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601A -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601A
KR20150119601A KR1020140045140A KR20140045140A KR20150119601A KR 20150119601 A KR20150119601 A KR 20150119601A KR 1020140045140 A KR1020140045140 A KR 1020140045140A KR 20140045140 A KR20140045140 A KR 20140045140A KR 20150119601 A KR20150119601 A KR 20150119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grass
microorganism
bacillus amyloliquefaciens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미
Original Assignee
(주) 에코텍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코텍씨드 filed Critical (주) 에코텍씨드
Priority to KR102014004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9601A/ko
Publication of KR2015011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질비료 또는 MU비료와 같은 입상비료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코팅함으로써 이를 잔디에 시비하는 경우 브라운패치, 달라스팟과 같은 잔디의 병해를 방제함과 동시에 잔디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는, 잔디에 시비되는 경우 잔디의 생육 증진과 더불어 잔디의 병해를 방제하도록 입상비료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GRANULATED FERTILIZER CAPABLE OF CONTROLLING GRASS DISEA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질비료 또는 MU비료와 같은 입상비료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코팅함으로써 이를 잔디에 시비하는 경우 브라운패치, 달라스팟과 같은 잔디의 병해를 방제함과 동시에 잔디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농작물에 대한 재배기술이 계속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배기술의 발전은 농약과 비료의 발전에 힘입은바 농작물 재배 생산력과 작물의 생장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농약은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각종 세균 및 곰팡이균에 의한 병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비료는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들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비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비료는 작물의 영양물질을 직접적으로 이루기보다는 토양의 물리적 화학성을 개선하고 유용한 미생물들을 증진시키면서 토양 중에서 식물에 이용될 수 없었던 형태의 양분을 이용가능한 형태로 바꾸며 유독성 물질의 독성을 저감시키는 등 간접적으로 작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이러한 비료는 현재 한국의 비료관리법에 의해 보통비료와 특수비료로 대별하여 분류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통비료는 비료의 주성분인 질소, 인산, 칼륨의 3요소를 기초로 한 무기질비료(무기질 질소비료, 무기질 인산비료, 무기질 칼륨비료), 복합비료, 유기질비료, 석회질비료, 규산질비료, 마그네슘비료, 붕소비료 등으로 분류되고, 특수비료에는 퇴구비를 비롯한 각종 자급비료와 부산물비료 등을 포함하여 분류하고 있지만 일정한 기준에 따르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임의로 분류된다.
한편, 농작물의 하나로서 경제성장에 따른 문화 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골프장이나 각종 경기장, 공원, 조경지등이 늘어남에 따라 잔디의 식재 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이같은 잔디 식재면적의 확대는 잔디의 활용이 단순히 관상적인 측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 경기적인 측면 등으로 잔디 역할의 폭이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잔디의 식재 면적의 확대와 더불어 잔디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브라운패치, 달라스팟과 같은 병해 또한 다발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잔디에 발생되는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통상 유기합성농약에 의한 방제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기합성농약에 의한 방제법은 단기간에 병의 확산을 억제시키는데는 우수하지만 장기간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됨으로서 인축에 대한 농약중독, 저항성을 가진 내성균의 출현과 토양내의 잔류독성 등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유기합성농약에 의한 방제법의 문제점을 인지하여 이를 대체해 보고자 등록특허 제10-0642283호(등록일자: 2006.10.27.)에는 잔디의 주요병해를 일으키는 곰팡이성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미생물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잔디 병해의 방제를 위한 노력과, 비료의 시비와 같은 잔디의 건전한 생육을 위한 노력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중의 관리인력과 경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비료의 형태로 잔디에 시비하는 경우 친환경적으로 브라운패치, 달라스팟과 같은 잔디의 병해를 방제함과 동시에 잔디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는, 잔디에 시비되는 경우 잔디의 생육 증진과 더불어 잔디의 병해를 방제하도록 입상비료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는, 상기 잔디의 병해는 브라운패치 또는 달라스팟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에 제오라이트를 첨가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입상비료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상기 입상비료는 유기질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25㎖를 기준으로 상기 제오라이트는 30±5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상기 입상비료는 MU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7㎖를 기준으로 상기 제오라이트는 30±5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에 화이트카본을 첨가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입상비료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상기 입상비료는 유기질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25㎖를 기준으로 상기 화이트카본은 4±1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상기 입상비료는 MU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7㎖를 기준으로 상기 화이트카본은 4±1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은 입상비료의 형태로 잔디에 시비하는 경우 친환경적으로 브라운패치, 달라스팟과 같은 잔디의 병해를 방제함과 동시에 잔디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하여 농약과 비료를 각각 따로 처리하는 노동력과 잔디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은 잔디의 생육적으로 기존 비료와 차이가 없고, 미생물을 통한 병방제는 화학농약처리보다 방제가는 떨어지지만 농약의 사용량을 줄여줄 수 있어, 화학비료의 절감과 화학농약의 사용을 줄여줄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처리 종류에 따른 달라스팟 병반 모습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한국잔디의 건중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따른 한국잔디의 엽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건중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엽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질비료와 MU비료의 미생물배양액 담체화 후 전자현미경 관찰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는 유기질비료 또는 MU비료와 같은 입상비료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은 등록특허 제10-1279026호(등록일자: 2013.06.20.)에 식물병 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고추 탄저병의 방제를 위해 시험된 바 있다.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이하 'KB3'라고 함)을 5일 간격으로 3회 토양관주 처리하였고, 처리량은 1×107 cfu/㎖, 1×109 cfu/㎖ 로 처리하였으며, 대조약제로는 Tebuconazole(×2,000)을 사용하였다.
아래의 [표 1]은 방제 처리 종류(시험약제)에 따라 각 처리구에서의 잔디의 병해 중 브라운패치에 대한 방제 시험 결과이다.
시험약제 피해면적율(%) 유의차
(DMRT)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KB3 1×107 12.6 15.0 16.0 14.5 b 52.4
KB3 1×109 5.4 8.6 14.0 9.3 b 69.4
Tebuconazole(×2,000) 7.2 8.0 3.0 6.1 b 80.1
무처리 20.4 35.2 35.9 30.5 a
아래의 [표 2]는 방제 처리 종류(시험약제)에 따라 각 처리구에서의 잔디의 병해 중 달라스팟에 대한 방제 시험 결과이고, 도 1은 방제 처리 종류에 따라 각 처리구에 발생된 발라스팟 병반 모습 사진이다.
시험약제 피해면적율(%) 유의차
(DMRT)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KB3 1×107 20 21 26 22.3 b 30.3
KB3 1×109 15 17 16 16 c 50.0
Tebuconazole(×2,000) 4 6 9 6.3 d 80.3
무처리 28 34 34 32.0 a
상기 [표 1], [표 2] 및 도 1을 살펴보면, Tebuconazole(×2,000)이 방제가가 높아 병방제에 좋은 효과를 내지만 이는 화학농약으로서 잦은 사용은 토양에 잔류하게 되어 생태계의 피해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상기 KB3 미생물을 통한 병방제는 비록 화학농약 처리보다 방제가가 떨어지지만 잔디의 대표적인 병해인 브라운패치 및 달라스팟의 방제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이 코팅된 입상비료의 잔디 생육촉진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험구로는 MU비료(N: 9.5%)(이하 'MU'라고 함), 상기 KB3 미생물이 코팅된 MU비료(이하 'MU+미생물'이라 함), 유기질비료(N: 10%), 상기 KB3 미생물이 코팅된 유기질비료(이하 '유기질+미생물'이라 함), 잔디복합비료(N: 12%, 대조), 상기 KB3미생물이 코팅된 잔디용 복합비료(이하 '잔디복비+미생물'이라 함)로 나누었다.
상기 MU비료, 유기질비료 및 잔디용 복합비료는 모두 질소순성분량 2.5g N/m2 되게 처리하였고, 상기 KB3 미생물은 4일간 배양하여 10배 희석하여 미생물 처리구 m2 당 1ℓ 처리하였다.
한편, 난지형잔디(일예로 한국잔디), 한지형잔디(일예로 켄터키블루그래스) 각각을 아래의 [표 3]과 같은 형태(난괴법)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무처리 유기질비료 MU비료 잔디복비 MU+
미생물
유기질
+미생물
무처리 유기질비료 MU비료 잔디복비 MU+
미생물
유기질+
미생물
무처리 유기질비료 MU비료 잔디복비 MU+
미생물
유기질+
미생물
잔디복비+
미생물
잔디복비+
미생물
잔디복비+
미생물
미생물 미생물 미생물
도 2는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따른 난지형잔디의 일예로 한국잔디의 건중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비료처리 1주 후 한국잔디의 건중량 측정 결과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한국잔디의 초기 생육은 MU+미생물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잔디복비 처리구로 조사되었다.
미생물 처리에 따른 비료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MU비료의 경우 미생물과 함께 처리한 시험구가 처리하지 않은 시험구 보다 초기 생장이 좋았으나, 잔디복비는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은 시험구에서 더 초기생육이 좋은 것으로 조사되어 미생물 처리에 따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기질 비료와 미생물만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초기생육 및 3주 후 조사 결과에서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한국잔디는 경기지역의 경우 9월 말 부터는 한국잔디 휴면기로 생육이 감소되어 지상부 생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데 유기질비료의 경우 화학비료보다 양분용해능이 떨어져 한국잔디에서의 흡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도 3은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따른 난지형잔디의 일예로 한국잔디의 엽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한국잔디의 엽색은 Field Scout TCM500 NDVI turf color meter (Spectrum Technologies I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을 살펴보면, 측정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처리 전에 비해 처리 후 엽색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MU비료 시험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그 다음이 잔디복비 시험구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미생물 처리에 따른 엽색의 차이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처리 전에 비해 1주 후 측정값이 전체적으로 증가한 원인은 잔디예고를 실시하여 하엽이 제거되어 처리 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로로필미터 측정값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처리 2주 후 부터는 엽색이 감소하는데 이는 건중량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한국잔디 휴면기로 인한 실험의 오차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 4는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따른 한지형잔디의 일예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건중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비료처리 1주 후 켄터키블루그래스의 건중량 측정결과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초기 생육은 잔디복비 시험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MU+미생물 시험구로 조사되었다.
켄터키블루그래스 시험구 역시 미생물 처리에 의한 잔디생육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종에 따른 건중량은 초기에는 잔디복비가 유기질비료 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나 3주 이후 부터는 유기질비료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켄터키블루그래스가 식재되는 토양이 사질토양으로 잦은 관수에 의해 양분이 쉽게 용탈되어 복합비료 시힘구 보다 완효성비료 처리구에서 더 비효가 오래 지속되어 건중량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처리 5주 후에도 MU비료 시험구와 유기질비료 시험구가 가장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 5는 비료 처리 종류에 따른 따른 한지형잔디의 일예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엽색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엽색 측정결과 미생물처리에 따른 차이는 초기에는 미생물처리구가 전체적으로 다 높아 유의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료 종류에 따른 엽색의 차이는 건중량과 마찬가지로 MU비료와 잔디복비 시험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처리 2주 후 부터는 잔디복합비료 처리구는 낮아지는 유기질 비료 처리구에서의 엽색이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토양이 사질토양으로 잦은 관수에 의해 양분이 쉽게 용탈되어 복합비료 처리구 보다 완효성비료와 유기질비료 처리구에서 더 양분효율이 지속되어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처리 4주 후에는 MU+미생물과 MU비료 처리구, 유기질+미생물과 유기질비료 처리구는 엽색이 높게 유지되는 반면 복합비료 처리구에서는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질토양에 식재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은 미생물 처리 유무에 따라서 건중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엽색 측정결과에서는 유의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비종에 따른 차이는 MU비료와 유기질비료의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에 첨가제(제오라이트 또는 화이트카본)를 첨가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입상비료에 담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상비료의 담체화를 위하여 아래 [표 4]의 조건으로 입상비료의 일예인 유기질비료 및 MU비료에 각각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코팅하였다.
번호 비료종류 첨가제 첨가량(g) 배양액 첨가량(㎖)
1 유기질비료



제오라이트 30 25
2 화이트카본 4 25
3 규조토 7 25
4 키토산 5 25
5 질석 10 25
1 MU비료
제오라이트 30 7
2 화이트카본 4 7
코팅 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여 담체화한 입상비료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5]는 입상비료 담체화 및 건조 후 생균수를 나타낸 것이다.
번호 비료종류 첨가제 CFU/㎖ or CFU/g
배양액 3.43E+08
Control 유기질비료 - 0.00E+00
1 제오라이트 7.10E+07
2 화이트카본 6.33E+06
3 규조토 2.17E+07
4 키토산 4.60E+07
5 질석 1.57E+07
Control MU비료 - 0.00E+00
1 제오라이트 7.53E+07
2 화이트카본 6.11E+06
상기의 [표 5]를 살펴보면, 첨가제로서 규조토와 키토산은 제형화시켰을때 엉겨붙고 부풀어오르는 등 물리적 변화가 심하였으나, 제오라이트와 화이트카본은 미생물을 입상비료에 담체화하였을때 생균수가 일반배양액과 비교하였을때 큰 차이가 없었고 물리적으로도 큰 변화가 없어 제오라이트와 화이트카본이 입상비료의 담체화를 위한 첨가제로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유기질비료와 MU비료의 미생물배양액 담체화 후 전자현미경 관찰 사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유기질비료과 MU비료에 미생물을 담체화하는데 첨가제로 제오라이트와 화이트카본을 사용하였을때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물리적으로 단단하게 입자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비료의 안정성 측면에서 제오라이트와 화이트카본이 입상비료의 담체화를 위한 첨가제로서 적합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은 입상비료의 형태로 잔디에 시비하는 경우 친환경적으로 브라운패치, 달라스팟과 같은 잔디의 병해를 방제함과 동시에 잔디의 생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하여 농약과 비료를 각각 따로 처리하는 노동력과 잔디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잔디의 생육적으로 기존 비료와 차이가 없고, 미생물을 통한 병방제는 화학농약처리보다 방제가는 떨어지지만 농약의 사용량을 줄여줄 수 있어, 화학비료의 절감과 화학농약의 사용을 줄여줄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잔디에 시비되는 경우 잔디의 생육 증진과 더불어 잔디의 병해를 방제하도록 입상비료에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의 병해는 브라운패치 또는 달라스팟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3.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에 제오라이트를 첨가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입상비료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비료는 유기질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25㎖를 기준으로 상기 제오라이트는 30±5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비료는 MU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7㎖를 기준으로 상기 제오라이트는 30±5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
  6.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에 화이트카본을 첨가하여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을 입상비료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비료는 유기질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25㎖를 기준으로 상기 화이트카본은 4±1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비료는 MU비료이고,
    상기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피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KB3 미생물 배양액 7㎖를 기준으로 상기 화이트카본은 4±1g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제조 방법.
KR1020140045140A 2014-04-16 2014-04-16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9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40A KR20150119601A (ko) 2014-04-16 2014-04-16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40A KR20150119601A (ko) 2014-04-16 2014-04-16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01A true KR20150119601A (ko) 2015-10-26

Family

ID=5442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140A KR20150119601A (ko) 2014-04-16 2014-04-16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960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0182A (zh) * 2018-07-10 2018-10-02 云南省微生物发酵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具有防病促生长功能的复合肥料及其制备方法
KR20190114464A (ko) 2018-03-30 2019-10-1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바실러스 균주를 함유한 유기농 입상 비료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작물의 생육촉진방법
EP3485733A4 (en) * 2016-07-12 2020-03-11 Kyung Nong Corporation COMPOSITION TO PROMOTE THE GROWTH OF PLANTS BY US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WO2022265219A1 (ko) * 2021-06-14 2022-12-22 봉강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WO2024043366A1 (ko) * 2022-08-25 2024-02-29 봉강친환경영농조합법인 미생물제제가 코팅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5733A4 (en) * 2016-07-12 2020-03-11 Kyung Nong Corporation COMPOSITION TO PROMOTE THE GROWTH OF PLANTS BY US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KR20190114464A (ko) 2018-03-30 2019-10-10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바실러스 균주를 함유한 유기농 입상 비료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작물의 생육촉진방법
CN108610182A (zh) * 2018-07-10 2018-10-02 云南省微生物发酵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具有防病促生长功能的复合肥料及其制备方法
WO2022265219A1 (ko) * 2021-06-14 2022-12-22 봉강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WO2024043366A1 (ko) * 2022-08-25 2024-02-29 봉강친환경영농조합법인 미생물제제가 코팅된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2596B (zh) 一种基于农业废弃物的抗病虫栽培基质及制备方法
KR101669599B1 (ko) 유용 미생물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악취 및 중금속 제거용 조성물
CN110100670B (zh) 一种防治十字花科作物根肿病的方法
CN103319216B (zh) 一种用于水稻的微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20150119601A (ko) 잔디 병해의 방제가 가능한 입상비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5601360A (zh) 微生物生态改良盐碱地的方法
CN106190929B (zh) 一种地衣芽孢杆菌新菌株及其应用
Rajan et al. Influence of vermiwash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cow pea Vigna ungiculata and rice Oryza sativa
CN111233578A (zh) 一种生物防治列当的组合物及方法
JPS58208191A (ja) 土壌活性剤
CN105175159A (zh) 一种水稻旱育壮秧生物基质的生产方法及其应用
CN112940969A (zh) 一种新型微生物菌剂及大豆种植方法
KR20160017784A (ko)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바실러스 퍼밀러스 및 바실러스 라테로스포러스 균주 혼합물 및 이의 용도
CN111943755A (zh) 一种促进烟苗早生快发与防治地下害虫的烟草专用肥料
CN108863557A (zh) 一种抑制土传病虫害的鹿粪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EP3085679B1 (en) A complex mineral fertilizer comprising the rhizobium leguminosarum microorganism, production process and uses thereof
CN113717725A (zh) 一种微生物菌剂
CN105039196B (zh) 菌株、其应用与生物肥料
KR100840747B1 (ko) 토양전염성 병해 방제용 서방형 미생물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14920593A (zh) 一种生物复合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13812292A (zh) 一种梨树黄化病的防治方法
CN109287416B (zh) 稻谷抗旱锻炼种植法
KR101215273B1 (ko) 토양을 개선하고 작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미생물 혼합제제
CN105503477A (zh) 一种土壤调理改性剂
CN109479428A (zh) 水稻土改良修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