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449A -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449A
KR20150115449A KR1020140040524A KR20140040524A KR20150115449A KR 20150115449 A KR20150115449 A KR 20150115449A KR 1020140040524 A KR1020140040524 A KR 1020140040524A KR 20140040524 A KR20140040524 A KR 20140040524A KR 20150115449 A KR20150115449 A KR 20150115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filter
signal
electronic device
noi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449A/ko
Priority to US15/301,942 priority patent/US20170117876A1/en
Priority to PCT/KR2015/003329 priority patent/WO2015152664A1/en
Publication of KR2015011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6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includ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6Non-printed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이즈 신호가 이동하는 제 1 신호선; 상기 제 1 신호선으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는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Method of Dispersing of Noise Signal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이즈 신호를 분산하는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수많은 전자 부품들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프로세서, 외부 소켓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 장치는 수많은 전자 부품들 상호간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시킴으로써 입력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내부에 축적된 전하들에 의한 정전기(ESD: Electrostatic Discharge) 또는 비정상적인 전압 증가로 인한 전기적 과부하(EOS: Electrical Overstress)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전자 부품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전기 또는 전기적 과부하에 의한 영향이 심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의 적어도 일부가 손상되어, 상기 전자 장치는 설계된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기 언급한 정전기 또는 전기적 과부하로 인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이즈 신호를 분산시키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노이즈 신호가 이동하는 제 1 신호선; 상기 제 1 신호선으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는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신호를 분산시키는 방법은, 상기 노이즈 신호가 제 1 신호선을 통해 이동하는 동작;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를 통해 이동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가 제 2 신호선을 통해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노이즈 신호를 분산시킴으로써 전자 장치의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가 적용된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필터가 적용된 두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 신호가 분류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또는 "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 또는 "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가운데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는 모두 전자 장치이며, 서로 다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노이즈 신호 분류 기능을 포함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노이즈 신호 분류 기능을 포함한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노이즈 신호 분류 기능을 포함한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노이즈 신호 분류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 인터페이스 160 및 제어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제어 모듈 17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제어 모듈 17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전자 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106 또는 전자 장치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제어 모듈 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제어 모듈 17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프로세서 120을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3G,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 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3, 상기 미들웨어 132, 커널 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 17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모듈 170은 상기 프로세서 120을 이용하여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 101이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개방된 필터를 단락시키도록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의 제어 모듈 170의 블록도 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 모듈 170은 획득 모듈 210 및 필터 제어 모듈 220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모듈 21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추후 설명할, 도 8의 센서 모듈 24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등)로부터 노이즈 신호의 감지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신호는 ESD(Electro Static Discharge) 신호 또는 EOS(Electrical Overstress)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외부에서 유입된 것일 수도 있고, 전자 장치 101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ESD(정전기: Electro Static Discharge) 신호 또는 EOS(전기적 과부하: Electrical Overstress) 신호는 전자 장치 101의 외부 또는 내부에 축적된 전하들이 유도체에 닿음으로써 생성(또는 발생)되거나, 비정상적인 전압 증가로 인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만, ESD 신호 또는 EOS 신호가 생성되는 원인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신호 또는 EOS 신호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 또는 임의의 물체가 전자 장치 101의 입출력 커넥터(예를 들어, USE 포트(소켓), HDMI 포트, PS/2 포트 등)에 닿음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 101의 입출력 커넥터 주위에 축적된 전하는 유도체로서 사용자 신체의 일부 또는 임의의 물체와 접촉됨으로써 ESD 신호 또는 EOS 신호가 생성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필터 제어 모듈 220은 획득 모듈 210에서 획득된 노이즈 신호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 101의 내부의 필터로 흐르게하도록, 상기 필터를 단락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평상시 개방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노이즈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단락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터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바리스터(varistor), 및 서프레서(suppres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된 필터가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단락되는 동작은, 상기 필터 제어 모듈 220에서의 제어 신호(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지만, 상기 노이즈 신호와 상기 필터 간의 특성에 기초하여, 별도의 제어 신호 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필터가 적용된 실시 예를 통해 상기 노이즈 신호가 분류되는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350이 적용된 전자 장치 300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300은 프로세서 310, 입출력 커넥터 320, 제 1 신호선 330, 제 2 신호선 340 및 필터 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선 330 또는 제 2 신호선 340은 PCB 기판의 트레이스(trac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310은 메인 칩셋 312를 포함할 수 있고, 입출력 커넥터 320은 USB 포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커넥터 320에는 USB를 이용한 저장 장치,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입력 장치와 메인 칩셋 312는 제 1 신호선 330 및 제 2 신호선 34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제 1 신호선 330 및 제 2 신호선 340은 외부 입력 장치와 메인 칩셋 312 간의 통신 신호 이외의 ESD 신호 또는 EOS 신호를 포함하는 노이즈 신호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노이즈 신호는 메인 칩셋 312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 300은 상기 노이즈 신호로부터 메인 칩셋 312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터 35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350은, 예를 들어, 다이오드, 바리스터(varistor), 및 서프레서(suppres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350의 양 끝단은 상기 제 1 신호선 330 및 상기 제 2 신호선 340과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면 부호 360, 370 및 380은 노이즈 신호가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노이즈 신호가 외부에서 입출력 커넥터 320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노이즈 신호는 360 방향으로 메인 칩셋 312를 향해 흐를 수 있다. 다만, 필터 350이 구비된 경우, 유입된 노이즈 신호의 일부는 제 1 신호선 330을 통해 370 방향으로 흐르고, 유입된 노이즈 신호의 다른 일부는 필터 350을 통해 제 2 신호선 340을 따라서 380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즉, 필터 350이 구비된 경우, 유입된 노이즈 신호는 전량이 메인 칩셋 312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필터 350을 통해 분류되어 각각 제 1 신호선 330 및 상기 제 2 신호선 340을 따라 메인 칩셋 312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350은 메인 칩셋 312의 제 1 신호선 330으로 유입된 노이즈 신호의 전량이 흐름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메인 칩셋 3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언급한 노이즈 신호의 흐름은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노이즈 신호의 흐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신호는 제 2 신호선 340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반대로, 노이즈 신호는 전자 장치 300 내부에서 생성되어 제 1 신호선 330 또는 제 2 신호선 34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 1 신호선 330 및 제 2 신호선 340은 서로 병렬 관계에 있고, Differential signal(차등 신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커넥터 320은 USB 포트, HDMI 포트, PCI Express 포트, Serial ATA 포트, Ethernet over twisted pair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450이 적용된 전자 장치 400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400은 프로세서 410, 제 1 입출력 커넥터 420, 제 2 입출력 커넥터 425, 제 1 신호선 430, 제 2 신호선 440 및 필터 4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410은 메인 칩셋 412 및 MICOM 4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칩셋 412는 제 1 신호선 430을 통해 제 1 입출력 커넥터 420과 연결될 수 있고, MICOM 414는 제 2 신호선 440을 통해 제 2 입출력 커넥터 425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입출력 커넥터 420은 VGA 포트에 대응하고, 제 2 입출력 커넥터 425는 키보드 포트(PS/2 포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출력 커넥터 420에는 VGA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VGA 케이블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입출력 커넥터 425에는 키보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VGA 디스플레이 장치와 메인 칩셋 412는 제 1 신호선 3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호 통신할 수 있고, 키보드와 메인 칩셋 414는 제 2 신호선 34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제 1 신호선 430 및 제 2 신호선 440은 ESD 신호 또는 EOS 신호를 포함하는 노이즈 신호가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노이즈 신호는 메인 칩셋 412 또는 MICOM 414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 400은 상기 노이즈 신호로부터 메인 칩셋 412 또는 MICOM 414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터 4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유사하게, 노이즈 신호가 외부로부터 제 1 입출력 커넥터 420 또는 제 2 입출력 커넥터 425를 통해 유입된 경우, 유입된 신호는 필터 450을 통해 분류되어 메인 칩셋 412 또는 MICOM 414를 보호할 수 있다.
노이즈 신호가 전자 장치 400의 내부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도, 노이즈 신호가 필터 450을 통해 분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 1 신호선 430 및/또는 제 2 신호선 440은 single-ended signal 또는 high speed signal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출력 커넥터 420 및/또는 제 2 입출력 커넥터 425는 키보드 포트, VGA 포트 이외에도, Parallel ATA 포트, TRS phone connectors 포트, RCA jacks 포트, PCI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노이즈 신호를 분류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살펴보겠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515 및 516이 적용된 전자 장치 510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510은 프로세서에 포함된 메인 칩셋 511, USB 포트 512, 제 1 신호선 513, 제 2 신호선 514, 제 1 필터 515 및 제 2 필터 5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필터 350의 양 끝단이 각각 제 1 신호선 330과 제 2 신호선 340에 연결된 것과 달리, 도 5a의 제 1 필터 515 및 제 2 필터 516의 하나의 끝단은 각각 제 1 신호선 513, 제 2 신호선 514에 연결되고 다른 끝단은 접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필터 515 및 제 2 필터 516 각각은 유입된 노이즈 신호 또는 유출되는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그라운딩 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제 1 필터 515 및 제 2 필터 516 각각은 도 3의 필터 350과 유사하게 다이오드, 바리스터(varistor), 및 서프레서(suppres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525가 적용된 전자 장치 520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520은 프로세서에 포함된 메인 칩셋 521, USB 포트 522, 제 1 신호선 523, 제 2 신호선 524 및 필터 5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필터 350의 양 끝단이 각각 제 1 신호선 330과 제 2 신호선 340에 연결된 것과 달리, 도 5b의 필터 525는 2-포트로서 메인 칩셋 521과 USB 포트 522를 직렬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필터 525는 RLC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필터 525는 유입된 노이즈 신호 또는 유출되는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분류시킬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535가 적용된 전자 장치 530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530은 프로세서에 포함된 메인 칩셋 531, USB 포트 532, 제 1 신호선 533, 제 2 신호선 534 및 필터 5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필터 350의 양 끝단이 각각 제 1 신호선 330과 제 2 신호선 340에 연결된 것과 달리, 도 5c의 필터 535는 2-포트로서 메인 칩셋 531과 USB 포트 523을 직렬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필터 535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필터 535는 유입된 노이즈 신호 또는 유출되는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분류시킬 수 있다.
상기 도 5a 내지 도 5c의 필터(515 내지 535)는 모두 노이즈 신호를 분류시킬 수 있으나, 도 3 또는 도 4의 필터(350 또는 450)와 비교하여 많은 소자와 많은 공간을 요구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도 5a 내지 도 5c의 필터(515, 516, 525 및 535)를 이용한 전자 장치 610과 도 3 또는 도 4의 필터(350 또는 450)를 이용한 전자 장치 620을 비교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필터가 적용된 두 전자 장치 610 및 6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610은 프로세서 611, 제 1 입출력 커넥터 612, 제 1 필터 613, 제 2 필터 614, 제 2 입출력 커넥터 615, 제 3 입출력 커넥터 616, 제 3 필터 617, 제 4 입출력 커넥터 618 및 제 4 필터 6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 611은 제 1 입출력 커넥터 612 내지 제 4 입출력 커넥터 618과 통신하는 메인 칩셋, MIC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 613 및 제 2 필터 614는 도 5a의 제 1 필터 515 및 제 2 필터 516에 대응하고, 제 3 필터 617은 도 5b의 필터 525에 대응하고, 제 4 필터 619는 도 5c의 필터 535에 대응한다.
도 6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620은 프로세서 621, 제 1 입출력 커넥터 622, 제 1 필터 623, 제 2 입출력 커넥터 624, 제 3 입출력 커넥터 625, 제 2 필터 626, 제 4 입출력 커넥터 627 및 제 3 필터 62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620의 제 1 필터 623 내지 제 3 필터 628은 전자 장치 610의 제 3 필터 617 또는 제 4 필터 619와 비교해 더 적은 소자를 이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620의 제 1 필터 623 내지 제 3 필터 628은 전자 장치 610의 제 1 필터 613 또는 제 2 필터 614에 대응하지만, 직접 접지되지 않아 별도로 전자 장치 620의 제 1 필터 623 내지 제 3 필터 628을 위한 비아(via) 영역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자 장치 620의 제 1 필터 623 내지 제 3 필터 628, 즉, 필터의 양 끝단이 각각 제 1 신호선 및 제 2 신호선에 연결되고, 직접 접지되지 않은 필터는 전자 장치의 부품 수를 줄이고, 회로 기판(PCB)의 크기 및 제조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회로 기판(PCB) 크기가 줄어들면, 동일한 하우징 내에 상대적으로 넓은 활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일 예로, 베터리 크기를 크게 만들어 경쟁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300에서 노이즈 신호가 분류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신호가 분류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의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신호가 분류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에 유입된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노이즈 신호는 제 1 신호선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전자 장치에 유입된 또는 전자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노이즈 신호는 분류되어,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필터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는 제 2 신호선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동작 720에서 필터를 통해 이동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의 노이즈 신호는 상기 제 1 신호선을 따라 계속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서 상술한 동작들 710 내지 730 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동작들 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동작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동작들은 기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801의 블록도 800이다. 상기 전자 장치 801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810, 통신 모듈 8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824, 메모리 830, 센서 모듈 840, 입력 장치 850, 디스플레이 860, 인터페이스 870, 오디오 모듈 880, 카메라 모듈 891, 전력관리 모듈 895, 배터리 896, 인디케이터 897 및 모터 89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810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810은,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8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8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801(예: 상기 전자 장치 10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820은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NFC 모듈 8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8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상기 AP 8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8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8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8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810과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810이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8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8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8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8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8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823, 상기 BT 모듈 825, 상기 GPS 모듈 827 또는 상기 NFC 모듈 8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또는 NFC 모듈 8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또는 NFC 모듈 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또는 NFC 모듈 8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8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8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8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82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8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및 NFC 모듈 828이 하나의 RF 모듈 829를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821, Wifi 모듈 823, BT 모듈 825, GPS 모듈 827 또는 NFC 모듈 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8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8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830(예: 상기 메모리 130)은 내장 메모리 832 또는 외장 메모리 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8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8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8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840A, 자이로 센서 840B, 기압 센서 840C, 마그네틱 센서 840D, 가속도 센서 840E, 그립 센서 840F, 근접 센서 840G, color 센서 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840I, 온/습도 센서 840J, 조도 센서 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8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8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854, 키(key) 8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8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8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85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8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852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8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856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858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8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8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은 상기 통신 모듈 82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8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862, 홀로그램 장치 864 또는 프로젝터 8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는,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862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는 상기 터치 패널 852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8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866은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860은 상기 패널 8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864, 또는 프로젝터 86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8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872, USB(universal serial bus) 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876 또는 D-sub(D-subminiature) 8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87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8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882, 리시버 884, 이어폰 886 또는 마이크 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8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895는 상기 전자 장치 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895는,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896은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8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8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897은 상기 전자 장치 8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8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801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122)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30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전자 장치
310: 프로세서
320: 입출력 커넥터
330: 제 1 신호선
340: 제 2 신호선
350: 필터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노이즈 신호가 이동하는 제 1 신호선;
    상기 제 1 신호선으로부터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는 필터; 및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과 연결된 것인,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다이오드, 바리스터(varistor), 및 서프레서(suppres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신호는 ESD(Electro Static Discharge) 신호 또는 EOS(Electrical Overstress) 신호에 대응하는 것인,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신호는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인,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은 서로 병렬 관계인 것인,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은 입출력 커넥터와 프로세서를 상호 연결하는 것인,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선은 입출력 커넥터와 프로세서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 2 신호선은 다른 입출력 커넥터와 상기 프로세서를 상호 연결하는 것인,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노이즈 신호를 통과시키는 경우에 단락되는 것인,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선 및/또는 상기 제 2 신호선은 트레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직접 접지되지 않는 것인,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선을 통해 통과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는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인, 전자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선 또는 상기 제 2 신호선은 Differential signal, Single ended signal 및 High speed signal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 전자 장치.
  13. 노이즈 신호를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신호가 제 1 신호선을 통해 이동하는 동작;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를 통해 이동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노이즈 신호가 제 2 신호선을 통해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제 1 신호선 및 상기 제 2 신호선과 연결된 것인,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신호는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제 1 신호선으로 유입되는 것인,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를 통해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노이즈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가 단락되는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KR1020140040524A 2014-04-04 2014-04-04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15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524A KR20150115449A (ko) 2014-04-04 2014-04-04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
US15/301,942 US20170117876A1 (en) 2014-04-04 2015-04-02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ersing noise signal
PCT/KR2015/003329 WO2015152664A1 (en) 2014-04-04 2015-04-02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ersing nois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524A KR20150115449A (ko) 2014-04-04 2014-04-04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49A true KR20150115449A (ko) 2015-10-14

Family

ID=5424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524A KR20150115449A (ko) 2014-04-04 2014-04-04 노이즈 신호의 분산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117876A1 (ko)
KR (1) KR20150115449A (ko)
WO (1) WO2015152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8777B2 (en) * 2021-03-16 2022-12-13 Inseego Corp. Cellular modem interfaces for modular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5077B2 (ja) * 2002-08-30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
JP2004311878A (ja) * 2003-04-10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気抑制回路
JP4741566B2 (ja) * 2007-10-29 2011-08-03 京セラ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積層ノイズフィルタ
CN101960934B (zh) * 2008-03-28 2013-01-23 日本电气株式会社 多层印刷配线基板
JP5029726B2 (ja) * 2010-05-21 2012-09-19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6075834B2 (ja) * 2012-08-16 2017-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回路板
US8878602B1 (en) * 2013-03-12 2014-11-04 Amazon Technologies, Inc. Reducing noise effects in an electronic computing device
US20160172849A1 (en) * 2014-12-11 2016-06-16 Infineon Technologies Ag Esd/eos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2664A1 (en) 2015-10-08
US20170117876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528B1 (ko) 색맹 교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운영 방법
US99650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touch screen
KR10224236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그립 센싱 방법
US105395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50126484A (ko) 소스 코드를 머신 코드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11392A (ko) 외부 장치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150081754A (ko) 전자장치를 위한 충전방법 및 장치
KR20150104302A (ko)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검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3493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34906A (ko)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11632A (ko) 지문 인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64842A (ko) 이어잭 단자 내 이물질 확인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71044B1 (ko)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50108589A (ko)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50117962A (ko) 안테나 방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30732A (ko) 보호 커버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99280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22476A (ko) 제스처 센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128299A (ko)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장치
KR20150128287A (ko)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KR20160100674A (ko) 전자 장치의 플립 커버 인식 방법, 전자 장치, 및 플립 커버
KR20150076955A (ko)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131697A (ko)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418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60004712A (ko)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