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205A -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205A
KR20150116205A KR1020140041112A KR20140041112A KR20150116205A KR 20150116205 A KR20150116205 A KR 20150116205A KR 1020140041112 A KR1020140041112 A KR 1020140041112A KR 20140041112 A KR20140041112 A KR 20140041112A KR 20150116205 A KR20150116205 A KR 2015011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ve
signal
set temperature
hold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793B1 (ko
Inventor
박광식
김영명
김영하
조운용
김경구
Original Assignee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793B1/ko
Priority to PCT/KR2015/003472 priority patent/WO2015156579A1/ko
Publication of KR2015011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렌지로 공급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도록 한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자동 소화 장치는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 렌지의 렌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고,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여 렌지의 구동을 차단한다.

Description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FUNCTION TO BLOCK DRIVING RANGE, AND METHOD FOR PREVENTING FI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가정에 설치된 렌지로 공급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소방법에 의해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이 소화기를 조작해야만 소화제가 분사되므로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해야하고, 화염으로 인해 소화기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며, 조작할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자동 소화 장치(시스템)가 개발되었다. 즉, 자동 소화 장치는 화재시 발생하는 고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시 소화기를 구동시켜 소화제를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분사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 소화 장치는 각 센서, 소화기 등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검침원이 각 센서 및 소화기의 상태를 점검하였다. 그에 따라,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의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점검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화재 발생시에도 화재를 소화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에서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렌지(예를 들면, 전기 렌지, 가스 렌지)가 설치된다. 렌지는 주거 생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반면, 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장시간 조리를 필요로 하는 음식물의 조리시 렌지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시간 자리를 비운 경우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졸아들어 수분이 모두 증발된다. 그에 따라, 조리용기의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진 경우에도 렌지의 점화 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렌지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설정시간이 지난 후에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하여 렌지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음식물의 조리상태와는 관계없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렌지의 구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전에 렌지의 구동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5581호(명칭: 타이머가 부착된 안전 가스레인지)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렌지로 공급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도록 한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는, 렌지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아크 감지부; 아크 감지부에서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 렌지의 렌지 온도를 감지하는 렌지 온도 감지부;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시간 측정부에서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렌지 구동 차단 신호가 발생하면 렌지의 구동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 개시 여부의 판단 기준인 설정온도 및 렌지의 구동 차단 신호 발생 여부의 판단 기준인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시간 측정부는 입력부에서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한 후,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재측정한다.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입력부는 사용자 감지부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초기화 신호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은, 기준 설정부에 의해,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아크 감지부에 의해, 렌지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렌지 온도 감지부에 의해,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 렌지의 렌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시간 측정부에 의해, 렌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차단부에 의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렌지 구동 차단 신호가 발생하면 렌지의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입력부에 의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시간 측정부에 의해,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측정중인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시간 측정부에 의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재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감지부에 의해,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입력부에 의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초기화 신호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은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렌지로 공급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렌지 및 렌지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은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에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중에 사용자 감지 또는 초기화 신호의 입력을 통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전에 렌지의 구동이 차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5의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이하, 자동 소화 장치)는 렌지가 설치된 특정 공간(즉, 주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렌지(즉, 가스 렌지 , 전기(인덕션)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면 렌지 구동을 차단하여 렌지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자동 소화 장치는 화재 발생 및 가스 누설에 대한 감지를 경보를 발생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소화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소화 장치(100)는 기준 설정부(105), 사용자 감지부(110), 입력부(115), 아크 감지부(120), 렌지 온도 감지부(125), 시간 측정부(130), 공간 온도 감지부(135), 가스 감지부(140), 제어부(145), 차단부(150), 소화부(155),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자동 소화 장치(100)의 각 구성은 각각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어 특정 공간(즉, 주방)에 설치되거나, 구성들이 결합하여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어 특정 공간(즉, 주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소화 장치(100)는 입력부(115), 사용자 감지부(110), 가스 감지부(140), 차단부(150), 소화부(155) 및 출력부(160)가 각각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고, 기준 설정부(105)와 시간 측정부(130) 및 제어부(145)가 결합하여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고, 아크 감지부(120), 렌지 온도 감지부(125) 및 공간 온도 감지부(135)가 결합하여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총 8개의 독립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기준 설정부(105)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설정값들을 설정한다. 이때, 기준 설정부(105)는 사용자 또는 제작사로부터 입력되는 수치를 이용하여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포함하는 설정값들을 설정한다. 여기서, 설정온도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의 측정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수치이고, 설정시간은 렌지의 구동 차단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수치이다.
사용자 감지부(110)는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한다. 즉, 사용자 감지부(110)는 렌지의 주변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 광센서, 열감지 센서 등의 센서로 구성되어,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한다. 사용자 감지부(110)는 렌지의 주변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입력부(115)에게로 전송한다.
입력부(115)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15)는 터치 패널, 버튼, 음성인식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부(115)는 사용자 감지부(110)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초기화 신호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입력부(115)는 입력받은 초기화 신호를 시간 측정부(130)에게로 전송한다.
입력부(115)는 자동 소화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감지부(110), 아크 감지부(120), 렌지 온도 감지부(125), 공간 온도 감지부(135), 가스 감지부(140), 차단부(150), 소화부(155) 및 출력부(160)의 구동 또는 정지를 위한 조작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15)는 입력받은 조작정보를 제어부(145)에게로 전송한다.
아크 감지부(120)는 렌지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즉, 아크 감지부(120)는 렌지의 주변에 설치되어 렌지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한다. 이때, 아크 감지부(120)는 가스 렌지의 화구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거나, 전기 렌지의 화구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면 불꽃 발생 신호를 발생하여 렌지 온도 감지부(125)에게로 전송한다.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렌지의 주변에 설치되고, 아크 감지부(120)의 불꽃 감지 여부를 근거로 렌지의 온도를 감지한다. 즉,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아크 감지부(120)에서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 렌지의 구동으로 판단하여 렌지 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렌지 자체의 온도 또는 렌지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렌지 온도로 감지한다.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소정 주기 간격으로 렌지 온도를 감지하고, 시간 측정부(130)에게로 감지한 렌지 온도를 전송한다.
시간 측정부(130)는 렌지 온도 감지부(125)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 및 기준 설정부(105)에서 설정된 설정온도를 근거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한다. 즉, 시간 측정부(130)는 렌지 온도 감지부(125)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의 측정을 개시한다. 시간 측정부(130)는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제어부(145)에게로 전송한다.
시간 측정부(130)는 입력부(115)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중인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한다. 즉, 시간 측정부(130)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중에 입력부(115)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0'으로 초기화한다. 시간 측정부(130)는 초기화를 완료한 후에도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의 측정을 재개한다. 시간 측정부(130)는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제어부(145)에게로 전송한다.
공간 온도 감지부(135)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즉, 고온)를 감지한다. 즉, 공간 온도 감지부(135)는 렌지가 설치된 싱크대의 후드 등과 같이 화재 발생 가능성이 큰 위치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열기를 감지한다. 이때, 공간 온도 감지부(135)는 기설정된 온도 범위 설정값에 따라 다단계의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공간 온도 감지부(135)는 제1온도 범위 설정값인 100℃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예비 화재 신호인 1차 신호를 발생하고, 제2온도 범위 설정값인 140℃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인 2차 신호를 발생한다.
가스 감지부(140)는 특정 공간에서의 가스를 감지한다. 즉, 가스 감지부(140)는 부엌 천장, 보일러실 등과 같이 가스를 사용하는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장치에서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가스 감지부(140)는 접촉연소식 검지 방법으로 LNG의 누설을 감지하고, 특정 공간의 가스 농도가 가스 누설 설정값인 대략 0.06% 내지 1.25% 정도이면 가스 누설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특정 공간에 전기(인덕션) 렌지가 설치된 경우 가스 감지부(140)는 구성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제어부(145)는 시간 측정부(130)에서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 및 기준 설정부(105)에서 설정된 설정시간을 근거로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145)는 시간 측정부(130)로부터 수신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45)는 발생한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차단부(150)에게로 전송한다.
제어부(145)는 공간 온도 감지부(135)로부터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45)는 공간 온도 감지부(135)로부터 1차 신호를 수신하면 예비 화재로 판단하여 화재 경보 신호를 발생하고, 2차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45)는 발생한 화재 경보 신호 또는 화재 발생 신호를 출력부(160)에게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145)는 2차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신호와 함께 렌지 구동 차단 신호 및 소화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145)는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여 렌지 구동을 차단하고, 소화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소화부(155)를 구동시켜 화재를 소화한다. 이때, 제어부(145)는 발생한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차단부(150)에게로 전송하고, 소화구동신호를 소화부(155)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45)는 가스 감지부(140)로부터 가스 누설 신호를 수신하면 가스 누설로 판단하여 렌지 구동 차단 신호 및 가스 누설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45)는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차단부(150)에게로 전송하고, 가스 누설 신호를 출력부(160)에게로 전송한다.
제어부(145)는 소화 설비들의 현재 상태를 감지한다. 즉, 제어부(145)는 공간 온도 감지부(135), 가스 감지부(140), 차단부(150), 소화부(155) 등의 소화 설비들과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현재 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145)는 감지한 소화 설비들의 현재 상태를 출력부(160)에게로 전송한다.
제어부(145)는 입력부(115)로부터 수신한 조작정보를 근거로 자동 소화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5)는 입력부(115)로부터 수신한 조작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감지부(110), 아크 감지부(120), 렌지 온도 감지부(125), 공간 온도 감지부(135), 가스 감지부(140), 차단부(150), 소화부(155) 및 출력부(16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킨다.
차단부(150)는 제어부(145)로부터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렌지의 구동을 차단한다. 이때, 차단부(150)는 렌지에 연결된 가스 공급관에 설치되는 가스 차단기, 또는 렌지에 연결된 전력선에 설치되는 전력 차단기로 구성된다. 차단부(150)는 제어부(145)로부터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렌지로 공급되는 가스 또는 전력을 차단하여 렌지의 구동을 차단한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지(200)가 전기(인덕션) 렌지로 구성된 경우, 차단부(150)는 렌지(200)에 연결된 전력선(220)과 콘센트(320)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부(145)의 제어신호 발생시 전력선(220)과 콘센트(320)의 연결을 차단하여 렌지(200)의 구동을 차단한다.
다른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지(200)가 가스 렌지로 구성된 경우, 차단부(150)는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예를 들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시 가스밸브(152)를 폐쇄함으로써, 가스공급관(340)을 통해 렌지(200)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여 렌지(200)의 구동을 차단한다.
소화부(155)는 화재 발생시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내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즉, 소화부(155)는 제어부(145)에서 화재 감지에 따른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방출구를 통해 내장된 소화 약제를 화재 발생 위치로 방출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예를 들면, 소화부(155)에는 대략 0.8L 정도의 강화액(K2CO3)을 소화 약제로 내장하고, 제어신호 발생시 방출구를 통해 소화 약제를 방출하여 대략 0.04㎡ 정도의 면적에 방출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출력부(160)는 제어부(145)로부터 소화 설비들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즉, 출력부(160)는 기준 설정부(105), 사용자 감지부(110), 아크 감지부(120), 렌지 온도 감지부(125), 공간 온도 감지부(135), 가스 감지부(140), 차단부(150), 소화부(155) 등의 소화 설비들의 상태 정보를 제어부(145)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60)는 LAN, RS-232 등의 통신장치를 통해 제어부(145)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램프, LED 등의 점멸, 색상 변화 등을 통해 각 소화 설비들의 현재 상태를 표시한다.
출력부(160)는 제어부(145)로부터 화재 경보 신호, 화재 발생 신호 및 가스 누설 신호 중에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면 램프 점멸, 경보 화면(텍스트, 이미지) 출력, 경보음 발생 등을 통해 화재경보, 화재발생 및 가스누설을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준 설정부(105)는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설정한다(S100). 기준 설정부(105)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의 측정 개시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설정온도, 및 렌지의 구동 차단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설정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기준 설정부(105)는 사용자 또는 제작사로부터 입력되는 수치를 이용하여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설정한다.
아크 감지부(120)는 렌지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아크 감지부(120)는 가스 렌지의 화구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거나, 전기 렌지의 화구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한다. 아크 감지부(120)에서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S200; 예),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렌지의 렌지 온도를 감지한다(S300). 이때,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렌지 자체의 온도 또는 렌지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렌지 온도로 감지한다. 렌지 온도 감지부(125)는 소정 주기 간격으로 렌지 온도를 감지한다.
S300 단계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S400; 예), 시간 측정부(130)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한다(S500). 즉, 시간 측정부(130)는 S300 단계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의 측정을 개시한다. 이를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시간 측정부(130)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고(S510), 사용자 감지부(110)는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한다(S530). 이때, 사용자 감지부(110)는 렌지의 주변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입력부(115)는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직접 입력받거나, S530 단계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초기화 신호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S550; 예), 시간 측정부(130)는 측정중인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한다(S570). 즉, 시간 측정부(130)는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중에 입력부(115)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0'으로 초기화한다.
시간 측정부(130)는 초기화를 완료한 후에도 설정온도 유지시간의 측정을 재개한다(S590).
S500 단계에서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S600; 예), 제어부(145)는 렌지 구동을 차단한다(S700). 즉, 제어부(145)는 시간 측정부(130)로부터 수신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45)는 발생한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차단부(15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차단부(150)는 렌지로 공급되는 가스 또는 전력을 차단하여 렌지의 구동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은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를 설정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렌지로 공급되는 전기 또는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렌지 및 렌지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은 렌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상태에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중에 사용자 감지 또는 초기화 신호의 입력을 통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전에 렌지의 구동이 차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자동 소화 장치 105: 기준 설정부
110: 사용자 감지부 115: 입력부
120: 아크 감지부 125: 렌지 온도 감지부
130: 시간 측정부 135: 공간 온도 감지부
140: 가스 감지부 145: 제어부
150: 차단부 155: 소화부
160: 출력부

Claims (7)

  1. 렌지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아크 감지부;
    상기 아크 감지부에서 상기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 상기 렌지의 렌지 온도를 감지하는 렌지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상기 시간 측정부에서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렌지 구동 차단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렌지의 구동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 개시 여부의 판단 기준인 상기 설정온도 및 상기 렌지의 구동 차단 신호 발생 여부의 판단 기준인 상기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기준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측정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한 후,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재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감지부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초기화 신호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5. 기준 설정부에 의해,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아크 감지부에 의해, 렌지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렌지 온도 감지부에 의해, 상기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렌지의 불꽃을 감지하면 상기 렌지의 렌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시간 측정부에 의해, 상기 렌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한 렌지 온도가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이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한 설정온도 유지시간이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차단부에 의해, 상기 렌지 구동 차단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렌지 구동 차단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렌지의 구동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입력부에 의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간 측정부에 의해, 상기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측정중인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측정부에 의해, 설정온도 유지시간을 재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감지부에 의해, 상기 렌지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면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초기화 신호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KR1020140041112A 2014-04-07 2014-04-07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KR10158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12A KR101584793B1 (ko) 2014-04-07 2014-04-07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PCT/KR2015/003472 WO2015156579A1 (ko) 2014-04-07 2015-04-07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12A KR101584793B1 (ko) 2014-04-07 2014-04-07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205A true KR20150116205A (ko) 2015-10-15
KR101584793B1 KR101584793B1 (ko) 2016-01-12

Family

ID=5428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112A KR101584793B1 (ko) 2014-04-07 2014-04-07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4793B1 (ko)
WO (1) WO2015156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516B1 (ko) * 2023-01-18 2023-09-06 삼우금속개발(주) 과열감지 및 자리비움 감지를 통한 열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33B1 (ko) * 2020-03-10 2020-11-03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952A (ja) * 1999-09-22 2001-04-03 Osaka Gas Co Ltd ガスコンロ
KR20100085455A (ko) * 2009-01-20 2010-07-2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101240190B1 (ko) * 2010-11-12 2013-03-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판 유리 파손 방지를 위한 가스 레인지의 안전제어방법
KR20120053581A (ko) * 2010-11-18 2012-05-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 레인지의 불꽃 자동 조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516B1 (ko) * 2023-01-18 2023-09-06 삼우금속개발(주) 과열감지 및 자리비움 감지를 통한 열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793B1 (ko) 2016-01-12
WO2015156579A1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338B1 (ko)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183329B1 (ko) Iot기반 생체인식형 가스안전 차단시스템
AU2016204476A1 (en) Supervision and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poor air quality and fire as well as issuing an alarm of a dangerous condition
KR102228284B1 (ko) Iot 기반의 음성인식 가스안전 차단시스템
KR20060129774A (ko) 자동 소화기와 환기장치 내장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의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22914A1 (ko) 가스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차단방법
KR20160004022A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KR20130015056A (ko) 화재진압장치
KR101713232B1 (ko) 상업용 자동 소화 장치
KR101584793B1 (ko)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287453A (ja) 加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3570831B (zh) 一种一体化无线蓝牙燃气泄漏报警与安全联动装置
CN105650690A (zh) 厨房防火系统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102252479B1 (ko) 주방소화장치의 무선경보 및 음성경보시스템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045411B1 (ko) 전등기구에 적용 가능한 화재 감지 장치
KR101363837B1 (ko)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85874B2 (ja) ガス機器及びその消火システム
JP2008267774A (ja) ガス器具誤使用防止自動遮断装置
KR101459055B1 (ko)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구비된 가스레인지 및 그 동작방법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CN110822720B (zh) 一种壁挂炉安全故障的控制方法
KR101890607B1 (ko)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