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73943A1 -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3943A1
WO2017073943A1 PCT/KR2016/011697 KR2016011697W WO2017073943A1 WO 2017073943 A1 WO2017073943 A1 WO 2017073943A1 KR 2016011697 W KR2016011697 W KR 2016011697W WO 2017073943 A1 WO2017073943 A1 WO 20170739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card section
serv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16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씽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002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4908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001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4908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씽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씽크
Publication of WO20170739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39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for processing a card section,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 server for providing a card se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owned by a us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the card section means that people who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use different colors of paper or cloth to express letters or pictures.
  • the card section requires a large spac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such as a playground or a square. . Since the card section is a task that requires a large number of people to participate in a large space, it requires a lot of trial and error to make a proper card section. In particular, since the card section must work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large space, the card section cannot be properly performed by the leader's training or hand signals to start the card section.
  • the card s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music, but this has a limitation that the music must be accompanied every time the card section is performed and the same music must be repeated at the trial and error.
  •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card sec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memorize the pattern and time of the card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 the card section has to show unity force due to the color change at the same time, the card section using the terminal is not useful to users due to the problem caused by the time differen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processes a card section more naturally by minimizing time error between a server and each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rd section that can process the card section more naturally matched by minimizing the time error between the server and each terminal, have.
  •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processing a card section comprising: receiving seat information on which the card section is performed;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server; Receiving card se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when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sequentially displaying an image sequence extracted from the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t a start time determined based on a time offset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 the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a portable terminal processing a card section, when the seat inform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the card section, matc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t information
  •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ata to a server and receiving card se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start time based on a time offset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sequentially display an image sequence extracted from th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of the controlle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tart time.
  • a method of providing a card section in a server providing a card se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Storing and managing in a database; Receiving matching information including seat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Registering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Acquiring card sec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registered and transmitting the card section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Obtaining star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d s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start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start tim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server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server for providing a card se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 card section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card section data according to the card s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matching information including seat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 a user manager that registers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 a controller the controller acquires star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d s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 start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start tim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 the image sequence extracted from the data is previewed at a start time determined based on a time offset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user information managed by a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card sec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r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ladder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ladder diagram illustrating frame unit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er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onents express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or firmware / microcode, etc. that perform the functions.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methods of performing a function which are combined with appropriate circuitry for executing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se claims, is equivalent to what is understood from this specification, as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such functionality, as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various enumerated means are combined, and in any manner required by the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0 connected to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may be provided in the system.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100 ar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o enable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and to be inter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t is composed.
  •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100 may process card section data according to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o sequentially display image sequenc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reby providing the entire card section. .
  •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the seat information on which the card section is performed, generates matc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atching information to a server, and for the car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 the server sequentially displays the image sequence identified from th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d section in a form that matches not only the server but also other portable terminals 100.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generate and manage card section data.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perform terminal registration and user inform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atc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transmit specific card section data to the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100.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create and manage an application for the card section providing oper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generated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and install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an app store or a web page.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provide an administrator with an interface for managing card section data.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output a management page by itself, or provide a management interface through a web page or a portable terminal 100 of an administrator.
  • An administrator of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input control information such as generation of card section data, time interval setting, and card section start / end through a management interface.
  • the administrator in charge of the card section may use the management interface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the card sec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persons participating in the card secti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ard section, the running time of the card section and the Parameter values, such as the text or image used in the card section and the color of the text or image, may be input.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generate the card section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generate a start signal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tart signal to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100.
  • the start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reference start of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 each portable terminal 100 sets a start point reflecting a time offset from the start signal, respectively, and sets the card section. An image sequence identified from the data can be displayed.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or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a portab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is loca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nd the like. .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server may include a payment server or a store management server.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detect a wireless tag located at or near a concert hall, and receive seat informa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located.
  • the sea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may basically includ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 GPS Global Position System
  •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by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o confirm information about a performance hall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located.
  •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 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 the camera 121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130.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matching information.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directly receive the seat information from the user.
  • the sensor unit 140 i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tc. Detects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for example, an altitud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and detect a movement of a curr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Can be.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providing the card section.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an image, a UI, and a GUI for managing the card section.
  •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n event notification sound, a notification sound for a card section, etc.)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card section start,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151 and 152 may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alarm unit 153.
  •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haptic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sequentially output.
  •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 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storage unit (eg, SD or XD storage unit).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E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magnetic storage unit,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60 on the Internet.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transfer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the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entering matching information, identifying seat information, receiving card section data, time synchronization, checking time offsets, and outputting video sequences are performed.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timer module 181 and a synchronization module 183 for determining a start time and correcting a display time interval.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the external power and the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the controller 180 may obtain seat information on which the card section is performed.
  • the seat information may be detected as a beacon or NFC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or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matc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t information.
  • the matching information is not only the seat information, but also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network state information and device identification det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or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eg, UDID: Unique Device Indentifier).
  •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the generated match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register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tc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data for a car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 the card section data includes image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seat
  • the controller may extract an image sequence to be displayed in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image sequence information for each seat based on the seat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a start time based on a time offset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51 to sequentially display the image sequence extracted from the card section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tart time.
  •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vary for each card section.
  • the time interval after the start time may v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 offset.
  • the controller 180 may check the time offset through the timer module 182 and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 the timer module 182 checks its own internal timer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provides internal timer time information to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In addition, the timer module 182 may obtain time offset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ation module. The controller 180 may adjust the display timing according to the time offset information.
  •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detects the time offset based on the internal timer time information and the server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time offset to the timer module 182.
  •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and minimizes the time error between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timer module 182 according to time synchronization. You can.
  •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by using one or more time synchronization logic for minimizing round trip time (RTT) between the servers.
  • RTT round trip time
  • the time synchronization logic may include error correction logic according to a packet exchange algorithm using, for example, a network time protocol (NTP), and filter processing for minimizing RTT may be performed on the error correction logic.
  • the fil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HUFF-N-PUFF filter that corrects time information using signals having a RTT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a web server engine (for example, Node.js) using a single threaded event loop may be used to minimize the time performed in the error correction logic, and the memory 160 management method may use MEMORY CACHE ENGINE (Redis). Can be applied and can handle header reduction using SOCKET communication.
  • MEMORY CACHE ENGINE Redis
  • the timer module 182 itself may have an error of about 10 to 100 ms, and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be changed due to the presence of a shadow area on the network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the mobile base station. There is bound to be an error with time. Therefore, even if a start signal for starting the card section is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he conventional terminal has no choice but to start displaying the card section at different times.
  •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start time in advance for each portable terminal 100 based on the server reference start time information and the time offset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By adjusting the frame playback timing reflecting the same err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tching card section to proceed.
  •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image sequence extracted from the card section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n a frame basis at a preset time interval, and display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vary in real time based on the time offset. Accordingly, the playback time and time interval for each frame are adjusted so that the time synchronization of the card section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and a more natural matched card section can be provided.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user information managed in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ard sec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r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20, a card section database 230, a user information manager 240, an application manager 250, a card section manager 260, and an output unit 270. ).
  • the controller 210 generally controls the execution of operations and functions of each component for providing card section data of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 the controlle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ll or part of card section data management, application management, start signal control, output and storage functions, or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 network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located.
  •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such as card section data, start signal,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stores and manages card section data including an image sequence according to card s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at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ard section data managed by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be managed including a card section ID, image information, and seat information, and correspond to each card section ID. Start time information may be stored and managed separately.
  • the card section dat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CSV section STRING in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 the card section data is composed of CARD: 1: COLORS: J: 26, 1 may indicate a card section ID, COLORS may indicate a color of a video to be played, and J: 26 may indicate seat information.
  • the start tim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a STRING equal to 1: START TIME, corresponding to the card section ID.
  • the user information manager 240 register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DI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ssues and stores a user ID based on each matching information. And manage.
  • UD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user information manager 240 register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in a uid, issues a user ID for each portable terminal 100, and registers a user ID using the matching information. And can be updated.
  • the match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seat information (seatNo),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network information (network_info), and subscription time information (insertDate).
  • the user information manager 240 may determine the status of each portable terminal 100 by managing the status information (Current_Status) of the registered user ID.
  •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tus information such as card section start and end, level information for each status, start time information startTime, and end time information endTime.
  • the controller 210 may extract the image sequence to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rom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 the controller 210 may generate card sec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based on the card section ID and the seat information, and the card section data may be determin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30 ms).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quence of video information to be reproduced.
  • the card section data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0000, # 004d40, # 00e7c5, ...) in the form of continuous image information.
  • the image information is illustrated as an RGB value, but it is obvious that the image in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play structure and format.
  • the card section dat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ferr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display the image sequenc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the controller 210 obtains star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d s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and transmits a start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start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be sent to.
  • the start signal is a predetermined time for the image sequence extracted from the card section data at the start time determin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based on the time offset between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include information for sequentially displaying at intervals. To this end, the start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start push message at a specific time point, and may include a server reference start time.
  • the application manager 250 may generate and manage application data for providing a card se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application manager 250 may transfer the generated application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an app store or a web page, and provide process data for processing card section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have.
  • the card section manager 260 provides a management interface for managing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through an output unit 270 for outputting a display and voice, a web page, or a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do.
  • the management interface allows the administrator to enter control information such as generation of card section data, time interval setting and card section start / end.
  • control information such as generation of card section data, time interval setting and card section start / end.
  • the administrator in charge of the card section the information required to perform the card section through the management interface, for example,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card secti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ard section, the running time of the card section and the card section Parameter values, such as text or an image and a color of the text or image, may be input.
  • the card section manager 260 may generate the card section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store the card section data in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 FIG. 7 is a ladder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an application for processing a card section from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S101), and install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controller 180. And execution (S103).
  • the portable terminal 100 obtains sea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btains the UDID a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ler 180, and generates matching information (S105). ).
  • the generated match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S107), and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tches user information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manager 240. And issue a user ID according to terminal registration (S109).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transmits the card section data generated based on the matching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113).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provides information for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timer adjustment according to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S115). ).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periodically check the time offset with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S117).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card section is star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10 (S119), and provides a start sig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server reference start time at a specific time point based on the card section start time. It transmits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120).
  • the portab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 star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ntroller 180 (S121), determines a start time based on the time offset (S123), and at the determined start time, the card section data.
  • the image sequence identified from S 1 is sequentially display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125).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iodically checks the time offset and adjusts the display time interval so that each portable terminal 100 can display a card section at a matched time point.
  • the display unit 151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an image sequence in frame units at basic time intervals (S201).
  •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iodically checks the time offset (S203).
  •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time offs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S205). When the control unit 18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uses the checked time offset and the basic time interval. The time interval is corrected in real time (S207).
  •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the next frame according to the corrected time interval (S209), thereby implementing frame-by-frame synchronization of the display.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 current first frame at a first time interval based on the video sequence, and the controller 180 detects a current time offset between the server and the portable terminal to offset the current time offset. And a second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next second frame using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time interval.
  • FIG. 9 is a ladder diagram illustrating frame unit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imer module 182 requests the time offset to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S310), receives the time offset (S303), and outputs the first sequence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is transmitted (S307).
  • the display unit 151 may output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quence for 33 ms which is a basic time interval based on the time offset 30 ms (S309).
  •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may periodically acquire a time offset by repeatedly transmitting the clent_sync_start signal and receiving the server_sync signal for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S305). The offset is delivered at the request of the timer module 182.
  • the timer module 182 requests the synchronization module 183 for a time offset for outputting the next sequence (S311), receives the next time offset (S313), and outputs the second sequence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is transmitted (S307).
  • the display unit 151 may output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sequence only for 13 ms after subtracting 20 ms from the default time interval of 33 ms based on 30 ms (S315). ).
  • each portable terminal 100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every frame, the display time interval of each portable terminal 100 is adjusted in real time, and each of them can output an image sequence allocated at almost the same time.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er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generating card section data of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uses a user image through a management interface of the card section managing unit 260. To receive the input (S410).
  • the card section management unit 260 of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receives the venu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information through the management interface (S403).
  • the card section manager 260 may parse the RGB value of each image from the input user image and generate the image data for the card section.
  • the card section manager 260 generates a card section preview of the card section image data based on the venu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ersons, and provides the card section preview to the manager through the management interface (S405).
  • the card section manager 260 generates card section data according to an administrator input to the management interface in operation S407 and stores the card section data in the card section database 230.
  • the card section providing server 200 may improve convenience by providing the card section preview according to the generation and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theater as an image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as the card section data.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is produc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an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본 발명은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5년 10월 28일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50019호 및 제10-2015-0150024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카드 섹션(card section)은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앉은 사람들이 다양한 색깔의 종이나 천을 이용하여 글자나 그림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카드 섹션은 운동장이나 광장과 같이 넓은 공간과 다수의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 카드 섹션은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참여해야 하는 작업이므로 제대로 된 카드 섹션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행 착오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카드 섹션은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작업을 해야 함으로 카드 섹션을 시작하기 위해 리더의 육성이나 수신호로는 제대로 된 카드 섹션을 수행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경 음악에 맞춰 카드 섹션을 수행하고는 있지만, 이는 카드 섹션을 수행할 때마다 음악이 동반되어야 하며 시행 착오시 동일한 음악을 반복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카드 섹션에 참여하는 참여자는 음악에 맞춰 카드 섹션의 패턴 및 시간 등을 암기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자화된 신호를 이용한 단말기 카드 섹션 등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현재로서는 모든 단말기가 동일한 시간으로 동작하지 않고, 각각의 단말기간 자체적인 시간의 차이가 존재하여 카드 섹션이 정상적으로 보여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 단말기가 서버와의 동기화를 수행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통신 음영지역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왕복에 따른 시간오차는 실시간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실제 카드 섹션이 시작된 이후에는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카드 섹션은 동일한 시점에 색상이 일괄적으로 변경되어셔 단합력을 보여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시간차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섹션이 사용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및 각 단말기간 시간 오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일치된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및 각 단말기간 시간 오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일치된 카드 섹션을 처리할 수 있는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상기 시작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카드 섹션 제공방법에 있어서,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따라 카드 섹션 데이터를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등록되면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카드 섹션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따라 카드 섹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등록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등록되면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 식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섹션용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고,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버 및 각 단말기간 시간 오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일치된 카드 섹션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작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가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으로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이 탑재되며, 통신망 접속을 통해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영상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적인 카드 섹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버를 기준으로 서버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용 단말기(100)들과도 일치된 형태의 카드 섹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매칭 정보에 따라 단말기 등록 및 사용자 정보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100)로 특정한 카드 섹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의 카드 섹션 제공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 또는 웹 페이지등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 및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관리 페이지를 출력하거나, 웹 페이지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관리자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섹션 데이터의 생성, 시간 간격 설정 및 카드 섹션 시작/종료 등의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섹션을 주관하는 관리자는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섹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컨대, 상기 카드 섹션에 참여하는 인원 수, 상기 카드 섹션의 배열 구조, 상기 카드 섹션의 진행 시간 및 상기 카드 섹션에 사용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및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색상 등의 파라미터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제어 정보에 기초한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신호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기준 시작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시작 신호로부터 시간 오프셋을 반영한 시작 시점을 각각 설정하여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영상 시퀀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는 결제 서버 또는 매장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공연장 좌석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한 무선 태그를 검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좌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좌석 정보는 매칭 정보에 포함되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모듈(115)이 획득한 위치 정보 또한 매칭 정보에 포함되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공연장 정보 등을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카메라(121)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매칭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좌석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예를 들어,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현재 위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카드 섹션 제공 모드인 경우 카드 섹션 제공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카드 섹션 관리 모드인 경우, 카드 섹션 관리를 위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이벤트 알림음, 카드 섹션용 알림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카드 섹션 시작,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매칭 정보 입력, 좌석 정보 식별, 카드 섹션 데이터 수신, 시간 동기화, 시간 오프셋 확인 및 영상 시퀀스 출력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시작 시점 결정 및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 보정을 위한 타이머 모듈(181) 및 동기화 모듈(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좌석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비콘 또는 NFC등으로 검출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칭 정보는 상기 좌석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정보, 위치정보 모듈(115)로부터 검출되는 위치 정보, 이동 통신 모듈(112)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로부터 검출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예를 들어, UDID: Unique Device Indentifie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매칭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등록하고, 유저 식별 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섹션용 데이터는 좌석별 영상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석별 영상 시퀀스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영상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상기 시작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은 카드 섹션별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작 시점 이후 시간 간격은 상기 시간 오프셋의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상기 타이머 모듈(182) 및 동기화 모듈(183)을 통해 상기 시간 오프셋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머 모듈(182)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자체적인 내부 타이머 시간을 확인하고, 동기화 모듈(183)로 내부 타이머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타이머 모듈(182)은 동기화 모듈로부터 시간 오프셋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시간 오프셋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모듈(183)은 내부 타이머 시간 정보 및 서버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오프셋을 검출하고, 타이머 모듈(182)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동기화 모듈(183)을 통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시간 동기화에 따라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타이머 모듈(182)간 시간오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간 RTT(Round Trip Time)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동기화 로직은 예를 들어 NTP(Network Time protocol)을 이용한 패킷 교환 알고리즘에 따른 오차 보정 로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차 보정 로직에 RTT를 최소화하기 위한 필터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예를 들어, RTT가 일정 값 이하인 신호들을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보정하는 HUFF-N-PUFF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 보정 로직에 수행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이용한 웹 서버 엔진(예를 들어, Node.js)를 이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160) 관리 방식으로 MEMORY CACHE ENGINE(Redis)가 적용될 수 있고, SOCKET 통신을 이용한 헤더 감축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이머 동기화가 수행되더라도 필연적으로 타이머 모듈(182) 자체가 10~100ms 정도의 오차를 가지며, 네트워크상의 음영 지역의 존재, 모바일 기지국의 변경가능성 존재 등에 의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시간과는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카드 섹션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신호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 기준으로 동시에 전송되더라도,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시점에 카드 섹션 디스플레이 시작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 기준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 맞게 미리 결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오차를 반영한 프레임 재생 시기 조절을 통해 일치된 카드 섹션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카드 섹션 데이터에서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레임 단위간 상기 시간 간격을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초하여 실시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별 재생 시간 및 시간 간격이 조정되어 카드 섹션의 시간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게 되며 보다 자연스럽게 일치된 카드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작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통신부(220),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50), 카드 섹션 관리부(26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카드 섹션 데이터 제공을 위해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의 실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작 신호 제어, 출력 및 저장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또는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 시작 신호,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는 카드 섹션 식별 정보, 좌석 정보에 따른 영상 시퀀스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에서 관리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섹션 ID, 영상 정보 및 좌석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카드 섹션 ID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가 별도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섹션 데이터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에 CSV 형태의 STRING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섹션 데이터가 CARD:1:COLORS:J:26으로 구성된 경우, 1은 카드 섹션 ID, COLORS는 재생할 영상의 색상, J:26은 좌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작 시간 정보는 상기 카드 섹션 ID에 대응하여, 1:START TIME과 같은 ST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100) 식별 정보(UDID)를 등록하고, 각 매칭 정보에 기반한 유저 ID를 발급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는 사용자의 단말 식별 정보를 uid에 등록하고, 각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별 유저 ID를 발급하며,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ID를 등록 및 갱신할 수 있다. 매칭 정보는 예를 들어 좌석 정보(seatNo), 위치 정보(location), 네트워크 정보(network_info) 및 가입 시간 정보(insertD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는 등록된 유저 ID의 상태 정보(Current_Status)를 관리하여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카드 섹션 시작, 종료 등과 같은 상태(Status) 정보, 상태별 레벨(level) 정보, 시작 시간 정보(startTime) 및 종료 시간 정보(end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칭 정보에 따라,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할 영상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ID 및 좌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카드 섹션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ms)에 따라 재생될 영상 정보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는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4d40,#00e7c5,…)과 같은 연속된 영상 정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영상 정보는 RGB값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구조 및 포맷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섹션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되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상기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표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작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작 신호는 특정 시점에 스타트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버 기준 시작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5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카드 섹션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50)는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앱 스토어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하여,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드 섹션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70), 웹 페이지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의 관리를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는 카드 섹션 데이터의 생성, 시간 간격 설정 및 카드 섹션 시작/종료 등의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섹션을 주관하는 관리자는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섹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컨대, 상기 카드 섹션에 참여하는 인원 수, 상기 카드 섹션의 배열 구조, 상기 카드 섹션의 진행 시간 및 상기 카드 섹션에 사용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및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색상 등의 파라미터 값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로부터 카드 섹션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고(S101), 제어부(18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한다(S103).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좌석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부(180)를 통해 장치 식별 정보로서 UDID를 획득하며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S105).
그리고, 생성된 매칭 정보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통신부(220)로 전달되며(S107),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를 통해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정보 매칭 및 단말기 등록에 따른 유저 ID를 발급한다(S109).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드 섹션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13).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른 타이머 조정을 수행한다(S115).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117).
이후,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제어부(210)를 통해 카드 섹션의 시작여부를 판단하고(S119), 카드 섹션 시작 시점에 기초한 특정 시점에, 미리 결정된 서버 기준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시작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20).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80)를 통해 시작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21), 상기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시작 시점을 결정하며(S123), 상기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12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각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치된 시점에 카드 섹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시퀀스를 기본 시간 간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한다(S201).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203).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시간 오프셋이 일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05),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확인된 시간 오프셋과 상기 기본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디스플레이의 시간 간격을 실시간으로 보정한다(S207).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보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다음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S209),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단위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영상 시퀀스에 기초하여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현재 제1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현재 시간 오프셋을 검출하여 상기 현재 시간 오프셋과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제2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이머 모듈(182)은 동기화 모듈(183)로 타임 오프셋을 요청하고(S310), 타임 오프셋을 제공받아(S303), 디스플레이부(151)로 제1 시퀀스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307). 이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타임 오프셋 30ms을 기준으로 기본 시간 간격인 33ms동안 제1 시퀀스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309).
한편, 동기화 모듈(183)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과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clent_sync_start 신호의 전송 및 server_sync 신호의 수신을 반복 동작하여 타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S305), 획득된 타임 오프셋을 타이머 모듈(182)의 요청에 따라 전달한다.
이후, 타이머 모듈(182)은 다음 시퀀스를 출력하기 위한 타임 오프셋을 동기화 모듈(183)로 요청하고(S311), 다음 타임 오프셋을 제공받아(S313), 디스플레이부(151)로 제2 시퀀스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307). 이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타임 오프셋이 10ms으로 20ms 감소하였기 때문에, 30ms를 기준으로 한 기본 시간 간격33ms에서 20ms를 차감한 13ms동안만 제2 시퀀스에 따른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315).
이와 같은 과정이 매 프레임마다 반복하여 수행됨으로써, 각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실시간 조정되며, 각각 거의 동일한 시점에 할당된 영상 시퀀스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카드 섹션 데이터 생성 예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카드 섹션 관리부(260)의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다(S410).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연장 정보 및 인원 수 정보를 입력받는다(S403).
이에 따라,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각 영상의 RGB 값을 파싱하고, 카드 섹션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상기 공연장 정보 및 인원 수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섹션용 영상 데이터의 카드 섹션 프리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한다(S405).
이후,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자 입력에 따라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고(S407),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관리자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바로 카드 섹션 데이터로 활용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 및 공연장 정보에 따른 카드 섹션 프리뷰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5)

  1.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서 발급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는 상기 좌석 정보에 따른 영상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좌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시퀀스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영상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시퀀스 정보는 각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의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의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미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시퀀스를 상기 시간 간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단위간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초하여 실시간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시퀀스에 기초하여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현재 제1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현재 시간 오프셋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간 오프셋과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제2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간 RTT(Round Trip Time)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0.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상기 시작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서 발급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는 상기 좌석 정보에 기초한 영상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시퀀스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영상 시퀀스를 추출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시퀀스 정보는 각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에서의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서의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미리 결정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 시퀀스를 상기 시간 간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단위간 상기 시간 간격을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초하여 실시간 가변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 시퀀스에 기초하여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현재 제1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현재 시간 오프셋을 검출하여 상기 현재 시간 오프셋과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제2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간 RTT(Round Trip Time)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따라 카드 섹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등록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등록되면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카드 섹션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섹션에 대응되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작 신호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는,
    상기 좌석 정보에 기초한 영상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시퀀스 정보는,
    각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22.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카드 섹션 제공방법에 있어서,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따라 카드 섹션 데이터를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등록되면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카드 섹션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시퀀스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 제공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섹션에 대응되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섹션 제공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작 신호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드 섹션 제공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PCT/KR2016/011697 2015-10-28 2016-10-18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170739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024 2015-10-28
KR1020150150024A KR20170049088A (ko) 2015-10-28 2015-10-28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50150019A KR20170049086A (ko) 2015-10-28 2015-10-28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5-0150019 2015-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943A1 true WO2017073943A1 (ko) 2017-05-04

Family

ID=5863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1697 WO2017073943A1 (ko) 2015-10-28 2016-10-18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739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6648A1 (en) * 2010-05-07 2011-11-10 Microsoft Corporation Clock synchronization for shared media playback
US20120184304A1 (en) * 2009-06-23 2012-07-19 Eamonn Walsh Smart phone crowd enhancement
US20130159401A1 (en) * 2010-12-10 2013-06-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screen display system
KR20130089990A (ko) * 2012-01-26 2013-08-13 티브이로직(주) 슬레이브 모바일 기기, 매스터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섹션 데이터 제공 방법
KR20150117383A (ko) * 2014-04-10 2015-10-20 한영진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4304A1 (en) * 2009-06-23 2012-07-19 Eamonn Walsh Smart phone crowd enhancement
US20110276648A1 (en) * 2010-05-07 2011-11-10 Microsoft Corporation Clock synchronization for shared media playback
US20130159401A1 (en) * 2010-12-10 2013-06-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screen display system
KR20130089990A (ko) * 2012-01-26 2013-08-13 티브이로직(주) 슬레이브 모바일 기기, 매스터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섹션 데이터 제공 방법
KR20150117383A (ko) * 2014-04-10 2015-10-20 한영진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8793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WO2016085246A1 (en) Discovery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71422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panorama function
WO201203000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WO2018070762A1 (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WO2014038916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WO2013115541A1 (ko) 단말기, 영상 통화 제어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6085110A1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WO2015126060A1 (ko)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050473A1 (ko) Uwb 네트워크에서 프리앰블을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1091175A1 (ko) Nan 기반의 클러스터 머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620899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anorama image
WO20150342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WO2018048130A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8093160A2 (ko)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WO2017104859A1 (ko)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나리오 생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 및 게이트웨이 장치
WO2019177325A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18151518A1 (ko)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WO2015093754A1 (ko) 전자 장치에서 연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53896A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7073943A1 (ko) 카드 섹션을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19164326A1 (ko) 실시간 콘텐트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WO2011157239A2 (zh) 一种信息生成和处理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WO2019107975A1 (en) Electronic device shooting imag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image
WO2019093716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01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01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