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10A -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 Google Patents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10A
KR20150116010A KR1020140040011A KR20140040011A KR20150116010A KR 20150116010 A KR20150116010 A KR 20150116010A KR 1020140040011 A KR1020140040011 A KR 1020140040011A KR 20140040011 A KR20140040011 A KR 20140040011A KR 20150116010 A KR20150116010 A KR 2015011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put terminal
jumper bar
terminal
np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104B1 (ko
Inventor
박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14004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0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09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드변환 점퍼바의 위치 변경만으로 NPN, PNP 전원전압 모드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LC 등의 각종 출력기기와 사용자의 부하측 입출력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 있어서, PLC 등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부, 부하측 입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출력 단자부, 상기 입력단자부와, 출력 단자부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회로부, 전원인가 방향에 따라 NPN형 모드와 PNP형 모드로 동작되며, 릴레이 부하측 신호가 인가되는 출력 단자부의 쇼트(Common)가 가능한 구조와, NPN 및 PNP형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모드변환 점퍼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CONVERTABLE RELAY MOUNTING TERMINAL BLOCK BETWEEN NPN MODE AND PNP MODE}
본 발명은 PLC와 같이 복수의 제어회로를 갖추고 있는 제어기기의 각 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로 각각에 대응된 릴레이를 구동시켜 부하측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제어회로의 출력방식이 PNP 오픈 컬렉터형 또는 NPN 오픈 컬렉터형으로 이루어진 제어기기에서 모드변환 점퍼바의 위치 변경만으로 출력방식에 맞게 전환할 수 있는 PNP형과 NPN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는 PLC 또는 각종 전자기기와 같은 제어기기(이하 '제어기기'라 함)의 출력을 각종 출력기기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 기기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는 기본적으로 제어기기측 출력단과 연결되는 입력단자부, 부하측 기기와 연결되는 출력 단자부,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부로 수신되는 제어기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기계적인 접점의 접속상태가 변경되는 릴레이, 상기 제어기기와 부하측 기기의 상태변화를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엘이디(LED) 등의 발광소자로 구성된 표시부 등 다수의 인터페이스회로부가 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입력단자부에 연결되는 제어기기는 그 출력단에 PNP형의 트랜지스터가 사용된 PNP 오픈 컬렉터형 제어기기와 NPN형의 트랜지스터가 사용된 NPN 오픈 컬렉터형 제어기기로 나뉘어진다.
PNP 오픈 컬렉터형 제어기기의 출력단에서는 상시 0V 로우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다가, 제어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24V 하이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전환되는 한편, NPN 오픈 컬렉터형 제어기기의 출력단에서는 상시 24V 하이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다가, 제어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0V 로우 상태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전환된다.
이와 같이, NPN형과 PNP형 제어기기는 출력단에 설치되는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그 상태변화를 하이신호에서 로우신호로 또는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서로 반대로 변화시켜 출력하기 때문에,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의 입력단자부에 연결될 제어기기의 출력형식에 따라 동작 방식이 달라서 공용으로 제작이 어려워서 제어기기의 출력방식에 맞게 미리 전용으로 제작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사용자 측면에서도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의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를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용도에 ??게 배선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는 제어기기의 다수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다수의 부하측 기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터페이스회로부가 구비되어 있고, 각 인터페이스회로부의 입력측에는 제어기기측의 전원단이나 접지단에 연결되는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를 제어기기측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가 PNP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극입력단자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음극입력단자에 접지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되는 한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가 NPN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극입력단자에 하이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음극입력단자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 구비되어 있는 각 인터페이스회로부를 제어기기와 연결할 때 인터페이스회로부의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를 제어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각각 2개의 배선을 연결하여야 하는바, 예컨대 4개의 인터페이스회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8개의 배선을 연결하여야 함으로 배선수가 많아 배선작업이 복잡하고, 또한 터미널 단자대를 PNP형에서 NPN형으로 전환하거나 NPN형에서 PNP형으로 전환하는 경우 극성 변경을 위해 모든 배선의 위치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266262호(2013년2월22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입력측에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인터페이스회로부를 다수 구비하고 릴레이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에서 하나의 공통접속용 모드변환 점퍼바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회로부의 양극입력단자 전체 또는 음극입력단자 전체를 일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변환 점퍼바로 인터페이스회로부의 양극입력단자 전체를 체결하면 릴레이장착형 터미널 단자대가 NPN모드로 동작되게 하는 한편, 상기 모드변환 점퍼바로 인터페이스회로부의 음극입력단자 전체를 체결하면 릴레이장착형 터미널 단자대가 PNP모드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한,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각 인터페이스회로부의 양극입력단자 또는 음극입력단자를 모드변환 점퍼바로 체결하지 않으면 각 인터페이스회로부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된,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는,
제어기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 한쌍의 입력측 터미널블럭이 다수개 구비되는 입력단자부; 부하측 출력기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출력 단자부; 상기 입력단자부와 출력 단자부 사이에 연결되어 릴레이의 접속상태에 따라 제어기기의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인터페이스회로부; 상기 입력단자부의 양극입력단자를 일체로 체결하여 NPN 모드로 동작되게 하거나 음극입력단자를 일체로 체결하여 PNP 모드로 동작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변환 점퍼바;를 포함하여, 모드변환 점퍼바의 접속상태에 따라 인터페이스회로부가 PNP모드, NPN모드 또는 개별 모드로 동작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는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입력측 터미널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 사이에는 상기 입력측 터미널블럭에 연결되는 제어기기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와 릴레이의 구동코일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의 접점 양단에는 출력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양극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양극라인과 상기 음극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음극라인에는 모드변환 점퍼바가 체결되는 점퍼바 컨택트 핀이 각각 연결되어, 양극라인에 연결되는 점퍼바 컨택트 핀 또는 양극라인에 연결되는 점퍼바 컨택트 핀이 선택적으로 점파바에 체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는, 하부베이스;
제어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양극입력단자용 터미널블럭과 음극입력단자용 터미널블럭 그리고 부하측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출력단자 터미널블럭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점퍼바 체결홈이 형성되고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의 점퍼바 컨택트 핀;
릴레이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의 릴레이소켓핀;
상기 점퍼바 컨택트 핀 중에서 양극입력단자와 연결된 점퍼바 컨택트 핀 또는 음극입력단자와 연결된 점퍼바 컨택트 핀에 선택적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NPN 또는 PNP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변환 점퍼바;
제어기기 출력신호의 상태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양극입력단자 및 음극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엘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측으로는 NPN모드 접속용 점퍼바 컨택트 핀과 PNP모드 접속용 점퍼바 컨택트 핀이 관통결합되어 상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모드변환 점퍼바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점퍼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점퍼홀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 인접 표면에는 NPN의 모드식별문자가 표기되는 한편 반대측 끝단 인접 표면에는 PNP의 모드식별문자가 표기되어, 상기 모드변환 점퍼바의 모드선택 결합에 따라 선택된 모드의 모드식별문자가 노출되고 선택되지 않은 모드의 모드식별문자가 은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변환 점퍼바의 전환만으로 제어기기의 출력 형태가 NPN 타입이든 PNP 타입이든 제어기기의 출력 형태에 맞춰 간단하게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방식의 통일화로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회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터미널 단자대에서 각 인터페이스회로부를 사용자가 임의로 NPN 또는 PNP 모드로 일괄 변경하여 사용하거나, 단일의 터미널 단자대에서 인터페이스회로부별로 언제든지 독립적인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의 커버 및 점퍼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의 분해사시도,
도 4 (a)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의 NPN형으로의 전환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PNP형으로의 전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단자대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회로부(30)는 예컨대 4개의 인터페이스회로(31~34)가 구비되어 있고, 각 인터페이스회로(31~34)의 입력측에는 PLC 등의 각종 제어기기의 출력측 터미널블럭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이 구비되어 있는 입력단자부(10)가 연결되며, 출력측에는 부하측 출력기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출력측 터미널블럭(21~24)가 구비되어 있는 출력단자부(2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회로(31~34)와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 및 출력측 터미널블럭(21~24)의 수는 편의상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임의로 변경가능한 것이다.
상기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은 각각 양극입력단자(11a~14a)와 음극입력단자(11b~1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양극입력단자(11a~14a)에는 각각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이 연결되어 있고, 음극입력단자(11b~14b)에도 각각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 또는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모드변환 점퍼바(35)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인터페이스회로부(30)가 NPN모드 또는 PNP모드로 동작되게 한다. 상기의 모드변환 점퍼바(35)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 또는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에 일체로 체결가능하게 구성되어 모드변환 점퍼바(35)만의 이동체결을 통해 편리하게 NPN모드 또는 PNP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아울러, 각 인터페이스회로(31~34)를 구동하고자 할 때 제어기기와 각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 간에 전원라인과 제어신호라인을 각각 별도로 배선하여야 하는바, 모든 인터페이스회로(31~34)를 NPN모드 또는 PNP모드 중에서 동일한 모드로 사용하고자 할 때 각 인터페이스회로(31~34)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전원라인을 제이기기측과 개별적으로 배선하지 않고 터미널 단자대에서 간편하게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기기측과 터미널 단자대간에 배선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각 인터페이스회로(31~34)에서 양극입력단자(11a~14a)와 음극입력단자(11b~14b) 사이에는 전류제한용 저항(R1~R4)과 엘이디(LED1~LED4)가 순방향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릴레이(RY1~RY4)의 코일이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릴레이(RY1~RY4)의 코일 양단에 전압흡수용 다이오드(D5~D8)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입력단자(11b~14b)측에는 역접속 방지 다이오드(D1~D4)가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RY1~RY4)의 접점 양단에는 양극출력단자(21a~24a)와 음극출력단자(21b~24b)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양극출력단자(21a~24a)에는 점퍼바 컨택트 핀(31c~34c)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점퍼바 컨택트 핀(31c~34c)에는 출력측 점퍼바(36)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출력측 점퍼바(36)의 체결시 상기 점퍼바 컨택트 핀(31c~34c)이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출력측 점퍼바(36)의 체결은 인터페이스회로(31~34) 중에서 하나의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공동된 출력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기기와 터미널 단자대간에 배선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에는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30)를 NPN 모드 및 PNP 모드로 연결하는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NPN 모드로의 연결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NPN 모드로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모드변환 점퍼바(35)를 양극입력단자(11a~14a)에 연결되어 있는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에 체결하고, 입력단자부(10)에서는 양극입력단자(11a~14a)와 제어기기간에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한편 음극입력단자(11b~14b)와 제어기기 사이에 제어신호라인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어기기가 NPN모드 기기인 경우 출력단이 NPN오픈컬렉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어신호라인에서는 평상시에 예컨대 24V 하이신호를 유지하고 상태변화시 OV의 로우신호를 유지한다.
특히 양극입력단자(11a~14a)와 제어기기간에 전원라인을 연결할 때 각 양극입력단자(11a~14a)들은 모드변환 점퍼바(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극입력단자(11a~14a)중 하나의 단자에만 제어기기측의 전원라인을 연결하면 되므로 인터페이스부(30)간에 연결되는 배선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NPN 모드에서 평상시에는 양극입력단자(11a~14a)에 전원라인의 하이신호가 입력되고 음극입력단자(11b~14b)에도 제어신호라인의 하이신호가 입력되므로 엘이디(LED1~LED4)는 소등상태에 있고 릴레이(RY1~RY4)도 비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만일 제어기기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면 양극입력단자(11a~14a)에 전원라인의 하이신호가 입력되고 음극입력단자(11b~14b)에는 제어신호라인의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엘이디(LED1~LED4)는 점등되고 릴레이(RY1~RY4)도 작동되어 릴레이 접점상태를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기기의 출력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고 또한 부하측에서는 제어기기의 출력상태에 대응된 동작이 제어된다.
다음에는 PNP 모드로의 연결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PNP 모드로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모드변환 점퍼바(35)를 음극입력단자(11b~14b)에 연결되어 있는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에 체결하고, 입력단자부(10)에서는 양극입력단자(11a~14a)와 제어기기간에 제어신호라인을 연결하는 한편 음극입력단자(11b~14b)와 제어기기 사이에 그라운드 전원라인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어기기가 PNP모드 기기인 경우 출력단이 PNP오픈컬렉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어신호라인에서는 평상시에 예컨대 0V 로우신호를 유지하고 상태변화 시 24V의 하이신호를 유지한다.
특히 음극입력단자(11b~14b)와 제어기기간에 그라운드라인을 연결할 때 각 음극입력단자(11b~14b)들은 모드변환 점퍼바(3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음극입력단자(11b~14b)중 하나의 단자에만 제어기기측의 그라운드라인을 연결하면 되므로 인터페이스부(30)간에 연결되는 배선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PNP 모드에서 평상시에는 양극입력단자(11a~14a)에 제어신호라인의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음극입력단자(11b~14b)에는 그라운드신호가 입력되므로 엘이디(LED1~LED4)는 소등상태에 있고 릴레이(RY1~RY4)도 비작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만일 제어기기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면 양극입력단자(11a~14a)에 제어신호전원라인의 하이신호가 입력되고 음극입력단자(11b~14b)에는 제어신호라인의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엘이디(LED1~LED4)는 점등되고 릴레이(RY1~RY4)도 작동되어 릴레이 접점상태를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기기의 출력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고 또한 부하측에서는 제어기기의 출력상태에 대응된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에서 음극입력단자(11b~14b)나 양극입력단자(11a~14a)에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태가 변경되는 제어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회로만 작동됨은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저항(R1~R4)은 엘이디(LED1~LED4)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엘이디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다이오드(D5~D8)는 릴레이(RY1~RY4)가 구동되었다가 오프될 때 엘이디(LED1~LED4)로 흐를 수 있는 서지전압을 흡수하여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다이오드(D1~D4)는 사용자가 제어기기로부터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잘못 연결하는 경우 인터페이스회로부(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회로부(30)는 모드변환 점퍼바(35)를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이나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에 이동체결하기만 하여도 인터페이스회로부(30)의 작동모드를 NPN모드 또는 PNP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기와 같이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회로부가 탑재된 터미널 단자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1)는 입력측에 PLC 등의 제어기기가 연결되고 출력측에 임의의 부하측 기기가 연결되는 단자대로서, 예컨대 입력측과 출력측에는 스프링 타입 단자대인 입력단자부(10)와 출력단자부(20)가 배치되고, 입력단자부(10)와 출력단자부(20) 사이에는 제어기기의 출력형식에 따라 PNP모드 또는 NPN모드로 전환하여 입력신호를 부하측에 맞게 전환시켜 주는 인터페이스부(30)를 구성하는 소자로서 릴레이(RY1~RY4), 인터페이스부(30)의 기능을 PNP모드 또는 NPN모드로 전환하는 모드변환 점퍼바(35), 각 인터페이스회로(31~34)의 출력신호를 공통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출력측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출력측 점퍼바(36)가 설치된다.
특히 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자형의 하부베이스(100)에 인터페이스회로부(30)를 구성하기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20)이 내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0) 위에는 양극입력단자(11a~14a)와 음극입력단자(11b~14b)가 각각 한쌍씩 설치된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으로 이루어진 입력단자부(10), 출력단자(21a~24a)와 출력단자(21b~24b)가 각각 한쌍씩 설치된 출력측 터미널블럭(21~24)로 이루어진 출력단자부(20), 인터페이스회로(31~34)를 NPN형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모드변환 점퍼바(35)를 공통으로 체결하기 위한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 인터페이스회로(31~34)를 PNP형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모드변환 점퍼바(35)를 공통으로 체결하기 위한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이 설치됨과 아울러, 릴레이(RY1~RY4)를 접속하기 위한 릴레이 소켓핀(38)이 설치되어 회로패턴으로 연결된다. 또한 엘이디(LED1~LED4)가 탑재되어 회로패턴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베이스(100) 상측으로는 인터페이스부(30)를 구성하기 위한 소자들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120)을 덮는 상부케이스(130)가 설치되는데, 상부케이스(130)에는 입력단자부(10)와 출력단자부(20)의 상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결합되고,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과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 및 릴레이 소켓핀(38)을 그 상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측면이 지지되도록 관통결합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30)에서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31b~34b)과 점퍼바 컨택트 핀(31c~34c)의 상측부위에는 모드변환 점퍼바(35)와 출력측 점퍼바(36)를 안착시킬 수 있는 점퍼홀(45)(4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모드변환 점퍼바(35)는 접촉부(35a~35d)와 지지부(35e)로 이루어지는데, 접촉부(35a~35d)는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 또는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에 접속되어 인터페이스회로부(30)가 NPN형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거나 PNP형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지지부(35e)는 상기 점퍼홀(45)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35a~35d)는 전도성 재질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지지부(35e)에서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부(35e)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과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은 하나씩 교번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변환 점퍼바(35)를 좌측으로 밀착시켜 접속하게 되면 모드변환 점퍼바(35)의 접촉부(35a~35d)는 점퍼바 컨택트 핀(31a~34a)에 접속되어 인터페이스회로부(30)가 NPN형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변환 점퍼바(35)를 우측으로 밀착시켜 접속하게 되면 모드변환 점퍼바(35)의 접촉부(35a~35d)는 점퍼바 컨택트 핀(31b~34b)에 접속되어 인터페이스회로부(30)가 PNP형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모드변환 점퍼바(35)가 NPN형으로 접속되었는지 PNP형으로 접속되었는지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점퍼홀(45)의 양끝단 인접 표면에는 NPN, PNP라는 모드식별문자를 표기하고, 모드변환 점퍼바(35)를 NPN형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모드변환 점퍼바(35)의 지지부(35e)가 PNP라는 모드식별문자를 가리게 하여 현재 NPN형으로 접속되어 있음을 인지하게 하는 한편 모드변환 점퍼바(35)를 PNP형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모드변환 점퍼바(35)의 지지부(35e)가 NPN이라는 모드식별문자를 가리게 하여 현재 PNP형으로 접속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4에서 원안에 확대된 도면 참조).
이와 유사하게, 출력측 점퍼바(36)도 접촉부(36a~36d)와 지지부(36e)로 이루어지는데, 접촉부(36a~36d)는 출력측의 점퍼바 컨택트 핀(31c~34c)에 접속되어 각 인터페이스회로(31~34)에서 공통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지지부(36e)는 상기 점퍼홀(46)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부(36a~36d)는 전도성 재질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지지부(36e)에서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지지부(36e)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130)에서 릴레이(RY1~RY4)가 안착되어 릴레이 소켓핀(38)에 접속되게 하는 릴레이 안착부(145)에는 릴레이 이젝트 레버(140)가 설치된다. 상기 릴레이 이젝트 레버(140)의 일측 끝단에는 릴레이(RY1~RY4)의 일측 저면 가장자리가 배치되고, 릴레이 이젝트 레버(140)의 타측 끝단에는 엘이디 빔 가이드(15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케이스(130)의 외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릴레이(RY1~RY4)를 교체 등의 이유로 릴레이 안착부(145)에서 탈거하고자 할 때 엘이디 빔 가이드(150)를 누르면 릴레이 이젝트 레버(140)의 시소작용으로 릴레이(RY1~RY4)의 일측 끝단이 들어올려지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엘이디 빔 가이드(150)의 하부에 대응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는 엘이디(LED1~LED4)가 장착되어 있고 엘이디 빔 가이드(150)는 도광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엘이디(LED1~LED4)가 점등되면 그 빛은 엘이디 빔 가이드(150)를 통해 외부 표면으로 발산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30)에서 입력단자부(10)와 출력단자부(20)를 제외한 점퍼홀(45)(46), 엘이디 빔 가이드(150), 릴레이(RY1~RY4) 위로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커버(170)로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170)에서 엘이디 빔 가이드(150)의 상측으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도광성 재질로 표시창(170a~170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창(170a~170d)은 예컨대 숫자모양으로 형성하여 점등되거나 점등되지 않은 숫자를 보고 사용자가 제어기기에서 상태가 변화되었거나 변화되지 않은 출력단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미널 단자대에서 모드변환 점퍼바(35)와 출력측 점퍼바(36)를 사용하지 않으면 입력측 터미널블럭(11~14)에 연결될 제어기기의 출력단의 모드 NPN형나 PNP모드형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터미널 단자대, 10 -- 입력단자부,
11~14 -- 입력측 터미널블럭, 11a~14a -- 양극입력단자,
11b~14b -- 음극입력단자, 20 -- 출력단자부,
21~24 -- 출력측 터미널블럭, 21a~24a -- 양극출력단자,
21b~24b -- 음극출력단자, 30 -- 인터페이스회로부,
31~34 -- 인터페이스회로, 31a~34a -- 점퍼바 컨택트 핀,
31b~34b -- 점퍼바 컨택트 핀, 31c~34c -- 점퍼바 컨택트 핀,
35 -- 모드변환 점퍼바, 36 -- 출력측 점퍼바,
38 -- 릴레이 소켓핀, 45,46 -- 점퍼홀,
100 -- 하부베이스, 120 -- 인쇄회로기판,
130 -- 상부케이스, 145 -- 릴레이 안착부,
140 -- 릴레이 이젝트 레버, 150 -- 엘이디 빔 가이드,
170 -- 커버, 170a~170d -- 표시창,

Claims (4)

  1. 제어기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 한쌍의 입력측 터미널블럭이 다수개 구비되는 입력단자부;
    부하측 출력기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출력 단자부;
    상기 입력단자부와 출력 단자부 사이에 연결되어 릴레이의 접속상태에 따라 제어기기의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인터페이스회로부;
    상기 입력단자부의 양극입력단자를 일체로 체결하여 NPN 모드로 동작되게 하거나 음극입력단자를 일체로 체결하여 PNP 모드로 동작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변환 점퍼바;를 포함하여,
    모드변환 점퍼바의 접속상태에 따라 인터페이스회로부가 PNP모드, NPN모드 또는 개별 모드로 동작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부는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입력측 터미널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 사이에는 상기 입력측 터미널블럭에 연결되는 제어기기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와 릴레이의 구동코일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의 접점 양단에는 출력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양극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양극라인과 상기 음극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음극라인에는 모드변환 점퍼바가 체결되는 점퍼바 컨택트 핀이 각각 연결되어, 양극라인에 연결되는 점퍼바 컨택트 핀 또는 양극라인에 연결되는 점퍼바 컨택트 핀이 선택적으로 점파바에 체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3.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는,
    하부 지지를 위한 하부베이스;
    제어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양극입력단자용 터미널블럭과 음극입력단자용 터미널블럭 그리고 부하측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출력측 터미널블럭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점퍼바 체결홈이 형성되고 양극입력단자와 음극입력단자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의 점퍼바 컨택트 핀;
    릴레이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의 릴레이소켓핀;
    상기 점퍼바 컨택트 핀 중에서 양극입력단자와 연결된 점퍼바 컨택트 핀 또는 음극입력단자와 연결된 점퍼바 컨택트 핀에 선택적으로 일체로 체결되어 NPN 또는 PNP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변환 점퍼바;
    제어기기 출력신호의 상태변화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양극입력단자 및 음극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엘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측으로는 NPN모드 접속용 점퍼바 컨택트 핀과 PNP모드 접속용 점퍼바 컨택트 핀이 관통결합되어 상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모드변환 점퍼바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점퍼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점퍼홀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 인접 표면에는 NPN의 모드식별문자가 표기되는 한편 반대측 끝단 인접 표면에는 PNP의 모드식별문자가 표기되어, 상기 모드변환 점퍼바의 모드선택 결합에 따라 선택된 모드의 모드식별문자가 노출되고 선택되지 않은 모드의 모드식별문자가 은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KR1020140040011A 2014-04-03 2014-04-03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KR10162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11A KR101624104B1 (ko) 2014-04-03 2014-04-03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11A KR101624104B1 (ko) 2014-04-03 2014-04-03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10A true KR20150116010A (ko) 2015-10-15
KR101624104B1 KR101624104B1 (ko) 2016-06-07

Family

ID=5435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011A KR101624104B1 (ko) 2014-04-03 2014-04-03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11915A (zh) * 2021-08-16 2023-04-04 科瑞工业自动化系统(苏州)有限公司 一种npn和pnp转换接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858B1 (ko) 2020-04-23 2021-03-30 주식회사 에스에이브이 신호 변환 장치
KR102342955B1 (ko) * 2021-12-07 2021-12-24 주식회사 파인솔루션 Npn 신호와 pnp 신호의 상변환 젠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62B1 (ko) 2012-01-13 2013-05-22 주식회사 오토닉스 커넥터 단자대
JP2013206353A (ja) * 2012-03-29 2013-10-07 Denso Wave Inc 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搭載用負荷駆動回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62B1 (ko) 2012-01-13 2013-05-22 주식회사 오토닉스 커넥터 단자대
JP2013206353A (ja) * 2012-03-29 2013-10-07 Denso Wave Inc 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搭載用負荷駆動回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11915A (zh) * 2021-08-16 2023-04-04 科瑞工业自动化系统(苏州)有限公司 一种npn和pnp转换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04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965B2 (en) Arrangement of pushbutton switches with a programmable display
US7849881B2 (en) Circuit board for a solenoid valve manifold
US20120044083A1 (en) Input/Output Circuits and Devices Having Physically Corresponding Status Indicators
KR101624104B1 (ko) Npn형과 pnp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릴레이 장착형 터미널 단자대
WO2015145959A1 (en) Switch device
WO2015145957A1 (en) Switch device
US20140349544A1 (en) Illuminable Building block
CN105428124B (zh) 键盘照明开关电路
WO2008087239A1 (es) Disposicion de conjuntos conmutadores de pulsador
JP2016508622A (ja) 光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接続モジュール
JP3838253B2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
JP5234343B2 (ja) 遠隔制御用監視端末器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CN106488337B (zh) 操作终端器
US9538589B2 (en) Vehicle accessory control arrangement
WO2015145960A1 (en) Switch device
KR20140129512A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WO2015145958A1 (en) Switch device and load control system
CN202616097U (zh) 开关
SE539937C2 (en) Bus Powered Manually Actuable Contact and Communication Module
TWI519055B (zh) Motor drive
US9622311B1 (en) Sub-assembly for searchlight signal, and associated assembly
CN213662064U (zh) 一种三原色光源电路板
CN107644768B (zh) 开关
JP5589451B2 (ja) 照明装置
JP2012205001A (ja) 信号出力装置及び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