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347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347A
KR20150120347A KR1020157020961A KR20157020961A KR20150120347A KR 20150120347 A KR20150120347 A KR 20150120347A KR 1020157020961 A KR1020157020961 A KR 1020157020961A KR 20157020961 A KR20157020961 A KR 20157020961A KR 20150120347 A KR20150120347 A KR 2015012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unit
detection result
operating bod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005B1 (ko
Inventor
구니히코 미야케
쇼 아마노
도모야 야마우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2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21/422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W76/0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Abstract

개시된 검출 결과 취득 장치는 제1 조작체 검출부, 비교부 및 처리부를 포함한다. 제1 조작체 검출부는 조작체의 제1 개수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교부는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와 제1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부는 비교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2월 1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JP2013-02566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복수의 조작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검출 장치를 사용하면, 표시 화상을 확대하는 조작 또는 표시 화상을 축소하는 조작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직감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장치의 예로서의, 멀티-터치 패널 등은 터치 패널 상에 동시에 접촉된 복수의 조작체 각각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을 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복수의 조작체를 검출할 수 있는 복수의 검출 장치가 존재하고, 복수의 검출 장치 각각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동일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도 존재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8676호 공보
그러나, 복수의 검출 장치 간에 검출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경우, 유저에 의한 검출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검출 장치간에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가 상이한 경우에도, 유저에 의한 검출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a) 비교부를 사용하여,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개수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처리부를 사용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는 제1 조작체 검출부, 비교부 및 처리부를 포함한다. 제1 조작체 검출부는 조작체들의 제1 개수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교부는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와 제1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부는 비교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a)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개수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a)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처리부를 사용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하여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검출 결과 제공 장치는 조작체 검출부, 수신 데이터 취득부 및 처리부를 포함한다. 조작체 검출부는 조작체들의 수를 검출할 수 있다. 수신 데이터 취득부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부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a) 검출 결과 제공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처리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의 통지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검출 장치간에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가 상이한 경우에도, 유저에 의한 검출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1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2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한 제2 최대 검출수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1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2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4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5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들 구성 요소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 뒤에 다른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여 구별할 경우도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들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항목 순서에 따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1. 실시 형태
1-1.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
1-2.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예
1-3.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기능 구성예
1-4.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기능 구성예
1-5.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 상세
1-6.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
1-7.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
1-8. 하드웨어 구성예
2. 결론
<<1. 실시 형태>>
먼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1-1.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
첫번째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1)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를 포함한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상대 장치의 일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간의 통신은 무선에 의해 행해질 수 있거나, 유선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가 스마트폰으로 구성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가 텔레비전 장치로 구성되어 있지만,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 및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 각각의 장치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 및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 각각은,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텔레비전 장치일 수도 있고, 태블릿 단말기일 수도 있거나, PC(Personal Computer)일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예를 들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화상 및 음성으로서 출력부(150)에 의해 출력된다. 여기에서는, 출력부(150)에 의해 OS(Operating System)의 실행 결과가 표시되어 있지만,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OS 이외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도 있다. 출력부(150)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은, 정지 화상일 수 있거나, 동화상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라 화상 및 음성(이하, "화상 및 음성 데이터"라고 칭함)이 생성되고, 이 화상 및 음성 데이터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제공된다.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화상 및 음성 데이터가 취득되면, 출력부(250)에 의해 화상 및 음성이 출력된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은, 정지 화상일 수 있거나, 동화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는 복수의 조작체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검출부(120)를 갖는다. 유사하게,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는 복수의 조작체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검출부(220)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가 조작체를 제2 검출부(220)의 검출을 행할 수 있는 영역에 접근하게 되면, 제2 검출부(220)에 의해 조작체가 검출된다.
유사하게,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가 조작체를 제1 검출부(120)의 검출을 행할 수 있는 영역에 접근하게 되면, 제1 검출부(120)에 의해 조작체가 검출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조작체가 유저의 손가락일 경우가 나타나 있지만, 조작체는 유저의 손가락 이외일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검출부(120)에 의해 제1 검출 결과가 검출된 경우에,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는, 제1 검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이 행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검출부(220)에 의해 제2 검출 결과가 검출된 경우에,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제2 검출 결과를 취득하고, 제2 검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이 행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검출부(120)와 제2 검출부(220) 사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유저에 의한 제1 검출부(120) 및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검출부(120)와 제2 검출부(220) 사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가 다른 경우에도, 유저에 의한 제1 검출부(120) 및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여기에서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가 화상 및 음성으로서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화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및 음성 양쪽 모두가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화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1-2.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예)
계속해서,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상술한 선정된 규격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및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기 전에,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Capability Negotiation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 사이에서 행해진다. 그러나, 비교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 사이에서, 최대 검출수의 통지는 행하여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1-3.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기능 구성예)
계속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는 제어부(110), 제1 검출부(120), 기억부(130), 통신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에 대응한다. 제어부(110)는 기억부(130) 또는 다른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10)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을 행한다. 제어부(110)는 프로그램 실행부(111), 생성부(112), 압축부(113),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 제1 검출 결과 취득부(121), 동작 제어부(122),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 수신 데이터 취득부(124), 비교부(131) 및 처리부(132)를 갖는다. 제어부(110)에 포함된 이들 각각의 기능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제1 검출부(120)는 조작체를 검출함으로써 취득된 결과를 제1 검출 결과로서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검출부(120)가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터치 패널 이외의 센서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출부(120)는 조작체의 근접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검출부(120)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통합되어 있지만, 제1 검출부(12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기억부(130)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제어부(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억부(130)는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어, 각종 설정 정보, 콘텐츠 등)를 기억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억부(130)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통합되어 있지만, 기억부(13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통신부(14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에 의한 통신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신부(140)에 의한 통신은 무선에 의한 통신일 수 있거나, 유선에 의한 통신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통신부(140)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통합되어 있지만, 통신부(14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10)에 의한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의 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150)는 스피커 및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출력부(150)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통합되어 있지만, 출력부(15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1-4.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기능 구성예)
계속해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는, 제어부(210), 제2 검출부(220), 기억부(230), 통신부(240) 및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에 대응한다. 제어부(210)는 기억부(230) 또는 다른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210)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을 행한다. 제어부(210)는 생성 데이터 취득부(211), 전개부(212), 제2 검출 결과 취득부(213), 제2 검출 결과 제공부(214), 수신 데이터 취득부(215) 및 처리부(216)를 갖는다. 제어부(210)에 포함되어 있는 이들 각각의 기능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제2 검출부(220)는 조작체를 검출함으로써 취득된 결과를 제2 검출 결과로서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검출부(220)가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만, 터치 패널 이외의 센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검출부(220)는 조작체의 근접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검출부(220)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통합되어 있지만, 제2 검출부(22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기억부(230)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제어부(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억부(230)는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어, 각종 설정 정보, 콘텐츠 등)를 기억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억부(230)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통합되어 있지만, 기억부(23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통신부(24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40)에 의한 통신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신부(240)에 의한 통신은 무선에 의한 통신일 수 있거나, 유선에 의한 통신일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통신부(240)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통합되어 있지만, 통신부(24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출력부(250)는 제어부(210)에 의한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의 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250)는 스피커 및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출력부(250)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통합되어 있지만, 출력부(25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1-5.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 상세)
계속해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기능 상세에 대해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검출부(120)와 제2 검출부(220) 사이에서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가 다른 경우에도, 유저에 의한 제1 검출부(120) 및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비교부(131)는 제1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2 최대 검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한다. 또한, 처리부(132)는 비교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비교부(131) 및 처리부(132)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포함되어 있는 예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비교부(131) 및 처리부(132) 각각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비교 결과에 따른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교 결과에 따른 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또한, 제1 검출부(120) 및 제2 검출부(220) 각각은 어디에나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검출부(12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검출부(220)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먼저, 프로그램 실행부(11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가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검출부(120)에 의한 제1 검출 결과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를 나타내는 경우에, 프로그램 실행부(111)는 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할 수 있다. 또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전원이 턴온되었을 경우에, 프로그램 실행부(111)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OS의 실행을 개시할 수 있다.
생성부(112)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생성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생성부(112)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서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프로그램 실행 결과 화면을 캡처함으로써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성부(112)는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서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생성할 수 있다.
압축부(113)는 생성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부(113)에 의한 생성 데이터의 압축에 의해,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에 의해 생성 데이터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제공될 경우에 통신량을 저감할 수 있다. 압축부(113)에 의한 생성 데이터의 압축은 필요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생성 데이터의 압축 알고리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생성 데이터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제공한다.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로부터 생성 데이터가 제공되면, 생성 데이터 취득부(211)는 생성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생성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 전개부(212)는 생성 데이터를 전개할 수 있다. 생성 데이터의 전개는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에 의해 사용되는 압축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전개 알고리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생성 데이터는 출력부(250)에 의해 출력된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생성 데이터인 경우에, 수신 데이터 취득부(215)는그 수신 데이터를 생성 데이터 취득부(211)에 출력하고, 생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 취득부(215)는 그 수신 데이터를 처리부(216)에 출력한다.
여기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는, 출력부(150)에 의해 출력된 출력 결과를 인식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가 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체를 제1 검출부(120)의 검출을 행할 수 있는 영역에 접근하게 되면, 제1 검출부(120)에 의해 조작체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제1 검출부(120)에 의한 제1 검출 결과는, 제1 검출 결과 취득부(121)에 의해 취득된다.
한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는, 출력부(250)에 의해 출력된 출력 결과를 인식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를 조작하려고 하는 유저가, 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체를 제2 검출부(220)의 검출을 행할 수 있는 영역에 접근하게 되면, 제2 검출부(220)에 의해 조작체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제2 검출부(220)에 의한 제2 검출 결과는 제2 검출 결과 취득부(213)에 의해 취득된다.
제2 검출 결과 취득부(213)에 의해 취득된 제2 검출 결과는, 제2 검출 결과 제공부(214)에 의해 통신부(240)를 통하여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제공된다.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제2 검출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22)는 제1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제1 검출부(120)에 의한 제1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하고, 제2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제2 검출부(220)에 의한 제2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이 행해지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제어부(122)는 제1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제1 검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이 행해지도록 프로그램 실행부(111)를 제어한다. 한편, 동작 제어부(122)는 제2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이 행해진 경우에는 제2 검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이 행해지도록 프로그램 실행부(11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122)는 제1 검출 결과 취득부(121)로부터 제공되는 제1 검출 결과와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검출 결과를 합성하여 그 합성된 결과를 프로그램 실행부(111)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동작 제어부(122)는 제1 검출 결과와 제2 검출 결과를 구별하여 그 구별된 결과를 프로그램 실행부(11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검출 결과 및 제2 검출 결과 중 어느 한쪽이 제공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쪽의 제공이 정지될 수 있다.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제2 검출 결과인 경우에, 수신 데이터 취득부(124)는 그 수신 데이터를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에 출력하고, 제2 최대 검출수인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 취득부(124)는 그 수신 데이터를 비교부(131)에 출력하고, 그밖의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를 처리부(132)에 출력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1-6.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
계속해서, 비교 결과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서의 처리부(132)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부(132)는 비교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최대 검출수를 특정하고, 그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먼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로부터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가 통지된 경우에, 처리부(216)는 이 선정된 수를 초과하는 수의 검출 위치가 포함되는 제2 검출 결과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로서는, 다양한 처리가 상정된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검출 위치의 일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검출 결과 제공부(214)는,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검출 위치의 일부가 제외된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는,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동작 제어부(122)는, 유저에 의한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검출 위치의 일부를 제외시키는 기술로서는 다양한 기술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에 따라 복수의 검출 위치의 일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는 이와 같이 하여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로부터, 제2 검출부(220)의 중앙에 가까운 순서대로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검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제2 검출부(220)의 중앙에 가까운 검출 위치는 유저에게 중요한 검출 위치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 각각의 움직임량에 따라 복수의 검출 위치의 일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는 이와 같이 하여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로부터, 움직임량이 가장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검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스와이프 조작(swipe operation)에 의한 검출 위치와 같은, 움직임량이 큰 검출 위치가 유저에게 중요한 검출 위치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 각각의 검출 순서에 따라 복수의 검출 위치의 일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는 이와 같이 하여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로부터, 검출 순서가 가장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검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검출 순서가 빠른 검출 위치가 유저에게 중요한 검출 위치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 각각을 검출할 때 제2 검출부(220)에 제공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검출 위치의 일부를 제외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는 이와 같이 하여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취득한다. 제2 검출부(220)에 제공되는 압력의 크기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로부터, 검출시에 제2 검출부(220)에 제공되는 압력이 가장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검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압력이 큰 검출 위치가 유저에게 중요한 검출 위치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 또한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는 수의 검출이 제2 검출부(220)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 처리부(216)는 선정된 메시지가 출력부(250)에 의해 출력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16)는 제1 최대 검출수를 "m"으로 설정하고, "검출 결과 취득 장치는 m점까지의 터치 조작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시스템의 제약에 의해, 최대 m점까지만 터치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는 일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처리부(132)는 프로그램 실행부(1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기초하여 선정된 수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검출수가 바뀌는 것으로 상정되기 때문이다.
도 5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1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1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상이한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Capability Negotiation의 프로세스 M3에서의 "GET_PARAMETER request"에 제2 검출부(220)의 제2 최대 검출수를 문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추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검출부(220)의 제2 최대 검출수를 문의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wfd_uibc_max_touch_number"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처리부(216)는 프로세스 M3에서의 "GET_PARAMETER response"에 제2 검출부(220)의 제2 최대 검출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 처리부(216)는 제2 검출부(220)의 제2 최대 검출수가 "5"라는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max=5"로서 프로세스 M3에서의 "GET_PARAMETER response"에 추가한다.
또한, 예를 들어,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수를 선정된 수로서 설정하는 취지를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최대 검출수가 "4"이고, 제2 최대 검출수는 "5"이다. 따라서, 처리부(132)는 더 작은 제1 최대 검출수 "4"를 초과하지 않는 수 "3"을 선정된 수로서 설정하는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use=3"로서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또한, RTSP는 취급 대상으로 하지 않는 파라미터를 무시하도록 규격화를 행하기 때문에, 새로운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양쪽 모두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서의 동작이 무효가 될 검출수의 한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2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2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5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Capability Negotiation의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검출부(120)의 제1 최대 검출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검출부(120)의 제1 최대 검출수가 "4"인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max=4"로서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또한, 예를 들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수가 "4"인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limit=4"로서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도 7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3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6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 데이터가 보내지기 직전의 프로세스 M1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수를 선정된 수로 설정하는 취지를 추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처리부(132)는 더 작은 제1 최대 검출수 "4"를 초과하지 않는 수 "3"을 선정된 수로 설정하는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use=3"로서 프로세스 M1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이상,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는,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서는,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는 검출 위치를 포함하는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제1 검출부(120) 및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로부터 제공된 제2 검출 결과가 직접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서의 동작에 즉시 적용될 수 없을 경우도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서의 동작을 안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는 검출 위치를 포함하는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에 의해 발생하는 통신량을 저감하고, 불필요한 데이터 대기(data queuing)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7.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
계속해서, 비교 결과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서의 처리부(132)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먼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처리부(132)는 제2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로부터 제2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가 통지된 경우에, 처리부(132) 또는 처리부(216)는 이 선정된 수를 초과하는 수의 검출 위치가 포함되는 제2 검출 결과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로서는, 다양한 처리가 상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처리부(132)는 제2 최대 검출수가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처리부(132)는 제2 최대 검출수가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동작 제어부(122)는 유저에 의한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의한 제2 최대 검출수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처리부(132)는 제2 최대 검출수를 "n"으로 설정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는 n점까지의 터치 조작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시스템의 제약에 의해, 최대 n점까지만 터치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부(1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부(216)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는, 제2 최대 검출수를 "n"으로 설정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는 n점까지의 터치 조작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는 "시스템의 제약에 의해, 최대 n점까지만 터치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1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1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5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최대 검출수가 "5"이고, 제2 최대 검출수는 "3"이다. 따라서, 처리부(132)는 더 작은 제2 최대 검출수 "3"을 초과하지 않는 수 "3"을 선정된 수로 설정하는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use=3"로서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또한, 제1 최대 검출수 "5"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 "3"이 작기 때문에, 처리부(132)는 제2 최대 검출수 "3"이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부(132)는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화상에 제2 최대 검출수 "3"을 다중화할 수 있고, 제2 최대 검출수 "3"이 다중화된 화상을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제공하도록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에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최대 검출수 "3"이 다중화된 화상은,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에 의해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제공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출력부(250)에 의해 출력된다. 도 9에는, "시스템의 제약에 의해, 최대 3점까지만 터치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화상에 다중화됨으로써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로부터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송신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서 그 메시지가 다중화된 화상이 표시되는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0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2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2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도, 도 6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Capability Negotiation의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검출부(120)의 제1 최대 검출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검출부(120)의 제1 최대 검출수가 "5"인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max=5"로서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또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수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 처리부(132)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수가 "3"인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limit=3"로서 프로세스 M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도 11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3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최대 검출수 "5"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 "3"이 작기 때문에,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처리부(216)는 제2 최대 검출수 "3"이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부(216)는 생성 데이터 제공부(114)에 의해 제공된 화상에 제2 최대 검출수 "3"을 다중화할 수 있고, 제2 최대 검출수 "3"이 다중화된 화상이 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최대 검출수 "3"이 다중화된 화상은, 출력부(250)에 의해 출력된다. 도 11에는, "시스템의 제약에 의해, 최대 3점까지만 터치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다중화되고, 그 메시지가 다중화된 화상이 표시되는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2는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4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4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 데이터가 보내지기 직전의 프로세스 M1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수를 선정된 수로서 설정하는 취지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 처리부(132)는 더 작은 제2 최대 검출수 "3"을 초과하지 않는 수 "3"을 선정된 수로서 설정하는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use=3"로서 프로세스 M1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도 13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5 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에는, 선정된 규격에 따라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가,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제5 동작예로서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시퀀스도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처리부(132)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 데이터가 보내지기 직전의 프로세스 M1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수를 선정된 수로서 설정하는 취지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 처리부(132)는 더 작은 제2 최대 검출수 "3"을 초과하지 않는 수 "3"을 선정된 수로서 설정하는 취지를 "wfd_uibc_max_touch_number: limit=3"로서 프로세스 M14에서의 "SET_PARAMETER request"에 추가한다.
이상,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는, 제1 최대 검출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에 의한 제1 검출부(120) 및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는, 제1 검출부(120)에 대한 조작과 비교하여,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은 제한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2 최대 검출수에 의해 출력된 결과를 유저가 인식함으로써, 유저는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이 제한되기 전에 파악할 수 있다.
(1-8. 하드웨어 구성예)
계속해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나, 도 14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예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4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801), ROM(Read Only Memory)(802), RAM(Random Access Memory)(803), 입력 장치(808), 출력 장치(810), 스토리지 장치(811), 드라이브(812) 및 통신 장치(815)를 포함한다.
CPU(80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CPU(8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ROM(802)은 CPU(801)에 의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RAM(803)은 CPU(801)의 실행시 이용되는 프로그램과, 그 실행시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들 섹션은 CPU 버스 등으로부터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808)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마이크로폰, 스위치 및 레버와 같은, 유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유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CPU(801)에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유저는, 이 입력 장치(808)를 조작함으로써,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출력 장치(81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장치 또는 램프 등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장치(810)는 스피커 및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촬상된 화상이나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음성 출력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스토리지 장치(811)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의 장치이다. 스토리지 장치(811)는 기억 매체,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기억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및 기억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토리지 장치(811)는 CPU(8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드라이브(812)는 기억 매체용 리더/라이터이며,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부착된다. 드라이브(812)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 매체(7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RAM(803)에 출력한다. 또한, 드라이브(812)는 리무버블 기억 매체(71)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통신 장치(815)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통신 장치(815)가 무선LAN(Local Area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이어도, 통신 장치(815)는 유선에 의해 통신하는 유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81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한 하드웨어 구성예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5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2), RAM(Random Access Memory)(903), 입력 장치(908), 출력 장치(910), 스토리지 장치(911), 드라이브(912) 및 통신 장치(915)를 포함한다.
CPU(90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CPU(9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ROM(902)는 CPU(901)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RAM(903)은 CPU(901)의 실행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그 실행시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들 섹션은 CPU 버스 등으로부터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입력 장치(908)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마이크로폰, 스위치 및 레버와 같은, 유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유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신호를 CPU(901)에 출력하는 입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유저는, 입력 장치(908)를 조작함으로써,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고 처리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출력 장치(91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장치 또는 램프 등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장치(910)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촬상된 화상 또는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음성 출력 장치는 음성 데이터를 변환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스토리지 장치(911)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 장치이다. 스토리지 장치(911)는 기억 매체,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 기억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및 기억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토리지 장치(911)는 CPU(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드라이브(912)는 기억 매체용 리더/라이터이며,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부착된다. 드라이브(912)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 매체(72)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RAM(903)에 출력한다. 또한, 드라이브(912)는 리무버블 기억 매체(72)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통신 장치(915)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통신 장치(915)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이어도, 유선에 의해 통신하는 유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91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 결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제2 최대 검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얻는 비교부(131)와, 비교 결과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132)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검출부(120)와 제2 검출부(220) 사이에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가 다른 경우에도, 유저에 의한 제1 검출부(120)에 대한 조작 및 제2 검출부(220)에 대한 조작에 따라 동작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간의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은 장치의 경우, 각 장치 및 장치간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폐해도 예상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장치 및 장치간의 동작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검출 위치의 일부가 제외된 후, 제2 검출 결과가 제2 검출 결과 취득부(123)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부(131) 및 처리부(132)를 추가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규격을 확장하기 위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 또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를 구현하면, 아직 확장되지 않은 장치 사이에서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분야의 숙련된 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내에 속하는 한 설계 요구사항 및 다른 인자들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서브조합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대하여 1개의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이 존재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지만,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대하여 복수의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가 존재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를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를, 상술한 검출 결과 취득 장치(10)에 포함된 구성과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프로그램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를, 상술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20)에 포함된 구성과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프로그램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또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A1) (a) 비교부를 사용하여,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개수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부를 사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2) 비교부, 제1 조작체 검출부 및 처리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포함되고;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A1)의 방법.
(A3) 단계 (a)를 수행하기 전에, 검출 결과 취득 장치를 사용하여, 제2 개수를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요구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송신하고 제2 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2)의 방법.
(A4) 단계 (b)는 처리부를 사용하여,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2) 또는 (A3)의 방법.
(A5) 제2 개수가 제1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는 제1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는, (A4)의 방법.
(A6) 제1 개수가 제2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는 제2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는, (A4) 또는 (A5)의 방법.
(A7) 검출 결과 취득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한 후,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처리된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4) 내지 (A6)의 방법.
(A8)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4) 내지 (A7) 중 어느 하나의 방법.
(A9)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A8)의 방법.
(A10)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상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지시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4) 내지 (A9) 중 어느 하나의 방법.
(A11)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2) 내지 (A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
(A12) 실행부를 사용하여, 제1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1) 내지 (A11) 중 어느 하나의 방법.
(A13)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12)의 방법.
(A14) 제1 조작체 검출부와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각각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고, 제1 개수는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이고, 제2 개수는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인, (A1) 내지 (A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
(B1) 조작체들의 제1 개수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조작체 검출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와 제1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B2) 제1 조작체 검출부, 비교부 및 처리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포함되고;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B1)의 장치.
(B3) 비교부가 제1 개수와 제2 개수를 비교하기 전에 제2 개수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요구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송신하고 제2 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데이터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B2)의 장치.
(B4) 처리부는 또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B2) 또는 (B3)의 장치.
(B5) 처리부는 또한 제2 개수가 제1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제1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B4)의 장치.
(B6) 처리부는 또한 제1 개수가 제2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제2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B4) 또는 (B5)의 장치.
(B7) 처리된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게 처리하도록 구성된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B4) 내지 (B6) 중 어느 하나의 장치.
(B8) 처리부는 또한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B4) 내지 (B7) 중 어느 하나의 장치.
(B9)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B8)의 장치.
(B10) 처리부는 또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상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지시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B4) 내지 (B9) 중 어느 하나의 장치.
(B11)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생성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B2) 내지 (B10) 중 어느 하나의 장치.
(B12) 제1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B1) 내지 (B11) 중 어느 하나의 장치.
(B13) 실행부는 또한 제1 조작체의 출력 결과와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B12)의 장치.
(B14) 제1 조작체 검출부와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각각 터치-감지부를 포함하고, 제1 개수는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이고, 제2 개수는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의 최대수인, (B1) 내지 (B13) 중 어느 하나의 장치.
(C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a)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개수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포함되고;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C1)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3) 단계 (a)를 수행하기 전에,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제2 개수를 송신하기 위한 요구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송신되게 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처리하여 제2 개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2)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4) 단계 (b)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2) 또는 (C3)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5) 제2 개수가 제1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제1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게 설정되도록 수행되는, (C4)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6) 제1 개수가 제2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제2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게 설정되도록 수행되는, (C4) 또는 (C5)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7)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한 후,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의 통신을 처리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처리된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4) 내지 (C6)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8)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통신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4) 내지 (C7)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9)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통신되게 하는 단계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영상 디스플레이에 통신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8)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10)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상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메시지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지시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 통신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4) 내지 (C9)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11) 화상 데이터가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 통신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2) 내지 (C10)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12) 제1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1) 내지 (C11)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13)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12)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1) (a)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처리부를 사용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하여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D2) 단계 (a)를 수행하기 전에,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이 요구에 기초하여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식별하는 조작체 검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1)의 방법.
(D3) 조작체 검출부는 터치 감지부이고 조작체 검출수는 터치 감지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를 식별하는, (D2)의 방법.
(D4) 조작체 검출부의 처리된 출력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1) 내지 (D3) 중 어느 하나의 방법.
(D5)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사용하여,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1) 내지 (D4) 중 어느 하나의 방법.
(D6) 단계 (b)는 처리된 출력 결과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작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1) 내지 (D5) 중 어느 하나의 방법.
(D7)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조작체 검출부의 검출부의 중심에 대한 검출 위치들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D6)의 방법.
(D8)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 위치에서 조작체들의 검출된 움직임의 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D6) 또는 (D7)의 방법.
(D9)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 위치들에서 조작체들이 검출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D6) 내지 (D8) 중 어느 하나의 방법.
(D10)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 위치들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D6) 내지 (D9) 중 어느 하나의 방법.
(D11) 처리부를 사용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1) 내지 (D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
(D1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D11)의 방법.
(E1) 조작체들의 수를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 검출부; 검출 결과 제공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데이터 취득부; 및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E2)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이 요구에 기초하여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식별하는 조작체 검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E1)의 장치.
(E3) 조작체 검출부는 터치 감지부이고 조작체 검출수는 터치 감지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를 식별하는, (E1) 또는 (E2)의 장치.
(E4) 통신부는 또한 조작체 검출부의 처리된 출력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E1) 내지 (E3) 중 어느 하나의 장치.
(E5)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E1) 내지 (E4) 중 어느 하나의 장치.
(E6) 처리부는 또한 처리된 출력 결과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작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E1) 내지 (E5) 중 어느 하나의 장치.
(E7) 처리부는 또한 조작체 검출부의 검출부의 중심에 대한 검출 위치들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키도록 구성되는, (E6)의 장치.
(E8) 처리부는 또한 검출 위치에서 조작체들의 검출된 움직임의 양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키도록 구성되는, (E6) 또는 (E7)의 장치.
(E9) 처리부는 또한 검출 위치들에서 조작체들이 검출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키도록 구성되는, (E6) 또는 (E8) 중 어느 하나의 장치.
(E10) 처리부는 또한 검출 위치들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양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키도록 구성되는, (E6) 또는 (E9) 중 어느 하나의 장치.
(E11)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출력으로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E1) 내지 (E10) 중 어느 하나의 장치.
(E1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E11)의 장치.
(F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a) 검출 결과 제공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처리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단계 (a)를 수행하기 전에,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구를 처리하고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식별하는 조작체 검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는, (F1)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3) 조작체 검출부는 터치 감지부이고 조작체 검출수는 터치 감지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를 식별하는, (F2)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4)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조작체 검출부의 처리된 출력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또한 인코딩되어 있는, (F1) 내지 (F3)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가 표시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또한 인코딩되어 있는, (F1) 내지 (F4)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6) 단계 (b)는 처리된 출력 결과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작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F1) 내지 (F5)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7)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조작체 검출부의 검출부의 중심에 대한 검출 위치들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F6)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8)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 위치에서 조작체들의 검출된 움직임의 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F6) 또는 (F7)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9)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 위치들에서 조작체들이 검출되는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F6) 내지 (F8)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10)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는 검출 위치들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F6) 내지 (F9)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1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출 결과 제공 장치가 통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또한 인코딩되어 있는, (F1) 내지 (F10)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12) 검출 결과 제공 장치가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신하게 하는 단계는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신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11)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2 최대 검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검출부를 포함하는, (1)의 정보 처리 장치.
(3)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상대 장치로부터, 상대 장치에 포함된 제2 검출부에 의한 제2 검출 결과를 취득하는 제2 검출 결과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1) 또는 (2)의 정보 처리 장치.
(4)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큰 경우에, 처리부는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를 상대 장치에 통지하는, (1) 내지 (3)의 정보 처리 장치.
(5) 제2 검출 결과 취득부는 선정된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상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1) 내지 (4)의 정보 처리 장치.
(6) 제2 검출 결과 취득부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에 따라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상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1) 내지 (5)의 정보 처리 장치.
(7) 제2 검출 결과 취득부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 각각의 움직임량에 따라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상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1) 내지 (5)의 정보 처리 장치.
(8) 제2 검출 결과 취득부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 각각의 검출 순서에 따라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상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1) 내지 (5)의 정보 처리 장치.
(9) 제2 검출 결과 취득부는 제2 검출 결과에 포함되는 복수의 검출 위치 각각의 검출시에 제2 검출부에 부여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일부가 제외된 후의 제2 검출 결과를 상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1) 내지 (5)의 정보 처리 장치.
(10)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상기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처리부는 제2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는 선정된 수를 상대 장치에 통지하는, (1) 내지 (9)의 정보 처리 장치.
(11)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작은 경우에, 처리부는 제2 최대 검출수가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1) 내지 (10)의 정보 처리 장치.
(12)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가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처리부는 프로그램의 종류에 기초하여 선정된 수를 결정하는, (1) 내지 (11)의 정보 처리 장치.
(13)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제1 검출 결과에 기초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제어하고,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제2 검출 결과에 기초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12)의 정보 처리 장치.
(14)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가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실행부;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생성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생성 데이터를 상대 장치에 제공하는 생성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13)의 정보 처리 장치.
(15)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검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게 프로그램 실행부를 제어하고,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 검출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게 프로그램 실행부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14)의 정보 처리 장치.
(16) 처리부는 제1 최대 검출수를 상대 장치에 통지하는, (1) 내지 (15)의 정보 처리 장치.
(17) 처리부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최대 검출수 중 더 작은 수를 상대 장치에 통지하는, (1) 내지 (16)의 정보 처리 장치.
(18) 제1 최대 검출수보다도 제2 최대 검출수가 크고, 제1 최대 검출수를 초과하는 수가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경우, 처리부는 선정된 메시지가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1) 내지 (17)의 정보 처리 장치.
(19)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2 최대 검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제1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제2 검출부를 포함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검출 결과 제공 장치는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제공하는 제2 검출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고, 검출 결과 취득 장치는 제2 검출 결과를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2 검출 결과 취득부, 제1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1 최대 검출수와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제2 최대 검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비교부, 및 비교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 정보 처리 시스템
10: 검출 결과 취득 장치(정보 처리 장치)
20: 검출 결과 제공 장치(상대 장치)
110: 제어부
111: 프로그램 실행부
112: 생성부
113: 압축부
114: 생성 데이터 제공부
120: 제1 검출부
121: 제1 검출 결과 취득부
122: 동작 제어부
123: 제2 검출 결과 취득부
124: 수신 데이터 취득부
130: 기억부
131: 비교부
132: 처리부
140: 통신부
150: 출력부
210: 제어부
211: 생성 데이터 취득부
212: 전개부
213: 제2 검출 결과 취득부
214: 제2 검출 결과 제공부
215: 수신 데이터 취득부
216: 처리부
220: 제2 검출부
230: 기억부
240: 통신부
250: 출력부

Claims (35)

  1. (a) 비교부를 사용하여,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개수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 및 상기 처리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는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계 (a)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개수를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상기 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수가 상기 제1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는 상기 제1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실행부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와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와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각각 터치 감지부(touch-sensitive uni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수는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이고, 상기 제2 개수는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인, 방법.
  8.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서,
    조작체들의 제1 개수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조작체 검출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와 상기 제1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처리부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는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포함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가 제1 개수와 상기 제2 개수를 비교하기 전에 상기 제2 개수를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요구를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데이터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상기 제2 개수가 상기 제1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상기 제1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상기 제1 개수가 상기 제2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상기 제2 개수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되게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처리된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게 처리하도록 구성된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상에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지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생성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와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와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는 각각 터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수는 상기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이고, 상기 제2 개수는 상기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인, 검출 결과 취득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a) 제1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개수와 제2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2 개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a) 검출 결과 취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단계 (a)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식별하는 조작체 검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 검출부는 터치 감지부이고 상기 조작체 검출수는 상기 터치 감지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를 식별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 검출부의 처리된 출력 결과를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상기 처리된 출력 결과가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조작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가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신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검출 결과 제공 장치로서,
    조작체들의 수를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 검출부;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상기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체 검출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수를 식별하는 조작체 검출수를 포함하는 통신을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 검출부는 터치 감지부이고 상기 조작체 검출수는 상기 터치 감지부가 검출할 수 있는 조작체들의 최대수를 식별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또한 상기 조작체 검출부의 처리된 출력 결과를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상기 처리된 출력 결과가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조작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킨 출력 결과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또한 (a) 상기 조작체 검출부의 검출부의 중심에 대한 검출 위치들의 근접성, (b) 상기 검출 위치에서 조작체들의 검출된 움직임의 양, (c) 상기 검출 위치들에서 조작체들이 검출되는 시퀀스, 또는 (d) 상기 검출 위치들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양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출 위치를 제외시키도록 구성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를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출력으로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영상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검출 결과 제공 장치.
  3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a)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검출 결과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된 통신을 처리하여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의 통지를 취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선정된 조작체 검출수에 기초한 상기 검출 결과 제공 장치의 조작체 검출부의 출력 결과를 처리하여 처리된 출력 결과를 취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57020961A 2013-02-13 2013-12-1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110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5665 2013-02-13
JP2013025665A JP6117562B2 (ja) 2013-02-13 2013-02-13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PCT/JP2013/007486 WO2014125547A1 (en) 2013-02-13 2013-12-19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347A true KR20150120347A (ko) 2015-10-27
KR102110005B1 KR102110005B1 (ko) 2020-05-12

Family

ID=4995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961A KR102110005B1 (ko) 2013-02-13 2013-12-1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763279B2 (ko)
EP (2) EP2957105A1 (ko)
JP (1) JP6117562B2 (ko)
KR (1) KR102110005B1 (ko)
CN (2) CN104969559B (ko)
TW (1) TWI605381B (ko)
WO (1) WO2014125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7562B2 (ja) 2013-02-13 2017-04-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70039076A1 (en) * 2014-04-30 2017-02-0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djusting tap position on touch screen
EP3253066B1 (en) * 2015-01-30 2021-06-0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6213613B2 (ja) * 2015-05-25 2017-10-1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09459B2 (en) 2016-05-19 2019-12-17 Scenera, Inc. Scene-based sensor networks
US10693843B2 (en) * 2016-09-02 2020-06-23 Scenera, Inc. Security for scene-based sensor networ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8676A (ja) 2010-06-23 2012-01-12 Panasonic Corp 電子書籍表示装置
US20120092277A1 (en) * 2010-10-05 2012-04-19 Citrix Systems, Inc. Touch Support for Remoted Applications
US20130002949A1 (en) * 2011-01-21 2013-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JP2013025621A (ja) * 2011-07-22 2013-02-04 Nec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2959B2 (en) * 2005-11-30 2011-04-26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docking adapter
US8031175B2 (en) * 2008-04-21 2011-10-04 Panasonic Corporation Touch sensitive remote control system that detects hand size characteristics of user and adapts mapping to screen display
US8350831B2 (en) * 2008-08-07 2013-01-08 Rapt Ip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multitouch event in an optical touch-sensitive device
ES2596878T3 (es) * 2008-09-04 2017-01-12 Savant Systems Llc. Dispositivo inalámbrico sensible al tacto y visualización en pantalla para controlar remotamente un sistema
KR101503835B1 (ko) * 2008-10-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터치를 이용한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JP5217982B2 (ja) * 2008-12-04 2013-06-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89786B1 (ko) * 2008-12-11 2010-10-29 (주)코아리버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732057B1 (ko) * 2009-11-02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기기
US20110205169A1 (en) * 2010-02-24 2011-08-25 Primax Electronics Ltd. Multi-touch input apparatus and its interface method using hybrid resolution based touch data
US9092089B2 (en) * 2010-09-15 2015-07-28 Advanced Silicon Sa Method for detecting an arbitrary number of touches from a multi-touch device
KR20140008292A (ko) * 2010-09-15 2014-01-21 어드밴스드 실리콘 에스아 멀티터치 디바이스로부터 임의의 터치 회수를 감지하는 방법
CA2824017C (en) * 2011-01-14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US9128524B2 (en) * 2011-01-18 2015-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livering user input, and device using same
JP5884282B2 (ja) * 2011-03-29 2016-03-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9144094B2 (en) * 2012-10-2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US20140168094A1 (en) * 2012-12-14 2014-06-19 Robin Duncan Milne Tangible alphanumeric interaction on multi-touch digital display
JP6034709B2 (ja) * 2013-01-30 2016-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外部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と外部表示装置とからなる情報システム
JP6117562B2 (ja) 2013-02-13 2017-04-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8676A (ja) 2010-06-23 2012-01-12 Panasonic Corp 電子書籍表示装置
US20120092277A1 (en) * 2010-10-05 2012-04-19 Citrix Systems, Inc. Touch Support for Remoted Applications
US20130002949A1 (en) * 2011-01-21 2013-01-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JP2013025621A (ja) * 2011-07-22 2013-02-04 Nec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63018A1 (en) 2015-12-17
CN104969559A (zh) 2015-10-07
EP2957105A1 (en) 2015-12-23
CN109831686A (zh) 2019-05-31
JP6117562B2 (ja) 2017-04-19
TW201447738A (zh) 2014-12-16
KR102110005B1 (ko) 2020-05-12
EP3059971B1 (en) 2019-09-11
US20170329445A1 (en) 2017-11-16
WO2014125547A1 (en) 2014-08-21
CN104969559B (zh) 2019-01-18
CN109831686B (zh) 2021-07-06
EP3059971A1 (en) 2016-08-24
JP2014154095A (ja) 2014-08-25
US10602558B2 (en) 2020-03-24
TWI605381B (zh) 2017-11-11
US9763279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25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 maximum multi-touch number in WLAN
US9955248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980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command on basis of context awareness
US9635267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preview control
US10360871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65818B1 (ko) 입력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2014120159A (ja) 情報検索方法、そのような機能を有するデバイス及び記録媒体
JP2016521894A (ja) 検出されたジェスチャーに基づいてデバイス動作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318169A1 (en) Method for Generating Video Thumbnail o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215178B1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70069600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192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KR20140000388A (ko) 터치 인식 개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53498B1 (ko) 기능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4626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13314A (ko) 전자 장치에서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US953652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 ident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607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
CN103106023B (zh) 用于控制便携式终端中的显示尺寸的装置和方法
CN108521545B (zh) 基于增强现实的图像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5744252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20200121261A (ko) 입력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50081176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30115693A (ko) 확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