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702A -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702A
KR20150120702A KR1020140046658A KR20140046658A KR20150120702A KR 20150120702 A KR20150120702 A KR 20150120702A KR 1020140046658 A KR1020140046658 A KR 1020140046658A KR 20140046658 A KR20140046658 A KR 20140046658A KR 20150120702 A KR20150120702 A KR 2015012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time
program
exercise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503B1 (ko
Inventor
정유석
김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Priority to KR102014004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503B1/ko
Priority to PCT/KR2015/003403 priority patent/WO2015160129A1/ko
Priority to US15/302,465 priority patent/US20170024533A1/en
Publication of KR2015012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운동 프로그램 모듈;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REAL TIME ALARM SYSTEM AND METHOD OF EXCERCISE STATE}
본 발명은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현재 사용자가 하고 있는 운동의 강도 및 시간이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에 따라 부여된 운동의 강도와 시간으로 이뤄진 운동프로그램을 달성하는지 여부와 운동프로그램의 달성 여부에 따른 향후 운동의 강도 및 시간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영양 과잉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 및 과체중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현대인의 건강 관리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건강한 일반인들도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의 실현 가능성으로 이러한 관심이 기술의 발달 및 사회적 요구에 의해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에 적용된 기술은 크게 사용자의 운동 현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는 실시간 피드백 기술과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후 그 결과를 알려주는 비실시간 피드백 기술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간 피드백 기술은 심박 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해서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운동 강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향후 운동 강도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술이다.
하지만, 실시간 피드백 기술은 적절한 운동 시간에 대한 고려가 없으며 또한 연속운동인지에 대한 고려가 없어서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운동을 해야되는지 그리고 운동을 어느 정도 반복해서 수행해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또한 실시간 피드백 기술은 사용자의 체력 현황이나 질환을 고려하지 않고서 단순하게 향후 운동 강도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운동강도를 추천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비실시간 피드백 기술은 충격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된 값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사용자의 소비 칼로리 또는 이동 거리 등이 소비 칼로리 또는 이동 거리의 목표치를 달성하였는가를 판단해서 그 결과를 알려주는 기술이다.
하지만, 비실시간 피드백 기술은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후에 목표로 하는 소비 칼로리 또는 이동 거리가 달성되었는가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서 이러한 비실시간 피드백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사용자는 현재 진행중인 운동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갖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실시간 피드백 기술은 사용자의 운동 강도, 운동 시간 등을 고려하지 않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어느 강도로 운동을 얼마만큼 지속해야되는지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8854호(공개일: 2012년 09월 05일)가 있다.
현재 사용자가 하고 있는 운동의 강도 및 시간이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에 따라 부여된 운동의 강도와 시간으로 이뤄진 운동프로그램을 달성하는지 여부와 운동프로그램의 달성 여부에 따른 향후 운동의 강도 및 시간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운동 프로그램 모듈;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 모듈은,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에 해당되는 운동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이를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현황 알림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는 체력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현황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상대적 체력 수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추정하는 체력 추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은,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에 해당되는 운동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이를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가 하고 있는 운동의 강도 및 시간이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에 따라 부여된 운동의 강도와 시간으로 이뤄진 운동프로그램을 달성하는지 여부와 운동프로그램의 달성 여부에 따른 향후 운동의 강도 및 시간을 파악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운동 프로그램 모듈(1), 운동량 측정 모듈(2), 피드백 모듈(3)을 포함한다.
운동 프로그램 모듈(1)은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운동 프로그램 모듈(1)은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에 해당되는 운동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이를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운동 프로그램 모듈(1)은 예를 들어 질환이 당뇨인 경우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뇨 이외의 다른 질환들에 대해서도 각각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때 체력은 도 1에 도시된 체력 측정 장치(4)를 통해서 직접 측정되거나, 체력 추정 모듈(5)을 통해서 추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체력 측정 장치(4) 및 체력 추정 장치(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체력 측정 장치(4)는 호흡 가스 분석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이 체력 추정 장치(5)를 포함하는 이유는 체력 측정 장치(4)가 일반적으로 고가의 장비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체력 추정 모듈(5)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상대적 체력 수준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체력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상대적 체력 수준은 입력부(6)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동 프로그램 모듈(1)에 입력되는 질환 정보도 입력부(6)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 모듈(1)에서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 내 포함되는 정보들은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의 화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운동 프로그램 모듈(1)과 연결된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로,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의 화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운동 프로그램 모듈(1)과 연결된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일주일 중 며칠, 하루에 몇 회, 1회에 몇 분, 운동 강도, 연속적으로 해야 하는지 여부 등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으로 해야 하는지 여부는 운동 강도로 운동을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해야되는지를 나타낸다.
운동량 측정 모듈(2)은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한다. 이러한 운동량 측정 모듈(2)은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운동량 측정 모듈(2)을 통해 측정되는 운동 강도의 종류에는 사용자의 운동량, 사용자의 운동 칼로리 소모량, 사용자의 운동 산소량 및 사용자의 운동 심박수 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량 측정 모듈(2)은 만보계, 심박측정기, 호흡량 측정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은 Kcal 또는 MET(metabolic equivalent)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산소량은 VO2R의 기호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람이 최대로 호흡할 수 있는 산소량(VO2Max)에서 기초대사를 위해 필요한 산소량을 뺀 산소량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의 운동 칼로리 소모량은 사용자가 운동(활동)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산소량을 나타낸다.
피드백 모듈(3)은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한다. 이 피드백에는 사용자가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보완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로, 피드백 모듈(3)은 운동강도가 기준에 비해 부족하면 운동강도가 부족하니 운동강도를 올리라는 메시지를 운동 강도가 기준에 적합해질 때까지 특정시간 간격으로 사용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강도가 기준에 비해 너무 강하면 운동 강도가 초과됐으니 강도를 낮추라는 메시지를 운동 강도가 기준에 적합해질 때까지 특정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 여부는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 내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이후에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 내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 내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에 대한 판단과정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 내 일정 강도 이상으로 설정된 10분 이상 운동을 지속해야 운동횟수가 5회인 경우,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인 상태로 10분 이상 지속한 횟수가 4회인 경우에, 피드백 모듈(3)은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S1). 이때 사용자의 체력은 도 1에 도시된 체력 측정 장치(4)를 통해서 측정되거나 도 1에 도시된 체력 추정 모듈(5)을 통해서 추정될 수 있다. 체력 추정 모듈(5)은 입력부(6)를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상대적 체력수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력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질환 정보는 도 1에 도시된 입력부(6)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에 해당되는 운동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이를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한다(S2). 이때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은 도 1에 도시된 운동량 측정 모듈(2)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는데, 측정되는 운동강도의 종류에는 사용자의 운동량, 사용자의 운동 칼로리 소모량, 사용자의 운동 산소량 및 사용자의 운동 심박수 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의 운동프로그램의 생성과 상기 S2 단계에서의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의 측정은 동시에 수행되거나 운동프로그램이 생성된 후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순서로 수행되거나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나서 운동프로그램이 생성되는 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중 가장 바람직한 순서는 운동프로그램이 생성된 후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이 측정되는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은 이렇게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한다(S3).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운동 프로그램 모듈
2 : 운동량 측정모듈
3 : 피드백 모듈
4 : 체력 측정 장치
5 : 체력 추정 모듈
6 : 입력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운동 프로그램 모듈;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모듈; 및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 모듈은,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에 해당되는 운동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이를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는 체력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현황 알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상대적 체력 수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추정하는 체력 추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현황 알림 시스템.
  6.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
    미리 설정된 질환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 중 상기 사용자의 체력과 질환 정보에 해당되는 운동프로그램을 파악해서 이를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횟수 및 운동의 연속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체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현황 알림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상대적 체력 수준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현황 알림 방법.
KR1020140046658A 2014-04-18 2014-04-18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58A KR101635503B1 (ko) 2014-04-18 2014-04-18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5/003403 WO2015160129A1 (ko) 2014-04-18 2015-04-06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15/302,465 US20170024533A1 (en) 2014-04-18 2015-04-06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user of current exercise state in real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58A KR101635503B1 (ko) 2014-04-18 2014-04-18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02A true KR20150120702A (ko) 2015-10-28
KR101635503B1 KR101635503B1 (ko) 2016-07-01

Family

ID=5432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658A KR101635503B1 (ko) 2014-04-18 2014-04-18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24533A1 (ko)
KR (1) KR101635503B1 (ko)
WO (1) WO20151601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303A (ko) * 2018-01-18 2019-07-26 서울대학교병원 운동 처방 장치 및 방법
KR20200123574A (ko) * 2019-04-22 2020-10-30 서울대학교병원 학습 기반의 증상 및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594B2 (en) 2014-06-26 2020-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based audio messaging
CN105549737A (zh) * 2015-12-09 2016-05-04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记录运动次数的方法、智能装置及运动臂带
US10028350B2 (en) * 2016-09-25 2018-07-17 Illum Horticultur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orticultural lighting with enhanced dimming and optimized efficiency
US10051107B1 (en) * 2017-03-16 2018-08-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portunistic timing of device notif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490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8854A (ko) 2009-12-09 2012-09-05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심박수 정보를 이용하는 운동 수행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366A (ko) * 2000-06-19 2001-12-28 신일산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JP4024101B2 (ja) * 2002-07-29 2007-12-19 株式会社スズケン 運動指導支援システム
KR20040048475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77419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케이티 노지에서의 운동과정 측정에 의한 체력 및 건강 관리, 처방방법
KR20110112523A (ko) * 2010-04-07 2011-10-13 최준 개인맞춤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490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8854A (ko) 2009-12-09 2012-09-05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심박수 정보를 이용하는 운동 수행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303A (ko) * 2018-01-18 2019-07-26 서울대학교병원 운동 처방 장치 및 방법
KR20200123574A (ko) * 2019-04-22 2020-10-30 서울대학교병원 학습 기반의 증상 및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4533A1 (en) 2017-01-26
KR101635503B1 (ko) 2016-07-01
WO2015160129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503B1 (ko)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US10524670B2 (en) Accurate calorimetry for intermittent exercises
CN114203274A (zh) 一种慢性呼吸衰竭病人远程康复训练指导系统
US10586620B2 (en) Device for calculating amount of retained physical activity, method for calculating amount of retained physical activity and system for calculating amount of retained physical activity
EP2729065B1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cognitive and emotive health of employees
US20160354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based on feedback
US9731184B2 (en) Exercise assistive device
JP4064426B2 (ja) 運動消費エネルギー推定装置
CN111387960A (zh) 运动监控方法和体力监控方法
JP2018513722A (ja) バイタルサイ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4970777A (zh) 信号量测方法及相关穿戴式电子装置
JP2009201805A (ja) 消費カロリ測定装置、消費カロリ測定方法及び消費カロリ測定用事前処理方法
US87646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and communicating pain and distress level
US20170079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xercise capacity
JP2016195661A (ja) 運動効果判定方法、および運動効果判定システム
CN105662346A (zh) 一种智能穿戴设备
Haller et al. Use of the HR index to predict maximal oxygen uptake during different exercise protocols
JP2008246163A (ja) 活動量計
CN115245677A (zh) 热源消耗量的计算方法、装置、可穿戴设备和存储介质
US8808146B2 (en) Activity meter
EP2918223B1 (en) Cardionpulmona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and cardionpulmonary function evaluating method
US20210308415A1 (en) Massa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eriving a parameter of an individual
CN117157622A (zh) 一种运动监控方法和设备
JP2013085643A (ja) 活動量計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JP2011200376A (ja) 運動能力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