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044A -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044A
KR20150122044A KR1020140160912A KR20140160912A KR20150122044A KR 20150122044 A KR20150122044 A KR 20150122044A KR 1020140160912 A KR1020140160912 A KR 1020140160912A KR 20140160912 A KR20140160912 A KR 20140160912A KR 20150122044 A KR20150122044 A KR 2015012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user
serial number
regist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덕
Original Assignee
임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덕 filed Critical 임영덕
Publication of KR2015012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상에서 재화의 소유, 이전, 거래 및 이동 추적을 통하여 SN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SNS를 제공하기 위한 지폐일련번호를 입력하는 고유번호 입력부;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지폐일련번호 및 금액을 기준으로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를 관리하고,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버부;상기 서버부에 접속하여 지폐 현재 위치 및 사용 현황,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d on M2M communication using Banknote serial number}
본 발명은 사물통신을 이용한 SN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상에서 재화의 소유, 이전, 거래 및 이동 추적을 통하여 SN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 세대의 인터넷 혁명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으로서, 사람과 사람간의 서비스 패러다임으로부터,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지능통신 서비스로 확장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사물지능통신 또는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M2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는 모든 사물, 기기가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사물 또는 사람이 사용하는 기기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사람의 요구입력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되는 기존의 주문형 패러다임을 탈피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지능형 사물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자발적, 기능적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진화되는 인터넷 서비스의 현실화를 위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은 중장기적인 비전을 수립하고 사물지능통신 인프라 확보 및 핵심기술 연구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중에 있다.
이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지능화된 사물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과 사물 (물리 또는 가상), 사물과 사물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이며, 2017년 2,900억 달러 시장이 예측되는 스마트 폰 이후 유망기술이며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 등과 융합하여 초연결사회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IoT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 및 추론, 개방형 시맨틱 플랫폼, 고신뢰 네트워크, 센서-스마트 단말 인터렉션 및 협업, 에너지 하베스팅, 스마트센서 등의 핵심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정보보호, 사생활 침해 우려 등의 장애 극복을 위해 IoT 생태계 참여자 모두의 협력이 필요하다.
현재의 SNS 시스템은 사람과 사람간의 서비스 패러다임을 갖는 것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의 지능통신 서비스로 확장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90493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7656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SNS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상에서 재화의 소유, 이전, 거래 및 이동 추적을 통하여 SN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람들이 지폐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폐(돈)를 단순히 사용하는 화폐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입력부를 통해 하나의 객체(사물)로 인식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IoT 서비스를 응용하여 서버에 저장한 실제 지폐를 이용하여 실세계에 실제 존재건물을 스마트폰 지도(국내/해외모두)안에서 매수/매도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나아가 자신이 소유한 건물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은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SNS를 제공하기 위한 지폐일련번호를 입력하는 고유번호 입력부;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지폐일련번호 및 금액을 기준으로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를 관리하고,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버부;상기 서버부에 접속하여 지폐 현재 위치 및 사용 현황,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는 지폐 일련 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지폐 일련 번호를 스마트폰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화하는 키패드 입력부와,지폐 일련 번호를 음성으로 읽어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화하는 음성인식 입력부와,지폐 일련 번호가 있는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스캔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화하는 OCR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는, 입력되는 지폐일련번호를 서버에 등록처리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고유번호 인식처리부와,고유번호 인식처리부에서 인식되는 지폐일련번호를 등록 처리될 수 있도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재산 등록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부는, 사용자가 실제 지폐의 지폐일련번호를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해 서버에 저장한 전체 금액 정보를 저장 및 통계 처리하는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 통계부와,사용자가 서버에 저장한 금액을 가상공간상에서 다른 사용자의 재산과 비교하여 제공하는 사용자별 재산 관리/비교부와,사용자가 서버에 저장한 금액을 가지고 실제 거래한 건물의 내역과 다른 사용자의 건물의 내역을 비교하여 제공하는 사용자별 건물 소유 내역 관리/비교부와,사용자가 실제 지폐 일련 번호를 기준으로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금액을 서버에 등록하는 사용자별 재산 등록부와,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는 지폐 위치 추적부와,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그 지폐에 대하여 여러 사용자가 주고받는 소통 메시지를 저장하는 사용자별 메시지 등록을 수행하는 SNS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 단말부는, 지폐를 최초로 등록하여 내 소유로 등록되어 있는 지폐의 현재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지도상에서 위치를 표출하는 지폐 위치 확인부와,등록한 내 지폐가 여러 사람을 통하여 현재까지 이동한 경로를 지도상에서 표출하는 지폐 이동 경로 확인부와, IoT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이동하는 경로 주변에 실제 존재하는 건물을 스마트폰 안에서는 매매할 수 있게 가격/매매자/위치/건물명칭을 표출하는 건물매매 실행부와,사용자별로 가상공간에서 건물을 매매하고 축적한 자산 내용을 제공하는 지폐 사용 확인부와, 해당 지폐에 대하여 특정 사연을 작성하거나 해당 지폐를 소유했던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을 위해 메시지를 작성하여 표출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수행하는 SNS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방법은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는 단계;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지폐일련번호, 지폐이미지, 자산 등록 및 추가의 서버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단계;사용자 단말로부터 매물 정보, 가격 정보, 자산 정보의 등록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지면,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하여 지폐 위치보기, 지폐 이동경로 보기,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매도, 사용자별 지폐 사용 현황 추출,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키패드 입력, 음성인식 입력, OCR 입력을 통한 지폐일련번호를 서버에 등록처리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고유번호 인식처리 과정 및 인식되는 지폐일련번호를 등록 처리될 수 있도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재산 등록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의 초기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은, 지폐 위치 확인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맵 데이터 실행 항목, 음성인식 입력, OCR 입력을 통한 지폐일련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 항목, 자산 랭킹 및 내재산 확인 항목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버 등록 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사용자 단말의 등록 화면에는, 수표 및 지폐, 금액 구분 항목, 입력된 정보의 등록 확인 항목, 자산 랭킹 및 내재산 확인 항목의 메뉴가 표시되고, 내 재산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는, 기간 선택 항목, 수표 및 지폐, 금액 구분 항목, 전체 등록 금액 표시 항목, 전체 재산 변동 그래프 항목, 내 소유 건물 리스트 항목의 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상에서 재화의 소유, 이전, 거래 및 이동 추적을 통하여 SNS 서비스가 가능하다.
둘째, 사람들이 지폐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폐를 입력부를 통해 하나의 객체(사물)로 인식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셋째, IoT 서비스를 응용하여 서버에 저장한 실제 지폐를 이용하여 실세계에 실제 존재건물을 스마트폰 지도(국내/해외모두)안에서 매수/매도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나아가 자신이 소유한 건물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내 지갑에서 꺼내 사용을 한 내가 소유하고 있던 돈의 실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내가 소유한 지폐의 이동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다양한 소통과 이슈를 만들 수 있다.
다섯째, 개인별 돈의 시리얼 번호를 갖게 하여 향후 지폐 위조방지 및 도난 방지 등의 측면에서 유용하고, 실제 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어느 지역에 돈이 몰려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제공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의 실행에 따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내 것이든 아니든 실제 지폐를 먼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등록으로 내 지폐로 소유하면 가상공간에서는 내 재산으로 축적되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등록으로 축적된 재산으로 실제 맵 데이터(Map Data)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 유명한 건물들을 소유할 수 있다.
또한, 최초 등록한 사람 이외에 다른 사람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추후의 등록을 시도하는 것에 따라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해당 지폐의 유통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이 지폐 일련번호(Banknote serial number)를 사용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고 수표, 어음 등의 화폐 증권 및 주식,공채,사채,상품권 등의 자본 증권으로 구분되는 유가 증권과 같이 일련번호를 갖고 금전적 가치를 갖는 모든 것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이하에서의 설명이 지폐일련번호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하여도 본 발명의 적용이 지폐일련번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지폐일련번호'로 기재된 경우에는 국내에서 발행되는 지폐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발행되는 지폐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러 국가에서 발행된 지폐일련번호를 동시에 적용하여 서비스를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에서 환율 계산 및 연동을 통하여 재산 등록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지폐가 실제 유통되면서 지폐 소유자가 바뀌면서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한 등록 시도가 이루어지면 해당 지폐의 지폐일련번호를 통한 등록을 시도한 사람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상에서 재화의 소유, 이전, 거래 및 이동 추적을 통하여 SN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IoT 서비스를 응용하여 서버에 저장한 실제 지폐를 이용하여 실세계에 실제 존재건물을 스마트폰 지도(국내/해외 모두)안에서 매수/매도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나아가 자신이 소유한 건물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스마트폰 SNS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탑재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실제 지폐를 많이 등록하여 재산을 축적하고, 서울에 있는 63빌딩을 실제 주인은 따로 있지만 스마트폰(가상공간) 안에서는 63빌딩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가상공간) 안에서 63빌딩에 자기 이름을 새겨 넣을 수도 있고 원하는 문구로 건물을 표현할 수 있어 광고에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스마트폰 SNS 시스템은 크게 고유 번호 입력부(100)와, 서버부(200)와, 스마트폰 단말부(300)를 포함한다.
고유 번호 입력부(100)는 지폐일련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키패드 입력부(10), 음성인식 입력부(11), OCR 입력부(12) 및 키패드 입력부(10), 음성인식 입력부(11), OCR 입력부(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지폐일련번호를 서버에 등록처리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고유번호 인식처리부(13)와, 고유번호 인식처리부(13)에서 인식되는 지폐일련번호를 등록 처리될 수 있도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재산 등록 처리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키패드 입력부(10)는 예를 들면, 'HF 7814290 L'와 같은 지폐 일련 번호를 스마트폰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사물)화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음성인식 입력부(11)는 지폐 일련 번호를 음성으로 읽어 그것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사물)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OCR 입력부(13)는 지폐 일련 번호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스캔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사물)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버부(200)는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 통계부(20), 사용자별 재산 관리/비교부(21), 사용자별 건물 소유 내역 관리/비교부(22), 사용자별 재산 등록부(23), 지폐 위치 추적부(24), SNS 제공부(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서버부(200)는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 통계,사용자별 재산 관리/비교,사용자별 건물 소유 내역 관리/비교,사용자별 재산 등록,사용자별 메시지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한다.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 통계부(2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제 지폐의 지폐일련번호를 고유번호 입력부(100)를 통해 서버에 저장한 전체 금액 정보를 저장 및 통계 처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별 재산 관리/비교부(21)는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한 금액을 스마트폰 온라인(가상공간)상에서 다른 사용자의 재산과 비교하여 저장 및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별 건물 소유 내역 관리/비교부(22)는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한 금액을 가지고 실제 거래한 건물의 내역과 다른 사용자의 건물의 내역을 비교하여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별 재산 등록부(23)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제 지폐를 고유번호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한 금액을 서버에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폐 위치 추적부(24)는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한다.
그리고 SNS 제공부(25)는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해당 지폐에 대하여 여러 사용자의 손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 지폐에 대하여 여러 사용자가 주고받는 소통 메시지(내용)를 저장하는 사용자별 메시지 등록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마트폰 단말부(300)는 지폐 위치 확인부(31)와, 지폐 이동 경로 확인부(32), 건물매매 실행부(33), 지폐 사용 확인부(34), SNS 처리부(3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단말부(300)는 내 지폐 위치보기 기능, 내 지폐 이동경로 보기 기능,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매도 기능, 사용자별 지폐 사용 현황 추출 기능,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지폐 위치 확인부(31)는 내가 보유하고 있던 지폐를 최초로 등록하여(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지폐가 아닐 경우) 내 소유가 된 지폐의 현재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스마트폰 지도상에서 위치를 표출 및 제공하는 내 지폐 위치보기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재 내 지갑에는 없지만 다른 목적으로 해당 지폐를 사용하고 그 지폐는 또 다른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지폐 이동 경로 확인부(32)는 최초로 등록한 내 지폐가 여러 사람의 손(지갑)을 거쳐 현재까지 이동한 거리를 스마트폰 지도상에서 차량용 내비게이션 경로 보여주듯 표출 및 제공하는 내 지폐 이동경로 보기 기능을 수행한다.
즉, 내가 실제 해당 지폐를 여의도 카페에서 커피값으로 지불하여 사용하였는데 그 지폐가 다시 카페를 방문한 다른 사람에게 거스름돈 목적으로 전달되고, 그 거스름돈을 가진 사용자가 경기도로 이동하고 또 거기서 사용하고 또 다른 사용자가 받아서 부산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표출(서울->경기도->부산->미국->광주->->…..)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물매매 실행부(33)는 IoT 서비스를 접목하여 사용자가 실제(도보/또는 차량/버스등등) 이동하는 경로 주변에 실제 존재하는 건물 등을 스마트폰 안에서는 매매할 수 있게 가격/매매자/위치/건물명칭 등등을 표출 및 제공하는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매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지폐 사용 확인부(34)는 내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가상공간에서 건물을 매매하고 또한 자산을 축적한 내용을 표출 및 제공하는 사용자별 지폐 사용 현황 제공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SNS 처리부(35)는 해당 지폐에 대하여 특정 사연을 작성하거나 해당 지폐를 소유했던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을 위해 메시지를 작성하여 표출 및 제공하는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재 모든 SNS가 사람중심의 SNS이지만 우리 서비스는 지폐(돈)를 사물화하여 지폐가 중심이 되고 그 지폐를 통해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은 지폐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상에서 재화의 소유, 이전, 거래 및 이동 추적을 통하여 SN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사람들이 지폐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폐(돈)를 단순히 사용하는 화폐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객체(사물)로 인식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의 SNS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제공을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스마트폰 SNS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탑재하고, 국내/해외 모든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처리 단계를 진행한다.(S301)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처리 단계는 고유 번호 입력부(10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키패드 입력, 음성인식 입력, OCR 입력을 통한 지폐일련번호를 서버에 등록처리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고유번호 인식처리 과정 및 인식되는 지폐일련번호를 등록 처리될 수 있도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재산 등록 처리 과정을 포함한다.
이어, 이와 같이 새로운 지폐일련번호의 등록이 시도되면 서버부(200)에서 해당 지폐일련번호의 기등록 여부를 검색하고, 미등록 번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의 등록 정보를 수집한다.(S302)
그리고 이와 같이 수집된 위치 정보 및 등록 정보가 서버부(200)로 전송되면 지폐고유번호, 지폐이미지, 자산 등록 및 추가 등의 서버 등록 단계를 수행한다.(S303)
이어, 서버부(200)는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 통계,사용자별 재산 관리/비교,사용자별 건물 소유 내역 관리/비교,사용자별 재산 등록,사용자별 메시지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매물 정보, 가격 정보, 자산 정보 등의 등록 정보 제공 단계를 수행한다.(S304)
그리고 스마트폰 단말부(300)를 통한 내 지폐 위치보기 기능, 내 지폐 이동경로 보기 기능,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매도 기능, 사용자별 지폐 사용 현황 추출 기능,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제공 등의 결과 표출 단계를 수행한다.(S305)
도 4에서 보면, 사용자가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스마트폰 SNS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탑재하고 초기 화면을 표시하면, 지폐 위치 확인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맵 데이터 항목, 음성인식 입력, OCR 입력을 통한 지폐일련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 항목, 자산 랭킹 및 내재산 확인 항목 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그리고 서버 등록 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수표 및 지폐, 금액 구분 항목, 입력된 정보의 등록 확인 항목, 자산 랭킹 및 내 재산 확인 항목 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그리고 내 재산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는, 기간 선택 항목, 수표 및 지폐, 금액 구분 항목, 전체 등록 금액 표시 항목, 전체 재산 변동 그래프, 내 소유 건물 리스트 항목 등의 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에서 맵데이터를 통하여 자신이 등록한 지폐일련번호의 해당 지폐의 현재위치가 표시되고, 자신이 등록한 지폐일련번호의 해당 지폐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의 실행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5a와 도 5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들이 지폐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폐(돈)를 단순히 사용하는 화폐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입력부를 통해 하나의 객체(사물)로 인식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IoT 서비스를 응용하여 서버에 저장한 실제 지폐를 이용하여 실세계에 실제 존재건물을 스마트폰 지도(국내/해외모두)안에서 매수/매도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나아가 자신이 소유한 건물에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유번호 입력부 200. 서버부
300. 스마트폰 단말부

Claims (9)

  1. 사물통신 기반의 위치정보서비스 및 SNS를 제공하기 위한 지폐일련번호를 입력하는 고유번호 입력부;
    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지폐일련번호 및 금액을 기준으로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를 관리하고,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접속하여 지폐 현재 위치 및 사용 현황,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는 지폐 일련 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지폐 일련 번호를 스마트폰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화하는 키패드 입력부와,
    지폐 일련 번호를 음성으로 읽어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화하는 음성인식 입력부와,
    지폐 일련 번호가 있는 위치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스캔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객체화하는 OCR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번호 입력부는,
    입력되는 지폐일련번호를 서버에 등록처리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고유번호 인식처리부와,
    고유번호 인식처리부에서 인식되는 지폐일련번호를 등록 처리될 수 있도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재산 등록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사용자가 실제 지폐의 지폐일련번호를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해 서버에 저장한 전체 금액 정보를 저장 및 통계 처리하는 사용자별 재산 데이터 통계부와,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한 금액을 가상공간상에서 다른 사용자의 재산과 비교하여 제공하는 사용자별 재산 관리/비교부와,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한 금액을 가지고 실제 거래한 건물의 내역과 다른 사용자의 건물의 내역을 비교하여 제공하는 사용자별 건물 소유 내역 관리/비교부와,
    사용자가 실제 지폐 일련 번호를 기준으로 고유번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금액을 서버에 등록하는 사용자별 재산 등록부와,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는 지폐 위치 추적부와,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그 지폐에 대하여 여러 사용자가 주고받는 소통 메시지를 저장하는 사용자별 메시지 등록을 수행하는 SNS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단말부는,
    지폐를 최초로 등록하여 내 소유로 등록되어 있는 지폐의 현재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지도상에서 위치를 표출하는 지폐 위치 확인부와,
    등록한 내 지폐가 여러 사람을 통하여 현재까지 이동한 경로를 지도상에서 표출하는 지폐 이동 경로 확인부와,
    IoT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이동하는 경로 주변에 실제 존재하는 건물을 스마트폰 안에서는 매매할 수 있게 가격/매매자/위치/건물명칭을 표출하는 건물매매 실행부와,
    사용자별로 가상공간에서 건물을 매매하고 축적한 자산 내용을 제공하는 지폐 사용 확인부와,
    해당 지폐에 대하여 특정 사연을 작성하거나 해당 지폐를 소유했던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을 위해 메시지를 작성하여 표출하여 사용자별 소통 기능을 수행하는 SNS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6.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는 단계;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지폐일련번호, 지폐이미지, 자산 등록 및 추가의 서버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등록이 이루어진 지폐의 등록이 시도될 때마다 해당 지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통 경로를 저장하고, 지폐 등록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물 정보, 가격 정보, 자산 정보의 등록 정보 제공 요청이 이루어지면,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하여 지폐 위치보기, 지폐 이동경로 보기, 지도상에서 실제 존재하는 건물 매매/매도, 사용자별 지폐 사용 현황 추출, 각각의 지폐에 대하여 사용자별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키패드 입력, 음성인식 입력, OCR 입력을 통한 지폐일련번호를 서버에 등록처리할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고유번호 인식처리 과정 및 인식되는 지폐일련번호를 등록 처리될 수 있도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재산 등록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지폐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지폐의 위치 정보 및 금액,사용자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의 초기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은,
    지폐 위치 확인 및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맵 데이터 실행 항목, 음성인식 입력, OCR 입력을 통한 지폐일련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 항목, 자산 랭킹 및 내재산 확인 항목의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서버 등록 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사용자 단말의 등록 화면에는,
    수표 및 지폐, 금액 구분 항목, 입력된 정보의 등록 확인 항목, 자산 랭킹 및 내 재산 확인 항목의 메뉴가 표시되고,
    내 재산 정보를 확인하는 화면에는, 기간 선택 항목, 수표 및 지폐, 금액 구분 항목, 전체 등록 금액 표시 항목, 전체 재산 변동 그래프 항목, 내 소유 건물 리스트 항목의 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방법.

KR1020140160912A 2014-04-18 2014-11-18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2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500 2014-04-18
KR20140046500 2014-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044A true KR20150122044A (ko) 2015-10-30

Family

ID=54430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23A KR101662796B1 (ko) 2014-04-18 2014-11-18 시장 유통 재화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0160912A KR20150122044A (ko) 2014-04-18 2014-11-18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23A KR101662796B1 (ko) 2014-04-18 2014-11-18 시장 유통 재화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627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579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Gps를 이용한 물품 위치 안내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7591B1 (ko) * 2006-12-05 2009-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물품의 전자이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03102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25863A (ko) * 2010-09-08 2012-03-16 김재호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시스템 및 휴대형 장치에서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제품 이력 관리 방법
KR20120076565A (ko) 2010-12-0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통신 기반 모바일 사용자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0493A (ko) 2012-02-06 2013-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지능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 이용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796B1 (ko) 2016-10-07
KR20150122045A (ko)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931B1 (ko) 식별 가능 태그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결제수단과 문서 전산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6104619A (zh) 实现高通量费用支付及系统进入的生物识别解决方案
CN106462877A (zh) 实现无线数字钱包的方法和系统
CN108292412A (zh) 在交易中提供补充信息的系统和方法
JP2019053770A (ja) 電子マネー送金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TW201351313A (zh) 於一無線射頻辨識標籤項目處理系統認證一電子標籤的方法及其裝置與系統
CN105378776A (zh) 用于提供支付凭证的方法及系统
CN103854182B (zh) 利用实名认证进行网络购物的方法
AU2011257210B8 (en) Valid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2158425A (zh) 一种智能信息交换的方法与系统
EP2948934B1 (en) Transaction system
KR101600684B1 (ko) 무인 환전 단말기 및 이의 환전 방법
CN102289764A (zh) 自动售货系统及方法
US20130254051A1 (en) Apparatus for issuing receipts and user terminal using the receipts
KR20150129336A (ko) 주차 요금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CN106716469A (zh) 用于电子支付的系统和方法
CN104704520B (zh) 基于云的支付方法
CN102073715A (zh) 一种智能信息交换的方法与系统
Komsta et al. Application of NFC technology in passenger rail transport
CN107148634A (zh) 积分累积系统、积分累积方法及其 nfc 终端设备
CN110476398A (zh) 利用接近网络数据的欺骗性无线网络检测
CN201741202U (zh) 一种多功能自动售卡设备
KR20130089914A (ko) 가맹점 홍보관리 시스템
KR20160136167A (ko) 무인 재환전 키오스크 및 이를 이용한 재환전 시스템
KR20150122044A (ko) 지폐일련번호를 사용하는 사물통신 기반의 sns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