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932A -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932A
KR20150121932A KR1020140048176A KR20140048176A KR20150121932A KR 20150121932 A KR20150121932 A KR 20150121932A KR 1020140048176 A KR1020140048176 A KR 1020140048176A KR 20140048176 A KR20140048176 A KR 20140048176A KR 20150121932 A KR20150121932 A KR 2015012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sugar
enzym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임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스텍
태림상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스텍, 태림상사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스텍
Priority to KR102014004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932A/ko
Publication of KR2015012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태(Ecklonia cava) 효소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감태 자숙액에 Cellulast, Viscozyme, AMG, Termamyl, Ultraflorozyme을 사용하여 효소를 추출하고 당침전 시켜 분리된 당과 폴리페놀을 적정 비율로 선택하며 이를 미립자화하여 화장료에 적합한 유용물질로 제형화할 수 있는 감태 효소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tyrosinase 저해 효과에 의하여 미백 효과가 탁월하며 각질 세포의 수분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의 보습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NZYME EXTRACT OF ECKLONIA CAVA}
본 발명은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 및 보습 효과에 의하여 피부 미용 기능성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태(Ecklonia cava)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점차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미백화장품, 피부장벽의 복구에 도움을 주는 보습화장품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 화장품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면서 인체에 미치는 새로운 효능 성분을 모색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자외선, 건조한 공기,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외적노화(extrinsic aging) 현상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유발되는 노화현상인 내적노화(intrinsic aging) 현상에 의하여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이 생기게 된다.
나아가, 피부가 유해활성 산소종 또는 자유 라디칼에 노출되면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콜라겐 등의 피부 구성 단백질이 감소되어 주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화현상에 수반되는 주름이나 피부 과색소 침착증 외에도 기미, 검버섯이나 잡티 등의 발생을 억제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람 피부의 광노화 (photo-aging)가 진행될수록 콜라겐 타입 I의 양이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Shuster, S. et al., Br. J. Dermatol., 93, 639-643 (1985)).
또한, 태양 광선에 노출된 피부의 주름과 콜라겐 양과의 관련성에 대하여도 보고된 바 있고 (Chen S. and Kiss I., J. Inv. Derm., 98, 248-254 (1992)), 레티노익산이 콜라겐 타입 I을 회복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Christopher E. et al., The New England J. of Medicine, 329, 530-535 (1993)).
이와 같은 많은 증거들이 콜라겐 합성이 증가될 수록 주름이 억제된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 주름개선 물질로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들이 개발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레티노익산 (Retinoic acid), 레티놀 (Retinol; 비타민 A) 과 비타민 C이다. 상기 레티노익산, 레티놀(비타민 A) 이외에도 베툴린산 (betulinic acid; 미국특허공보 US 5,529,769), 포스콜린 (Foskolin; Hakeda, Y. et al., J. Biochem., 101, 1163-1469 (1987)), 베톨레티아 (Bertholletia) 추출물 (미국특허공보 US 6,004,568), 상륙(Radix Phytolacca esculenta ) 또는 토사자(Semen Cuscutae) 추출물 (대한민국특허공보 제 2000-13588), 곽향( Agastache rugosa ), 첨호( Lagenaria siceraria var. clavata Ser.) 및 침향( Aquilaria agallocha Roxb.) 추출물 (대한민국특허공보 제 2000-18467) 등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주름 완화 화장료로 기술된 것들이다.
레티노익산 (Retinoic acid)은 UV-A에 의한 지질과산화 (lipid per- oxidation)와 UV-B에 의한 오르니틴 디카복실라제 반응(ornithine decarboxylase response)을 억제하며, 피부의 광손상 (photodamage)을 개선하여 준다 (Francz Pl et al. Biol. Chem. 379, 10, 1263-9 (1998)). 그러나 피부에 대한 자극이 강력하여 현재 임상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 및 국내의 FDA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레티놀 (Retinol; 비타인 A)의 피부주름 개선 정도는 레티노익산에 비하여 약하지만 물질의 안전성이 높아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름 방지제이다. 그러나 레티놀도 고농도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노출되면 강력한 피부 트러블의 원인 된다고 알려져 있다. 나아가 레티놀은 그 자체의 안정성이 매우 낮아 공기중의 산소, 빛, 열에 의해 쉽게 산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보 제 10-0271315).
문헌은 비타민 C를 고농도 사용하는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국제특허공보 WO 1998/50012).
그러나 비타민 C도 공기, 수분, 온도 등에 의해 쉽게 변질되고, 변질에 의해 생리활성 역가가 감소하여 주름개선 정도가 낮아지므로 이를 화장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C의 안정성이 극복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항산화, 주름 완화, 미백 등의 기능을 가진 기능성 화장료(functional cosmetics)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공보 US 5,972,341는 코미포라 (Commiphora) 속 식물, 특히 코미포라 무쿨 ( Commiphora mukul )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일본특허공개공보 평9-672662 A2는 히알우로니다제 (Hyaluronidase) 억제 효능을 가지는 해초류 추출물들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85905 A2은 와카메 (Wakame)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 (Fucoidan)의 피부감촉 개선 효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일본특허공개공보 평2-245087 A2은 사르가숨 (Sargassum) 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일본특허공개공보 평3-294384 A2는 히지키아 (Hizikia) 속으로부터 추출된 항산화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평7-10769 A2는 수렴 효과 (astringent effect)가 있는 페오피시에 (Phaeophyceae) 강 추출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므로 물질의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표피 지질의 핵심 지질인 콜레스테롤, 지방산, 세라마이드 합성을 촉진하고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천연유래 물질 소재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요청되었다.
아울러, 특히 육상 식품에 비하여 자원이 더욱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특허등록 10-0271315(발명의 명칭: 캡슐화 레티놀을 함유한 피부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2, 미국특허공보 US 5,972,341(Title of invention: Products extracted from a plant of the genus Commiphora, particularly the Commiphora mukul plant, extracts containing same and applications thereof, for example in cosmetic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여 천연유래 물질이며 자원이 풍부한 해조류인 감태를 이용하여 미백과 피부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태 자숙액에 Cellulast, Viscozyme, AMG, Termamyl, Ultraflorozyme을 사용하여 효소를 추출하고 당침전 시켜 분리된 당과 폴리페놀을 적정 비율로 선택하며 이를 미립자화하여 화장료에 적합한 유용물질로 제형화할 수 있는 감태 효소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tyrosinase 저해 효과에 의하여 미백 효과가 탁월하며 각질 세포의 수분함유량을 증가시키고 경피의 수분손실량을 감소시켜 피부의 보습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Cellulast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상태를 보이는 결과표.
도2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Viscozyme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상태를 보이는 결과표.
도3은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AMG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상태를 보이는 결과표.
도4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Termamyl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상태를 보이는 결과표.
도5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Ultraflorozyme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상태를 보이는 결과표.
도6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Cellulast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NO생성율을 보이는 결과표.
도7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Viscozyme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NO생성율을 보이는 결과표.
도8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AMG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NO생성율을 보이는 결과표.
도9는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Termamyl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NO생성율을 보이는 결과표.
도10은 본 발명에서 감태 자숙액을 Ultraflorozyme에 의하여 효소 추출하였을시 NO생성율을 보이는 결과표.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정제수로 세척하고 필요에 따라 분쇄한 감태에 스팀을 가하여 실시하거나 끓는 물에 넣어 삶아 낸 후 상온에서 냉각시켜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감태 자숙액 1중량부와 Cellulast, Viscozyme, AMG, Termamyl, Ultraflorozym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당분해 효소 100중량부 내지 1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 효소 추출물 생산 공정이 실시되도록 하며 이때 Cellulast, Viscozyme, AMG, Termamyl, Ultraflorozyme의 pH는 4.5 내지 6, 온도는 45℃ 내지 65℃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와 같이 하여 당침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에서 당 10중량% 내지 9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10중량%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감태를 이온교환수지로 정제한 이온교환수를 자외선램프에 비추어 멸균한 정제수에 세척하는 세척 공정을 실시한 후 자숙(煮熟) 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자숙 공정의 실시 전에 효소 추출을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25mm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감태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섬유 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의 활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사람의 섬유 아세포를 이용하여 측정된 콜라겐 합성 효과에 의하여 확인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태 효소 추출물을 함유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감태 효소 추출물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멜라닌 합성을 방지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및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조성물로 세정제(detergents) 및 화장제(cosmetics)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를 미립자화하여 화장료에 적합한 유용물질로 제형화할 수 있는 감태 효소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피부 외용연고,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 등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이 있을 수 있고,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추가로 미백 효과, 주름개선효과 또는 보습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나 물성 개선을 위한 부형제, 희석제 등의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 유지성분,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알콜, 혈행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타이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이외의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 일 예로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리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 2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Cellulast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5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이 높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 2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Viscozyme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5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2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이 높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3>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 2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AMG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6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3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이 높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4>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 2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Termamyl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6으로 하며 온도는 6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4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이 높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5>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 2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Ultraflorozyme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5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5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이 높아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6>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12.5중량부,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Cellulast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5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6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태 자숙액 함량이 높을수록 Macrophage 내의 NO 생성을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7>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12.5중량부,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Viscozyme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5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7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태 자숙액 함량이 높을수록 Macrophage 내의 NO 생성을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8>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12.5중량부,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AMG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6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8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태 자숙액 함량이 높을수록 Macrophage 내의 NO 생성을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9>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12.5중량부,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Termamyl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6으로 하며 온도는 6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9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태 자숙액 함량이 높을수록 Macrophage 내의 NO 생성을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10>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상기 감태 자숙액 12.5중량부, 25중량부, 50중량부, 100중량부와 당 분해 효소인 Ultraflorozyme 10,000중량부를 혼합하고, pH는 4.5로 하며 온도는 50℃를 유지한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효소 추출물은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로 되며, 이때 얻은 당 4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60중량%를 혼합하여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실시예 10에 의하여 얻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태 자숙액 함량이 높을수록 Macrophage 내의 NO 생성을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강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11>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이어서, 수상성분으로서 부틸렌글라이콜 6.0 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디프로필렌그라이콜 4.0 중량%, 판테놀 1.0 중량%,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카보폴 0.2 중량%와, 유상 성분으로서 옥틸도데칸올 3.0 중량%, 스쿠알란 6.0 중량 %, 세테아릴알코올 2.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0 중량%, 쉐어버터 1.0중량%,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중량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1.0 중량 %,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1.6 중량 %,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중량%, 1,2헥산디올 1.5 중량%, 향료 적량과 효능 물질인 상기 감태자숙액 20 중량%에 정제수를 더하여 100 중량%를 맞추어 각각 70도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70도로 가열 용해한 유상 성분을 수상성분에 가하여 3500RPM으로 10분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냉각하여 얻은 감태자숙용액성분을 함유하는 크림타입 화장품조성물로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유효성분인 감태자숙액은 세라마이드 5중량 , 감태 자숙액 40 중량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0 중량 %, 글리세린 60중량%, 정제수를 합하여 100중량%로 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1회 통과시킨 효능 물질이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수확하여 정제한 감태를 가로, 세로 100 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자숙하여 감태 자숙액을 얻는다. 이어서, 수상성분으로서 부틸렌글라이콜 6.0 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디프로필렌그라이콜 4.0 중량%, 판테놀 1.0 중량%,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카보폴 0.2 중량%와, 유상 성분으로서 옥틸도데칸올 3.0 중량%, 스쿠알란 6.0 중량 %, 세테아릴알코올 2.5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0 중량%, 쉐어버터 1.0 중량%,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1.0 중량%,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1.6 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중량%, 1,2헥산디올 1.5 중량%, 향료 적량과 효능 물질인 감태자숙용액 5중량%에 정제수를 더하여 100중량%를 맞추어 각각 70℃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70℃로 가열 용해한 유상 성분을 수상성분에 가하여 3500RPM으로 10분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냉각하여 얻은 감태자숙용액성분을 함유하는 크림타입 화장품조성물로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유효성분인 상기 감태자숙액은 세라마이드 5 중량% , 감태 자숙액 4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5.0 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정제수를 합하여 100 중량%로 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1회 통과시킨 효능 물질이다.
<비교예>
먼저 수상성분으로서 부틸렌글라이콜 6.0 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디프로필렌그라이콜 4.0 중량%, 판테놀 1.0 중량%,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카보폴 0.2 중량%와, 유상 성분으로서 옥틸도데칸올 3.0 중량%, 스쿠알란 6.0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산 1.0 중량%, 쉐어버터 1.0중량%,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1.0 중량 %,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1.6 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6 중량%, 1,2헥산디올 1.5 중량%, 향료 적량에 정제수를 더하여 100 중량%를 맞추어 각각 70도에서 용해하고, 이어서 70도로 가열 용해한 유상 성분을 수상성분에 가하여 3500RPM으로 10분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냉각하여 얻은 크림타입 화장품조성물로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
수상
성분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판테놀
히아루론산
트리소듐이디티에이
트리에탄올아민
카보폴
4.0
6.0
6.0
1.0
2.0
0.03
0.2
0.2
좌동 좌동
에탄올
성분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쉐어버터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헥산디올
향료
3.0
6.0
2.5
3.0
2.0
1.0
1.0
1.0
1.0
1.0
1.6
1.0
0.6
1.5
적량
좌동 좌동
첨가제 감태자숙용액 20.0 5.0 -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본 발명에 의한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최소한 1주전까지 항히스타민제제를 복용하고 있지 않았거나, 건선, 습진, 여드름 등과 같이 보습력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피부질환을 앓고 있지 않은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대상군을 확정하였다.
이러한 대상군의 연령과 성별의 분포는 아래 표2. 및 표3. 과 같다.
나이(세)
21-25세 0 1
26-30세 7 7
31-35세 1 3
36-40세 0 1
40세이상 0 0
합계 8 12
대상군의 나이 및 성별 분포
Figure pat00001
대상군의 나이 및 성별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자재를 활용하였다.
-. Sodium Lauryl Sulfate (0.7%)
-. Micorpore tape
-. Tewameter TM210, Coneometer
-. 3M paper
-. 시료 : Peptide Crea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상군의 피험자의 팔 안쪽에 0.7%로 희석된 Sodium Lauryl Sulfate(이하 'SLS'라 함)를 적신 3M paper를 붙이고, 증발을 막기위해 상처치료투명드레싱(Tegaderm Transparent Dressing)을 붙여, 24시간 동안 피부장벽 손상을 유도한 후, 3M paper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시료와 양성대조군 제품(StiefelLaboratories LTd., (Ireland)의 PHYSIOGEL)을 도포한 후 2, 24, 48시간으로 나누어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보습력 평가는 지표로 사용하는 피부수분함유측정기(Coneometer)로 수분보유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실험 진행 스케줄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실시예13에 의한 시료와 양성대조군 제품에 의한 보습력 평가를 위하여 경피수분손실측정기로 피부수분함유도와 경피수분증발량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SLS를 제거한 직후의 각각의 측정 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환산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의 표5와 같았다.
연구 대상 20명의 상완부에서 시행한 시험에서 피부수분함유도는 아래의 표4 내지 표6에서처럼 SLS 첩포 후 스킨장벽(skinbarrier)이 깨진 상태를 기준으로 각질의 수분 함유량은 양자가 공히 시간이 갈수록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11, 12에 의한 시료를 도포한 군에서 비교예에 의한 양성대조군의 제품보다 수분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3
각질세포의 수분 함유량 (단위%)
Figure pat00004
각질세포의 수분 함유량 변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실시예11, 12에 의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피부에 계면활성제인 SLS을 이용하여 피부보호막을 제거하면, 경피의 수분손실량은 증가하고, 각질세포의 수분보유량은 감소한다. 이는 피부가 외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시스템인 스킨장벽의 기능을 상실함을 의미하며, SLS를 제거한 후 스킨장벽의 기능은 서서히 복구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부에 보습력을 더해줄 수 있는 실시예13에 의하여 제공되는 보습제를 도포하면, 피부장벽의 복구능력은 의미있게 빨라지는데, 각질의 수분 보유량은 실시예13에 의한 시료가 양성대조군 제품에 비해 24시간 경과시 50% 이상 증가하여 높아지는 우수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감태를 자숙하고 상온에서 냉각시켜 감태 자숙액과, 상기 감태 자숙액 1중량부와 Cellulast, Viscozyme, AMG, Termamyl, Ultraflorozym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당분해 효소 100중량부 내지 1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방치하여 효소 추출물을 얻는 효소 추출물을 당침전시켜 당과 폴리페놀이 층상 분리된 상태에서 당 10중량% 내지 90중량%와 상층의 폴리페놀 10중량%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분해 효소인 Cellulast, Viscozyme, AMG, Termamyl, Ultraflorozyme의 pH는 4.5 내지 6, 온도는 45℃ 내지 65℃에서 효소 추출물을 얻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48176A 2014-04-22 2014-04-22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1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76A KR20150121932A (ko) 2014-04-22 2014-04-22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76A KR20150121932A (ko) 2014-04-22 2014-04-22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32A true KR20150121932A (ko) 2015-10-30

Family

ID=5443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176A KR20150121932A (ko) 2014-04-22 2014-04-22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077A (ko) * 2020-11-27 2022-06-07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대황효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077A (ko) * 2020-11-27 2022-06-07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대황효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750C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530912A (zh) 用于处理皱纹的局部皮肤用组合物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KR102229247B1 (ko) 칠엽담으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69906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1592242B1 (ko) 식물성콜라겐을 함유한 화장 제거 및 피부 관리용 다기능성 클렌징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09289A1 (zh) 包含植物果油和植物籽油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638832B1 (ko) 중약재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05997620A (zh) 一种含中草药成分的卸妆油及其制备方法
CN102014865A (zh) 包含岩蔷薇属植物提取物的化妆品
US20090023628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is Cosmetic Composition and a Cosmetic Product
KR101599254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0251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12472648A (zh) 一种含cbd大麻二酚的舒缓霜及其制备方法
JP4167247B2 (ja) 皮膚外用剤
KR20160091798A (ko) 천연 무자극 샴푸 조성물
CN113853195A (zh) 皮肤治疗组合物和防腐体系
KR20170019305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1932A (ko) 감태 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938464A (zh) 一种深层清洁温和卸妆油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690144B1 (ko) 한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