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817B1 -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1817B1 KR101921817B1 KR1020170002473A KR20170002473A KR101921817B1 KR 101921817 B1 KR101921817 B1 KR 101921817B1 KR 1020170002473 A KR1020170002473 A KR 1020170002473A KR 20170002473 A KR20170002473 A KR 20170002473A KR 101921817 B1 KR101921817 B1 KR 101921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voltage
- led
- led assembly
- assembly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하여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부재; 상기 통전 부재와 연결되며, 전력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발광 부재; 및 블록의 상하 결합을 위해 요철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통전 부재 및 상기 LED 발광 부재를 수용하는 블록 하우징을 포함하는 LED 조립 블록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창의적인 의도에 부합하도록 각 블록에 입력전압 값이 다른 LED를 설치하여 센싱부를 통해 임의의 위치에 놓인 블록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LED 조립 블록; 및 상기 LED 조립 블록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LED 조립 블록; 및 상기 LED 조립 블록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LED 램프를 설치한 블록을 다방향으로 상호 조립되도록 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조형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명을 발휘하도록 하는 엘이디 조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장치의 각각의 조도 또는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서 조명장치의 제어부 또는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에 직접 접근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선행특허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325893,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조명장치의 장애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장애 판단부와 장애가 발생한 조명장치의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하는 조명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선행특허에서는 휴대용 단말의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성된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 명령을 조명제어명령 수신부로 전달하여 조명 제어기로 전달한다.
그러나 이때 휴대용 단말에서 발생하는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은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명령어를 발생시키는 기능밖에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LED 램프를 설치한 블록을 다방향으로 상호 조립되도록 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조형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조명을 발휘하도록 하는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은, 이웃하여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부재; 상기 통전 부재와 연결되며, 전력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발광 부재; 및
블록의 상하 결합을 위해 요철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통전 부재 및 상기 LED 발광 부재를 수용하는 블록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전 부재와 상기 발광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부제에 입력되는 전원의 극성을 일정하게 변환하는 극성 변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전 부재는, 그라운드 핀; 및 상기 LED 발광 부재에 (+)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LED 발광 부재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 전압 인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 핀 및 상기 (+) 전압 인가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측에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의 그라운드 핀 및 (+) 전압 인가 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단자 및 (+) 전압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은, 기본 단위 요철 구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그라운드 핀 및 상기 (+) 전압 인가 핀은 상기 기본 단위 요철 구조를 이루는 4면 가운데 일 측에만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 전압 단자는 상기 4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하우징은, 상측에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의 그라운드 핀 및 (+) 전압 인가 핀이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 전압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상기 4면에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 발광 부재는, LED 소자; 인가되는 직류 전압에서 특정 전압 인가에 의해 턴온 되는 입력전압 센싱부; 및 상기 입력전압 센신부의 턴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LED 소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LED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LED 조립 블록은 제1 전압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LED 발광 부재를 구비하는 LED 조립 블록; 제2 전압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LED 발광 부재를 구비하는 LED 조립 블록; 및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자연수) 전압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LED 발광 부재를 구비하는 LED 조립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LED 조립 블록; 및 상기 LED 조립 블록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는 베이스 블록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제1 전압 내지 상기 제N 전압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첫째, LED 조립 블록은 블록의 상하 결합을 위한 요철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창작 능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조립될 수 있다.
둘째, LED 조립 블록은 극성 변환 부재를 포함하므로, 블록의 조립 방향과 상관 없이 전원의 극성을 일정하게 변환할 수 있다.
셋째, 기판은 블록을 이루는 4면에 통전을 위한 단자를 구비하므로, 전압 인가를 위해 사용되는 핀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넷째, LED 조립 블록은 상면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통전을 위한 단자는 관통홀 내부에 배치되므로 전압 인가 핀과 통전 단자와의 연결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한다.
다섯째, LED 조립 블록은 제어 저항 소자, 전압 통전핀 및 LED 구동부를 구비하여 제어 전압에 의해 LED 소자의 점등이 수행되므로, 수직으로 연결된 다수의 LED 조립 블록 가운데 특정 블록만의 점등 제어가 가능하다.
여섯째, LED 블록 연결에 따라 저항 소자의 직렬연결에 의해 각 블록간에 발생되는 전압 강하 값이 달라지며, 제어 전압은 전압 강하 값에 맞게 인가할 수 있으므로, 특정 블록의 점등 제어를 위해 각 블록에 어드레스를 지정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따라서 회로 구성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일곱째, LED 블록 연결에 따라 병렬로 각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제어 전압은 각 블록에 기부여된 LED의 입력전압값(Vf)에 맞게 인가 할 수 있으므로, 특정 블록의 점등 제어를 위해 각 블록에 어드레스를 지정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따라서 회로 구성의 복잡도를 낮추고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임의 위치의 블록을 쉽게 창의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다양한 보조 블록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블록 연결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다양한 보조 블록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압에 따른 점등 제어를 위한 LED 발광 부재(300)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세 종류의 LED 조립 블록(100)이 적층된 예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LED 발광 부재의 회로도다.
도 13은 Red, Green 및 Blue LED 소자를 구비하는 3채널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3채널 LED 조립 블록을 구동하기 위한 LED 발광 부재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3채널 LED 조립 블록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다양한 보조 블록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블록 연결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다양한 보조 블록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압에 따른 점등 제어를 위한 LED 발광 부재(300)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세 종류의 LED 조립 블록(100)이 적층된 예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LED 발광 부재의 회로도다.
도 13은 Red, Green 및 Blue LED 소자를 구비하는 3채널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3채널 LED 조립 블록을 구동하기 위한 LED 발광 부재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3채널 LED 조립 블록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100)은 통전 부재(110), LED 발광 부재(120), 극성 변환 부재(130), 기판(140) 및 블록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통전 부재(110)는 이웃하여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통전 부재(110)는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을 포함한다.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은 LED 조립 블록(100)의 몸체의 상하를 이어주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LED 조립 블록이 이웃하여 결합(즉,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될 때 연결된 블록의 통전 부재(1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라운드 핀(111)은 베이스 블록(200)에서 공급되는 (-) 극의 도전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고, (+) 전압 인가 핀(112)은 (+) 극의 도전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단, 블록의 상하간 연결 형태에 따라 극성은 바뀔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은 수직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포고핀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LED 발광 부재(120)는 통전 부재(110)와 연결되며 전력 공급에 의해 발광한다. LED 발광 부재(120)는 전력 대비 발광 효율이 좋은 LED 소자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극성 변환 부재(130)는 통전 부재(110)와 LED 발광 부재(120) 사이에 배치되어 LED 발광 부제(120)에 입력되는 전원의 극성을 일정하게 변환한다. LED 발광 부재(120)는 LED 소자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며, LED 소자는 극성을 가지므로 발광을 위해서는 LED 소자에 입력되는 극성이 순방향과 일치해야 한다.
도 2와 같이 LED 조립 블록(100)이 사각기둥 형태로 실시될 경우, 블록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이 반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립 블록(100)의 기본 형태로서, LED 발광 부재(120)를 이루는 LED 소자의 수에 따라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의 개수는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극성 변환 부재(130)는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이 반대로 연결된 경우에도 LED 발광 부재(120)에 순방향 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일 예로 극성 변환 부재(130)는 브릿지 다이오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기판(140)은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판(140) 상측에 그라운드 단자(141) 및 (+) 전압 단자(142)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140) 상면에는 LED 발광 부재(120)가 배치되고, 하면에 극성 변환 부재(130)를 배치하는 형태로 기판(14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기판(140)은 합성수지 재질의 인쇄 회로기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40)은 블록 하우징(150)의 사출 성형시 함께 몰딩되는 방식으로 LED 조립 블록(10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기판(140)에 숫-요철구조(152)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여 블록 하우징(150)의 하면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라운드 단자(141) 및 (+) 전압 단자(142)는 상/하로 연결되는 조립블록의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로서, 네 방향에 모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회로도로부터 알 수 있듯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은 그라운드 단자(141) 및 (+) 전압 단자(142)와 연결되므로 기판의 어느 한 방향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그라운드 단자(141) 및 (+) 전압 단자(142)는 원통 기둥 형태의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블록 하우징(150)은 통전 부재(110) 및 LED 발광 부재(120)를 수용하고, 블록의 상하 결합을 위해 요철 구조(암-요철구조(151), 숫-요철구조(152))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 하우징(150)은 LED 의 블록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중의 하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암-요철구조(151) 및 숫-요철구조(152)는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하우징(150)은 상면에 관통홀(H)을 구비한다. 관통홀(H)은 상측 블록의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이 하측 블록의 그라운드 단자(141) 및 (+) 전압 단자(142)와 접하도록 블록 하우징(150)에 형성된다. 기판(140)에는 4 면에 모두 그라운드 단자(141) 및 (+) 전압 단자(142)가 구비되므로 상면에 관통홀(H) 또한 블록 하우징(150)의 4면에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기판(140)은 블록 하우징(150)의 기본 단위 요철구조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기판(140)은 요철 구조 안에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 하우징(150)이 하나의 요철 구조를 가지는 단위 블록(설명의 편의를 위해 1 x 1 타입으로 지칭하기로 함)인 경우 기판(140)은 이에 맞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전원 공급 블록(200)은 LED 조립 블록(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 기판이다. 사용자는 전원 공급 블록(200)에 여러 가지 종류의 LED 조립 블록(100)을 조립하여 원하고자 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1 x 1 타입이고, 도 4(b)는 2 x 1 타입이고, 도 4(c)는 3 x 1 타입이고, 도 4(d)는 ㄱ형 2 x 2 타입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블록(200)은 LED 조립 블록(100)과의 결합을 위해 상측에 숫-요철구조(252)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 단위 블록 (1 x 1) 마다 4 면에 그라운드 단자(미도시) 및 (+) 전압 단자(미도시)를 제공한다. 각 단자는 관통홀(H)을 통해 LED 조립 블록(100)의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과 접하게 된다.
도 3의 전원 공급 블록(200)은 4 x 4 타입을 예로 든 것으로서, 실시 형태에 따라 전원 공급 블록(200)은 5 x 5, 4 x 6, 5 x 6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다양한 보조 블록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100)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다양한 형태 구현을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보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a')은 도 2에 도시된 1 x 1 타입, 즉 기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b) 및 도 5(b')은 도 2에 도시된 1 x 1 타입과 유사한 것이나 LED 발광 부재(120)는 포함하지 않은 더미 블록이다. 도 5(b) 및 도 5(b')는 발광하지 않으며 단지 도선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5(c)는 블록 하우징(150)으로만 이루어진 더미 블록이다. 도 5(c)는 숫-요철구조(152)을 마감하는 커버 블록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블록 연결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여러 종류의 블록을 전원 공급 블록(200)에 조립하여 원하고자 하는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다양한 보조 블록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립 블록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하우징(150)의 형태는 사각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통전 부재(110)는 암-요철구조(15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암-요철구조(151)의 상면에 관통홀(H)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립 블록(100)은 여러 층으로 적층 될 때, 원하는 층의 점등 제어를 위해 통전 부재(110)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 중 특정 전압에서만 발광이 되도록 제어되는 LED 발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LED 발광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LED 발광 부재(120)과는 다른 형태를 가지므로 도 1의 실시예와는 구별을 위해 새로운 식별번호 300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전압에 따른 점등 제어를 위한 LED 발광 부재(300)의 블록도이다.
LED 발광 부재(300)는 입력전압 센싱부(310), LED 구동드라이버(320) 및 LED 소자(330)를 포함한다.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통전 부재(110)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 중 특정 전압이 인가될 때 턴온(Turn-ON)된다. LED 구동드라이버(320)는 입력전압 센싱부(310)의 턴온에 따라 구동되어 LED 소자(33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LED 소자(330)가 발광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제1 입력 전압에서 턴온되는 것과, 제2 입력 전압에서 턴온 되는 것, 내지 제N 입력 전압에서 턴온 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자연수이며, 제1 전압, 제2 전압, .. 및 제N 전압은 서로 다른 값이다.
즉, 본 발명에서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N가지 종류가 구비되며, 따라서 LED 발광 부재(300)도 N가지 종류로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LED 조립 블록(100) 또한 N 가지 종류로 구비된다.
도 11은 세 종류의 LED 조립 블록(100)이 적층된 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LED 조립 블록(100)은 제1 전압에서 구동되는 LED 조립 블록(100-1), 제2 전압에서 구동되는 LED 조립 블록(100-2) 및 제3 전압에서 구동되는 LED 조립 블록(100-3) 세 가지 종류가 구비되어 각각의 종류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블록(200)에서 제1 전압을 인가하면, 제1 전압에서 구동되는 LED 조립 블록(100-1)만이 점등된다. 각 LED 조립 블록(100-1,100-2,100-3)은 통전 부재(110)로 인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같은 제1 전압을 인가받으나, LED 조립 블록(100-2) 및 LED 조립 블록(100-3)에 구비된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제1 전압에서는 턴온 되지 않으므로 LED 조립 블록(100-2) 및 LED 조립 블록(100-3)은 점등되지 않는다.
베이스 블록(200)에서 제2 전압을 인가하면, 제2 전압에서 구동되는 LED 조립 블록(100-2)만이 점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LED 조립 블록(100-1) 및 LED 조립 블록(100-3)에 구비된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제2 전압에서는 턴온 되지 않으므로 LED 조립 블록(100-1) 및 LED 조립 블록(100-3)은 점등되지 않는다.
베이스 블록(200)에서 제3 전압을 인가하면, 제3 전압에서 구동되는 LED 조립 블록(100-3)만이 점등된다. 마찬가지로 LED 조립 블록(100-1) 및 LED 조립 블록(100-2)에 구비된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제3 전압에서는 턴온 되지 않으므로 LED 조립 블록(100-1) 및 LED 조립 블록(100-2)은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구동 전압을 가지는 LED 조립 블록을 적층하고 베이스 블록(200)에서 특정 전압을 인가하면 특정 전압에 의해 스위칭 되는 LED 조립 블록(100)만이 발광하므로 블록의 조합/배치에 따라 여러 가지의 발광 형태를 표현할 수 있다. 베이스 블록(200)은, 제1 전압 내지 제N 전압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인가하여 블록의 조합/배치에 따라 여러 가지의 발광 형태를 표현할 수 있게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LED 발광 부재의 회로도다.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발광 부재의 회로(300)는 입력전압 센싱부(310), LED 구동드라이버(320) 및 LED 소자(330)를 포함한다. 입력전압 센싱부(310)는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전압 비교 회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단,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중에서 하나에 불과한 것으로서 특정 전압에 의해 턴온 되는 구성을 가지는 회로중 적절한 것으로 입력전압 센싱부(31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은 Red, Green 및 Blue LED 소자를 구비하는 3채널 LED 조립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3채널 LED 조립 블록을 구동하기 위한 LED 발광 부재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3채널 LED 조립 블록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 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3채널 LED 조립 블록(400)은 세 개의 LED 발광 부재의 회로(300R, 300G, 300G)를 구비한다. LED 발광 부재의 회로(300R)은 적색(Red) LED(330R)을 구동하는 회로이며, LED 발광 부재의 회로(300G)은 녹색(Green) LED(330G)을 구동하는 회로이며, LED 발광 부재의 회로(300B)은 청색(Blue) LED(330B)을 구동하는 회로이다. 각각의 LED 발광 부재의 회로(300R, 300G, 300G)는 (+) 전압 인가 핀(112R, 112G, 112B)에 의해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개별적으로 점등 제어된다.
전원 공급 블록(500)은 3채널 LED 조립 블록(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이스 기판이다. 사용자는 전원 공급 블록(400)에 여러 가지 종류의 3 채널 LED 조립 블록(400)을 결합하여 원하고자 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블록(500)은 3채널 LED 조립 블록(400)과의 결합을 위해 상측에 숫-요철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 단위 블록 (1 x 1) 마다 4 면에 각각 그라운드 단자와 (+) 전압 인가 핀(112R, 112G, 112B)과 연결되는 단자를 제공한다. 각 단자는 관통홀(H)을 통해 3채널 LED 조립 블록(400)의 그라운드 핀(111) 및 (+) 전압 인가 핀(112R, 112G, 112B)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3채널 LED 조립 블록(400)은 RGB 조합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발광이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LED 조립 블록
110 : 통전 부재
120 : LED 발광 부재
130 : 극성 변환부재
140 : 기판
150 : 블록 하우징
110 : 통전 부재
120 : LED 발광 부재
130 : 극성 변환부재
140 : 기판
150 : 블록 하우징
Claims (10)
- 제1 전압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LED 조립 블록;
제2 전압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LED 조립 블록;
제N(여기서 N은 1보다 큰 자연수) 전압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LED 조립 블록; 및
상기 LED 조립 블록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되, 상기 제1 전압 내지 상기 제N 전압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인가하는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LED 조립 블록은,
이웃하여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부재;
상기 통전 부재와 연결되며, 전력 공급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발광 부재;
블록간의 결합을 위해 요철 구조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전 부재 및 상기 LED 발광 부재를 수용하는 블록 하우징; 및
상기 통전 부재와 상기 발광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부재에 입력되는 전원의 극성을 일정하게 변환하는 극성 변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 부재는,
그라운드 핀;
상기 LED 발광 부재에 (+)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LED 발광 부재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 전압 인가 핀; 및
상기 그라운드 핀 및 상기 (+) 전압 인가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측에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의 그라운드 핀 및 (+) 전압 인가 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단자 및 (+) 전압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요철 구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그라운드 핀 및 상기 (+) 전압 인가 핀은 상기 요철 구조를 이루는 4면 가운데 일 측에만 배치되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 전압 단자는 상기 4면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LED 발광 부재는,
LED 소자;
미리 정해진 전압의 인가에 의해 턴온 되는 입력전압 센싱부; 및
상기 입력전압 센싱부의 턴온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LED 소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LED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하우징은,
상측에 결합되는 LED 조립 블록의 그라운드 핀 및 (+) 전압 인가 핀이 상기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 전압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관통홀을 상기 4면에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2473A KR101921817B1 (ko) | 2017-01-06 | 2017-01-06 |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2473A KR101921817B1 (ko) | 2017-01-06 | 2017-01-06 |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1345A KR20180081345A (ko) | 2018-07-16 |
KR101921817B1 true KR101921817B1 (ko) | 2019-02-13 |
Family
ID=6304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2473A KR101921817B1 (ko) | 2017-01-06 | 2017-01-06 |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181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2957B1 (ko) | 2022-06-08 | 2023-03-23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조립형 led 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78827A (ko) | 2022-11-28 | 2024-06-04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사출물에 3차원 회로부가 직접 형성된 다기능 완구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52307A1 (en) * | 2010-12-31 | 2012-10-04 | Chia-Yen Lin | Light-Emitting Building Block Having Electricity Connection Unit and Power Supply Base for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66925A (ja) * | 1987-12-24 | 1989-10-24 | Matsui:Kk | 金型の製造方法 |
KR101079920B1 (ko) | 2010-01-26 | 2011-11-04 | 전숙영 | 엘이디 조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KR20150121784A (ko) | 2014-04-21 | 2015-10-30 | 이노인스 주식회사 | 블록 또는 블록 형상의 아이콘을 이용한 시각형 프로그래밍을 통한 조명제어장치 및 조명제어방법 |
KR102352631B1 (ko) * | 2015-01-30 | 2022-01-20 |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
-
2017
- 2017-01-06 KR KR1020170002473A patent/KR1019218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52307A1 (en) * | 2010-12-31 | 2012-10-04 | Chia-Yen Lin | Light-Emitting Building Block Having Electricity Connection Unit and Power Supply Base for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2957B1 (ko) | 2022-06-08 | 2023-03-23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조립형 led 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
KR20240078827A (ko) | 2022-11-28 | 2024-06-04 |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 사출물에 3차원 회로부가 직접 형성된 다기능 완구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1345A (ko) | 2018-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62659C2 (ru) |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освет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 |
US8360609B2 (en) | Illumina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5220769B2 (ja) | モジュラ電気システム | |
US6787994B2 (en) | OLED area illumination light source having a plurality of segments | |
JP6444991B2 (ja) | 内蔵プログラム可能性を備える集積マイクロ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 |
CN108291698B (zh) | 模块化照明设备 | |
CN103688592A (zh) | 包括led灯带的光源 | |
CN105546363A (zh) | 发光装置 | |
US20100176730A1 (en) | Illumination Apparatus | |
KR101921817B1 (ko) | Led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
US8410701B2 (en) |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an adapter with a memory for storing driving pulse information | |
US20080224622A1 (en) | Multicolor light-emitting diode light string and light-emitting diode component thereof | |
KR20100052985A (ko) |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US20150145422A1 (en) |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 |
US20040085017A1 (en) | Variable LED display panel | |
KR20100052976A (ko) |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20120032246A (ko) |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블록형 led 등기구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 | |
KR20100052978A (ko) |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CN115039515A (zh) | 具有发光二极管矩阵和具有受控电流源的灯具、尤其是前照灯 | |
US20140361710A1 (en) | Lighting system | |
KR20120007833A (ko) | 엘이디 조명장치 | |
KR101037589B1 (ko) | 자유로운 발광연출이 가능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 |
TWI611137B (zh) | 基於樞合調控之可變色發光二極體裝置 | |
KR20100052981A (ko) |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JP2011070923A (ja) | 発光モジュール及び発光モジュールを有する照明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