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293A -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 Google Patents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293A
KR20150116293A KR1020140041355A KR20140041355A KR20150116293A KR 20150116293 A KR20150116293 A KR 20150116293A KR 1020140041355 A KR1020140041355 A KR 1020140041355A KR 20140041355 A KR20140041355 A KR 20140041355A KR 20150116293 A KR20150116293 A KR 2015011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mounting plate
floating structure
floating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386B1 (ko
Inventor
이홍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86B1/ko
Priority to PCT/KR2015/003162 priority patent/WO2015156531A1/ko
Publication of KR2015011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86B1/ko
Priority to PH12016501916A priority patent/PH1201650191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 구조물의 데크 상측으로 평평한 마운팅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수천 톤의 발전모듈의 적재가 가능하여 데크 위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부유 액화가스 저장 발전 플랜트에서는 기존 카고 핸들링 장치는 그대로 활용하면서 발전모듈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 평탄화 구조 및 그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Deck structure for planarization and floating storage power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크 평탄화 구조 및 그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데크 상측으로 마운팅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데크의 평탄화(平坦化)를 구현함으로써, 데크 상부에 배치되는 발전모듈의 배치를 개선하고 발전모듈을 마운팅 플레이트 위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데크 평탄화 구조 및 그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발전에 대한 요구로 천연가스를 이용한 전기 생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신흥개발국 등에서 가스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가스 발전은 그 특성상 육지에 가스 저장소 등과 같은 가스 인프라가 갖추어져야만 전기를 생산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에 제한이 많다.
기존 육상발전의 경우, 육상에 복합화력발전을 구성하고 발전에 필요한 각종 장비 및 기자재를 육상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모든 설치 및 배치, 테스트가 현지(Site)에서 수행되어 그에 따른 리스크가 상시 존재하고 모든 시스템이 각 별도의 건물에 독립적으로 위치함에 따라 건물 및 배관, 자재의 소모량이 크다.
근래에는 육상 발전설비 등을 바지(barge)에 탑재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BMPP(Barge Mounted Power Plant) 건조에 대한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BMPP의 경우, 연안에 설치되고 액화가스를 저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체적으로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LNG Shuttle, LNG Bunkering, LNG Terminal 등으로부터 LNG를 받아 저장하고, 이를 재기화하여 Gas Turbine 및 HRSG를 통해 Steam Turbine으로 발전하는 신개념의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Floating Storage Power Plant)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15231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75261호
도 1은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 배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LNG Tank)(3)를 구비한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1)는 부유 저장 구조물(2)의 상부에 발전모듈(M)이 설치되는 구성을 상정할 수 있다.
LNG Carrier 및 LNG RV, LNG FRSU에서는 카고홀드(Cargo Hold)의 데크, 일명 트렁크 데크(D)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그 트렁크 데크(D) 위에, 예를 들어 카고 핸들링장치 등이 설치되는 구성을 상정할 수 있다.
카고 핸들링장치(10)의 일 예로는, 리키드 돔(Liquid Dome), 가드 돔(Gas Dome), 및 카고 핸들링 파이프 라인(Cargo Handling Pipe Line), 개별 벤트 마스트(Independent Vent Mast)가 있다.
2열 배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LNG Tank)를 구비한 LNG FPSO 또는 FLNG는 Oil Carrier처럼 데크가 평평하나, 1열 배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3)를 구비한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1)는 구조적으로 평평한 데크가 형성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평평한 데크가 없으면 카고 핸들링 장치(10)와 발전모듈(M)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모듈(M) 즉, 가스 터빈(Gas Turbine)과 폐열회수장치(HRSG), 스팀 터빈(Steam Turbine) 등을 장착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크 상측으로 마운팅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데크의 평탄화를 구현함으로써, 데크 상부에 배치되는 장비들의 배치를 개선하고 발전모듈을 마운팅 플레이트 위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 상에 노출된 카고 핸들링 파이프 라인 및 리키드 돔 (Liquid Dome, Gas Dome) 등을 마운팅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하고, 개별 벤트 마스트는 공통 벤트 라인(Common Vent Line)으로 전환해 한 곳으로 모아서 배출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있는 펌프타워 및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보수유지를 위한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는 부유 구조물의 상측으로 데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마운팅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데크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모듈이 설치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가 제공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서포트 유닛에 의해서 지지되는 바,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되는 사이드 복수 개의 서포트 및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부 가운데에 형성된 트렁크 데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터 서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서포트는 적어도 1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 구조물의 내부에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트렁크 데크가 형성되며, 서포트 유닛에 의해서 상기 트렁크 데크의 상측으로 평평한 마운팅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 플랜트 모듈이 배치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가 제공된다.
상기 트렁크 데크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파이프 라인(Caro Handling Pipe Line) 및 리키드 돔(Liquid Dome), 가스 돔(Gas Dome)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거나 소각하기 위한 벤트 마스트(Vent Mast)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공통 벤트 라인(Vent Line)에 의해서 부유 구조물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1열 배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선박은 사다리꼴 데크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 노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강도가 아주 튼튼하지 않아 적재할 수 있는 장비 및 시스템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평평한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포트 유닛으로 지지하여 수천 톤의 발전모듈의 적재가 가능하여 데크 위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며, 다양한 목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부유 액화가스 저장 발전 플랜트에서는 기존 카고 핸들링 장치는 그대로 활용하면서 발전모듈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그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개념의 부유 액화가스 저장 발전 플랜트를 포함하며, 육상에 건설되는 복합화력 발전소를 해상 플랜트로 옮겨온 것으로 육상의 발전설비들이 위치해야 할 평면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1열 배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과 같이 사다리꼴로 데크(갑판)가 돌출되어 있으면, 사다리꼴 데크의 구조적 강도는 차치하고라도 좁은 면적 위에 수천 톤의 발전모듈을 올려놓을 수 없음은 물론이며, 이들 발전모듈 때문에 기존 LNG 선박에서 사다리꼴 데크 위에 놓여져야 할 설비들, 예를 들어 리키드 돔(Liquid Dome), 가스 돔(Gas Dome), 카고 핸들링 파이프 라인(Cargo Handling Pipe Line), 각각의 개별 벤트 마스트(Independent Vent Mast) 들이 간섭 때문에 배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부유 구조물 양측에 사이드 서포트(Side Support Structure)를 설치하고, 부유 구조물 중앙부분에 센터 서포트(Center Support Structure)를 설치하여 평판의 마운팅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그 마운팅 플레이트 위에 수천 톤의 무게를 갖는 발전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1열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된 해상구조물의 데크 상측으로 마운팅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으로, 부유 액화가스 저장 발전 플랜트(Floating Storage Power Plant)는 물론 LNG FSRU, LNG-RV, LNG Bunkering Vessel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1개의 단일체로 구성된 것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하중 분산을 위해서 마운팅 플레이트를 복수 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각각의 마운팅 플레이트의 높이도 해상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부유 구조물(110) 상측으로 마운팅 플레이트(130)가 설치된 부유 액화가스 저장 발전 플랜트(100)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100)는 부유 구조물(1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20)가 설치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 예컨대 대략 -163℃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20)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단열재가 화물의 하중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되고, 독립탱크형 저장탱크는 MOSS 형과 IHI-SPB형으로 나뉘며,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독립탱크형 저장탱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부유 구조물(110)의 데크(D) 상부에는, 예를 들어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는 파이프 매니폴드, 카고 라인, 리키드 돔, 베이퍼 돔, 벤트 라인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각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는 도면상에 박스형태로 표시하였으나 다수의 파이프 라인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발전모듈(M)을 부유 구조물(110)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평면의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은 부유 구조물(110)의 상측으로 데크(D)와 일정간격을 두고 마운팅 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는 수천톤에 이르는 고 하중의 발전모듈(M)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고강도의 재질 예를 들어 강판, 콘크리트 철골 구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발전모듈(M)에 의한 하중에 의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가 변형되거나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는 서포트 유닛(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바, 상기 서포트 유닛(140)은 상기 부유 구조물(110)의 상부 양측 메인 데크(D)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사이드 서포트(131), 및 상기 부유 구조물(110)의 상부 가운데에 메인 데크(D)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터 서포트(132)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의 하측에 상기 데크(D)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장치(10)가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30)의 상측에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모듈(M)이 설치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200)는 부유 구조물(2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액화가스 저장탱크(220)가 설치된다.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GT NO 96형과 TGZ Mark Ⅲ형으로 나누어지는 데, 본 발명에서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를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부유 구조물(210)의 트렁크 데크(D2) 상부에, 예를 들어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는 파이프 매니폴드, 카고 라인, 리키드 돔, 베이퍼 돔, 벤트 라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발전모듈(M)을 부유 구조물(210) 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평면의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은 부유 구조물(210)의 상측으로 트렁크 데크(D2)와 일정간격을 두고 마운팅 플레이트(230)가 설치된다.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는 상기 트렁크 데크(D2)로부터 최소 7미터로 설정하고, 선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7 미터 내지 9미터의 높이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는 서포트 유닛(240)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는바, 상기 서포트 유닛(240)은 상기 부유 구조물(2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메인 데크(D1)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사이드 서포트(241), 및 상기 부유 구조물(210)의 상부 가운데에 형성된 트렁크 데크(D2)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터 서포트(242)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서포트(242)는 1열로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서포트(241) 및 센터 서포트(242)는 선체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마운팅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발전모듈의 하중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갯수로 설정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의 하측에 상기 트렁크 데크(D2)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장치(10)가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의 상측에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모듈(M)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평탄화 구조에서는, 상기 트렁크 데크(D2)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파이프 라인(Caro Handling Pipe Line) 및 리키드 돔(Liquid Dome), 가스돔(Gas Dome) 등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 하측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220)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거나 소각하기 위한 벤트 마스트(Vent Mast)(20)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와 간섭되지 않도록 공통 벤트 라인(Vent Line)(30)에 의해서 상기 부유 구조물(2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통 벤트 라인(Vent Line)(30)은 각 액화가스 저장탱크(220)와 연결되어 가스를 한곳으로 모아서 벤트 마스트(Vent Mast)(20)로 보내어 배출하거나 소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벤트 마스트(Vent Mast)(20)는 해상 구조물(210)의 선수 혹은 선미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30)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사시도로서, 마운팅 플레이트(33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유닛(340)은 복수 개의 사이드 서포트(331)와 센터 서포트(332)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서포트(332)는 2열로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서포트(331)는 선체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마운팅 플레이트(330) 상에 장착되는 발전모듈(M)의 하중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갯수와 재질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데크 평탄화 구조 및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를 보인 사시도로서, 마운팅 플레이트(43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유닛(440)은 복수 개의 사이드 서포트(431)와 센터 서포트(432)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서포트(432)는 2열로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10) 사이 및 양측으로 혼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서포트(431)는 선체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마운팅 플레이트(430) 상에 장착되는 발전모듈(M)의 하중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갯수와 재질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열 배치 LNG Tank 선박은 사다리꼴 데크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 노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강도가 아주 튼튼하지 않아 적재할 수 있는 장비 및 시스템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평평한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포트 유닛으로 지지하여 수천 톤의 발전모듈의 적재가 가능하여 데크 위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부유 액화가스 저장 발전 플랜트에서는 기존 카고 핸들링 장치는 그대로 활용하면서 발전모듈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판상체의 마운팅 플레이트를 설명하고 있으나, 격자형상의 마운팅 플레이트로도 변형 가능하며, 서포트의 형상 또한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10: 카고 핸들링 장치
20: 벤트 마스트
30: 공통 벤트 라인
100: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110: 부유 구조물
120: 액화가스 저장탱크
130: 마운팅 플레이트
140: 서포트 유닛
131: 사이드 서포트
132: 센터 서포트
200: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210: 부유 구조물
220: 액화가스 저장탱크
230: 마운팅 플레이트
231: 사이드 서포트
232: 센터 서포트
240: 서포트 유닛
D: 데크
D1: 메인 데크
D2: 트렁크 데크
M: 발전모듈

Claims (14)

  1. 부유 구조물의 내부에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 구조물의 데크 상측으로 그 데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마운팅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데크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서포트 유닛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되는 사이드 복수 개의 서포트; 및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부 가운데에 형성된 트렁크 데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터 서포트;를 포함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터 서포트는 적어도 1열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거나 소각하기 위한 벤트 마스트(Vent Mast)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공통 벤트 라인(Vent Line)에 의해서 상기 부유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
  8. 부유 구조물의 내부에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트렁크 데크가 형성되며, 서포트 유닛에 의해서 상기 트렁크 데크의 상측으로 마운팅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메인 데크 상에 설치되는 사이드 복수 개의 서포트; 및
    상기 트렁크 데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센터 서포트;를 포함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터 서포트는 적어도 1열 이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데크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사이에 카고 핸들링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고 핸들링 장치는 파이프 매니폴드, 카고 라인, 리키드 돔, 베이퍼 돔, 벤트 라인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에 있는 펌프타워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보수유지를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트렁크 데크로부터 7미터 내지 8미터의 높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데크 상으로 노출된 카고 핸들링 파이프 라인(Caro Handling Pipe Line), 리키드 돔(Liquid Dome), 및 가스 돔(Gas Dome)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거나 소각하기 위한 벤트 마스트(Vent Mast)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공통 벤트 라인(Vent Line)에 의해서 상기 부유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저장 발전 플랜트의 데크 평탄화 구조.
KR1020140041355A 2014-04-07 2014-04-07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KR10159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355A KR101599386B1 (ko) 2014-04-07 2014-04-07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PCT/KR2015/003162 WO2015156531A1 (ko) 2014-04-07 2015-03-31 데크 평탄화 구조 및 그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PH12016501916A PH12016501916A1 (en) 2014-04-07 2016-09-28 Deck flattening structure and floating storage power plant having said flatte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355A KR101599386B1 (ko) 2014-04-07 2014-04-07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293A true KR20150116293A (ko) 2015-10-15
KR101599386B1 KR101599386B1 (ko) 2016-03-03

Family

ID=5428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355A KR101599386B1 (ko) 2014-04-07 2014-04-07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99386B1 (ko)
PH (1) PH12016501916A1 (ko)
WO (1) WO2015156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3184A (zh) * 2016-01-12 2018-08-31 埃克赛勒瑞特液化解决方案公司 天然气液化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61B1 (ko) 2017-09-28 2019-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973373B1 (ko) 2017-09-28 2019-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045A (ko) * 2012-03-15 2012-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30075261A (ko) 2011-12-27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가스복합 발전플랜트의 연료를 이용한 열교환시스템
KR20140015231A (ko) 2013-12-30 2014-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형 해상 부유식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218A (ko) * 2010-06-30 2012-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구조
KR20120043911A (ko) * 2010-10-27 2012-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체이산화탄소 운반선의 벤트장치
KR101254674B1 (ko) * 2011-05-31 2013-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랜트 상부모듈의 구조
KR101335261B1 (ko) * 2011-12-22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101465714B1 (ko) * 2012-09-05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5261A (ko) 2011-12-27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가스복합 발전플랜트의 연료를 이용한 열교환시스템
KR20120031045A (ko) * 2012-03-15 2012-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40015231A (ko) 2013-12-30 2014-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형 해상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3184A (zh) * 2016-01-12 2018-08-31 埃克赛勒瑞特液化解决方案公司 天然气液化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6501916A1 (en) 2017-01-09
KR101599386B1 (ko) 2016-03-03
WO2015156531A1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35362B2 (en) Floating LNG plant
JP6067804B1 (ja)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及びその設計方法
US4202648A (en) Floating plant for offshore liquefaction, temporary storage and loading of LNG
US20170219166A1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NO327766B1 (no) Sylindrisk tank og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denne
JP2015013494A (ja) 長大海上浮体設備
KR10161869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KR101599386B1 (ko)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KR102248128B1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JP5863900B2 (ja) 液化ガス輸送船、及び、液化ガス輸送船の設計方法
KR20150059940A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20000973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1499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30021926A (ko) 액화천연가스 공급선박
KR20190105919A (ko) 족장장치
US20240109625A1 (en)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production of hydrogen and ammonia
KR102418133B1 (ko) Lng 캐리어 선형의 해상 부유물 및 그 해상 부유물 개조 방법
WO2020115805A1 (ja) 浮体設備
WO2005045307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structure having direct mooring for carriers
WO2023132821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plant on a power island
KR10149824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CA3234034A1 (en) Integrated production complex on a gravity-based structure (gbs)
KR101623108B1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배치구조
CN118103567A (zh) 基于重力结构(gbs)上的集成式生产综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