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366A -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366A
KR20010113366A KR1020000033670A KR20000033670A KR20010113366A KR 20010113366 A KR20010113366 A KR 20010113366A KR 1020000033670 A KR1020000033670 A KR 1020000033670A KR 20000033670 A KR20000033670 A KR 20000033670A KR 20010113366 A KR20010113366 A KR 2001011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amount
microcomputer
management syste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선
Original Assignee
신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산 filed Critical 신일산
Priority to KR102000003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3366A/ko
Publication of KR2001011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운동자)의 식별 수단, 운동량 측정 수단, 측정된 운동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사는 운동 기구; 운동 기구에서 전송된 운동량을 수집하고 분석한는 수단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롤 구성되어지되 운동 기구에는 사용자가 운동시의 강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 운동중 자신의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 운동자의 신체 특성 및 현재의 신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부가되고,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운동 기구로부터 전송된 운동량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각종 데이타를 출력하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수단 및 원거리에서 자동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및 제어수단이 부가되며, 각각의 운동 기구와 마이크로컴퓨터 사이에는 운동에 따른 각종 데이타를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을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운동량이 전송되는 전송매체가 부가되되도록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개인별 일정 시간 동안의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부위별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측정,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른 정보에 의한 적합한 운동 종목 및 운동량의 선정 등이 가능하며,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운동 종목의 변경, 운동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고,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각종 운동 기구의 작동 시스템을 자동 제어할 수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Management system of individual body power and quantity of movement}
본 발명은 개인별 운동량, 체력, 운동 부분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개인의 운동량 데이터, 체력 데이터, 운동의 적합성, 더욱 운동이 필요한 부위 등을 체크하므로서 둔동 정도 및 부위를 확인 및 조졸할 수 있 고, 이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의 발달, 교육 및 문와 수준의 향상, 과학 및 의료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산업 발달에 따른 환경 오염으로인하여 건강관리, 건강유지,건강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건강관리,건강유지,건강증진을 위하여 각종 운동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식생활 문화의 발달 및 변화에 의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비만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종류의 운동이 적합한 것
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몸매 관리를 위한 다양한 운동이 권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의 필요성에 의하여 운동이 많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과 같은 구기 종목의 경우에는 대부분 특정한 장소를 필요로 하고,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며, 같은 운동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반드시 필요하고, 특정한 운동만이 이루어지는 문제점 있으며, 개인 경기도 마찬가지로 특정한 부분의 운동만이 이루러지므로 일반인들이 윤형적인 체력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개인적으로 기초 체력 및 건강관리를 위하여 각각의 가정에 특정한 운동 기구를 비치하여 운동을 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운동이 되지 않고 특정한 부위별로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체계적인 운동을 위해서는 헬스클럽과 같이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들이 비치된 특정을 장소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바쁜 일정으로 인하여 직장 또는 사업정 근처의 헬스 클럽에서 틈틈히 체력 및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할 뿐만 아니라 각종 운동 경기의 선수들 조차도 기초 체력을 향상시켜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헬스 클럽을 많이 용하고 있다.
그러나, 헬스 클럽에서의 운동을 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운동 기구를 골고루 이용하여 균형있는 운동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동을 하는 본인은 균형있는 운동을 하였다고 하여도 그에 대한 명확한 자료가 없으며, 어떠한 운동을 어느 정도로 하였는지에 대한 데이타 얻을 수 없는 등 개인별 체력관리 및 운동량 관리리를 체계적으로 이룰 수없는 점이 있었다,
또한,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 어떠한 운동이 필요하고 필요한 운동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주먹구구식으로 운동을 하게 되므로서 여성의 경우에는 많은 운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미가 표현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목적하는 운동 효과를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별 일정 시간 동안의 운동량의 측정 및 분 석, 부위별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측정,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른 정보에 의한 적합한 운동 종목 및 운동량의 선정 등이 가능한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운동 종목의 변경, 운동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서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각종 운동 기구의 작동 시스템을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운동자)의 식별 수단, 운동량 측정 수단, 측정된 운동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운동 기구; 운동 기구에서 전송된 운동량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지되 운동 기구에는 사용자가 운동시의 강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 운동중 자신의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 운동자의 신체 특성 및 현재의 신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부가되고,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운동 기구로부터 전송된 운동량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각종 데이타를 출려하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수단 및 원거리에서 자동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하는 통신 및 제어수단이 부가되며, 각각의 운동 기구와 마이크로컴퓨터 사이에는
운동에 따른 각종 데이타를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운동량이 전송되는 전송매체가 부가되도록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개인별 일정 시간 동안의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부위별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측정,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른 정보에 의한 적합한 운동 종목 및 운동량의 선정 등이 가능하며,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운동 종목의 변경, 운동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고, 측정 및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각종 운동 기구의 작동 시스템을 자동 제어할 수있는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운동 기구 11. 운동자 식별 수단
12. 운동량 특정 수단 13. 데이타 전송 수단
14. 운동기구 제어 수단 15. 운동량 식별 수단
16. 운동자 신테 상태 파악 수단 20. 마이크로컴퓨터
21. 데이타 수집 및 분석수단 22. 마이크로컴퓨터
30. A/D변환기 40. 전송 매체
50. 중앙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운동자)의 식별 수단 (11), 운동량 측정 수단 (12), 측정된 운동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13)을 구비하는 운동 기구(10); 운동 기구(10)에서 전송된 운동량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21)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20); 운동기구(10)와 마이크로컴퓨터(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동에 따른 각종 데이타를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30);운동량이 전송되는 전송매체(40)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운동기구(10)내에 마이크로컴퓨터(20) 및 A/D변환기(30)를 설치하고, 각각의 운동기구(10)내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전송된 운동량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21)을 구비하는 중앙호스트 컴퓨터(50)을 설치하며, 각각의 운동기구(10)내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20)와 중앙호스트컴퓨터(50)사이로 체력 및 운동량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제어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매체(40)가 연결되도록 구성할수도 있다.
운동 기구(10)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운동 기구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런닝머시인(101), 헬스자전거(102), 복근단련기(103), 파워크레프트(104), 스텝퍼(105), 벤치프레스(106), 바벨(107) 등이 사용용될 수 있다.
각각의 운동 기구(10)에는 사용자(운동자)의 식별 수단(11), 운동량 측정수단(12), 측정된 운동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13)을 필수적으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운동시의 강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14), 운동중 자신의 운동강강도 및 운동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15), 운동자의 신체 특성 및 현재의 신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신체 상태 파악 수단(16)이 부가될 수 있다.
사용자(운동자)의 식별 수단(11)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 할 수있도록 여러개의 키가 결합되어 구성된 키보드 또는 사용자에 대한 각정 정보보가 입력되어 있는 ID카드와 ID카드에 내장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느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기구(10)에서 특정 주파수의 전파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파가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ID카드로부터 반송되는 반송파를 이용하는 시스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장치 를 적절히 조합하거나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운동량 측정 수단(12)은 운동 기구(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장치 및 부품
들을 구비시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닝머시인(101)의 경우에 있어서는 현재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동 런닝머시인과 같이 단위 시간별 런닝거리, 현재의 런닝 시속, 보폭 등이 아나로그 데이타로 표현되는 시스템 뿐만 아니라 운동자 전신에 있어서 발열되는 열 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부가하여 운동자의 특정 부위에 대한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런닝시 무릎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팔을 흔드는 정도 및 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부가하으로소 운동자 개개인이
런닝시 이루어지는 상체의 운동량 등을 면밀히 데이터화 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도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측정 및 계측시스템을 부가하여 다양한 데이타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런닝시에 소요되는 열량을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부가하므로서 런닝을 함에 따른 소용 열량에 대한 데이타도 얻을 수 있도록 할수 있다.
또한, 벤치프레스(106)의 경우에는 프레스의 중량, 횟수, 그립의 위치 및 각도 등을 측정 및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부가할 수도 있다.
측정된 운동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13), 운동 기구(10)에서 전송된 운동 량에 대한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22) 및 운동량의 데이타가전송되는 전송매체(40)는 각각의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랜(LAN)을 사용할 경우에는 송신부를 전송수단(13)으로, 수신부를 수신수단(22)으로, 케이블을 전송매체(40)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운동 기구(10)에서 전송된 운동량에 대한 데이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21)은 특별히 작성된 프로그램을 마이크로컴퓨터(20)에 입력하여 둠으로서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각종 운동 기구(10)로 부터 얻어지는 각종 데이타들은 아나로그 형식이므로 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A/D변환기(30)가 필요하며, 운동기구(10)상에서 운동자 자신이 행하고 있는 운동에 대한 데이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15)은 디지탈 방식으로 변환되지 않은 아날로그 방식의 데이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연결 구성하여야 하고,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분석된 운동량에 관한 데이타가 운동자 자신의 역량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운동시 운동 기구(10)의 강도를 자동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14)을 부가할 수 있고, 운동자의 신체 특성 및 현재의 신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신체 상태 파악 수단(16)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0)에서 운동자가 직접 운동량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하여야 하므로 자체에 A/D변환기(30)를 내장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 기구(10)를 이용하여 운동하고자 하는 운동자가 자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타를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ID카드 및 사용자 식별 수단(11)을 통하여 입혁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20)는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게 되고, 사용될운동 기구(10)의 종류가 마이크로컴퓨터(20)에 의하여 식별되며, 곧 이어 사용 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운동에 따른 각종 데이타가 발생되고 운동 중은 물론 운동이 끝남과 동시에 사용자가 행한 운동에 관한 모든 데이타가 A/D변환기(30)를 통하여 디지털화되어 마이크로컴퓨터(20)로 전송되고, 마이크로컴퓨터(20)는 운동자 개인별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게 되며, 운동중에 수집 및 분석된 데이터가 개인의 역량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수단(14)을 통하여 운동 기구(10)의 운동 강도를 자동 제어하거나 자동 제어가 불가능한 운동 기구(10)의 경우에는 경고긍ㅁ을 발생하는 등의표시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운동자 스스로가 운동 강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운동기구(10)내에 마이크로컴퓨터(20) 및 A/D변환기(30)를 설치하고, 각각의 운동 기구(10)내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투(20)에서 전송된 운동량에 대한 데이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21)을 구비하는 중앙호스트 컴퓨터(50)을 설치하며, 각각의 운동기구(10)내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20)와 중앙호스트컴퓨터(50)사이로 체력 및 운동량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제어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매체(40)가 연결되도록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운동기 구(10)를 이용하여 운동하고자 하는 운동자기 자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타를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ID카드 및 사용자 식별 수단(11)을 통하여 입력하게 되면 마이크로컴퓨터(20)는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게 되고, 사용될 운동 기구(10)의 종류가 마이크로컴퓨터(20)에 의하여 식별되면, 곧 이어 사용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운동에 따른 각종 데이타가 발생되고 운동 중은 물론 운동이 끝남과 동시에 사용자가 행한 운동에 관한 모든 데이타가 A/D변환기(30)를 통하여 디지털화되어 마이크로컴퓨터(20)에 입력되며, 입력된 정보는 중앙 호스트 컴퓨터(50)로 전송되고, 중앙 호스트컴퓨터(50)는 운동자 개인별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게 되며, 운동중에 수집 및 분석된 데이터가 개인의 역량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수단(14)을 통하여 운동 기구(10)의 운동 강도를 자동 제어하거나 주동 제어가 불가능한 운동 기구(10)의 경우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등의 표시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운동자 스스로가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운동자)의 식별 수단, 운동량 측정수단, 측정된 운동량을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운동 기구; 운동 기구에서 전송된 운동량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지되 운동 기구에는 사용자가 운동시의 강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 운동중 자신의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 운동자의 신체 특성 및 현재의 신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부가되고,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운동 기구로부터 전송된 운동량을 수신하는 수신수단, 각종 데이타를 출력하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식별수단 및 원거리에서 자동적으로 제어가 가증하도록 하는 통신 및 제어수단이 부가되며, 각각의 운동 기구와 마이크로컴퓨터사아에는 운동에 따른 각종 데이타를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한은 A/D변환기와 운동량이 전송되는 전송매체가 부가되도록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개인별 일정 시간 동안의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부위별 운동량의 측정 및 분석,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측정,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른 정보에 의한 적합한 운동 종목 및 운동량의 선정 등이 가능하면,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며 운동 종목의 변경, 운동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고, 측정 및 분석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각종 운동 기구의 작동 시스템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식별 수단, 운동량, 체력 및 신체 상태를 검지, 계측, 측정하는 측정 수단, 측정된 데이타를 저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운동 기구; 운동 기구 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을 구비하느 마이크로컴퓨터: 운동에따른 각종 데이타를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 및 데이타를 젖송하는 전송매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운동시의 강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이 부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운동 기구는 운동중 자신의 운동 강도 및 운동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이 부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운동 기구는 운동자의 신체 특성 및 현재의 신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신체 상태 파악 수단이 부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는 운동자의 운동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 부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6. 사용자의 식별 수단, 운동량, 체력 및 신체 상태를 검지, 계측, 측정하는 측정 수단, 측정된 데이타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운동기구내에 마이크 로 컴퓨터 및 A/D변환기를 설치하고, 운동 기구내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전송된 운동량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중앙 호스트 컴퓨터를설치하며, 각각의 운동기구내에 설치된 마이크로 컴퓨터와 중앙 호스트컴퓨터 사이로 체력 및 운동량 데이타를 전송하거나 제어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매체가 연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KR1020000033670A 2000-06-19 2000-06-19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KR20010113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670A KR20010113366A (ko) 2000-06-19 2000-06-19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670A KR20010113366A (ko) 2000-06-19 2000-06-19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366A true KR20010113366A (ko) 2001-12-28

Family

ID=1967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670A KR20010113366A (ko) 2000-06-19 2000-06-19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336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685A (ko) * 2000-06-24 2000-10-05 곽의택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 운동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15207A (ko) * 2000-08-21 2002-02-27 최선호 운동량측정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운동량 정보제공 방법
KR20020032515A (ko) * 2002-04-17 2002-05-03 정병호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방법과 시스템
KR20030004512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유비케어 네트웍을 이용한 운동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86788B1 (ko) * 2000-08-12 2003-06-09 (주)나눅스 운동량 측정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한 인터넷운동관리시스템
KR100391549B1 (ko) * 2000-06-21 2003-07-12 주식회사 세우시스템 인터넷을 이용한 체력측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40048475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8451B1 (ko) * 2003-12-30 2007-01-12 (주)누리텍 아이엔씨 화상데이터 비교를 이용한 체력진단시스템
KR100763524B1 (ko) * 2005-12-07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량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가상 보조원 시스템
WO2015160129A1 (ko) * 2014-04-18 2015-10-22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49B1 (ko) * 2000-06-21 2003-07-12 주식회사 세우시스템 인터넷을 이용한 체력측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00058685A (ko) * 2000-06-24 2000-10-05 곽의택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 운동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86788B1 (ko) * 2000-08-12 2003-06-09 (주)나눅스 운동량 측정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한 인터넷운동관리시스템
KR20020015207A (ko) * 2000-08-21 2002-02-27 최선호 운동량측정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운동량 정보제공 방법
KR20030004512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유비케어 네트웍을 이용한 운동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32515A (ko) * 2002-04-17 2002-05-03 정병호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방법과 시스템
KR20040048475A (ko) * 2002-12-03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8451B1 (ko) * 2003-12-30 2007-01-12 (주)누리텍 아이엔씨 화상데이터 비교를 이용한 체력진단시스템
KR100763524B1 (ko) * 2005-12-07 2007-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량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가상 보조원 시스템
WO2015160129A1 (ko) * 2014-04-18 2015-10-22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실시간 운동 현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572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exertion data
US6793607B2 (en) Workout assistant
US635818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exertion data
CA2587491C (en)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and for providing interactive feedback
JP5985858B2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20030211916A1 (en) Exercise parameters monitoring, recording and reporting system for free weight, weight stack, and sport-simulation exercise machines
CN104424537A (zh) 健身管理服务方法及相关系统
WO2015113162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acking workout related information
US10500430B2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WO2020263020A1 (ko)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70077361A (ko) 헬스기구와 연동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시스템
KR20010113366A (ko) 개인별 체력 및 운동량 관리 시스템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WO2007060616A2 (en) Exerci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2005267179A (ja) スポーツ施設利用システム及び利用方法
CN107485377A (zh) 一种体适能健身测评系统
KR102487154B1 (ko) 피트니스 운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70001A1 (en) System for measuring, monitoring and displaying physical parameters of exercises on selectorized fitness machines
KR102436607B1 (ko) 부착형 사물인터넷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Djuric et al. Sensitivity of the novel two-point force-velocity model: An assessment of leg muscle mechanical capacities
KR20200092229A (ko) 서비스 질의 편차를 줄이는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102518324B1 (ko)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KR20090002015A (ko) Rfid 기술을 이용한 운동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88622Y1 (ko) 컴퓨터에 연결되는 운동기구
KR20150135176A (ko) 실시간 운동 정보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