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195A - 액화연료 탱크 - Google Patents

액화연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195A
KR20150116195A KR1020140041073A KR20140041073A KR20150116195A KR 20150116195 A KR20150116195 A KR 20150116195A KR 1020140041073 A KR1020140041073 A KR 1020140041073A KR 20140041073 A KR20140041073 A KR 20140041073A KR 20150116195 A KR20150116195 A KR 20150116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shing
tank
liquefied fuel
fuel tank
conn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6376B1 (ko
Inventor
이도영
송길달
이원두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3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연료 탱크는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는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바디부 및 일측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액화연료의 슬로싱 발생시 탄성변형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연료 탱크 {Liquefied Fuel Tank}
본 발명은 액화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액화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액화연료 탱크를 통해 운반된다. 하지만 운반과정에서 액화연료와 액화연료 탱크 사이에 슬로싱(sloshing)이 발생될 수 있다.
슬로싱은 선박의 액화연료 탱크로 운반되는 액화연료가 요동치며 액화연료 탱크의 내부표면을 치는 현상이며, 액화연료 탱크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슬로싱은 액화연료가 액화연료 탱크 용량의 25% 혹은 75%까지 채워질 때 가장 크고, 액화연료가 액화연료 탱크 용량의 0% 혹은 100%까지 채워질 때 가장 작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액화연료의 양과 상관없이, 액화연료는 액화연료 탱크 용량의 100%인 상태로 운반되고 있으며, 액화연료 운반에 대한 효율성과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슬로싱 저감장치는 단단한 재질 및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로싱 저감장치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로싱 저감장치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슬로싱을 저감하는 슬로싱 저감장치가 고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90364 (공개일 : 2010년 08월 16일)
본 발명은 슬로싱을 저감하는 액화연료 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변형 할 수 있는 슬로싱 저감장치를 포함한 액화연료 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화연료 탱크의 구조에 맞추어 무게가 조절되는 슬로싱 저감장치를 포함한 액화연료 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바디부 및 일측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액화연료의 슬로싱 발생시 탄성변형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하는 액화연료 탱크가 제공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구비된 내조,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조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제1 연결 지점의 맞은 편에 있는 상기 내조 내측면의 제2 연결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구비된 내조,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고정된 보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조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제1 연결 지점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상기 내조 내측면의 제2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조와 연결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보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복수개의 단위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저감부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저감부의 타측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로싱 저감부의 끝 단에 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화연료 탱크는, 슬로싱 저감부를 형성하여 슬로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화연료 탱크의 슬로싱 저감부는, 탄성변형을 하여 슬로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화연료 탱크의 슬로싱 저감부는, 추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액화연료 탱크의 구조에 따라 추의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액화연교 탱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액화연교 탱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슬로싱 저감부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때 도 1의 액화연료 탱크는 단일 구조의 액화연료 탱크에 해당되고, 도 2의 액화연료 탱크는 이중 구조의 액화연료 탱크에 해당된다. 또한, 도 3의 액화연료 탱크는 보조부재를 추가한 이중구조의 액화연료 탱크에 해당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는 바디부(100) 및 슬로싱 저감부(20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액화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슬로싱 저감부(200)는, 바디부(100)의 내측면에 고정된 일측과 바디부(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된 타측을 포함한다. 이 때 슬로싱 저감부(200)는 액화연료의 슬로싱 발생시 탄성변형을 할 수 있다.
슬로싱은 유체와 유체를 담고 있는 용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운동을 말하며, 액화연료 운송시 바디부(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슬로싱 현상은 액화연료 탱크에 충격력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슬로싱 저감부(200) 역시 슬로싱의 영향으로 파손될 수 있다.
이 때, 슬로싱 저감부(200)는 슬로싱과 같은 외력을 인가받으면 변형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변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슬로싱 저감부(200)의 탄성변형을 통해 액화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슬로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슬로싱 저감부(200)는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슬로싱 저감부(200)의 양측이 고정된 경우, 슬로싱에 따라 고정된 부위의 응력이 증가하여 슬로싱 저감부(200) 및 바디부(100)가 파손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슬로싱 저감부(200)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분리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를 지니고 이에 따라 휨 모멘트가 슬로싱 저감부(200)에 발생하므로 슬로싱에 따른 파손 위험성이 줄어들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액화연교 탱크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외조(110), 내조(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조(120)는 외조(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연결부(130)는 내조(120)와 외조(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30)는 제1 연결 지점(A1)에서 내조(120)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슬로싱 저감부(200)는 제 1 연결지점의 맞은 편에 있는 내조 내측면의 제2 연결 지점(A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30)와 슬로싱 저감부(200)는 연결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연결부(130)는 슬로싱 저감부(20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반면에 슬로싱 저감부(200)가 연결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응력이 연결부(130)로 분산되지 못하기 때문에, 내조(120)와 함께 슬로싱 저감부(200)가 파손될 수 있다.
연결부(130)와 내조(120)는 제1 연결 지점(A1)에서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내조(120)와 슬로싱 저감부(200) 역시 제2 연결 지점(A2)에서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이 부분 확대도로서, 도 3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외조(110), 내조(120), 연결부(130) 및 보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조(120)는 외조(110) 내부에 구비되고, 연결부는 내조(120)와 외조(11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140)는 연결부(130) 및 내조(1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30)는 제1 연결 지점(A1)에서 내조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보조부재(140)는 제1 연결 지점(A1)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내조(120) 내측면의 제2 연결 지점(A2')에서 내조(120)와 연결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부(200)는 보조부재(14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로싱 저감부(200)가 외조(110)에 비해 두께가 얇은 내조(120)에 용접되는 경우, 용접과정이나 슬로싱이 발생할 때 내조의 파손과 같은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조부재(140)를 내조(120)에 연결하여 내조(120)를 보강할 수 있다.
내조(110)와 보조부재(140)는 제 2연결지점(A2)에서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연결지점(A2)이 아닌 구역은 연결부(130)가 없고 내조(120)는 외조(110)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보조부재(140)가 없는 내조(120)는 용접이 되는 과정에서 파괴될 수 있다.
이때, 슬로싱 저감부(200)는 제2 연결 지점(A2)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보조 부재의 제3 연결 지점(A3)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30)와 내조(120)는 제1 연결 지점(A1)에서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내조(120)와 보조부재(140)는 제2 연결 지점(A2)에서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슬로싱 저감부(200)와 연결부(130)는 제3 연결 지점(A3)에서 용접 또는 볼팅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30)와 슬로싱 저감부(200)는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슬로싱 저감부(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탱해 주기 때문에, 보조부재(140)와 슬로싱 저감부(200)의 연결에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슬로싱 저감부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로싱 저감부(200)의 정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의 슬로싱 저감부(200)는 보조부재(140)에 연결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의 바디부(100)의 내측면이나 도 2의 내조(12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의 슬로싱 저감부(200)는 복수 개의 단위 저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단위 저감부(300)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슬로싱이 발생할 경우, 단위 저감부(300)는 슬로싱을 저감하고, 서로 이격된 타측은 이격된 부분으로 일부의 액화연료를 흐르게하여, 슬로싱을 저감하면서, 슬로싱에 의해 슬로싱 저감부(200)가 파손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단위 저감부(300)의 길이(d)는 서로 같고, 서로 인접한 단위 저감부(300)들 사이의 거리(L1, L2, L3)는 서로 같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싱 저감부(200)는 복수 개의 구멍(410)이 형성된 플레이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400)는 탄성변형을 통해 슬로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액화연료가 복수개의 구멍(410) 사이로 흐르기 때문에, 플레이트부(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400)에 위치한 복수 개의 구멍(410)의 크기는 같고, 인접한 복수 개의 구멍(410) 사이의 거리들(L4, L5, L6, L7, L8, L9)은 서로 같을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의 경우, 추(500)가 슬로싱 저감부(200)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추(500)를 이용하여 슬로싱 저감부(200)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액화연료 탱크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추(500)의 무게를 다르게 하여 슬로싱 저감부(200)의 탄성변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 탱크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부(200)의 끝 단은 액화연료가 상기 바디부(100)의 20%까지 채워질 때, 액화연료의 표면 또는 표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슬로싱은, 액화연료가 상기 바디부(100)의 25% 혹은 75%까지 채워질 때 가장 크기 때문에, 슬로싱 저감부(200)의 끝 단은 액화연료가 상기 바디부(100)의 20%까지 채워질 때, 액화연료의 표면 또는 표면 아래에 위치하여 슬로싱을 방지 할 수 있다.
슬로싱 저감부(20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망간 함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망간 함유 금속은 액화연료의 낮은 온도를 견디므로 액화연료 탱크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바디부 110: 외조
120: 내조 130: 연결부
140: 보조부재 200: 슬로싱 저감부
300: 단위 저감부 400: 플레이트부
410: 구멍 500: 추

Claims (6)

  1.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바디부; 및
    일측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액화연료의 슬로싱 발생시 탄성변형되는 슬로싱 저감부;를 포함하는 액화연료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구비된 내조,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조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제1 연결 지점의 맞은 편에 있는 상기 내조 내측면의 제2 연결 지점에 연결되는 액화연료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외조, 상기 외조 내부에 구비된 내조,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고정된 보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조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제1 연결 지점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상기 내조 내측면의 제2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조와 연결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상기 보조부재에 연결되는 액화연료 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복수개의 단위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저감부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저감부의 타측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액화연료 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부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액화연료 탱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부의 끝 단에 추가 구비된 액화연료 탱크.
KR1020140041073A 2014-04-07 2014-04-07 액화연료 탱크 KR10161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073A KR101616376B1 (ko) 2014-04-07 2014-04-07 액화연료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073A KR101616376B1 (ko) 2014-04-07 2014-04-07 액화연료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195A true KR20150116195A (ko) 2015-10-15
KR101616376B1 KR101616376B1 (ko) 2016-04-28

Family

ID=5435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073A KR101616376B1 (ko) 2014-04-07 2014-04-07 액화연료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3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940A (ko) * 2016-12-28 2018-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JP2020189680A (ja) * 2019-05-23 2020-11-26 株式会社丸山製作所 液体タンク装置
WO2023079644A1 (ja) * 2021-11-04 2023-05-11 三菱造船株式会社 タンク、船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12B1 (ko) * 2019-01-18 2019-09-11 (주)베셀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의 방파구조
KR102324145B1 (ko) * 2021-01-15 2021-11-10 (주)씨웨이테크 부유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314A (ko) * 2001-12-18 2003-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선의 카고 탱크 구조
KR20100035892A (ko) * 2008-09-29 2010-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저장용 화물창
KR20100090364A (ko) 2009-02-06 2010-08-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용 부력캡이 설치된 액체화물 운반선 화물창
KR20100129521A (ko) * 2009-06-01 201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감소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KR20150022557A (ko) * 2013-08-23 2015-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용 펌프타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314A (ko) * 2001-12-18 2003-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선의 카고 탱크 구조
KR20100035892A (ko) * 2008-09-29 2010-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체 저장용 화물창
KR20100090364A (ko) 2009-02-06 2010-08-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용 부력캡이 설치된 액체화물 운반선 화물창
KR20100129521A (ko) * 2009-06-01 201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감소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KR20150022557A (ko) * 2013-08-23 2015-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용 펌프타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940A (ko) * 2016-12-28 2018-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JP2020189680A (ja) * 2019-05-23 2020-11-26 株式会社丸山製作所 液体タンク装置
WO2023079644A1 (ja) * 2021-11-04 2023-05-11 三菱造船株式会社 タンク、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376B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376B1 (ko) 액화연료 탱크
KR20130033003A (ko) 펌프 타워
KR10129165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펌프타워 구조체
KR20120002218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구조
KR102581424B1 (ko) 보강 구역을 포함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체 기밀식 용기 벽
EP2974953A1 (en) Independent tank with curvature change s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ndependent tank
KR20150069084A (ko) Lng 저장탱크의 펌프 타워 구조체
EP3090963B1 (en) Fluid storage tank
KR101670869B1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CN106005271B (zh) 液化气体收容罐及船舶
KR20160061096A (ko) 액체저장탱크
KR10129165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펌프타워 구조체
KR100993931B1 (ko) 혼합 화물창을 갖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101523902B1 (ko)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KR101076267B1 (ko) 중간적재 가능 탱크를 갖춘 부유식 구조물
KR20090110490A (ko) 슬러싱 저감 기능을 갖는 선박용 lng 저장탱크 구조
KR200471516Y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시스템
KR101022408B1 (ko)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복수의 저장탱크를 구비한 해상 구조물 및 상기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
KR20170027991A (ko) 펌프타워
KR101372865B1 (ko) 슬로싱 저감형 lng 카고 탱크
KR20130140246A (ko) 슬로싱 저감을 위한 배플 플레이트 구조
KR102291921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제조 작업용 개구 배치구조
KR20110026867A (ko) 이송 파이프 라인을 갖춘 부유식 구조물
KR101022409B1 (ko) 중간적재 가능 탱크를 갖춘 부유식 구조물
KR102190354B1 (ko) 초저온 저장탱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