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190A -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190A
KR20150117190A KR1020140066347A KR20140066347A KR20150117190A KR 20150117190 A KR20150117190 A KR 20150117190A KR 1020140066347 A KR1020140066347 A KR 1020140066347A KR 20140066347 A KR20140066347 A KR 20140066347A KR 20150117190 A KR20150117190 A KR 2015011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data
measurement data
recognition information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플렉스
Publication of KR2015011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기기는 측정대상자의 서로 다른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측정부들과, 상기 측정부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호환부들을 포함한다. 제어단말기는 상기 호환부들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인가받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측정대상자의 인식정보와 매칭시켜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신원확인부를 포함한다.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인가받아 종합하고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송신한다. 상기 표시단말기는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분석결과를 인가받아 표시한다.

Description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원확인이 간편하고 이종건강정보의 통합적 처리가 가능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수시로 혈압, 심전도, 체중, 체지방, 골밀도 들을 측정하여 신체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신체를 측정한 데이터들은 서로 다른 이종 측정기기들을 이용해서 얻어진다. 이종 측정기기들은 측정방식, 데이터 획득방식, 데이터처리방식,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종 측정기기들을 통하여 구해진 데이터를 통합하는것이 어렵다.
또한, 신체를 측정한 데이터는 휘발성이 매우 높다. 대부분의 측정기기들은 측정이 완료된 직후 측정데이터를 잠시 디스플레이하다가 이를 삭제한다. 설사, 각 측정기기가 측정데이터를 장기저장하더라도, 하나의 측정기기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는 다른 측정기기에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더욱이, 건강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대부분 생활에 여유가 있고 건강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있는 사람들로서, 생활에 여유가 없는 소외계층, 건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청소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비만인 등의 건강은 체계적인 관리를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3년의 경우, 청소년 비만비율이 15.3%로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또한, 2013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청소년 음주 및 흡연율이 각각 16.3% 및 9.7%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로 학교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신체검사만으로는 청소년 음주 및 흡연여부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현재와 같이 학교에서 간헐적으로 실시되는 신체검사만으로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 보건소 등에서 학생이나 소외계층을 직단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 실제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개개인을 식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신원확인이 간편하고 이종건강정보의 통합적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원확인이 간편하고 이종건강정보의 통합적 처리가 가능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헬스케어 시스템은 측정기기, 제어단말기, 중앙관리서버 및 표시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기기는 측정대상자의 서로 다른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측정부들과, 상기 측정부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호환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단말기는 상기 호환부들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인가받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측정대상자의 인식정보와 매칭시켜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신원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인가받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를 통하여 인가받은 복수개의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종합하고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와, 상기 분석결과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단말기는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분석결과를 인가받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환부는 상기 각 측정부와 탈착가능한 모듈형태로 제작되고, 서로 다른 측정부와 호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원확인부는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상기 분석결과를 빅데이터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데이터수신부로 전송하는 통계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헬스케어 시스템은 측정대상자의 서로 다른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측정부들과, 상기 측정부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호환부들을 포함하는 측정기기; 상기 호환부들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인가받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측정대상자의 인식정보와 매칭시켜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신원확인부를 포함하는 제어단말기; 상기 제어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인가받아 종합하고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분석결과를 인가받아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켜서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 이후에, 상기 중앙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수집한다. 계속해서, 상기 수집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분석결과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표시단말기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상기 측정대상자가 속한 당해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무작위 순서로 배열된 측정대상자들 중의 어느 하나의 측정대상자를 당해 측정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 중에서 상기 당해 측정한 한 세트의 특정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인식정보를 상기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상기 측정대상자가 속한 당해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한 측정대상자들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동일한 순서대로 배열하는 단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인식정보를 다음 사람의 인식정보로 쉬프트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인식정보와 매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상기 측정대상자가 속한 당해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한 측정대상자들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동일한 순서대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측정대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동작에 따라 상기 인식정보를 다음 사람의 인식정보로 쉬프트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인식정보와 매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에 따르면, 측정기기가 호환부를 포함하여, 이종 측정기기의 측정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석결과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과도한 다이어트로 건강 및 성장에 문제가 생긴 학생들의 개별적 확인, 흡연율이 높은 소그룹의 확인 등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다.
더욱이, 장기간에 걸친 개인별 측정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여, 소외된 계층인 노인, 장애인 등의 건강이상을 예측할 수 있어서 최적화된 복지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는 기관별 데이터를 분석한 시/도별 건강상태 분석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의료보험기관 자료와 연통하여 통합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더욱이, 헬스케어 시스템이 통계서버를 더 포함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를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기관의 수 및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용이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중앙관리서버가 관련시스템과 연동되어 다른 기관의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 분석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신원확인이 간편하고 이종건강정보의 통합적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기기 및 제어단말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술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술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술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모바일기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기기 및 제어단말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시스템은 측정기기(10_1, 10_n), 제어 단말기(100), 중앙관리서버(200) 및 표시단말기(22, 24, 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시스템은 복수개의 측정기기들(10_1, 10_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들(10_1, 10_n)은 체중측정기기, 신장측정기기, 체지방측정측정기기(10_1), 심전도측정측정기기, 혈압측정기기(10_2), 골밀도 측정측정기기, 호흡측정측정기기(10_3), 등을 포함한다.
각 측정기기(10_1, 10_n)는 측정부(12_1, 12_n) 및 호환부(14_1, 14_n)을 포함한다.
측정부(12_1, 12_n)은 신체정보를 직접 측정하는 장치로서, 체중계, 신장계, 체지방측정계(12_1), 심전도측정계, 혈압측정계(12_2_, 골밀도측정계, 호흡측정계(12_3) 등을 포함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00). 본 실시예에서, 측정부(12_1, 12_n)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기존 상용되고 있는 측정계를 이용할 수도 있다.
호환부(14_1, 14_n)는 각 측정부(12_1, 12_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부(12_1, 12_n)의 측정결과를 제어단말기(100)로 전달한다. 호환부(14_1, 14_n)는 각 측정부(12_1, 12_n)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호환부(14_1, 14_n)는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태로 제작되어, 각 측정부(12_1, 12_n)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호환부(14_1, 14_n)의 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는 각 측정부(12_1, 12_n)의 측정신호출력라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측정부(12_1, 12_n)에서 측정된 결과는 호환부(14_1, 14_n)에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호환부(14_1, 14_n)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범용될 수 있어서, 측정부(12_1, 12_n)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쉽게 변경된 측정부(12_1, 12_n)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2_1, 12_n) 자체에서 측정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호환부(14_1, 14_n)가 측정부(12_1, 12_n)의 측정결과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측정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호환부(14_1, 14_n)는 측정신호를 제어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호환부(14_1, 14_n)가 측정신호를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단말기(10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신원확인부(120)를 포함하고, 호환부(14_1, 14_n)에서 전송된 측정신호를 인가받아 인식정보를 부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셋트를 생성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호환부들(14_1, 14_n)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측정기기들(10_1, 10_n)에 의해 생성된 측정신호들을 인가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중앙관리서버(200)의 데이터 수신부(210)와도 연결되어 개인별 측정데이터 셋트를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수신부(110)와 호환부들(14_1, 14_n)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사이의 통신은 유선라인, 무선통신라인, 인터넷,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신원확인부(120)는 기저장된 인식정보 또는 신규 입력된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받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여, 측정데이터를 인식정보와 매칭한다(단계 S110).
개인별 측정데이터 셋트는 하나의 인식정보 및 복수개의 측정부들(12_1, 12_n)로부터 생성된 측정신호에 대응되는 측정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개인별 측정데이터 셋트는 [표 1]과 같을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인식정보는 각 개인별로 상이하며, 측정대상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정보는 측정대상자가 속한 그룹에 따라 소그룹별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측정대상자가 학생인 경우, 그 학생이 속한 학급이 소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식정보의 입력은 소그룹별로 실시된다.
신원확인부(120)에 인식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소그룹의 정보를 먼저 입력한 후에, i) 상기 소그룹 내의 측정대상자 개인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ii)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iii) 기입력된 특정 주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변경하는 방법, iv) 측정대상자의 모션을 분석하여 기입력된 특정 행동을 하는 경우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변경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인식정보가 매칭된다. 본 실시예에서, i)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신원확인부(120)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소그룹의 정보를 직접입력한다.
ii)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그룹의 크기가 작고 개인들 사이의 신체데이터 편차가 클수록 오차가 감소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술하는 블록도이다.
도 1,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신원확인부(120)에 소그룹정보(001학교의 1학년 3반)가 입력된 후에(단계 S212), 상기 소그룹인 1학년 3반에 속한 측정대상자들인 10명의 학생들(A, B, C, D, E, F, G, H, I, J)이 무작위 순서로 배열(B, E, G, J, D, A, C, I, F, H)된다(단계 S213).
이어서, 신장, 체중, 체질량, 혈압, 심전도, 호흡을 연속하여 측정하여, 상기 무작위 순서로 배열(B, E, G, J, D, A, C, I, F, H)된 당해 10개의 측정데이터 세트가 생성된다. 이후에, 신원확인부(12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200)로부터 동일한 1학년 3반에 속한 학생들에 관하여, 1개월 전에 측정된 데이터 세트 10개를 송신받는다.
이어서, 신원확인부(120)는 당해 10개의 측정데이터 세트 각각을 1개월 전에 측정된 데이터 세트 10개 중에서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끼리 비교매칭한다(단계 S214). 이후에, 신원확인부(120)는 매칭된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216). 일반적으로, 10명 정도의 소그룹에서 6개 정도 되는 측정데이터가 타인의 측정데이터와 헷갈릴 정도로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추출된 인식정보는 1개월이 지난 후에 측정된 당해 10개의 측정데이터 세트의 배열순서(B, E, G, J, D, A, C, I, F, H)와 일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1개월 전에 측정된 데이터 세트로부터 추출된 인식정보를 당해 10개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설정한다(단계 S216).
iii) 기입력된 특정 주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소그룹 내에 속하는 측정대상자들은 반드시 동일한 순서에 따라 측정에 임해야 한다. 상기 특정 주기는 한 명의 측정대상자가 측정부들(12_1, 12_n)을 통하여 한 세트의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술하는 블록도이다.
도 1,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신원확인부(120)에 소그룹정보(001학교의 1학년 3반)가 입력된 후에(단계 S312), 직전(예를 들어, 1개월 전)에 측정된 순서와 동일하도록 측정대상자들을 배열한다(단계 S313). 측정대상자들이 신장, 체중, 체질량, 혈압, 심전도, 호흡을 연속하여 측정하되, 측정사이클에서 매 30초마다 한명씩 빠져 나온다면, 기입력된 특정주기는 30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측정데이터는 30초 간격으로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쉬프트된다(단계 S314).
즉, 1학년 3반에 속한 10명의 학생들(A, B, C, D, E, F, G, H, I, J)이 순서대로 신장, 체중, 체질량, 혈압, 심전도, 호흡을 연속하여 측정하는 경우, 학생 A 가 신장을 측정하는 동안, 신장데이터는 첫 번째 학생인 학생 A의 인식정보와 매칭된다.
30초 후, 학생 B가 신장을 측정하고 학생 A는 체중을 측정하면, 신장데이터는 자동으로 두 번째 학생인 학생 B의 인식정보와 매칭되고 체중데이터는 첫 번째 학생인 학생 A의 인식정보와 매칭된다.
다시 30초가 지난 후, 학생 C가 체질량을 측정하고 학생 B는 체중을 측정하며 학생 C는 신장을 측정하면, 신장데이터는 자동으로 세 번째 학생인 학생 C의 인식정보와 매칭되고 체중데이터는 두 번째 학생인 학생 B의 인식정보와 매칭되며 체질량데이터는 첫 번째 학생인 학생 A의 인식정보와 매칭된다.
이러한 과정을 순서대로 반복하면, 10명의 학생들의 측정데이터가 순서대로 학생들의 인식정보와 매칭되어 10명의 학생들에 대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이 생성된다(단계 S316).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14에 관한 설명 이후에 단계 S316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명의 순서에 상관없이, 단계 S314가 단계 S316보다 나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iv) 측정대상자의 모션을 분석하여 기입력된 특정 행동을 하는 경우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소그룹 내에 속하는 측정대상자들은 반드시 동일한 순서에 따라 측정에 임해야 한다. 제어단말기(100)는 동작인식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측정대상자가 기입력된 특정 행동, 예를 들어, 양손을 높이 올리는 동작,을 하면, 제어단말기(100)는 동작인식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를 당해 학생의 인식정보와 매치시키고 다음 학생의 인식정보를 불러온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를 상술하는 블록도이다.
도 1,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신원확인부(120)에 소그룹정보(001학교의 1학년 3반)가 입력된 후에(단계 S412), 직전(예를 들어, 1개월 전)에 측정된 순서와 동일하도록 측정대상자들을 배열한다(단계 S413). 측정대상자들이 신장, 체중, 체질량, 혈압, 심전도, 호흡을 연속하여 측정하되, 측정사이클에서 매번 측정이 끝날 때마다 측정대상자들의 동작을 인식한다(단계 S414). 예를 들어, 양손을 높이 올리는 동작을 하면서 한명씩 빠져 나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측정데이터는 동작인식 카메라(도시되지 않음)에 측정대상자들이 양손을 올리는 동작이 인식될 때마다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쉬프트된다(단계 S416). 본 실시예에서, 단계 S414에 관한 설명 이후에 단계 S416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명의 순서에 상관없이, 단계 S414가 단계 S416보다 나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1학년 3반에 속한 10명의 학생들(A, B, C, D, E, F, G, H, I, J)이 순서대로 신장, 체중, 체질량, 혈압, 심전도, 호흡을 연속하여 측정하는 경우, 학생 A 가 신장을 측정하는 동안, 신장데이터는 첫 번째 학생인 학생 A의 인식정보와 매칭된다.
학생 A가 양손을 올린 후, 학생 B가 신장을 측정하고 학생 A는 체중을 측정하면, 신장데이터는 자동으로 두 번째 학생인 학생 B의 인식정보와 매칭되고 체중데이터는 첫 번째 학생인 학생 A의 인식정보와 매칭된다.
학생 A, B가 양손을 올린 후, 학생 C가 체질량을 측정하고 학생 B는 체중을 측정하며 학생 C는 신장을 측정하면, 신장데이터는 자동으로 세 번째 학생인 학생 C의 인식정보와 매칭되고 체중데이터는 두 번째 학생인 학생 B의 인식정보와 매칭되며 체질량데이터는 첫 번째 학생인 학생 A의 인식정보와 매칭된다.
이러한 과정을 순서대로 반복하면, 10명의 학생들의 측정데이터가 순서대로 학생들의 인식정보와 매칭되어 10명의 학생들에 대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이 생성된다(단계 S418).
따라서, 도 1 내지 3을 다시 참조하면, 측정데이터를 인식정보에 매칭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단계 S120).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어단말기(100) 및 이에 연결된 측정부들(12_1, 12_n)은 동일한 장소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측정부들(12_1, 12_n) 및 제어단말기(100)는 동일한 학교 내의 양호실이나, 동일한 보건소 내의 측정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200)는 제어단말기(100)로부터 인가받은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수신하여 이를 종합하여 분석한 후에 분석결과를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관리서버(200)는 측정부들(12_1, 12_n)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신호 및 제어단말기(100)로부터 인가받은 인식정보를 결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관리서버(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수집부(220), 데이터 분석부(230) 및 데이터 송신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측정부들(12_1, 12_n) 및/또는 제어단말기(100)로부터 측정신호, 인식정보,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등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부(210)는 복수개의 제어단말기(100) 및 각각의 제어단말기(100)에 대응되는 측정부들(12_1, 12_n)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환부(14_1, 14_n)는 유선라인, 무선통신, 블루투스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신호를 제어단말기(100) 및/또는 중앙관리서버(200)의 데이터 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220)는 데이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그룹별로 구분하여 수집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부(220)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각 기관별(학교/보건소 등)로 1차로 정리하고, 각 소그룹별(학년/학급 등)로 2차 정리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30)는 데이터 수집부(220)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부(230)는 분석결과를 기저장된 표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추천운동, 금연프로그램안내/자동등록, 경고메시지 등을 생성한다.
분석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간에 걸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중에서 연령이 10대이며 체중 및 골밀도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트를 추출하여, 과도한 다이어트로 건강 및 성장에 문제가 생긴 학생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그룹 별 측정데이터 세트 중에서 호흡중 CO 농도가 높은 소그룹을 선정하여, 맞춤형 금연프로그램을 시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장기간에 걸친 개인별 측정 데이터 세트 중에서 연령이 40대 이상이며 혈압, 심전도, 체질량지수 등 성인병과 직접 관련이 있는 측정데이터에 급격한 변동이 있는 데이터 세트를 추출하여, 소외된 계층인 노인, 장애인 등의 돌연사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 등에 의해 최적화된 복지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부(240)는 분석결과 데이터를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유선통신, 모뎀, 인터넷, 와이브로, 블루투스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단말기(22, 24, 26)는 모바일기기(22), 퍼스널컴퓨터(24), 웹기기(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모바일기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기기(22)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의 주요 지표들인 인식정보, 측정일시,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흡연여부 등을 메인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화면의 각 아이콘을 클릭하면, 체형별 추천운동, 흡연여부에 따른 금연프로그램 안내/자동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기기(22)는 측정대상자의 모바일기기 뿐만 아니라 보호자/교사/사회복지사의 모바일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퍼스널컴퓨터(24)는 개인별 측정 데이터, 통계자료, 기타 종합적인 관리에 필요한 분석결과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퍼스널컴퓨터(24)는 기관별 데이터를 분석한 시/도별 건강상태 분석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퍼스털컴퓨터(24)는 혈압, 혈당, 고지혈, 등의 데이터를 의료보험기관 자료와 연통하여, 통합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사용자등록을 실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관리서버(200)에 직접 사용자등록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사용자정보는 중앙관리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단말기(100)에 사용권한을 요청하는 로그인을 한다. 예를 들어, 로그인은 제어단말기(100)에 연결된 입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아이디(ID)/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레드(RAD) 등의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년/학급 등의 소그룹정보를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학년/학급 등의 소그룹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에, 제어단말기(100)는 입력된 사용자권한요청이 정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확인을 요청한다.
계속해서, 입력된 사용자권한요청이 정당한 경우, 중앙관리서버(200)는 제어단말기(100)로 사용자 확인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확인절차가 완료된다.
이어서, 제어단말기(100)가 측정기기(10_1, 10_n)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단말기(100)는 호환부(14_1, 14_n)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호환부(14_1, 14_n)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측정부(12_1, 12_n)를 제어한다.
이후에, 측정기기(10_1, 10_n)는 측정신호를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부(12_1, 12_n)에 의해 측정된 원시데이터(Raw Data)는 먼저 호환부(14_1, 14_n)로 전송되고, 호환부(14_1, 14_n)는 원시데이터를 측정신호로 변경하여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10_1, 10_n) 는 측정신호를 제어단말기(100)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기기(10_1, 10_n) 는 측정신호를 중앙관리서버(200)에 유/무선 통신으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측정신호는 인식정보와 결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의 형태를 갖는다.
계속해서, 중앙관리서버(200)는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신호와 측정인식정보가 측정대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가 결합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저장한다.
이어서, 중앙관리서버(200)의 데이터 분석부(230)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에, 데이터 분석부(230)에 의해 분석된 분석결과 데이터는 데이터 송신부(240)로 전달된다.
계속해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전달받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가공하여 다양한 표시단말기(22, 24, 26)에 적합한 멀티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멀티서비스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2), 퍼스털컴퓨터(24) 및 웹기기(26)를 포함하는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 내지 8b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제어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사용자등록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등록된 사용자정보는 중앙관리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별도의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사용권한을 요청하는 로그인을 한다. 예를 들어, 로그인은 아이디(ID)/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레드(RAD) 등의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중앙관리서버(200)에 직접 요청한다.
이후에, 중앙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권한요청이 정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계속해서, 입력된 사용자권한요청이 정당한 경우, 중앙관리서버(200)는 제어단말기(100)에 사용자 권한을 부여한다. 따라서 사용자확인절차가 완료된다.
이어서, 제어단말기(100)가 측정기기(10_1, 10_n)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단말기(100)는 호환부(14_1, 14_n)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호환부(14_1, 14_n)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측정부(12_1, 12_n)를 제어한다.
이후에, 측정기기(10_1, 10_n)는 측정신호를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부(12_1, 12_n)에 의해 측정된 원시데이터(Raw Data)는 먼저 호환부(14_1, 14_n)로 전송되고, 호환부(14_1, 14_n)는 원시데이터를 측정신호로 변경하여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측정신호는 인식정보와 결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의 형태를 갖는다.
계속해서, 중앙관리서버(200)는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신호와 측정인식정보가 측정대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가 결합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저장한다.
이어서, 중앙관리서버(200)의 데이터 분석부(230)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에, 데이터 분석부(230)에 의해 분석된 분석결과 데이터는 데이터 송신부(240)로 전달된다.
계속해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전달받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가공하여 다양한 표시단말기(22, 24, 26)에 적합한 멀티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멀티서비스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2), 퍼스털컴퓨터(24) 및 웹기기(26)를 포함하는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기기(10_1, 10_n)가 호환부(14_1, 14_n)를 포함하여, 이종 측정기기의 측정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석결과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과도한 다이어트로 건강 및 성장에 문제가 생긴 학생들의 개별적 확인, 흡연율이 높은 소그룹의 확인 등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다.
더욱이, 장기간에 걸친 개인별 측정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여, 소외된 계층인 노인, 장애인 등의 건강이상을 예측할 수 있어서 최적화된 복지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24)는 기관별 데이터를 분석한 시/도별 건강상태 분석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의료보험기관 자료와 연통하여 통합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실시예에서, 통계서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시스템은 측정기기(10_1, 10_n), 제어 단말기(100), 중앙관리서버(200), 통계서버(300) 및 표시단말기(22, 24, 26)를 포함한다.
헬스케어 시스템은 복수개의 측정기기들(10_1, 10_n)을 포함하고, 각 측정기기(10_1, 10_n)는 측정부(12_1, 12_n) 및 호환부(14_1, 14_n)을 포함한다.
측정부(12_1, 12_n)은 신체정보를 직접 측정하는 장치로서, 체중계, 신장계, 체지방측정계(12_1), 심전도측정계, 혈압측정계(12_2_, 골밀도측정계, 호흡측정계(12_3) 등을 포함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00). 본 실시예에서, 측정부(12_1, 12_n)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기존 상용되고 있는 측정계를 이용할 수도 있다.
호환부(14_1, 14_n)는 각 측정부(12_1, 12_n)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부(12_1, 12_n)의 측정결과를 제어단말기(100)로 전달한다. 호환부(14_1, 14_n)는 각 측정부(12_1, 12_n)에 연결된다. 호환부(14_1, 14_n)는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태로 제작되어, 각 측정부(12_1, 12_n)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단말기(10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신원확인부(120)를 포함하고, 호환부(14_1, 14_n)에서 전송된 측정신호를 인가받아 인식정보를 부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셋트를 생성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호환부들(14_1, 14_n)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측정기기들(10_1, 10_n)에 의해 생성된 측정신호들을 인가받는다.
신원확인부(120)는 기저장된 인식정보 또는 신규 입력된 인식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받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여, 측정데이터를 인식정보와 매칭한다.
신원확인부(120)에 인식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소그룹의 정보를 먼저 입력한 후에, i) 상기 소그룹 내의 측정대상자 개인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ii)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iii) 기입력된 특정 주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변경하는 방법, iv) 측정대상자의 모션을 분석하여 기입력된 특정 행동을 하는 경우 다음 측정대상자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로 변경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인식정보가 매칭된다.
따라서, 측정데이터를 인식정보에 매칭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한다.
중앙관리서버(200)는 제어단말기(100)로부터 인가받은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수신하여 이를 종합하여 분석한 후에 분석결과를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중앙관리서버(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수집부(220), 데이터 분석부(230) 및 데이터 송신부(2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측정부들(12_1, 12_n) 및/또는 제어단말기(100)로부터 측정신호, 인식정보,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등을 수신한다.
데이터 수집부(220)는 데이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그룹별로 구분하여 수집한다.
데이터 분석부(230)는 데이터 수집부(220)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생성한다. 데이터 분석부(230)는 분석결과를 기저장된 표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추천운동, 금연프로그램안내/자동등록, 경고메시지 등을 생성한다.
데이터 송신부(240)는 분석결과 데이터를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 데이터를 통계서버(3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송신부(240)는 유선통신, 모뎀, 인터넷, 와이브로, 블루투스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계서버(300)는 중앙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중앙관리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200)의 데이터 수신부(21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계서버(300)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 데이터를 빅데이터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서버(300)는 Zookeeper, HMaster, API, HBASE, DFS Client, Hadoop, 데이터마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단말기(22, 24, 26)는 모바일기기(22), 퍼스널컴퓨터(24), 웹기기(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사용자등록을 실시한다. 등록된 사용자정보는 중앙관리서버(200)에 저장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별도의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중앙관리서버(200)에 사용권한을 요청하는 로그인을 한다. 예를 들어, 로그인은 아이디(ID)/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레드(RAD) 등의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중앙관리서버(200)에 직접 요청한다.
이후에, 중앙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권한요청이 정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한다.
계속해서, 입력된 사용자권한요청이 정당한 경우, 중앙관리서버(200)는 제어단말기(100)에 사용자 권한을 부여한다. 따라서 사용자확인절차가 완료된다.
이어서, 제어단말기(100)가 측정기기(10_1, 10_n)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단말기(100)는 호환부(14_1, 14_n)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호환부(14_1, 14_n)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측정부(12_1, 12_n)를 제어한다.
이후에, 측정기기(10_1, 10_n)는 측정신호를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부(12_1, 12_n)에 의해 측정된 원시데이터(Raw Data)는 먼저 호환부(14_1, 14_n)로 전송되고, 호환부(14_1, 14_n)는 원시데이터를 측정신호로 변경하여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중앙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측정신호는 인식정보와 결합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의 형태를 갖는다.
계속해서, 중앙관리서버(200)는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신호와 측정인식정보가 측정대상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가 결합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저장한다.
이어서, 중앙관리서버(200)의 데이터 분석부(230)는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에, 데이터 분석부(230)에 의해 분석된 분석결과 데이터는 통계서버(300)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통계서버(300)는 전달받은 분석결과 데이터를 가공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통계서버(300)는 통계정보를 데이터송신부(240)로 전송한다.
이후에, 데이터송신부(240)는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시단말기(22, 24, 26)에 적합한 멀티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데이터 송신부(240)는 멀티서비스 데이터를 모바일기기(22), 퍼스털컴퓨터(24) 및 웹기기(26)를 포함하는 표시단말기(22, 24, 26)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헬스케어 시스템이 통계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를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가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시스템의 규모, 관련시스템, 빅데이터 분석서버 및 그 연결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시스템은 복수개의 기관들(1001, 1005), 중앙관리서버(200), 관련시스템(410) 및 빅데이터분석서버(420)를 포함한다. 기관들(1001, 1005)는 학교(1001, 1004), 보건소(1005), 등을 포함한다.
각 학교(1001)는 측정기기(10_1, 10_3), 제어단말기(100) 및 보조제어단말기(102, 104)를 포함한다. 보조제어단말기(102, 104)는 유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단말기(1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단말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제어단말기(102, 104)는 보조제어프로그램, 엡 등이 깔려있는 보조제어모바일기기(102), 보조제어퍼스널컴퓨터(1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관들(1001, 1005)은 시청(관련기관)(2000)과 유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시청(관련기관)(2000)은 중앙관리서버(200), 관련시스템(410) 및 빅데이터 분석서버(420)를 포함한다.
관련시스템(410)은 의료보험관리공단,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다른 기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측정대상자별로 가공한다. 관련시스템(410)은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200) 및 빅데이터 분석서버(420)로 전송한다.
빅데이터 분석서버(420)는 중앙관리서버(200) 및 관련시스템(410)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한다. 빅데이터 분석서버(420)는 중앙관리서버(200) 또는 관련시스템(41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단말기(22, 24)는 중앙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관들(1001, 1005)의 수 및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용이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200)가 관련시스템(410)과 연동되어 다른 기관의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 분석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기기가 호환부를 포함하여, 이종 측정기기의 측정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석결과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과도한 다이어트로 건강 및 성장에 문제가 생긴 학생들의 개별적 확인, 흡연율이 높은 소그룹의 확인 등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다.
더욱이, 장기간에 걸친 개인별 측정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여, 소외된 계층인 노인, 장애인 등의 건강이상을 예측할 수 있어서 최적화된 복지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는 기관별 데이터를 분석한 시/도별 건강상태 분석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의료보험기관 자료와 연통하여 통합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더욱이, 헬스케어 시스템이 통계서버를 더 포함하여,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분석결과를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기관의 수 및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용이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중앙관리서버가 관련시스템과 연동되어 다른 기관의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 분석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_1, 10_n : 측정기기 12_1, 12_n : 측정부
14_1, 14_n : 호환부 22, 24, 26 : 표시단말기
100 : 제어 단말기 102, 104 : 보조제어단말기
110 : 데이터 송수신부 120 : 신원확인부
200 : 중앙관리서버 210 : 데이터 수신부
220 : 데이터 수집부 230 : 데이터 분석부
240 : 데이터 송신부 300 : 통계서버
1001, 1002, 1003 : 학교 1005 : 보건소
2000 : 시청(관련기관)

Claims (8)

  1. 측정대상자의 서로 다른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측정부들과, 상기 측정부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호환부들을 포함하는 측정기기;
    상기 호환부들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인가받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측정대상자의 인식정보와 매칭시켜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신원확인부를 포함하는 제어단말기;
    상기 제어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인가받는 데이터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수신부를 통하여 인가받은 복수개의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종합하고 분석하는 데이터분석부와, 상기 분석결과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분석결과를 인가받아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부는 상기 각 측정부와 탈착가능한 모듈형태로 제작되고, 서로 다른 측정부와 호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확인부는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상기 분석결과를 빅데이터의 형태로 저장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 및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데이터수신부로 전송하는 통계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5. 측정대상자의 서로 다른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측정부들과, 상기 측정부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생성된 측정데이터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호환부들을 포함하는 측정기기; 상기 호환부들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측정데이터를 인가받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측정대상자의 인식정보와 매칭시켜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신원확인부를 포함하는 제어단말기; 상기 제어단말기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인가받아 종합하고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중앙관리서버; 및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분석결과를 인가받아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켜서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앙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상기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결과를 상기 표시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상기 측정대상자가 속한 당해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무작위 순서로 배열된 측정대상자들 중의 어느 하나의 측정대상자를 당해 측정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를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 중에서 상기 당해 측정한 한 세트의 특정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편차가 작은 측정데이터 세트에 대응되는 인식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인식정보를 상기 당해 측정된 한 세트의 측정데이터의 인식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상기 측정대상자가 속한 당해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한 측정대상자들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동일한 순서대로 배열하는 단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인식정보를 다음 사람의 인식정보로 쉬프트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인식정보와 매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와 상기 인식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기에 상기 측정대상자가 속한 당해 소그룹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한 측정대상자들을 상기 당해 소그룹에 속하지만 당해 측정 직전에 실시된 개인별 측정데이터 세트들과 동일한 순서대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측정대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동작에 따라 상기 인식정보를 다음 사람의 인식정보로 쉬프트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데이터를 상기 인식정보와 매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KR1020140066347A 2014-04-09 2014-05-30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KR20150117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82 2014-04-09
KR20140042582 2014-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90A true KR20150117190A (ko) 2015-10-19

Family

ID=5439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347A KR20150117190A (ko) 2014-04-09 2014-05-30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1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19A1 (en) * 2017-03-17 2018-09-20 Hp Printing Korea Co., Ltd. Printing through automatic sorting
CN110299197A (zh) * 2019-07-02 2019-10-01 上海市中西医结合医院 一种中药处方代煎自动审核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19A1 (en) * 2017-03-17 2018-09-20 Hp Printing Korea Co., Ltd. Printing through automatic sorting
US10754601B2 (en) 2017-03-17 2020-08-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through automatic sorting
CN110299197A (zh) * 2019-07-02 2019-10-01 上海市中西医结合医院 一种中药处方代煎自动审核系统
CN110299197B (zh) * 2019-07-02 2023-12-05 上海市中西医结合医院 一种中药处方代煎自动审核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836B1 (ko) 심리 스크리닝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그림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arlson et al. Study design, precision, and validity in observational studies
CN105528526A (zh) 一种基于中医药传承与大数据挖掘的生命周期动态健康管理系统
Ling et al. Gait and function in class III obesity
Linn et al. Digital health interventions among people living with frailty: a scoping review
Poulsen et al.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linical evaluation of the single leg squat
CN110689938A (zh) 一种健康监测一体机和健康监测管理系统
US20170199972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TW200828064A (en) System for cross-acquisition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information
WO2022185554A1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50117190A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처리방법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Riquelme Clinical swallow examination (CSE): Can we talk?
Sreelatha et al. Virtually controlled computerised visual acuity screening in a multilingual Indian population
Fitch et al. A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cancer patient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Corr et al. An introduction to the selection of outcome measures
Keating et al. Sensory modulation difficulties and assessment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Mingji et al. Assessing agreement of blood pressure-measuring devices in Tibetan areas of China: a systematic review
Al-Naime et al. Internet of things gateway edge for movement monitoring in a smart healthcare system
Erden et al. Turkis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atient Satisfaction Scale in Physiotherapy for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US20160339299A1 (en) Integrated impairment value calculation system
CN210467338U (zh) 一种健康监测一体机
Mota et al.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basic education teachers evaluated by two instruments
McLeod et al. A smartphone-based wellness assessment using mobile sensors
Smiley et al. Wireless Real-Time Exercise System for Physical Telerehabi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