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468A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7468A KR20150117468A KR1020140042952A KR20140042952A KR20150117468A KR 20150117468 A KR20150117468 A KR 20150117468A KR 1020140042952 A KR1020140042952 A KR 1020140042952A KR 20140042952 A KR20140042952 A KR 20140042952A KR 20150117468 A KR20150117468 A KR 20150117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
- anchor
- vertical
- horizonta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해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측 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관측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해중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를 관련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GPS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관려 서버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부이와, 상기 부이와 계류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절대좌표 기반 하에 상기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각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해당 부이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산출하는 앵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에러 발생 시 부이의 GPS 측정 에러를 보정하거나 GPS가 고장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이의 위치 추정을 위한 표준 좌표를 가진 앵커를 이용한 부이 위치 추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류형 해양 관측 부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 장착되어 부이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GPS의 위치 계산오차 원인인 위성궤도 오차, 위성시계 오차, 전리층 시간지연, 대류층 시간지연, 그리고 C/A 코드 이용 등에 대한 오차 보정이 필요하다. 해상풍력 단지의 경우 해상 풍력발전기를 GPS 보정을 위한 고정좌표 표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부이 단독을 해상에 설치했을 경우 부이가 해상의 조건에 따라 앵커선의 길이 조건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부이의 정확한 위치는 GPS에만 의존하여 추정하게 된다. 또한, 앵커에 설치된 GPS가 고장이 났을 경우 부이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양 관측 무선통신을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시스템에 있어서 앵커를 설치할 경우 앵커의 표준화된 절대 좌표를 이용하여 부이의 GPS 측정에러를 보정하거나 GPS가 고장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이의 위치 추정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해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측 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관측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해중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를 관련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GPS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관려 서버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부이와, 상기 부이와 계류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절대좌표(x, y, z) 기반 하에 상기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각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해당 부이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산출하는 앵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절대 위치 저장부를 통해 해당 지점에서의 절대좌표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수직 및 수평 센서부를 통해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 각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센서부 및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직선 여부를 체크하여 직선이 아닌 경우 굴곡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부이로부터 수신된 GPS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했는 지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절대좌표(x, y, z) 기반 하에 수직 및 수평 각을 이용하여 부이 위치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이의 위치 산출을 위한 GPS 관련 의존도를 감소시키고, GPS 에러 발생 시 부이의 GPS 측정 에러를 보정하거나 GPS가 고장 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이의 위치 추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앵커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직선인 경우의 부이의 위치 계산 시 좌표 표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곡선인 경우의 부이의 위치 계산 시 좌표 표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앵커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직선인 경우의 부이의 위치 계산 시 좌표 표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곡선인 경우의 부이의 위치 계산 시 좌표 표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지점의 절대좌표를 갖고 있는 앵커(anchor)를 설치하고, 앵커에서 측정된 수평 및 수직 각을 이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계산함에 있어서, 상기 부이와 앵커를 연결하는 계류선의 직선 여부 및 상기 부이로부터 수신된 GPS 좌표의 기설정된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절대좌표를 근거로 측정된 수직 및 수평 각을 이용한 부이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부이의 위치 산출을 위한 GPS 관련 의존도를 감소시키고, GPS 에러 발생 시 부이의 GPS 측정 에러를 보정하거나 GPS가 고장 나거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이의 위치 추정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언급되는 통신은 수중에서는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고 음파 통신이나 계류선을 이용한 유선통신이 수행 가능함에 따라 무선인 경우 음파통신이고, 유선인 경우 계류선에 통신 라인을 삽입하여 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100)은 부이(110), 계류선(111) 및 앵커(112)를 포함한다.
상기 부이(110)은 해양을 운행하던 선박이 사고에 의하여 좌초나 충돌 등에 의하여 침몰될 경우, 상기 선박의 침몰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해양 선박으로부터 해상으로 부상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부이(110)는 침몰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와이어로프(Wire Rope)와 EPIRB(Emergency Position-Indicating Radio Beacon) 송신기와 항해기록저장함(Black Box)이 내장되어 있으며, 선박에 설치된 보관함에 보관하고 있다가 선박의 침몰과 동시에 부력에 의하여 부이가 상승함으로써 침몰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부이(110)는 해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측 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관측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해중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를 관련 서버(예컨대, 선박 관제 센터)로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부이(110)는 선박이 침몰되는 순간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내장하여 상기 GPS 관련 신호를 선박 관제 센터에 송신함으로써 침몰선박의 위치를 관계기관에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이(110)는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GPS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관련 서버 혹은 상기 앵커(112)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앵커(112)는 부이(110)와 상기 계류선(111)을 통하여 연결되어 통신(예컨대, 무선인 경우 음파통신이고, 유선인 경우 계류선에 통신 라인을 삽입하여 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절대좌표(x, y, z) 기반 하에 상기 계류선(111)의 수직 및 수평각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해당 부이(110)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산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앵커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앵커(200)은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직 및 수평 센서부(220)와,
상기 부이와의 송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이와의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통신부(212)와, 특정 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측정 및 저장하고 절대좌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210)와, 현재 좌표를 상기 절대좌표와 일치시키는 좌표 보정부(222)와, 상기 수직 및 수평 센서부(220) 및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2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직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상이한 부이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2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이와 기지국 등과의 통신은 무선(위성) 통신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부이로부터 수신된 GPS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초과한 경우 상기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통해 부이의 위치를 계산하고, 초과하지 않은 경우 를 계산하여 칼만(kalman) 필터링으로 부이의 위치를 추정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절대좌표를 가진 앵커와 앵커에서 측정된 수평 및 수직 각을 이용하여, 도 3의 좌표계 표현과 같이 부이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좌표계는 수직 및 수평 각 에러 및 계류선이 직선이라는 가정에서 도 3과 같이 를 계산되었다.
다시 말해, 절대 좌표를 가진 앵커에서 수직 및 수평 각을 측정하고(수직과 수평 각은 자이로 센서, 엔코더(encoder) 등 다양한 센서로 측정이 가능함), 앵커와 부이 간의 통신으로 측정된 각을 부이로 전송한다.
이때, 해양 환경(조류, 파도, 줄의 장력 등)에 의해 앵커선이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14)는 해당 계류선의 굴곡 측정(광섬유, 휨센서 등을 이용)을 통해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직선 추정으로 수평 및 수직 각 보정을 수행한다(굴곡에서 직선 추정은 일반적인 방법임).
이때, GPS 위치측정 및 앵커를 이용한 위치 계산 오차는 가우시안(Gaussian)분포라 가정하고, 이를 근거로 부이는 수심과 계류선에 따라 위치 이동의 제한 영역이 결정된다. 두 데이터를 칼만(kalman) 필터링으로 각 데이터의 S/N 비를 높이고, GPS 데이터가 제한 영역을 벗어나면 앵커를 이용한 계산 데이터 값만 사용하고, GPS 데이터가 영역 내의 값으로 측정되면 를 계산하여 칼만 필터링으로 위치를 추정한다(짧은 시간 단위로 위치를 추정하면 일정 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최종 위치 추정 데이터들을 평균하면 가우시안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10 과정에서는 부이와 계류선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지점의 절대좌표를 갖고 있는 앵커(anchor)에서 절대위치 저장부를 통해 해당 지점에서의 절대좌표를 측정하여 절대좌표를 저장한다.
512 과정에서는 수직 및 수평 센서부를 통해 수평 및 수직 각을 측정한다.
514 과정에서는 상기 수직 및 수평 센서부 및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직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직선이 아닌 경우 518 과정으로 이동하여 굴곡 측정을 수행하고, 520 과정에서 수평 및 수직 각 보정을 수행한 후 516 과정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이 곡선인 경우 해당 계류선의 굴곡 측정을 통해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직선 추정으로 수평 및 수직 각 보정을 수행한다.
한편, 514 과정에서 직선 여부 체크 결과, 직선인 경우 516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부이로부터 수신된 GPS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했는 지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한 경우 524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절대좌표 기반 하에 수직 및 수평 각을 이용하여 부이 위치 계산을 수행한다.
만약,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522 과정으로 이동하여 를 계산하여 칼만 필터링으로 위치를 추정한다(짧은 시간 단위로 위치를 추정하면 일정 시간 동안 위치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최종 위치 추정 데이터들을 평균하면 가우시안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10: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 212: 통신부
214: 제어부 216: 부이 위치 계산부
218: 보정부 220: 수직 및 수평 센서부
222: 좌표 보정부
214: 제어부 216: 부이 위치 계산부
218: 보정부 220: 수직 및 수평 센서부
222: 좌표 보정부
Claims (10)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해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측 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관측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해중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를 관련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GPS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관려 서버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부이와,
상기 부이와 계류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절대좌표(x, y, z) 기반 하에 상기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각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해당 부이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산출하는 앵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직 및 수평 센서부와,
상기 부이와의 송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이와의 상대적인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통신부와,
특정 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측정 및 저장하고 절대좌표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와,
현재 좌표를 상기 절대좌표와 일치시키는 좌표 보정부와,
상기 수직 및 수평 센서부 및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직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상이한 부이의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부이의 위치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선 여부 판단 결과, 곡선인 경우 해당 계류선의 굴곡 측정을 통해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직선 추정으로 수평 및 수직 각 보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제공 시스템.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절대 위치 저장부를 통해 해당 지점에서의 절대좌표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수직 및 수평 센서부를 통해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수직 및 수평 각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직 및 수평 센서부 및 절대좌표 위치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부이와 연결된 계류선의 직선 여부를 체크하여 직선이 아닌 경우 굴곡 측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부이로부터 수신된 GPS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했는 지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영역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절대좌표 기반 하에 수직 및 수평 각을 이용하여 부이 위치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여부 판단 결과, 곡선인 경우 해당 계류선의 굴곡 측정을 통해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직선 추정으로 수평 및 수직 각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2952A KR101596937B1 (ko) | 2014-04-10 | 2014-04-10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2952A KR101596937B1 (ko) | 2014-04-10 | 2014-04-10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7468A true KR20150117468A (ko) | 2015-10-20 |
KR101596937B1 KR101596937B1 (ko) | 2016-02-24 |
Family
ID=5439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2952A KR101596937B1 (ko) | 2014-04-10 | 2014-04-10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69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70820A (zh) * | 2024-04-01 | 2024-05-03 | 南通市鸿博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信号传输的数字化浮筒自动系泊控制系统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27853A (ja) * | 2006-06-08 | 2007-12-20 | Zeni Lite Buoy Co Ltd | スパーブイによる海象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20090011125A (ko) * | 2007-07-25 | 2009-02-02 | 조병완 | 환경 관측 부이 |
KR100946942B1 (ko) * | 2009-05-21 | 2010-03-09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
KR20100095188A (ko) | 2009-02-20 | 2010-08-30 | 오션테크 주식회사 | 해양 관측용 부이 |
KR101336272B1 (ko) * | 2013-11-06 | 2013-12-03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해양생물 리펠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어레이 |
-
2014
- 2014-04-10 KR KR1020140042952A patent/KR1015969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27853A (ja) * | 2006-06-08 | 2007-12-20 | Zeni Lite Buoy Co Ltd | スパーブイによる海象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20090011125A (ko) * | 2007-07-25 | 2009-02-02 | 조병완 | 환경 관측 부이 |
KR20100095188A (ko) | 2009-02-20 | 2010-08-30 | 오션테크 주식회사 | 해양 관측용 부이 |
KR100946942B1 (ko) * | 2009-05-21 | 2010-03-09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
KR101336272B1 (ko) * | 2013-11-06 | 2013-12-03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해양생물 리펠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어레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970820A (zh) * | 2024-04-01 | 2024-05-03 | 南通市鸿博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信号传输的数字化浮筒自动系泊控制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6937B1 (ko) | 2016-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5395B2 (en) | System for monitoring, determining, and reporting directional spectra of ocean surface waves in near real-time from a moored buoy | |
US9798326B2 (en) | Vessel positioning system | |
KR101249508B1 (ko) | 자율 무인 잠수정의 해저면 위치 보정 방법 및 자율 무인 잠수정의 위치 측정 장치 | |
JP2011149720A (ja) | 測量システム | |
CN109884647B (zh) | 水声被动探测或被动定位的节点装置及分布式的节点系统 | |
WO2007007728A1 (ja) | 津波情報提供方法および津波情報提供システム | |
JP2018204970A (ja) | 水中音響測位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13692378B (zh) | 用于检查连接到漂浮物体的悬链锚缆绳的方法 | |
CN112068078A (zh) | 一种组合长基线深海水声定位方法 | |
CN211977915U (zh) | 一种实时潮位的确定装置 | |
KR101043055B1 (ko) | 초음파 선박 항로 유도 시스템 및 장치 | |
JP6969053B2 (ja) | 海況情報測定装置 | |
JP6576624B2 (ja) | 水中測位システム及び水中測位方法 | |
JP6241995B2 (ja) | 潜水士情報取得方法および潜水士情報取得システム | |
KR101596937B1 (ko) | 앵커를 이용한 해양 관측 부이 위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3589227B (zh) | 一种水下机器人定位系统及方法 | |
CN117008177B (zh) | 基于一体化平台的海底控制点三维坐标标定方法 | |
CN111948676B (zh) | 一种浮潜标长基线定位系统中参考基元位置实时获取方法 | |
JP4830269B2 (ja) | 係留センサ測位方法および装置 | |
CN105752287A (zh) | 一种船舶吃水量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 |
KR102637095B1 (ko) | 부이를 이용한 선박 수중방사소음 계측 시스템 | |
KR101046779B1 (ko) | 수중 음향통신 장치 및 방법 | |
WO2017141614A1 (ja) | 津波観測装置、津波観測システム、津波観測方法 | |
CN117288208B (zh) | 一种机载卫星导航通讯系统 | |
KR101536561B1 (ko) | 계류장치의 위치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