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770A -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770A
KR20150118770A KR1020140044780A KR20140044780A KR20150118770A KR 20150118770 A KR20150118770 A KR 20150118770A KR 1020140044780 A KR1020140044780 A KR 1020140044780A KR 20140044780 A KR20140044780 A KR 20140044780A KR 20150118770 A KR20150118770 A KR 2015011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and
pair
packaging box
a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충
Original Assignee
김종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충 filed Critical 김종충
Priority to KR1020140044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770A/ko
Publication of KR2015011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stop, or to control the speed of, the machin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25Removing or cutting binding material, e.g. stra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포장박스의 내부에 깔려진 비닐 포장재를 고정하도록 포장박스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를 포장공정 중에 제거하기 위한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박스로부터 고무밴드가 제거되는 밴드 제거위치에서 포장박스를 향한 이동 동작에 의해 고무밴드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걸이 아암;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X축, Y축, Z축의 3축 이동을 구동하는 아암 구동유닛; 및, 상기 아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X축 방향에 따른 전후진, Y축 방향에 따른 좌우 이동,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고무밴드를 포장박스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절감하고,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rubber band removing apparatus for packing process}
본 발명은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공정 중에 제품의 포장을 위해 포장박스의 내부에 깔려진 비닐 포장재를 고정하도록 포장박스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를 제거하기 위한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을 출하하기 위해서는 제품들을 소정의 포장박스에 담아 포장하는 포장공정을 거치도록 하여 출하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박스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67821호(2010년06월2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포장공정에서는 제품들을 포장박스에 바로 담지 않고, 먼저 포장박스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닐 포장재를 포장박스의 바닥면까지 깔고 비닐 포장재가 포장공정 중에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포장박스의 외주면으로 삐져나온 비닐 포장재를 고무밴드로 두른 다음에 제품들을 포장박스의 내부로 담게 된다. 이후, 하나의 포장박스에 제품들이 다 담기면, 이송경로를 따라 포장박스가 이송되며 포장박스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일일이 제거하는 작업을 거쳐 비닐 포장재를 접어 밀봉하고 포장박스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덮개로 덮은 후 라벨을 부착하는 작업까지 모두 작업자가 일일이 직접 손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공정에서의 고무밴드 제거작업은 고무밴드를 제거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공정에 따른 비용이 증가 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박스가 철재나 목재와 같은 견고한 재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고무밴드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내부에 수용된 제품들이 파손 또는 변형 등에 의해 불량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67821호(2010년06월28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 제거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절감하고,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 제거작업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 포장박스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포장박스의 내부에 깔려진 비닐 포장재를 고정하도록 포장박스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를 포장공정 중에 제거하기 위한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에 있어서, 포장박스로부터 고무밴드가 제거되는 밴드 제거위치에서 포장박스를 향한 이동 동작에 의해 고무밴드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걸이 아암;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X축, Y축, Z축의 3축 이동을 구동하는 아암 구동유닛; 및, 상기 아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X축 방향에 따른 전후진, Y축 방향에 따른 좌우 이동,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고무밴드를 포장박스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는, 포장박스가 포장공정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밴드 제거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하고, 밴드 제거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에 의해 고무밴드가 들어 올려지면 포장박스가 다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는 포장박스가 밴드 제거위치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포장박스가 밴드 제거위치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포장박스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포장박스를 향해 전진하여 고무밴드를 걸고나서 후진하여 고무밴드를 당기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상호 이격 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상승되어 고무밴드가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아암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은 지지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암 구동유닛에 의해 승강 되는 아암 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어 함께 수행되고, 상기 아암 구동유닛은,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아암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 아암의 승강을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걸이 아암 및 상기 아암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 아암의 전후왕복을 구동하는 한 쌍의 전후 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전후 구동부 및 상기 아암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전후 구동부의 상호 이격 또는 근접 이동을 구동하는 좌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절감하고,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 제거작업이 수행되는 과정 중에 포장박스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장된 제품들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도 1의 걸이 아암이 포장박스를 향해 전진하여 고무밴드를 건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걸이 아암이 후진하여 고무밴드를 잡아당긴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한 쌍의 걸이 아암이 상호 이격되어 고무밴드를 좌우로 벌린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한 쌍의 걸이 아암이 위로 상승되어 고무밴드의 일측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아암 지지대가 한 쌍의 걸이 아암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의 내부에 깔려져 포장박스(1)의 외주면으로 삐져나온 비닐 포장재(3)를 고정하도록 포장박스(1)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5)를 포장공정 중에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장박스(1)가 포장공정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되 밴드 제거위치(R)에서는 포장박스(1)가 멈추도록 하는 이송수단(110)과,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구비된 밴드 제거수단(12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은 포장박스(1)로부터 고무밴드(5)가 제거되는 밴드 제거위치(R)에서 포장박스(1)를 향한 이동 동작에 의해 고무밴드(5)가 걸릴 수 있도록 아암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게 아암 구동유닛에 연결 구비된다.
아암 구동유닛은, 한 쌍의 걸이 아암(121)에 연결되어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의 X축, Y축, Z축의 3축 이동을 구동하는 것으로서, 밴드 제거수단(120)의 후술할 승강 구동부(140)와, 전후 구동부(150)와, 좌우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의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은 밴드 제거수단(120)의 후술할 승강 가이드 축(12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아암 구동유닛에 의해 승강 되는 아암 지지대(130)에 의해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함께 지지되어 함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아암 지지대(130)가 하나로 마련되어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을 함께 지지하고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이 함께 이뤄지도록 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지지대(130)는 한 쌍으로 분리되게 마련되어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을 각각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아암 구동유닛은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송수단(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가 포장공정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밴드 제거위치(R)까지 이송되도록 하고 밴드 제거위치(R)에서 한 쌍의 걸이 아암(121)에 의해 고무밴드(5)가 들어 올려지면 포장박스(1)가 다시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포장박스(1)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이송 구동부(115)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이송 롤러(111)와, 이송 롤러(111)를 감싸며 이송 롤러(111)의 회전에 의해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113)와, 이송 롤러(111)에 연계 구비되어 이송 롤러(111)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 구동부(115)를 포함한다.
밴드 제거수단(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제거위치(R)에서 포장박스(1)의 이송경로 전방에 구비되고, 걸이 아암(121)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포장박스(1)에 대한 전후왕복에 의해 고무밴드(5)를 걸어 당기고, 포장박스(1)의 이송경로 전방으로 고무밴드(5)가 걸려 당겨진 상태에서 고무밴드(5)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하며, 고무밴드(5)가 좌우로 벌어진 상태에서 위로 상승 되어 이송수단(110)에 의한 포장박스(1)의 이송 재개시 고무밴드(5)가 포장박스(1)로부터 제거되도록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5)의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절감하고,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 아암(121)의 단부에는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했을 때에 고무밴드(5)에 걸려 걸이 아암(121)의 후진시 걸이 아암(121)이 고무밴드(5)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갈고리부(12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밴드 제거수단(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 아암(12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포장박스(1)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배치된 지지체로서의 한 쌍의 승강 가이드 축(123)과, 승강 가이드 축(123)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결합 되고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아암 지지대(130)와, 승강 가이드 축(123) 및 아암 지지대(130) 사이에 구비되어 걸이 아암(121)의 승강을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140)와, 걸이 아암(121) 및 아암 지지대(130) 사이에 구비되어 걸이 아암(121)의 전후왕복을 구동하는 한 쌍의 전후 구동부(150)와, 한 쌍의 전후 구동부(150) 및 아암 지지대(130)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전후 구동부(150)의 상호 이격 또는 근접 이동을 구동하는 좌우 구동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좌우 구동부(160)는 어느 하나의 전후 구동부(150)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전후 구동부(150) 각각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하고 후진하여 고무밴드(5)를 걸어 당기고, 고무밴드(5)가 갈고리부(122)에 걸려 당겨진 상태에서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서로에 대해 상호 이격되어 고무밴드(5)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하며, 고무밴드(5)가 좌우로 벌어진 상태에서 위로 상승 되어 포장박스(1)의 이송 재개시 고무밴드(5)가 포장박스(1)로부터 제거되게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상승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지체로서의 승강 가이드 축(123)은 설치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체는 포장공정이 수행되는 작업장의 천정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 가이드 축(123) 사이에는 상부에 연결 바아(125)가 구비되고, 승강 가이드 축(123)과 아암 지지대(130)의 사이에는 아암 지지대(130)의 후방에 마련되고 승강 가이드 축(123)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 블록(13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승강 구동부(140)는 승강 블록(131)의 내부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 구동부(140)는 승강 블록(131)의 외부에서 승강 블록(131)에 연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구동부(140)는 서보모터(servo motor)나 LM가이드에 적용되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강 블록(131)은 승강 가이드 축(123)에 형성된 레일에 맞물려 승강 안내된다.
한편,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지지대(130)의 상부 양측에는 좌우 구동부(160)의 구동에 의해 걸이 아암(121)이 연결된 전후 구동부(150)의 좌우 이동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레일(133)이 구비되고, 가이드 레일(133)의 상부에는 전후 구동부(150)가 상부에 결합 된 아암 블록(13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아암 블록(135)은 전후 구동부(150)와 좌우 구동부(160) 사이에 개재되되,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133)에 맞물리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전후 구동부(150)를 좌우 구동부(160)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후 구동부(15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우 구동부(16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나 리니어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가 밴드 제거위치(R)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170)와,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포장박스(1)가 밴드 제거위치(R)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포장박스(1)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5)가 포장공정 중에 자동으로 제거되도록 이송 구동부(115), 전후 구동부(150), 좌우 구동부(160), 승강 구동부(14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의 이송경로 중 밴드 제거수단(120)의 전단, 즉 포장박스(1)의 밴드 제거위치(R)에서 이송경로의 가로 방향으로 일측에서 발광하고 타측에서 수광하는 광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의 X축 방향에 따른 전후진, Y축 방향에 따른 좌우 이동,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에 의해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고무밴드(5)를 포장박스(1)로부터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가 밴드 제거위치(R)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포장박스(1)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이송수단(110)의 이송 구동부(115)를 제어하고,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하여 고무밴드(5)를 걸고나서 후진하여 고무밴드(5)를 당기도록 전후 구동부(150)를 제어하며,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상호 이격 되도록 좌우 구동부(160)를 제어하고,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상승되어 고무밴드(5)가 들어 올려지도록 승강 구동부(140)를 제어하며, 포장박스(1)의 이송이 재개되도록 이송 구동부(115)를 제어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100)에 의해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5)의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해 포장박스(1)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장박스(1)의 내부에 포장된 제품들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80)는 전후 구동부(150)를 먼저 제어하여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X축 방향을 따라 전진하였다가 후진되도록 하고, 좌우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Y축 방향을 따라 좌우로 상호 이격 되도록 하며, 승강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Z축 방향을 따라 상승 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80)는 상기 순서가 아닌 다른 순서로 아암 구동유닛의 승강 구동부(140), 좌우 구동부(160), 전후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송 구동부(115), 전후 구동부(150), 좌우 구동부(160), 승강 구동부(140), 감지부(170) 및 제어부(18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연결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에는 입력부(181)와 저장부(183)가 구비된다.
입력부(181)는 제어부(180)의 순차적인 제어 순서에 대한 정보와, 포장박스(1)의 크기에 따라 변경되는 걸이 아암(121)의 전후, 좌우, 승강 거리에 대한 정보 등을 미리 입력받아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저장부(183)는 제어부(180)를 통해 입력부(181)에서 입력받은 정보와 제어부(180)에 의해 산출되는 정보를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제거수단(120)의 걸이 아암(121)에 의해 포장박스(1)로부터 제거된 고무밴드(5)를 따로 모아두기 위해 승강 가이드 축(123)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밴드 회수부(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밴드 제거수단(120)에는 아암 지지대(130)의 좌우 이동을 구동하도록 서보모터나 일반 모터를 포함하는 지지대 이송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박스(1)로부터 고무밴드(5)가 제거된 뒤에 걸이 아암(121)의 갈고리부(122)에 고무밴드(5)가 잔존한 상태에서 지지대 이송 구동부가 작동되도록 제어부(180)가 제어하면 지지대 이송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아암 지지대(130)가 밴드 회수부(190)의 상부로 이동하여 고무밴드(5)가 자유낙하에 의해 갈고리부(122)로부터 이탈하여 밴드 회수부(190)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박스(1)로부터 고무밴드(5)가 제거된 뒤에 갈고리부(122)는 걸이 아암(121)에 대해 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무밴드(5)가 좀더 쉽게 분리 낙하 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갈고리부(122)의 회전을 구동하는 갈고리 회전 구동부(122a)를 제어하여 갈고리 회전 구동부(122a)의 구동에 의해 갈고리부(122)가 걸이 아암(121)에 대해 위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100)에 의해 포장공정 중에 포장박스(1)로부터 고무밴드(5)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포장박스(1)가 이송수단(110)에 의해 이송되어오다가 밴드 제거위치(R)에 도달되면 감지부(17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다음에, 제어부(180)가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포장박스(1)가 밴드 제거위치(R)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포장박스(1)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이송 구동부(115)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포장박스(1)의 이송이 밴드 제거위치(R)에서 멈춘 상태에서 전후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하도록 한다.
이때,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하게 됨에 따라 걸이 아암(121)의 단부에 구비된 갈고리부(122)에 고무밴드(5)가 걸리게 된다. 갈고리부(122)에 고무밴드(5)가 걸리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하기 전에 걸이 아암(121)이 미리 약간 상승 되도록 승강 구동부(140)를 제어한 뒤에 전후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걸이 아암(121)이 포장박스(1)를 향해 전진하도록 하고나서 걸이 아암(121)을 하강시켜 갈고리부(122)에 고무밴드(5)가 걸리도록 승강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어부(180)는 전후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걸이 아암(121)의 갈고리부(122)에 걸린 고무밴드(5)가 잡아 당겨지도록 걸이 아암(121)을 후진시킨다.
걸이 아암(121)이 후진되어 고무밴드(5)가 포장박스(1)로부터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좌우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고무밴드(5)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을 서로에 대해 상호 이격시킨다.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상호 이격 되어 고무밴드(5)가 좌우로 벌어진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승강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갈고리부(122)에 걸린 고무밴드(5)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위로 들어 올려지도록 한 쌍의 걸이 아암(121)이 결합 된 아암 지지대(130)를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80)가 포장박스(1)의 이송이 재개되도록 이송수단(110)의 이송 구동부(115)를 제어하면, 포장박스(1)는 이송수단(110)에 의해 이송이 재개되어 한 쌍의 승강 가이드 축(123) 사이의 이송경로를 따라 계속 이송되도록 통과하고, 포장박스(1)가 한 쌍의 승강 가이드 축(123)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포장박스(1)의 외주면에 둘려져 있던 고무밴드(5)는 점차 벗겨지며 갈고리부(122)에 걸린 부분만이 걸이 아암(121)에 남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공정에서 고무밴드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절감하고, 공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이송수단 120 : 밴드 제거수단
121 : 걸이 아암 123 : 승강 가이드 축
130 : 아암 지지대 140 : 승강 구동부
150 : 전후 구동부 160 : 좌우 구동부
170 : 감지부 180 : 제어부

Claims (4)

  1. 포장박스의 내부에 깔려진 비닐 포장재를 고정하도록 포장박스의 외주면에 둘려진 고무밴드를 포장공정 중에 제거하기 위한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에 있어서,
    포장박스로부터 고무밴드가 제거되는 밴드 제거위치에서 포장박스를 향한 이동 동작에 의해 고무밴드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걸이 아암;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X축, Y축, Z축의 3축 이동을 구동하는 아암 구동유닛; 및
    상기 아암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X축 방향에 따른 전후진, Y축 방향에 따른 좌우 이동,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고무밴드를 포장박스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포장박스가 포장공정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밴드 제거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하고, 밴드 제거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에 의해 고무밴드가 들어 올려지면 포장박스가 다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포장박스가 밴드 제거위치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포장박스가 밴드 제거위치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포장박스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포장박스를 향해 전진하여 고무밴드를 걸고나서 후진하여 고무밴드를 당기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상호 이격 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이 상승되어 고무밴드가 들어 올려지도록 상기 아암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이 아암의 Z축 방향에 따른 승강은 지지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암 구동유닛에 의해 승강 되는 아암 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어 함께 수행되고,
    상기 아암 구동유닛은,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아암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 아암의 승강을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걸이 아암 및 상기 아암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 아암의 전후왕복을 구동하는 한 쌍의 전후 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전후 구동부 및 상기 아암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전후 구동부의 상호 이격 또는 근접 이동을 구동하는 좌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KR1020140044780A 2014-04-15 2014-04-15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KR20150118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80A KR20150118770A (ko) 2014-04-15 2014-04-15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780A KR20150118770A (ko) 2014-04-15 2014-04-15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70A true KR20150118770A (ko) 2015-10-23

Family

ID=5442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780A KR20150118770A (ko) 2014-04-15 2014-04-15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7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2342C (en) Tool and method for layer depalletizing
US8424271B2 (en) Process for wrapping loads, in particular palletised loads, and relative system
KR101497142B1 (ko) 로봇을 이용한 포장용 이송 시스템
US9008825B2 (en) Container unloading system with auto-unload capability
CN107810155B (zh) 用于装载存储区域的装置和方法
US20090301031A1 (en) Wrap Removal System
KR101396087B1 (ko) 자동 창틀 포장장치
KR20140080535A (ko) 복합 패키지용 기계, 포장 방법 및 권회수단
KR20150014694A (ko)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CN110498090A (zh) 一种自动装箱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474257B (zh) 自推进式包装机及包装方法
KR101988940B1 (ko) 그라인딩 시스템 및 이의 이용방법
WO201409027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goods
CN106115165A (zh) 面条输送装置
US20060168917A1 (en) System and machine for strapping articles
US20120222536A1 (en) Machine for depalletising a multi-layer load
KR20150118770A (ko) 포장공정용 고무밴드 제거장치
CN111417577B (zh) 装袋装置和装袋方法
KR101253876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20130044484A (ko) 프로브 카드 핸들링 대차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US20240010372A1 (en) Self-propelled wrapping machine and wrapping method
EP3401249A1 (en) Palletizing apparatus
CN104828309A (zh) 一种自动胶带封装机构
KR101669053B1 (ko) 페이퍼 블록 자동 포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