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545A -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 Google Patents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545A
KR20150122545A KR1020140048976A KR20140048976A KR20150122545A KR 20150122545 A KR20150122545 A KR 20150122545A KR 1020140048976 A KR1020140048976 A KR 1020140048976A KR 20140048976 A KR20140048976 A KR 20140048976A KR 20150122545 A KR20150122545 A KR 2015012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older
hinge
hole
for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013B1 (ko
Inventor
배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원 filed Critical 배수원
Priority to KR102014004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0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사출 구조를 배제하고 한 벌의 금형으로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의 경계면을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컵라면 상단 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일측에 다수 개의 포크 날(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제1홀(12)이 형성된 포크 부재(10);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포크 부재의 타측 단부에서 제1힌지(H1)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된 플레이트(21)와, 컵라면 용기의 상단 턱이 내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1)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된 중공부(22)와, 상기 중공부 및 제1힌지 사이에 형성된 제2홀(24)을 포함하는 홀더 부재(20); 상기 중공부(22)의 일측 단부에서 제2힌지(H2)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 면에 상기 제1홀(12) 및 제2홀(24)에 각각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31)가 구비된 평판 상의 결속편(3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 및 제2힌지는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굽힘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포크 부재, 홀더 부재 및 결속편이 일체로 이루어져 한 벌의 금형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된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다.

Description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본 발명은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라면 용기를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를 덮고 열리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로 사용하는 동시에 포크(fork)를 이용하여 라면이나 김치 등을 먹을 수 있도록 한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렌 수지 등으로 제작된 용기에 식품 내용물을 넣고 에틸렌 수지 등으로 코팅된 종이 덮개를 용기 상부에 가열 압착하여 생산되는 컵라면은 조리를 위하여 덮개의 일부를 개봉하고 스프와 끓는 물을 부은 후 개봉했던 부분의 덮개를 다시 덮어서 요구되는 조리시간 동안 유지한 후 덮개를 재개봉하여 먹도록 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개봉했던 덮개 부분을 다시 덮어 고정하는 방법이 개봉 시 손잡이로 이용되는 덮개의 돌출부를 용기의 상단 턱 하부로 접어서 고정하였으나, 손잡이 부분의 고정력이 약할 뿐 아니라 수증기로 인해 덮개가 쉽게 변형되어 덮개가 쉽게 열리므로 뜨거운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라면이 잘 익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소비자는 라면을 익히는 조리시간 동안 종이뚜껑 상부에 책 등의 물체를 올려놓는 방법으로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불편할 뿐 아니라 하부가 상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되어 있는 용기의 형태의 특성을 비롯하여 상부 쪽에 위치하게 되는 무게중심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용기가 넘어질 우려가 높은 위험한 방법이었으며, 또한 야외와 같이 평탄하고 안정된 장소가 없을 경우는 종이뚜껑 상부에 물체를 올려놓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08006호 등록특허공보(특허문헌 1)와 같이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를 덮은 후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이 단시간 내에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포크를 결속하여 포크를 이용하여 라면과 반찬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를 제안하여 등록받을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포크 날이 형성된 포크 부재와, 컵라면 용기의 상단 턱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부재가 별도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별도로 준비되어야 하고, 또한 몇몇 실시 예들은 2중 사출을 통해서 생산되어야 하므로 금형 제조비용이 고가이면서도 관리가 어렵고 시간당 생산량이 적어서 경제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08006호 등록특허공보(2013.9.12 공고)
상기 종래 기술이 내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사출 구조를 배제하고 한 벌의 금형으로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의 경계면을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컵라면 상단 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다수 개의 포크 날(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제1홀(12)이 형성된 포크 부재(10);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포크 부재의 타측 단부에서 제1힌지(H1)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된 플레이트(21)와, 컵라면 용기의 상단 턱이 내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1)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된 중공부(22)와, 상기 중공부 및 제1힌지 사이에 형성된 제2홀(24)을 포함하는 홀더 부재(20); 상기 중공부(22)의 일측 단부에서 제2힌지(H2)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 면에 상기 제1홀(12) 및 제2홀(24)에 각각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31)가 구비된 평판 상의 결속편(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 및 제2힌지는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굽힘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포크 부재, 홀더 부재 및 결속편이 일체로 이루어져 한 벌의 금형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의 구조상 이중사출 구조를 배제하고 상/하측으로 이루어진 한 벌의 금형을 이용하여 1회의 사출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금형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생산량을 배가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더욱이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의 경계부분을 접는 방식이므로 필요에 따라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홀더 부재를 이용하여 컵라면 상단 턱을 고정할 때 상단 턱의 하단면을 가압하는 구조로 하여 쉽게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컵라면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서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폴딩하는 과정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의 폴딩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서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상호 고정하는 과정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를 이용하여 컵라면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홀더 부재와 컵라면 용기 상단 턱의 고정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는 포크 부재(10), 홀더 부재(20) 및 결속편(30)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각각 제1힌지(H1)와 제2힌지(H2)를 통해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포크 부재(10)는 일측에 다수 개의 포크 날(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제1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부재(20)는 컵라면 용기의 상단 턱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포크 부재(10)의 타측 단부에서 제1힌지(H1)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된 플레이트(21)와, 컵라면 용기의 상단 턱이 내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1)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된 중공부(22)와, 상기 중공부(22) 및 제1힌지(H1) 사이에 형성된 제2홀(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속편(30)은 상기 포크 부재(10) 및 홀더 부재(20)가 상호 일직선상일 때 이들을 상호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공부(22)의 일측 단부에서 제2힌지(H2)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 면에는 상기 제1홀(12) 및 제2홀(24)에 각각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힌지(H1) 및 제2힌지(H2)는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굽힘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포크 부재(10), 홀더 부재(20) 및 결속편(30)이 일체로 이루어져서 한 벌의 금형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같이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를 잇는 제1힌지(H1)를 기점으로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가 상호 굽힘 가능하고, 또한 홀더 부재(20)와 결속편(30)을 잇는 제2힌지(H2)를 기점으로 홀더 부재(20)와 결속편(30)이 상호 굽힘 가능하다.
한편, 상기 중공부(2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대(23)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23) 중 어느 하나는 호 형태로 함몰된 요입홈(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컵라면 용기와의 접촉면이 확장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각 지지대(23)의 대향 면 중, 상기 요입홈(25)이 형성된 지지대의 대향면에는 컵라면 용기(40)의 상단 턱(41)의 하단면을 가압하는 융기부(26)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컵라면 용기(40)로의 고정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포크 부재(10)의 일측에는 슬롯(13)이 천공되고 상기 결속편(30)의 일측에는 상기 슬롯(13)에 삽입 가능한 제2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H1)를 기점으로 상기 포크 부재(10) 및 홀더 부재(20)를 상호 굽혔을 때 상기 제2돌기(32)가 상기 슬롯(13)에 내입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를 상호 굽혀서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 부재(10)의 일측에는 리브(14)가 구비되고, 상기 리브(14)는 상기 결속편(30)의 제1돌기(31)를 통해 포크 부재(10) 및 홀더 부재(20)를 각각 고정했을 때 상기 결속편(30)의 적어도 한 면과 접하게 되어 결속편(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서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폴딩하는 과정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폴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의 경계면에 형성된 제1힌지(H1)를 기점으로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를 굽혀서 접은 다음, 결속편(30)의 제2돌기(32)를 슬롯(13)에 끼운다.
이는 전체 크기(부피)를 줄여서 포장이나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제2돌기(32)와 슬롯(13) 간의 마찰 결속력에 의해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의 폴딩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서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상호 고정하는 과정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를 일직선상으로 펼친 상태에서 제2힌지(H2)를 기점으로 결속편(30)을 굽혀서 접은 다음, 한 쌍의 제1돌기(31)를 각각 포크 부재(10)의 제1홀(12)과 홀더 부재(20)의 제2홀(24)에 끼운다.
이 경우 결속편(30)에 의해서 포크 부재(10)와 홀더 부재(20)의 일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홀더 부재(20)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식사가 가능하다.
더욱이 결속편(30)이 체결되었을 때 제2돌기(32)의 일측 면이 포크 부재(10)의 리브(14) 면과 접하게 하면, 결속편(30)을 비롯하여 포크 부재(10) 및 홀더 부재(20) 상호 간의 결속력이 증대되므로 포크 사용시 조립에 의한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를 이용하여 컵라면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홀더 부재와 컵라면 용기 상단 턱의 고정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부재(20)의 중공부(22)에 컵라면 용기(40)의 상단 턱(41)과 커버(42)을 함께 끼워 넣으면 커버(42)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요입홈(25)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대(23)를 커버(42) 측으로 향하게 하고, 요입홈(25)이 형성된 지지대(23)를 상단 턱(41)의 하단으로 향하게 하면 컵라면 용기(40)의 원호상 외면이 상기 요입홈(25)에 내입되므로 그만큼 홀더 부재(20)를 더 깊이 넣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요입홈(25)이 형성된 지지대(23) 측의 융기부(26)는 통상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컵라면 용기(40)의 상단 턱(41)의 하단 면을 쉽게 눌러서 가압하기 때문에 홀더 부재(20)가 컵라면 용기(4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포크 부재 11: 포크 날
12: 제1홀 13: 슬롯
20: 홀더 부재 21: 플레이트
22: 중공부 23: 지지대
24: 제2홀 25: 요입홈
26: 융기부
30: 결속편 31: 제1돌기
32: 제2돌기
H1: 제1힌지 H2 : 제2힌지

Claims (5)

  1. 일측에 다수 개의 포크 날(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 제1홀(12)이 형성된 포크 부재(10);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포크 부재의 타측 단부에서 제1힌지(H1)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된 플레이트(21)와, 컵라면 용기의 상단 턱이 내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1)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된 중공부(22)와, 상기 중공부 및 제1힌지 사이에 형성된 제2홀(24)을 포함하는 홀더 부재(20);
    상기 중공부(22)의 일측 단부에서 제2힌지(H2)로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 면에 상기 제1홀(12) 및 제2홀(24)에 각각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제1돌기(31)가 구비된 평판 상의 결속편(3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 및 제2힌지는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굽힘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포크 부재, 홀더 부재 및 결속편이 일체로 이루어져 한 벌의 금형에서 동시에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부재의 일측에는 슬롯(13)이 천공되고 상기 결속편의 일측에는 상기 슬롯에 삽입 가능한 제2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제1힌지(H1)를 기점으로 상기 포크 부재 및 홀더 부재를 상호 굽혔을 때 상기 제2돌기가 상기 슬롯에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대(23)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는 호 형태로 함몰된 요입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대(23)의 대향 면 중, 상기 요입홈(25)이 형성된 지지대의 대향면에는 컵라면 용기 상단 턱의 하단면을 가압하는 융기부(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편의 한 쌍의 제1돌기가 이 포크 부재와 홀더 부재를 각각 고정시 상기 결속편의 적어도 한 면과 접하도록 하는 리브(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20140048976A 2014-04-23 2014-04-23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157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976A KR101574013B1 (ko) 2014-04-23 2014-04-23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976A KR101574013B1 (ko) 2014-04-23 2014-04-23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45A true KR20150122545A (ko) 2015-11-02
KR101574013B1 KR101574013B1 (ko) 2015-12-02

Family

ID=5459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976A KR101574013B1 (ko) 2014-04-23 2014-04-23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093A (ko) 2022-08-02 2024-02-13 한영서 회전식 포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212Y1 (ko) 2002-11-19 2003-03-04 임홍기 용기덮개 압착장치
JP2006046625A (ja) 2004-08-05 2006-02-16 Shinji Morita 即席麺収納容器の開口部の縁部に取り付ける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013B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8723S1 (en) Beverage vessel with lid
KR200488493Y1 (ko) 물건 수납 스툴
KR101574013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WO2006095730A1 (ja) 断熱容器
US9186021B1 (en) Tortilla molding device
US10682017B2 (en) Hamburger mold
KR20130106233A (ko)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101308006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CN204427010U (zh) 饭盒组件
CN102475477B (zh) 纸杯之隔热结构
CN211961803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102793444A (zh) 纸杯隔热之强化结构
KR101437520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200465741Y1 (ko) 일회용 종이컵
KR20180001912U (ko) 조리 공간이 구획된 냄비
CN218791934U (zh) 一种食物料理机及食物料理机容器
KR200376665Y1 (ko) 단열, 보온 기능을 갖는 칼국수 그릇
KR200483587Y1 (ko) 조리 공간이 구획된 냄비
JP4988387B2 (ja) 包装用容器
CN210643652U (zh) 一种节省包装空间的锅
JP6211894B2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472250Y1 (ko) 냄비용 손잡이
JP6683966B1 (ja) つけまつげ保持器
CN211269916U (zh) 烹饪器具
CN201147136Y (zh) 壁式半自动牙签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