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512A -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512A
KR20140129512A KR20130047878A KR20130047878A KR20140129512A KR 20140129512 A KR20140129512 A KR 20140129512A KR 20130047878 A KR20130047878 A KR 20130047878A KR 20130047878 A KR20130047878 A KR 20130047878A KR 20140129512 A KR20140129512 A KR 20140129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de
lighting module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노
Priority to KR2013004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9512A/ko
Priority to PCT/KR2014/003755 priority patent/WO2014178595A1/ko
Publication of KR2014012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전원접속단자와,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와, 외부로부터 선택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리 설정된 조명모듈 제어용 식별코드와 수신된 선택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어스위치에 온/오프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조명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line type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separately}
본 발명은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조명모듈을 개별제어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명패턴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명등(lamp)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광등은 조도가 낮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들보다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고 소비전력이 낮은 조명등으로 발광다이오드(이하, "엘이디"라 통칭함)를 이용한 조명모듈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은 대부분 기존의 형광등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의 형광등용 등기구에 형광등 대신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탈착시 조명모듈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 단자를 등기구의 소켓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등기구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기존의 형광등과 소켓 결합구조의 불편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을 이용해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조명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소켓부분이 배치되는 영역 사이에 조도차이가 발생하여 연속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하기 위해 바 형태의 엘이디 조명모듈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이 대부분 측면에 배치되어있다. 따라서, 복수의 엘이디 조명모듈이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엘이디 조명모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쪽 끝의 엘이디 조명모듈로부터 해당 엘이디 조명모듈까지 모두 분리하고, 해당 엘이디 조명모듈을 교체한 다음에는 앞서 분리한 엘이디 조명모듈들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은 다수의 엘이디 조명모듈을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의 온/오프를 통해 점등제어를 하는 것이므로, 절전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낮은 조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조명모듈을 분리하여야 하는 등 조명제어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인테리어용 라인 타입 조명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조명환경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조명모듈을 개별 제어하여 다양한 패턴의 조명을 구성할 수 있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전원접속단자와,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와, 외부로부터 선택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리 설정된 조명모듈 제어용 식별코드와 수신된 선택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어스위치에 온/오프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조명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모듈은 식별코드를 설정할 수 있는 코드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식별코드 선택용 선택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선택코드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가 마련된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코드에 따라 제어스위치가 각 그룹으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도록 제어스위치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입력부는 발광소자 그룹별 제어용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코드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ㅇ느 상기 조명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설치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수용공간의 내측면 중 개구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설치레일에는 수직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설치레일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전원공급단자의 이격된 사이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설치레일과 전기적인 절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원접속단자에 대응하는 면에 전원공급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유닛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코드설정부는 하우징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조명모듈에 각각 입력되어있는 식별코드별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일렬로 다수 배치된 복수의 조명모듈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조명을 구성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조명을 오프하여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하나의 조명모듈 내에서도 필요한 그룹별로 조명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조명색상이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명모듈이 설치레일에 수직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조명모듈을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어느 하나의 조명모듈을 분리하기 위해 해당 조명모듈과 인접한 다른 조명모듈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명모듈의 외측면에 노출된 코드설정부를 이용해 식별코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설치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조명패턴을 설계할 수 있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점등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설치대상면에 설치되는 설치레일(110)과, 상기 설치레일(110)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설치레일(1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라인 타입 조명모듈(120)과, 상기 설치레일(110)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모듈(120)을 개별제어하는 리모트컨트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레일(11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양단에서 각각 하향 절곡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부와 한 쌍의 측벽부에 의해 하측이 개구된 수용공간(111)이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설치레일(110)의 상면부 중 수용공간(111)과 대향하는 면에는 설치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전원공급단자(112)와, 상기 전원공급단자(112)를 감싸 전원공급단자(112)와 설치레일(110)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부재(113)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부재(113)에는 상기 전원공급단자(112)가 전원공급단자(112)의 이격된 사이공간을 향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공(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레일(110)에 고정되는 절연부재(113)의 저면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홈 형태의 제1결합부(115)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15)가 절연부재(113)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설치레일(110)측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라인 타입 조명모듈(120)은 상단부가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으로 수용되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121)과, 상기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의 개구측과 대향하는 면 중 전원공급단자(112)의 이격된 사이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부재(113)의 개구공(114)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단자(112)에 접속하는 전원접속단자(122)와, 상기 하우징(121)의 저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123)와, 상기 발광소자(123)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124)와, 외부로부터 선택코드 및 제어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125)와, 미리 설정된 조명모듈 식별코드와 수신된 선택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스위치(124)가 온 또는 오프 상태에서 반대의 상태로 구동하도록 제어스위치(124)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127)와, 미리 설정된 식별코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외측면 중 설치레일(110)의 상면부와 대면하는 조명모듈(120)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코드설정부(126)와, 상기 설치레일(110)의 제1결합부(115)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우징(121)의 상측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2결합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나의 유닛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123)는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 발광소자(123)가 제1그룹(132a), 녹색 발광소자(123)가 제2그룹(132b), 그리고 청색 발광소자(123)가 제3그룹(132c)으로 구성되고, 적,녹,청색 발광소자(123)가 혼합 배치되어 모든 발광소자(123)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백색조명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7)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코드에 따라 제어스위치(124)가 각 그룹으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도록 제어스위치(124)에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1번 제어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그룹(132a), 2번 제어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그룹(132b), 3번 제어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3그룹(132c), 4번 제어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그룹(132a) 내지 제3그룹(132c)에 각각 대응되도록 하여 1번 내지 4번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그룹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러(130)는 사용자가 직접 식별코드 선택용 선택코드와 제어신호 생성용 제어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31)와, 입력된 식별코드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모트컨트롤러(130)의 송신부(132)와 조명모듈(120)의 수신부(125)는 RF주파수를 이용한 무선통신과 같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30)를 휴대하면서 무선으로 조명모듈(120)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력선이나 전원공급단자(1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별도의 신호라인을 이용하는 등 유선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조명모듈(120)이 설치레일(1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모듈(120)은 하우징(121)에 의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공되며, 설치대상면에 설치된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으로 삽입되면서 상측면에 형성된 전원접속단자(122)가 설치레일(110)의 전원공급단자(112)에 접속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단자(112)는 절연부재(113)에 의해 설치레일(110)과 절연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122)는 전원공급단자(112)의 이격된 사이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절연부재(113)의 개구공(114)을 통해 노출된 전원공급단자(112)의 측면부에 접속하는 것이므로, 조명모듈(120)을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는 것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명모듈(120)은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명모듈(120)의 상측에 돌출된 돌기 형태의 제2결합부(128)가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 내부에 마련된 홈 형태의 제1결합부(115)와 맞물리면서 설치레일(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전원접속단자(12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전원접속단자(122)가 전원공급단자(1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한 쌍의 전원접속단자(122)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레일(110)에 결합된 조명모듈(120)은, 전원접속단자(122)가 전원공급단자(112)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단자(112)에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하우징(121)의 내부에 내장된 전원공급부(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통해 발광소자(123)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은 조명모듈(120)이 설치레일(1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모듈(120)을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조명모듈(120)의 제2결합부(128)가 설치레일(110)의 제1결합부(115)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2)가 설치레일(110)의 전원공급단자(112)로부터 이탈하게 되면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조명모듈(120)은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분리 가능하다. 즉, 다수의 조명모듈(120)을 설치레일(110)의 수용공간(111)에 일렬로 배치하여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한 상태에서, 인접한 한 쌍의 조명모듈(120)의 사이에 음영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명모듈(120)들을 밀착시킨 경우, 조명모듈(120)을 수직 하방으로 잡아당겨 설치레일(1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조명모듈(120)을 분리하기 위해 해당 조명모듈(120)과 인접한 조명모듈(120)까지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모듈(120)에는 제어부(12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소자(123)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124)가 마련되어 개별 조명모듈(120)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27)는 조명모듈(120)에 마련된 코드설정부(126)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식별코드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코드를 비교하여, 식별코드와 선택코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제어스위치(124)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조명모듈(120)에 설정되어있는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선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선택코드에 해당하는 조명모듈(120)만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상기 선택코드는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30)에 마련된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각각의 조명모듈(120)은 내부에 마련된 무선 수신부(125)를 통해 리모트컨트롤러(130)의 무선 송신부(132)로부터 제공되는 선택코드와 같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점등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레일(110)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모듈(120)들에 각각 마련된 코드설정부(126)를 이용하여 각각 식별코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설정부(126)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코드는 두 자리수의 이진코드로 구성되며, 각 조명모듈(120)은 '00', '01', '10', '11' 중 어느 하나의 식별코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도 7에서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각 조명모듈(120)의 코드설정부(126)를 이용하여 이진코드 '10', '01', '01'의 순서가 반복되도록 식별코드를 설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즉, 사용자가 도 7의 (a)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130)의 입력부(131)를 통해 '10'이라는 선택코드를 입력하면, 이러한 선택코드는 무선 송신부(132)를 통해 무선송출된다.
이어서, 각 조명모듈(120)은 무선 수신부(125)를 통해 상기 선택코드를 수신한 다음, 제어부(127)에서 식별코드와 선택코드를 비교하여 식별코드와 선택코드가 동일한 경우에만 제어스위치(124) 구동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스위치(124)에 전달한다. 이어서, 제어스위치(124)는 구동 제어신호의 인가에 의해 전원접속단자(122)와 조명모듈(120) 사이의 전원회로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발광수단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도 3참조)
즉,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130)를 통해 '10'이라는 선택코드를 입력하면, 식별코드가 '10'으로 설정되어있는 조명모듈(120)만 점등하게 되고, '10'이외의 다른 식별코드가 설정된 조명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지 않는다.
한편, 도 7의 (b)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130)의 입력부(131)를 통해 '01'이라는 선택코드를 입력하면, 식별코드가 '01'로 설정되어있는 조명모듈(120)이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신호에 의해 점등하게 되고, '01'이외의 다른 식별코드가 설정된 조명모듈(120)은 응답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어 라인 타입 조명을 구성하는 다수의 조명모듈(120)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각각 조명모듈(120)을 개별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라인형태의 조명뿐만 아니라, 필요한 위치의 조명모듈(120)만을 점등시키도록 조명을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조명모듈(120)을 구성하는 발광소자(123)를 소정 그룹으로 분할하고, 리모트컨트롤러(130)에서 입력하는 선택코드와 구분되는 별도의 제어코드를 통해 해당 조명모듈(120)의 발광소자(123)를 구성하는 그룹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조명모듈(120)의 발광소자(123)는 적, 녹, 청색 발광소자(123)로 구성되고, 각 발광소자(123)는 색상별로 그룹을 구성한다. 여기서, 각 그룹별 제어코드는, 적색 발광소자(123)로 이루어지는 제1그룹(132a)은 '01', 녹색 발광소자(123)로 이루어지는 제2그룹(132b)은 '10', 그리고 청색 발광소자(123)로 이루어지는 제3그룹(132c)은 '11'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그룹별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가 입력되지 않고 선택코드만 입력되거나 제어코드가 '00'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그룹(132a) 내지 제3그룹(132c) 전체가 제어된다.
각 조명모듈(120)에 설정되는 식별코드와 제어코드는 각각 두자리 이진코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식별코드를 선택하기 위한 두자리 이진코드로 구성된 선택코드와, 발광소자(123)를 구성하는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두자리 이진코드로 구성된 제어코드를 입력하여 다수의 조명모듈(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명모듈(120)을 선택하고, 이어서 해당 조명모듈(120)의 발광소자(123)를 그룹별로 제어하여 원하는 조명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130)의 입력부(131)를 통해 네자리 이진코드, 예를 들어 '1001'을 입력하면, 조명모듈(120)은 상기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앞의 두자리 이진코드를 선택코드로 인식하여 식별코드와 비교하고, 뒤의 두자리 이진코드는 제어코드로 인식하여 제어스위치(124)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스위치(124)는 발광소자(123)를 구성하는 그룹별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코드 '01'이 입력되면, 제어스위치(124)는 제1그룹(132a)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다수의 그룹 중 적색 발광소자로 구성된 제1그룹(132a)을 점등시켜 적색의 조명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도 8의 (b)와 같이 리모트컨트롤러(130)의 입력부(131)를 통해 '0111'이 입력되면, 식별코드가 '11'로 설정된 조명모듈(120)의 제3그룹(132c)이 점등되면서 청색의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코드와 제어코드가 각각 두자리 2진 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2자리 이상의 2진 코드 또는 다른 형태의 코드로 구성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로 조명패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리모트컨트롤러(130)의 입력부(131) 역시 2진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나 선택버튼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설치레일, 111:수용공간, 112:전원공급단자,
113:절연부재, 114:개구공, 115:제1결합부,
120:조명모듈, 121:하우징, 122:전원접속단자,
123:발광소자, 124:제어스위치, 125:수신부,
126:코드설정부, 127:제어부, 128:제2결합부,
130:리모트컨트롤러, 131:입력부, 132:송신부

Claims (10)

  1.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전원접속단자와,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는 제어스위치와, 외부로부터 선택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리 설정된 조명모듈 제어용 식별코드와 수신된 선택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어스위치에 온/오프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조명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식별코드를 설정할 수 있는 코드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식별코드 선택용 선택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코드를 조명모듈의 수신부로 송신하는 송신부가 마련된 리모트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는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스위치는 각 그룹별로 연결되는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코드에 따라 각 그룹별로 연결된 전원회로라인을 온/오프하도록 제어스위치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의 입력부는 발광소자 그룹별 제어용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제어코드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설치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수용공간의 내측면 중 개구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과 상기 설치레일에는 수직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설치레일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전원공급단자의 이격된 사이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설치레일과 전기적인 절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원접속단자에 대응하는 면에 전원공급단자를 노출시키는 개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유닛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코드설정부는 하우징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30047878A 2013-04-30 2013-04-30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40129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878A KR20140129512A (ko) 2013-04-30 2013-04-30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PCT/KR2014/003755 WO2014178595A1 (ko) 2013-04-30 2014-04-29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878A KR20140129512A (ko) 2013-04-30 2013-04-30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12A true KR20140129512A (ko) 2014-11-07

Family

ID=5184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7878A KR20140129512A (ko) 2013-04-30 2013-04-30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9512A (ko)
WO (1) WO20141785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48B1 (ko) * 2016-04-01 2018-07-13 강삼태 복합형 전원공급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6110B2 (ja) * 2016-04-21 2021-10-27 スージョウ レキン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照明装置
EP3290787B1 (en) 2016-08-29 2019-05-15 OSRAM GmbH A ligh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460B1 (ko) * 2009-02-23 2011-04-01 주식회사 미광이티씨 리모컨을 이용한 led 조명장치
KR101182800B1 (ko) * 2010-12-27 2012-09-13 한솔테크닉스(주) 발광부와 고정부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led) 조명 장치
KR20120120699A (ko) * 2011-04-25 2012-11-02 펌웨어뱅크 주식회사 개별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0778A (ko) * 2011-07-19 2013-01-29 (주)티지솔루션 무선 통신부와 led 발광부가 일체화된 led 조명 모듈
KR101248916B1 (ko) * 2011-08-09 2013-04-30 (주)씨앤에스링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의 고장 복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48B1 (ko) * 2016-04-01 2018-07-13 강삼태 복합형 전원공급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8595A1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1046B1 (en) Light assembly
US8502468B2 (en) Light emitting bulb, luminary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LED
US20130240235A1 (en) Load-control switch and load-control switch system
RU2008121539A (ru) Электр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й размножитель
CN104769357A (zh) 具有通信模块的照明设备
KR20050078403A (ko) 발광다이오우드램프 어셈블리
CN107314302B (zh) 照明器具、照明系统以及照明系统的设定方法
EP2388642A2 (en) Luminaire
JP2008052945A (ja) 照明器具用リモコン受信器
KR20140129512A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20200173613A1 (en) Universal smart lamp
KR101654541B1 (ko) 무선 제어 가능한 엣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와, 그의 색 온도 가변 및 디밍을 제어하는 방법
KR101956724B1 (ko) 엘이디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장치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US10935224B2 (en) LED lighting incorporating DMX communication
CN110661340A (zh) 一种可外接替换无线模块的智能电源
KR20120032246A (ko)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블록형 led 등기구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
KR101654688B1 (ko) 온보드 플랫형 제어 회로부를 갖는 엣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JP5356170B2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発光モジュールを有する照明器具
KR101921817B1 (ko)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210957913U (zh) 一种可外接替换无线模块的智能电源
CN103987153A (zh) Led 照明器具控制装置
KR101624663B1 (ko) Led 조명의 기본프레임 장치
KR100822330B1 (ko) 보조등을 갖는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JP3230405U (ja) フット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