이콘(1e)을 탭함으로써, 구체적인 설정의 화면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아침'으로 설정된 밝기와 색상을 조정한다면, 밝기와 색상 조정의 화면을 표시하게 하고, 그 조정 화면에서 드래그 조작에 의하여 밝기 0~100%, 색상 0~100%의 범위로 변화시키는 설정을 할 수 있다.An operation screen for communicating with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 In this example, three microcomputers are displayed in an array. By tapping the icon, the desired proces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1c is an icon for performing the pairing setting. The icon 1c is tapped so that the next screen is opened and the execution is tapped so that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receives the S / I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PDA and the D / N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in the mode P, And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d is an icon for displaying the illumination device list screen. By tapping the icon 1d, a screen in which LED lighting devices to be selected are displayed is displayed, and a desired LED lighting device is selected to perform various lighting controls desired by the user . For example, there are LED lighting fixtures A to N, and LED lighting fixture C among them is selected. Each icon for realizing the illumin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morning', 'evening', and 'round'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by selecting one mode, the LED lighting fixture C can display the brightness or color And the like. Reference numeral 1e is an icon for setting various data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By tapping the icon 1e, a specific setting screen is displayed. For example, if you adjust the brightness and color set to 'morning', display the brightness and color adjustment screen, and change the brightness to 0 ~ 100% and 0 ~ 100% Can be se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단말장치의 회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휴대단말장치의 본래의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일부 회로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직접 관련하는 기능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unctional par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ome circuit parts for realizing each origina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휴대단말장치(1)는 마이크로 컴퓨터(2), 센서부(3), 클록부(4), BT컨트롤러(5), BT안테나(6), 표시부(7), 키 입력부(8), 메모리부(9), 음성입출력부(11) 및 전원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12)를 제외하는 각 회로부는 버스(13)에 의하여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컴퓨터(2)는 본 발명의 통신기능 및 이 휴대단말장치(1)의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각 블록 부분에 지령을 발신하여 도 1의 (a)에서의 시퀀스에서의 각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를 실현하는 동시에 휴대단말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제어부이다. 센서부(3)는 이 휴대단말장치(1)가 구비하는 밝기를 검출하는 광센서,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이 탑재되어 있다. 클록부(4)는 기본적으로 시각을 카운트하기 위한 클록을 발생하는 회로로, 타이머 등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includes a microcomputer 2, a sensor unit 3, a clock unit 4, a BT controller 5, a BT antenna 6, a display unit 7, a key input unit 8, A voice input / output unit 11, and a power supply unit 12. The voice input / Each of the circuit units excluding the power supply unit 12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 from each other by the bus 13. [ The microcomputer 2 reads out 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respectiv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so as to send a command to each block portion so as to generate a command in the sequence shown in Fig. Reception and processing of each data and at the same time realize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 The sensor unit 3 is equipped with an optical sensor, a GPS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like for detecting the bright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The clock unit 4 basically generates a clock for counting time, and is used for driving a timer or the like.

BT컨트롤러(5)는 디지털 기기용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인 Bluetooth 통신을 실현하는 통신제어부로, 데이터를 통신할 때에 암호화하여 소정 변조방식의 주파수 신호를 발신하는 동시에, 수신하는 회로부이다. BT안테나(6)는 Bluetooth 통신에 의한 소정 변조방식의 주파수의 전파를 캐치하는 동시에 발신한다. 표시부(7)는 탭 조작을 행하는 액정표시화면이다. 키 입력부(8)는 수식이나 기호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부분이고, 페이링이나 조명기기 일람표시, 설정시에 필요에 따라서 소정 항목을 입력할 수 있으며, 액정화면에도 키 터치패드를 표시 형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9)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LED조명기구(20)로부터 수신한 시큐리티 번호를 저장한다. 음성입출력부(11)는 마이크 및 스피커이고, 키 입력부(8)로부터 입력하는 데이터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전원부(12)는 예를 들어, 이온 리튬 충전지 등이다.The BT controller 5 i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at implements Bluetooth communication,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for digital devices. The BT controller 5 is a circuit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when data is communicated. The BT antenna 6 catches the radio wave of the predetermined modulation type by Bluetooth communication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it. The display section 7 is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for performing tap operation. The key input unit 8 is a unit for inputting data such as an expression or a symbol, and can input a predetermined item when necessary in setting a display of a pay line or a lighting apparatus, and can also display a key touch pad on a liquid crystal screen . The memory unit 9 is a nonvolatile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stores the security number received from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11 is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can also input voice inputted from the key input unit 8 by voice. The power supply unit 12 is, for example, an io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어대상이 되는 LED조명기구의 회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of an LED lighting apparatus to be controll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타이머부(31a)의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로 컴퓨터(31), BT안테나(21), BT컨트롤러(22), 클록부(23), 메모리부(24), 구동부(25), LED부(26), 전원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27)를 제외하는 각 회로부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컴퓨터(31)는, 본 발명의 통신기능 및 LED조명기구(20)의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각 블록 부분에 지령을 발신하여 도 1의 (a)의 각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동시에 LED조명기구(20)의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제어부이다. BT안테나(21), BT컨트롤러(22) 및 클록부(23)는 도 2의 휴대단말장치(1)에 가지는 BT안테나(6), BT컨트롤러(5) 및 클록부(4)의 기능에 대응한다. 메모리부(24)는 마이크로 컴퓨터(31)의 동작에 의하여 형성된 페어링 상대의 휴대단말장치의 PDA, D/N의 리스트를 보존하여, 휴대단말장치마다에 기억한다. 또한, 설정되는 타이머값(타이머 S, 타이머 D 등)도 기억할 수 있다.A microcomputer 31, a BT antenna 21, a BT controller 22, a clock section 23, a memory section 24, a driving section 25, an LED section 26, And a power supply unit 27 are provided. Each of the circuit units excluding the power supply unit 27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 microcomputer 31 reads out a program for realiz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function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to send a command to each block portion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each data of Fig. And realizes various functions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0050] The BT antenna 21, the BT controller 22 and the clock section 23 correspond to the functions of the BT antenna 6, the BT controller 5 and the clock section 4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of Fig. 2 do. The memory unit 24 stores a list of PDA and D / N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of the pairing partner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31, and stores the PDA and D / N list for each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lso, timer values (timer S, timer D, etc.) to be set can be stored.

LED조명제어부는 마이크로 컴퓨터(31), 구동부(25) 및 복수의 LED를 점등하는 LED부(26)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마이크로 컴퓨터(31)는 타이머부(31a)의 기능 실행 이외에, 설정 조작이나 각 모드 조작을 실행하고, 더욱이 휴대단말장치로부터의 LED 조명의 상태에 대한 문의 등에 대하여도 응답한다.The LED lighting control unit is formed by the microcomputer 31, the driving unit 25, the LED unit 26 that lights a plurality of LEDs, and the like. The microcomputer 31 executes a setting operation and each mode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of the timer section 31a and also responds to the inquiry about the state of the LED illumin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도 4는 휴대단말장치와 LED조명기구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communication perform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the LED lighting apparatus.

통신의 움직임에 주목하면 LED조명기구(20)는 BT컨트롤러(22)와 마이크로 컴퓨터(31) 사이에서 UART 통신(조보동기방식에 의한 시리얼 신호)에 의하여 페어링 요구,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휴대단말장치(1)와 BT컨트롤러(22) 사이에서 BT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Paying attention to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transmits the pairing request and the user data to / from the BT controller 22 and the microcomputer 31 by the UART communication (serial signal by the preliminary synchronous method). Data packet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and the BT controller 22 by BT communication.

LED조명기구(20)데 대한 휴대단말장치(1)의 조작에 의하여, 휴대단말장치(1)와 LED조명기구(20) 사이에서는 BT통신, UART통신이 연동하여 행해진다.BT communication and UART communication are interlock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and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by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for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

LED조명기구(20)의 전원이 켜지면 BT컨트롤러(22)는 모드 N이 되어 데이터 패킷 A(LED조명기구의 PDA, D/N)의 송신을 개시한다. 도 8의 (a)에 데이터 패킷 A의 데이터 구조가 나타나 있다. 데이터 패킷 A은 헤더부, PDA부, D/N부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부는, 예를 들어 송신원/처, 패킷의 크기, 수 등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PDA부 및 D/N부는 LED조명기구의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When the power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is turned on, the BT controller 22 becomes mode N and starts transmission of the data packet A (PDA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D / N). The data structure of the data packet A is shown in Fig. 8 (a). The data packet A is composed of a header portion, a PDA portion, and a D / N portion. The header section describes data such as, for example, source / destination, packet size and number. The PDA unit and the D / N unit describe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device name of the LED lighting fixture.

다음으로, LED조명기구 설치의 리모컨이나 LED조명기구 본체 또는 LED조명기구 본체에 공급하는 코드의 스위치 등에 있어서 풀레스 조작이 이루어지면, 마이크로 컴퓨터(31)는 BT컨트롤러(22)에 대하여 페어링 요구를 송출함으로써, BT컨트롤러(22)는 모드 P로 이행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에 데이터 패킷 B(PDA, D/N에 더하여 S/ID)를 송출한다. 도 8의 (b)에 데이터 패킷 B의 데이터 구조가 나타나 있다. 데이터 패킷 B은 헤더부, PDA부, D/N부 및 S/ID부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부, PDA부, D/A부는 데이터 패킷 A와 동일하고, S/ID부에는 시큐리티 번호가 기술되어 있다.Next, when full operation is performed in a remote control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installation, a LED lighting apparatus main body, or a cord switch to be suppli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main body, the microcomputer 31 sends a pairing request to the BT controller 22 The BT controller 22 shifts to the mode P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B (S / ID in addition to the PDA and D / 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ata structure of the data packet B is shown in Fig. 8 (b). The data packet B is composed of a header portion, a PDA portion, a D / N portion and an S / ID portion. The header part, the PDA part, and the D / A part are the same as the data packet A, and the S / ID part describes the security number.

휴대단말장치(1)는 이러한 정보를 받아 접속 요구(도 1의 (b)의 페어링(1c))를 행하면, 그 정보를 BT컨트롤러(22)가 수신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1)에 보낸다. 페어링을 확립한 휴대단말장치의 PDA, D/N은 메모리부(24)에 기억된다. 그리고, 모드 C로 이행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receives this information and performs a connection request (pairing 1c in Fig. 1 (b)), the BT controller 22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sends it to the microcomputer 31. [ The PDA and D / 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has established the pairing are stored in the memory section 24. [ Then, the mode shifts to mode C.

모드 C로 이행하면, 휴대단말장치(1)는 LED조명기구(20)에 대하여, 페어링 처리가 완료되었으므로, 유저는 이후에 도 1의 (b)에 나타내는 화면예의 조명기기 일람을 탭함으로써, LED조명기구에 대하여 다양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유저가 소정의 조작내용을 선택하고, 탭하여 송신하면, 데이터 패킷 D가 LED조명기구(20)에 송신된다. 데이터 패킷 D의 데이터 구조는 도 8의 (d)에 나타내는 것으로, 헤더부, PDA부, S/ID부, U/D-A부 및 체크섬부로 구성되어 있다. S/ID부의 시큐리티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LED조명기구(20)는 안전하게 접수할 수 있다. U/D-A부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밝기를 100%로 한다, 조명의 색상을 바꾼다, 조명기구에 대하여 현재 상태는 어떻게 하여 점등하고 있는지의 문의 등을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이다. 체크섬은 송신되는 패킷이 바르게 송신되었는지 아닌지의 데이터를 체크하는 것이다. 송신측에서는 데이터양을 예를 들어 20byte 단위의 블록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수신측에서는 데이터의 1블록이 20byte 단위이며 각 데이터 내용의 합과 체크섬 값이 일치하고 있으면 정상으로 수신된 것이 되고, 노이즈 등이 통신경로에서 중첩되면, 블록의 데이터양이나 데이터 내용이 변한 것이 된다. 또한,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한 수의 데이터도 송신하며, 수신측에서 송신한 데이터와 실제로 수신한 데이터의 일치를 체크하는 방법도 있다.When the mode shifts to the mode C,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has completed the pair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and the user then taps the list of lighting apparatuses of the screen example shown in Fig. 1 (b)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on the lighting apparatus.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operation content and taps and transmits the data, the data packet D is transmitt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 The data structure of the data packet D is shown in FIG. 8 (d) and is composed of a header portion, a PDA portion, an S / ID portion, a U / D-A portion and a check sum portion. Since the security number of the S / ID unit is included,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can be received safely. The U / D-A portion indicates control contents. For example, the brightness is set to 100%. The color of the illumination is changed. The current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is control data indicating how to turn on the illumination. The checksum is to check whether the transmitted packet is correctly transmitted or not. On the receiving side, one block of data is in units of 20 bytes. If the sum of the contents of the data and the checksum value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data is normally received. When they are overlapped in the communication path, the data amount of the block or the data contents are changed.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data on the transmitting side, to transmit the divided data, and to check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ata transmitted on the receiving side and the actually received data.

BT컨트롤러(22)가 수신한 데이터 중, U/D-A는 마이크로 컴퓨터(31)에 보내져, 유저 데이터의 내용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조명기구 상태의 문의에 관한 것은, 그 응답 데이터로서 U/D-B가 BT컨트롤러(22)에 보내지고, BT통신에 의하여 도 8의 (c)에 나타나는 데이터 패킷 C가 휴대단말장치(1)에 돌아온다. U/D-B에는, 예를 들어 현재 조명의 밝기가 30%, 색상 70%로 기술되어 있고, 그 정보는 휴대단말장치(1)의 수신대응 화면에 표시된다. 유저는 이 상태를 확인하여 휴대단말장치(1)의 도 1의 (b)에 나타나는 조명기구 일람(1d)의 조작에 의하여 스스로가 원하는 밝기로 변경할 수 있다. 유저는 LED조명기구(20)에 대하여 조작이 종료된 경우, 절단 요구를 송출한다. BT컨트롤러(22)는 절단요구를 수신하면, 모드 N으로 이행하고, 절단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 A를 송신한다.Of the data received by the BT controller 22, U / D-A is sent to the microcomputer 31, and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user data. For example, regarding the query of the illuminator status, the U / DB is sent to the BT controller 22 as the response data, and the data packet C shown in FIG. 8 (c) 1). In U / D-B, for example, the brightness of the current illumination is 30% and the color is 70%, and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reception corresponding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 [ The user can check this state and change the brightness to the brightness desired by himself / herself by operating the lighting apparatus list 1d shown in Fig. 1 (b)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1. [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for the LED lighting apparatus 20, the user sends a cutoff request. Upon receiving the disconnection request, the BT controller 22 shifts to mode N and transmits a data packet A indicating that the disconnection has been completed.

도 5는 조명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처리하는 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mode processed by the microcomputer built in the lighting apparatus.

LED조명기구에 전원이 투입되면, 마이크로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메모리의 워킹 에리어가 클리어되는 등의 LED조명기구로서 작동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그 후, 리모컨 조작, 풀레스 조작, 또는 BT 컨트롤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 모드에 들어간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the microcomputer is ready to operate as an LED lighting apparatus, such as reading a program, and clearing the working area of the memory. After that, it enters standby mode waiting for input from remote control operation, full operation, or BT control.

페어링 모드는 풀레스 동작 또는 리모컨에 의한 페어링 요구에 의하여 인터럽트(INT-1)가 발생한 경우, 페어링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드이다. 마이크로 컴퓨터가 BT컨트롤러에 페어링 요구를 송출한다.The pair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pair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an interrupt (INT-1) occurs due to a pull-up operation or a pairing request by a remote controller. The microcomputer sends a pairing request to the BT controller.

제어모드는 BT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요구의 수신에 의하여 인터럽트(INT-2)가 발생한 경우, 그 수신 데이터에 따라서 조색 출력, 조광 출력, 내부 타이머 세트 등을 행하는 모드이다.The 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when an interrupt (INT-2) is gen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request from the BT controller, color output, dimming output, internal timer set, and the like a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data.

출력 모드는 BT컨트롤러로부터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인터럽트(INT-3)가 발생한 경우, BT컨트롤러에 현재의 조명상황을 송신하는 모드이다.The output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lighting condition to the BT controller when an interrupt (INT-3)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BT controller occurs.

타이머 모드는 내부 타이머로부터 설정 시각이 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럽트(INT-4)가 발생한 경우, 타이머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 모드이다.The timer mode is a mode in which a timer is started or terminated when an interrupt (INT-4) for receiving information that has been set by the internal timer occurs.

도 6은 조명기구에 내장되어 있는 BT컨트롤러가 행하는 제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이다.6 is a transi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control performed by the BT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lighting apparatus.

LED조명기구가 전원투입에 의하여 초기화된 후, 자신의 PDA와 D/N을 송신하고 있는 상태인 모드 N, 페어링 요구에 의하여 자신의 PDA, D/N 및 S/ID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인 모드 P, S/ID로 인증된 휴대단말장치와 송신하고 있는 상태인 모드 C로 이행하여 휴대단말장치의 조작에 의한 LED조명기구로의 제어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통신 BT의 블록은 LED조명기구로부터의 U/D-B를 S/ID로 인증된 휴대단말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통신 U의 블록은 S/ID로 인증된 휴대단말장치로부터의 U/D-A를 LED조명기구에 송신하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initialized by power-on, and then the mode N, which is the state in which the PDA and the D / N are transmitted, transmits the PDA, the D / N, and the S / P, and S / ID, and control is performed to the LED illuminator by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Here, the block of the communication BT transmits the U / DB from the LED lighting apparatus to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uthenticated by the S / ID, the block of the communication U transmits the U / DA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uthenticated by the S /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모드 N의 상태에서는 LED조명기구는 자신의 PDA와 D/N을 송신하고 있는 상태이고, 조명기구의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의 페어링 요구(인터럽트(INT-1))가 있으면, 타이머 S가 시작되어 모드 P로 이행한다. 타이머 시간은, 예를 들어 10초(설정에 의하여 변할 수 있음)이고, 이 시간 내에 페어링 조작을 행하게 된다. 모드 P의 상태에서 페어링을 완료하거나 또는 타이머 S가 타임아웃하면(인터럽트(INT-2)), 타이머 S는 멈추고, 모드 N의 상태로 되돌아간다.In the state of the mode N, the LED lighting apparatus is in a state of transmitting its own PDA and D / N, and if there is a pairing request (interrupt (INT-1)) from the microcomputer of the lighting apparatus, . The timer time is, for example, 10 second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and the pair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in this time. When the pairing is completed in the state of mode P or the timer S times out (interrupt (INT-2)), the timer S stops and returns to the state of the mode N.

또한,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요구(인터럽트(INT-3))가 있으면, 타이머 S는 정지하고, 다음으로 모드 C의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인 타이머 D를 개시한다.Further, when there is a connection request (interrupt (INT-3))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the timer S is stopped and the timer D, which is a time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mode C next, is started.

모드 P는 1개의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최초로 작동하는 허가를 주지 않는 경우에 이행하는 모드이다. 단, 페어링을 행한 휴대단말장치는 이 모드로 이행하지 않는다.The mode P is a mode for shifting to a case wher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s not permitted to operate.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has performed the pairing does not shift to this mode.

모드 N의 상태로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요구(인터럽트(INT-4))가 발생하면, 타이머 D가 개시되고, 예를 들어 30초간, 모드 C가 유지된다. 또한, 모드 P에서 접속 요구(인터럽트(INT-3))가 있으면 타이머 S가 정지한 후에도 모드 C를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 D가 개시된다. BT컨트롤러(22)는 인증된 S/ID에 의하여 휴대단말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제어상태에 들어간다. 그리고, 휴대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인터럽트(INT-6)), 송신되어 온 유저 데이터가 정상으로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체크섬).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정상이 아니면 모드 C로 되돌아간다.When a connection request (interrupt (INT-4)) is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n the state of the mode N, the timer D is started and the mode C is held for 30 seconds, for example. If there is a connection request (interrupt (INT-3)) in the mode P, a timer D for holding the mode C is started even after the timer S is stopped. The BT controller 22 enters the control stat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by the authenticated S / ID. Then, when receiving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terrupt (INT-6)),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transmitted user data is normally received (check sum). If the transmitted data is not normal, it returns to mode C.

정상으로 수신된 것을 확인한 경우, 타이머 D를 정시시킨다. 이어서 데이터의 일부로서 송신되어 온 S/ID를 체크하고, S.ID에 오류가 없으면, BT컨트롤러(22)는 통신(U)에 의하여 유저 데이터를 마이크로 컴퓨터(31)에 보낸다. 마이크로 컴퓨터(31)는 유저 데이터 내용에 따라서 LED조명기구에 대하여 전원 ON/OFF, 조광, 조색이나 타이머 설정을 행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If it is confirmed that it has been received normally, the timer D is brought to a deadline. Then, the S / ID transmitted as part of the data is checked. If there is no error in the S.ID, the BT controller 22 sends the user data to the microcomputer 31 by the communication U. The microcomputer 31 performs processing such as power ON / OFF, dimming, coloring and timer setting for the LED light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the user data.

한편, S/ID를 체크한 결과, 인증을 취할 수 없다면, 모드 C에 의한 휴대단말장치와의 접속을 절단하여 모드 N의 상태로 이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can not be perform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 / ID,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by mode C is disconnected and the mode N is entered.

BT컨트롤러(22)는 LED조명기구의 마이크로 컴퓨터(3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인터럽트(INT-7))하면, 휴대단말장치에 대하여 통신(BT)에 의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보낸다.The BT controller 22 receives data (interrupt (INT-7)) from the microcomputer 31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and sends th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BT to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또한, 모드 C의 상태에서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요구, 타이머 D의 타임아웃, 또는 접속 중의 휴대단말장치가 통신권 밖으로 이동(인터럽트(INT-5))한 경우에도 접속을 절단하고 모드 N의 상태로 되돌아간다.If the connection request, the timer D timeout, 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 connection is moved out of the communication area (interrupt (INT-5))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 the state of mode C, Lt; / RTI >

도 7은 휴대단말장치가 처리하는 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ach mode to be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휴대단말장치는 어플리케이션 기동에 의한 탑 화면에서 각 인터럽트 조작(INT)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모드에 들어간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화면예가 대기 모드에 상당한다.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enters a standby mode for waiting for input of each interrupt operation (INT) on the top screen by application startup. The screen example shown in Fig. 1 (b) corresponds to the standby mode.

페어링 모드는 BT컨트롤러로부터의 LED조명기구의 S/ID를 수신하고, 유저가 페어링 화면(페어링(1c)의 아이콘)을 탭하면, 인터럽트(INT-1)가 발생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모드이다.The pairing mode is a mode in which an interrupt (INT-1) occurs and a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when the user receives the S / ID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from the BT controller and taps the pairing screen (icon of pairing 1c) .

조작 모드는 유저가 조색, 조광 화면을 탭하면, 인터럽트(INT-2)가 발생하여 선택된 LED부 또는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The op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n interrupt (INT-2) occurs when the user taps the color tone and light control screen to display the selected LED unit or group information.

출력 모드는 화면으로부터 각 제어내용을 지정하여 조색 데이터, 조광 데이터, ON/OFF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인터럽트(INT-5)가 발생하여, LED조명기구의 조명부를 조색, 조광 데이터대로 컨트롤하는 모드이다.In the output mode, an interrupt (INT-5) is generated by transmitting coloring data, dimming data, and ON / OFF data by designating each control content from the screen, and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loring and dimming data .

타이머 모드는 설정 타이머 시각에 도달하였을 때, 인터럽트(INT-3)가 발생하여, 설정한 조색 데이터, 조광 데이터, ON/OFF 데이터를 LED조명기구에 송신하는 모드이다.The timer mode is a mode in which an interrupt (INT-3) is generated when the set timer time arrives, and the set color data, dimming data, and ON / OFF data are transmitted to the LED lighting apparatus.

설정 모드는 설정화면을 탭하면 인터럽트(INT-4)가 발생하여, 조명기구의 명칭, 타이머값(타이머 S, D의 시간 데이터를 설정하는 등), 그룹화, 씬 등의 설정을 행하는 모드이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화면예의 설정의 아이콘(1e)을 탭하는 것에 상당한다. 타이머의 설정은, 초기값은, 예를 들어 타이머 S는 30초, 타이머 D는 180초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 설정 모드에 의하여 설정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setting mode, an interrupt (INT-4) is generated when a setting screen is tapped, and a name of a lighting apparatus, a timer value (setting time data of timers S and D, etc.), a grouping, and a scene are set. Corresponds to tapping the icon 1e of the screen example setting shown in Fig. 1 (b). For example, the timer S is set to 30 seconds, and the timer D is set to 180 seconds. The setting time can be changed by this setting mode.

이상의 실시형태는, 휴대단말장치로서 스마트폰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는데, 마스터 장치가 될 수 있는 것은 같은 종류의 복수의 휴대단말장치 이외에,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태블릿 등을 혼재하여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패킷의 구조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 A~D의 예를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 구조의 데이터 패킷 구조로 BT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embodiment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a smart phone is applied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register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etc.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 devices of the same type that can be master devices Do. In addition, the data packets A to D shown in FIG. 8 are used as the data packet structure,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BT communication with a data packet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산업상의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디지털 카메라, 헤드셋, 마우스, 키보드, 스테레오, 프린터, LED조명기구 등을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로 조작·제어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이다.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operate and control a digital camera, a headset, a mouse, a keyboard, a stereo, a printer, and an LED lighting device with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1: 휴대단말장치(스마트폰)
2, 31: 마이크로 컴퓨터
3: 센서부
4, 23: 클록부
5, 22: BT컨트롤러
6, 21: BT안테나
7: 표시부
8: 키 입력부
9, 24: 메모리부
11: 음성입출력부
12, 27: 전원부
20: LED조명기구
25: 구동부
26: LED부
1: Portable terminal device (smart phone)
2, 31: Microcomputer
3:
4, 23: clock part
5, 22: BT controller
6, 21: BT antenna
7:
8:
9, 24: Memory part
11: Voice input / output unit
12, 27:
20: LED lighting fixtures
25:
26: LED section

Claims (9)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탑재하고,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 및 시큐리티 번호를 가지며, 제어대상부를 구비하는 슬레이브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탑재한 근거리 무선통신기기와 페어링을 조직할 수 있는 마스터용 근거리 무선통신기기를 탑재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1 이상의 휴대단말장치인 마스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전원 투입에 의하여, 상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을 송신하며,
그 상태로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대하여 적외선 송신 또는 풀레스 조작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그 조작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시간, 상기 마스터 장치와 통신 가능 상태로 하며, 상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에 더하여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수신한 시큐리티 번호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 가능 상태로 이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취득한 마스터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기의 규격에 근거하여 임의로 발생하는 자(自)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임의로 발생하는 자 어드레스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시큐리티 번호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취득한 마스터 장치로부터 지시되는 제어내용을 제어대상부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A slave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has a unique device address, a device name and a security number,
And a master device, which is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 devices for controlling the slave device,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 master capable of pairing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slave device,
The slave device transmits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the device name upon power-on,
And the slave device is in the state of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master devi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in addition to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device name Transmits the security number,
The master device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transition to a communicable state with the slave device by storing the received security number,
When the master device that has obtained the security number generates a random address that is generated arbitrarily based on the specification of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master device transmits a random address generated by the master device,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security number and the slave device And the slave device executes the control contents instructed by the master device from which the security number is obtained, by the control subjec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복수의 LED부를 포함하는 LED조명제어부를 구비한 LED조명기구이고, 상기 LED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조광, 조색, 온오프 제어 또는 타이머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항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ave device is an LED lighting device having an LED lighting control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parts and the LED lighting control part controls the slave device based on the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s, And executes a control i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기구는, BT컨트롤러와 CPU를 포함하고,
상기 BT컨트롤러는, 상기 휴대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는 BT통신을 행하며,
상기 CPU와의 사이는 UART 통신을 행하고,
상기 LED조명기구의 전원투입에 의하여, 상기 LED조명기구가 상기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을 패킷으로 송신하기 위한 모드 N 상태로 이행하며,
상기 CPU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있었을 때, 소정의 시간,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통신 가능 상태로 하고,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에 더하여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패킷으로 송신하며,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모드 P로 이행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가 적어도 자(自)장치명, 시큐리티 번호 및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접속 요구를 하였을 때, 상기 BT컨트롤러로부터 상기 CPU에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어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 C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D lighting apparatus includes a BT controller and a CPU,
The BT controller performs BT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UART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the CPU,
The LED lighting apparatus shifts to a mode N state for transmitting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the device name in packets by turning on power of the LED lighting apparatus,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allowed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pairing request is made from the CPU and transmits the security number in packets in addition to the unique device address and the device name, The mode shifts to the mode P for registr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makes a connection request to transmit data indicating at least its own device name, security number and control content, the BT controller transmits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 to the CPU to execute the control content And a mode C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T컨트롤러는 소정의 시간, 모드 C를 유지하고,
모드 C에서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을 때, 체크섬을 행하며,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정신인 것을 체크하고,
그 후에, 모드 C를 종료하며,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큐리티 번호가 LED조명기구가 가지고 있는 시큐리티 번호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CPU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고, 모드 C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BT controller maintains the mode C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ode C, when data indicating control contents is transmitted, checksum is perform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transmitted data is mental,
Thereafter, the mode C is terminated. When the securi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coincides with the security number held by the LED lighting apparatus,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PU, and the mode is returned to the mode C.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PHS 전화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3, or 4,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s a smart phone, a portable telephone, a PHS telephone, a tabl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portable PC.
1 이상의 휴대단말장치인 마스터 장치와, BT컨트롤러와 CPU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가지고,
상기 BT컨트롤러와 상기 마스터 장치 사이에서는 BT통신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BT컨트롤러와 상기 CPU 사이는 UART통신을 행하며,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전원 투입에 의하여,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그 슬레이브 장치의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을 BT통신으로 패킷에 의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리모컨 조작 또는 풀레스 조작에 의하여 상기 CPU로부터 상기 BT컨트롤러에 대하여 UART통신으로 페어링 요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페어링 요구가 있었을 때, 소정의 시간, 상기 휴대단말장치와 통신 가능 상태로 하고, 고유 디바이스 어드레스, 디바이스명에 더하여 시큐리티 번호를 BT통신으로 패킷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시큐리티 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적어도 자장치명, 시큐리티 번호 및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BT통신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BT컨트롤러가 상기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UART통신으로 상기 CP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A slave device including a master device as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 devices, a BT controller and a CPU,
Performing BT communication between the BT controller and the master device, performing UART communication between the BT controller and the CPU,
A step in which the slave device transmits a unique device address and a device name of the slave device by a packet in BT communication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slave device;
Performing a pairing request from the CPU to the BT controller by UART communication by remote control operation or full oper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the pairing request is made,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transmitting a security number in addition to an intrinsic device address and a device name in a BT communication;
The master device storing and registering the security number;
A step in which the master device transmits at least data indicative of a device name, a security number, and control contents through BT communication;
And the BT controller transmits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s to the CPU via UART communic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복수의 LED부를 포함하는 LED조명제어부를 구비한 LED조명기구이고,
상기 LED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조광, 조색, 온오프 제어 또는 타이머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항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lave device is an LED lighting device having an LED lighting control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parts,
Wherein the LED lighting control unit executes a control item including dimming, coloring, on-off control, or timer control based on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T컨트롤러는 소정의 시간, 모드 C를 유지하고,
모드 C에서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을 때, 체크섬을 행하며,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정상인 것을 체크하고,
그 후에, 모드 C를 종료하며,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시큐리티 번호가 LED조명기구가 가지고 있는 시큐리티 번호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CPU에 대하여 통신을 행하고, 모드 C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T controller maintains the mode C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mode C, when data indicating the control content is transmitted, checksum is performed, and it is checked that the transmitted data is normal,
Thereafter, the mode C is terminated. When the securi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coincides with the security number held by the LED lighting apparatus,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PU, and the mode is returned to the mode C. Communication method.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전화기, PHS 전화기, 태블릿, PDA, 휴대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7 or 8,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HS telephone, a tablet, a PDA, and a portable PC.
KR1020140080894A 2014-04-25 2014-06-30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KR201501236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1359 2014-04-25
JP2014091359A JP6144228B2 (en) 2014-04-25 2014-04-25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676A true KR20150123676A (en) 2015-11-04

Family

ID=5460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894A KR20150123676A (en) 2014-04-25 2014-06-30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44228B2 (en)
KR (1) KR201501236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21A (en)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Two or More Hands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7651B2 (en) * 2016-03-30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6854468B2 (en) * 2017-02-23 2021-04-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ighting control devic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JP6909400B2 (en) * 2017-06-29 2021-07-2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ighting system and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9949A (en) * 2001-04-20 2002-10-31 Toshiba Corp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controlling method
JP2008211706A (en) * 2007-02-28 2008-09-11 Fujitsu General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19791B2 (en) * 2007-08-06 2013-01-1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Remote control device and lighting system
JP5471024B2 (en) * 2008-07-25 2014-04-16 株式会社リコー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 control system, print control method, print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JP2012209758A (en) * 2011-03-30 2012-10-25 Kddi Corp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US20130065642A1 (en) * 2011-09-12 2013-03-14 Lustrous Green Technology Of Lighting Lumina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controlling the same
JP5996905B2 (en) * 2012-03-30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nod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6085925B2 (en) * 2012-09-18 2017-03-01 株式会社リコー Dimming control device, dimming control system, and dimming control program
JP6328123B2 (en) * 2012-10-11 2018-05-23 ノルディック セミコンダクタ アーエスアーNordic Semiconductor ASA Addressable wireless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21A (en)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Two or More Hand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44228B2 (en) 2017-06-07
JP2015211322A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9869B2 (en)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AU2011359604B2 (en)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JP4782578B2 (en) Residential equipment control system
JP573900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03945A1 (en) Interoperation of Terminals
KR20120067608A (en) A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KR20140000914A (e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614422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KR20210026834A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CN104731066A (en) Intelligent hou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63594A1 (en) Adaptable multi-mode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TWI646798B (en) Operation terminal control system
CN103312381B (en) The method of wireless device pairing
KR101573785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Z-Wave NETWORK AND HOME AUTOMATION APPLIANC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677131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KR102177078B1 (en) Electric device with pairing function between mobile device easily and pairing method thereof
JP2007235230A (en) Intercom device
JP2011061669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remote controller existing around operation target device
JP2015055754A (en) Karaoke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 program
KR101333656B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7283732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661193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JP4061930B2 (en) Wireless load control system and distribution board
AU2014202483B2 (en)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KR20180045584A (en) Device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exter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