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383A -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383A
KR20150117383A KR1020140042734A KR20140042734A KR20150117383A KR 20150117383 A KR20150117383 A KR 20150117383A KR 1020140042734 A KR1020140042734 A KR 1020140042734A KR 20140042734 A KR20140042734 A KR 20140042734A KR 20150117383 A KR20150117383 A KR 2015011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d section
broadcasting
seat
seat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진
Original Assignee
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진 filed Critical 한영진
Priority to KR102014004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383A/ko
Priority to PCT/KR2014/004361 priority patent/WO2015023046A1/ko
Publication of KR2015011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은 응원자의 단말이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가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의해 좌석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방송방에 대한 전체 좌석 중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에 따라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원자에 의해 결정된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응원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카드 섹션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CARD SECTION CHEER SYSTEM AND IMPLEME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드 섹션(card section)은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앉은 사람들이 다양한 색깔의 종이나 천을 이용하여 글자나 그림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 섹션은 운동장이나 광장과 같이 넓은 공간과 다수의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 카드 섹션은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참여 해여야 하는 작업이므로 제대로 된 카드 섹션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행 착오와 노력이 필요한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카드 섹션은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작업을 해야하므로 카드 섹션을 시작하기 위해 리더의 육성이나 수신호로는 제대로 된 카드 섹션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응원자에 의해 결정된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응원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카드 섹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번호를 제공하고, 상기 좌석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방송 화면을 표시하는 응원자의 단말;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에 따라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 및 상기 응원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좌석 번호에 따라 복수의 방송방 각각에 대한 좌석 점유 상태를 관리하는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는 상기 응원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방송국에 대한 좌석 번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기 특정 방송국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상기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은 상기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은 상기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재생 시간, 재생 속도 및 재생 칼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자의 단말은 상기 방송 화면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응원도구에 제공하고, 상기 유선 통신은 이어폰 잭이고,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은 응원자의 단말이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가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의해 좌석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방송방에 대한 전체 좌석 중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에 따라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방송방에 대한 전체 좌석 중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가 상기 응원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방송국에 대한 좌석 번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기 특정 방송국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상기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재생 시간, 재생 속도 및 재생 칼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원자의 단말이 상기 방송 화면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응원도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은 이어폰 잭이고,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원자에 의해 결정된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응원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카드 섹션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좌석 배치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응원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카드 섹션을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응원자의 단말을 통해 방송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카드 섹션을 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응원자의 단말에 한정되지 않고 응원자의 응원 도구에 장착되어 통신 기능을 구비한 LED 등을 이용해서도 카드 섹션을 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응원자의 단말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 및 응원자의 단말(300)을 포함한다.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응원자의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좌석 번호에 따라 복수의 방송방 각각에 대한 좌석 점유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일 실시예에서,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응원자의 단말(300)로부터 특정 방송국에 대한 좌석 번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특정 방송국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접속하여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여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에 따라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방송방 관리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접속하여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방송방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운 로딩(down loading)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300)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재생 시간, 재생 속도 및 재생 칼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응원자의 단말(300)은 카드 섹션 응원에 참여하는 응원자가 보유하는 단말로서,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응원자의 단말(300)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응원자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운 로딩(down loading)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응원자의 단말(300)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접속하여 방송방 리스트 중 특정 방송방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방송방 리스트는 1. 잠실 운동장, 2. 상암 운동장, 3. 싸이 콘서트장, 4. 강남 CGV 극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응원자의 단말(300)은 방송방에 대한 좌석 배치표에서 좌석 번호를 선택한다. 이때, 응원자의 단말(300)은 좌석 배치표 상에서 좌석 점유 상태가 비점유 상태인 좌석 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좌석 점유 상태가 점유 상태인 좌석 번호를 선택할 경우 화면 상에 다른 좌석 번호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응원자의 단말(300)은 응원자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접속한다(단계 S210).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복수의 방송방의 정보가 포함된 방송방 리스트를 응원자의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211).
응원자의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이 선택되면(단계 S212), 해당 방송방에 대한 좌석 배치표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제공한다(단계 S220).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해당 방송방에 대한 좌석 배치표를 응원자의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221).
응원자의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좌석 번호가 선택되면, 좌석 번호를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제공한다(단계 S222).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응원자의 단말(300)로부터 좌석 번호를 수신하면, 해당 방송방에 대한 전체 좌석 중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223).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은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로부터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점유 상태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단계 S230),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배치표를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에 제공한다(단계 S231).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로부터 좌석 배치표를 수신하면,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결정한다(단계 S240).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300)에 제공한다(단계 S241).
도 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재생 시간, 재생 속도 및 재생 칼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좌석 배치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좌석 배치표(300)는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의 좌석 배치에 따라 7 × 10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의 좌석 배치에 따라 배열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좌석 배치표는 좌석 번호를 음영으로 표시하여 좌석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응원자의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이 선택되면), 해당 방송방에 대한 좌석 정보 요청 메시지를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에 제공한다.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도 3의 참조번호(300)과 같이 해당 방송방에 대한 좌석 배치표를 응원자의 단말(300)에 제공한다.
응원자의 단말(300)은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좌석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원자의 단말(300)은 B3와 같이 음영 표시된 좌석 번호는 선택할 수 없고, A4와 같이 음영 표시되지 않은 좌석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응원자의 단말(300)에서 좌석 번호가 선택되면, 좌석 배치표 상에서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100)는 응원자의 단말(300)에서 A3가 선택된 경우, 도 3의 참조번호(300)과 같은 좌석 배치표 상에서 A3을 음영 표시하여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응원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카드 섹션을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의 좌석 배치표 상의 모든 좌석 상태가 점유 상태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도 4의 참조번호(400)과 같은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기 위해 A1, A4, A7, C1, C7, D1, D2, D6, D7, E1 내지 E3, E5 내지 E7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하얀 컬러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고, 나머지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빨간 컬러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도 4 내지 도 6에 순차적으로 있는 참조번호(400 내지 440)과 같은 카드 섹션을 5초 단위로 보여주기 위해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A3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빨간 컬러 데이터, 하얀 컬러 데이터, 하얀 컬러 데이터, 하얀 컬러 데이터, 빨간 컬러 데이터 순으로 5초 간격으로 변경시킨다.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은 이러한 예와 같이 A3뿐만 아니라 다른 좌석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을 제어하여 하트, L, O, V, E 의 카드 섹션을 5초 단위로 보여줄 수 있다.
도 7은 응원도구를 활용한 카드 섹션 응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응원자의 단말(300)은 응원도구(20)와 통신하여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방송 화면을 응원도구(2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응원자의 단말(300)은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또는 이어폰 잭 등과 같은 유선 통신을 통해 응원도구(20)와 통신할 수 있다.
응원도구(20)는 응원자의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방송 화면을 표시하는 도구로서, 도 7에 도시된 것 이외에, 응원도구(20)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원도구(20)는 응원자의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빨간 컬러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응원도구(20)는 머리띠(60)에 구비되는 결합체(10)와, 결합체(10)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본체(30)와, 본체(30)와 착탈 가능한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원도구(20)의 상기 결합체(10)를 머리띠(60)에 부착하여 두건, 모자 등의 의류잡화(10)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응원도구(2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머리띠(6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귀에 걸어서 머리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띠(60)의 일 측면에는 결합체(10)를 부착할 수 있다. 결합체(10)는 머리띠(60)를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외부의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머리띠(60)에 부착된 결합체(10)는 본체(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30)는 발광장치(40)에 의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
200: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
300: 응원자의 단말

Claims (10)

  1.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번호를 제공하고, 상기 좌석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방송 화면을 표시하는 응원자의 단말;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에 따라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 및
    상기 응원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좌석 번호에 따라 복수의 방송방 각각에 대한 좌석 점유 상태를 관리하는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는
    상기 응원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방송국에 대한 좌석 번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기 특정 방송국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상기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은
    상기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은
    상기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재생 시간, 재생 속도 및 재생 칼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자의 단말은
    상기 방송 화면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응원도구에 제공하고,
    상기 유선 통신은 이어폰 잭이고,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6. 응원자의 단말이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에 접속하여 복수의 방송방 중 특정 방송방에 대한 좌석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가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의해 좌석 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방송방에 대한 전체 좌석 중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방의 좌석 점유 상태에 따라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송방에 대한 전체 좌석 중 해당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섹션 방송국 서버가 상기 응원자의 단말로부터 특정 방송국에 대한 좌석 번호를 수신하면, 내부의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기 특정 방송국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상기 좌석 번호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좌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좌석 배치표 상의 좌석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 점유 상태에 기초하여 점유 상태인 좌석 각각에서 카드 섹션을 표현하기 위한 방송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송 화면을 해당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자의 단말에 방송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방 관리자의 단말이 상기 방송방에 해당하는 장소에 설치된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좌석 번호에 위치하는 응원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방송 화면의 재생 시간, 재생 속도 및 재생 칼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자의 단말이 상기 방송 화면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응원도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은 이어폰 잭이고,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의 실행 방법.
KR1020140042734A 2013-08-14 2014-04-10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50117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34A KR20150117383A (ko) 2014-04-10 2014-04-10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CT/KR2014/004361 WO2015023046A1 (ko) 2013-08-14 2014-05-15 응원도구 및 응원도구를 이용한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34A KR20150117383A (ko) 2014-04-10 2014-04-10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383A true KR20150117383A (ko) 2015-10-20

Family

ID=5246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34A KR20150117383A (ko) 2013-08-14 2014-04-10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17383A (ko)
WO (1) WO20150230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43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엑씽크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03Y1 (ko) * 1993-10-09 1996-03-20 김재덕 전광판이 부착된 응원용 모자
JP2004145119A (ja) * 2002-10-25 2004-05-20 Tadashi Goino 広告表示方法及び広告表示システム
KR20030047942A (ko) * 2003-05-20 2003-06-18 이기열 모바일 기 와 연계한 발광 카드섹션의 전자화 시스템
KR20090012649U (ko) * 2008-06-07 2009-12-10 이랄라 탈착되는 장신구가 구비된 헤어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43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엑씽크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3046A1 (ko)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5352B2 (ja) 複数の発光装置を制御する方法
CN104780654B (zh) 便携终端的控制方法
US10356883B2 (en) Lighting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lighting system
EP3567866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video distribution program for distributing video containing animation of character object generated based on motion of actor
CN107113545A (zh) 可穿戴装置、管理服务器、其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604180A (zh) 用于语音用户界面的视觉效果的led设计语言
US10796488B2 (en) Electronic device determining setting value of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device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90349636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ng video that includes message from viewing user
US11297253B2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KR102530690B1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CN106255996A (zh) 用户生成的基于虚拟房间的用户接口
JP2016511910A (ja) 2つの状態を有する素子をパターニング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50117383A (ko)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103949055A (zh) 视频游戏中的环境光效果
KR20160040395A (ko) 모션의자의 강도정보를 포함한 예매정보를 제공하는 예매 시스템 및 예매정보 제공방법
CN113596534B (zh) 一种智能控制装置、系统与方法
KR102220750B1 (ko)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US20220198371A1 (en) Action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action management system
JP202108196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9203837A1 (en) Inputs to virtual reality devices from touch surface devices
KR101054382B1 (ko) 발표 시간 표시 장치
JP2023553841A (ja) プライベートオーディオチャネル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2000040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7004657A (ja) 携帯型多人数協調型展示情報提供デバイス
KR20130010346A (ko) 선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