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441A -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441A
KR20150114441A KR1020150046291A KR20150046291A KR20150114441A KR 20150114441 A KR20150114441 A KR 20150114441A KR 1020150046291 A KR1020150046291 A KR 1020150046291A KR 20150046291 A KR20150046291 A KR 20150046291A KR 20150114441 A KR20150114441 A KR 20150114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tocol
signals
ground station
inte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275B1 (ko
Inventor
알레산드로 레 페라
다니에레 비토 피노치아로
안토니오 아르시디아코노
Original Assignee
유텔셋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텔셋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유텔셋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5011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8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s service to a network of fixed stations, i.e. fixed satellite service or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3Transmission in a satellite or space-based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to terrestrial stations, i.e. broadcast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78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broadband data service to individual earth stations
    • H04B7/18582Arrangements for data linking, i.e. for data framing, for error recovery, for 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45SS-FDMA, FDMA satellit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5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97Direct sequence modulation interference
    • H04B2201/709709Methods of preventing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능에 관하여 효율적인 방식으로 하이퍼주파수의 무선 전기 신호들의 리턴 링크 전송을 확보하고, 동일한 포워드 링크 및 리턴 링크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여 사전에 존재하는 방송 시스템 (100)에 손쉽게 맞춰질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고, 2 개의 채널들을 위한 2 개의 독립적인 지상국 (103, 106)의 사용을 가능케 하며, 그리고 포화 상태 또는 거의 포화 상태에서 위성의 트랜스폰더 (102)의 증폭 체인의 동작을 가능케 하는, 위성 (101)에 의한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Method for establishing radiofrequency links}
본 발명은 위성으로 무선 주파수 링크들 (radiofrequency links)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위성 채널 (예를 들어,표준 DVB-S, DVB-S2 또는 DVB-SH 중 하나에 따름)에 의한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의 방송은 전세계에 걸쳐 사용된다. 다수의 장치들은 수많은 사용자의 집에 설치된다.
설치된 장치들은, LNB (Low Noise Block)의 피드혼 (feedhorn)이라 불리는 소스 상에서 변조된 하이퍼주파수 신호들을 집중시키는 파라볼릭 리플렉터 (parabolic reflector)를 포함한 외부 유닛을 포함한 대부분의 수신 장치이며, 이때 LNB는 수신된 하이퍼주파수 신호들을 중간 위성 밴드 내의 전기 신호들로 변환시켜서, 이들을 STB 위성 디코더로 전송하되,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한다.
디코더는, 동축 케이블 상에 전송된 변조 신호에서 "유용 (useful)" 변조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용"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블록 (DVB-S, DVB-S2 or DVB-SH)을 포함한다. "유용" 복조 신호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크린 상에 비디오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상 또는 위성 채널을 통해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공은 오늘날 기본적으로 완전하게 수동적이며, 즉, "일-방향 서비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턴 링크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투표들, 키들의 교환에 의한 조건 액세스를 가진 콘텐츠의 소모, 새로운 서비스들, 예를 들면 주문형 비디오 (video on demand)에 대한 주문)의 경우이다. 게다가, 이러한 리턴 링크는, 특정 장치들을 제어하고 (알람, 히팅) 그리고/또는 주택 내에 존재하는 센서들 또는 계량기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 (가스, 전기 등)를 복구하기 위한 기계 간의 (또는 M2M)의 통신 분야에서 특히나 관심 적용물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공지된 해결책은, 유선 통신 오퍼레이터들 (fixed telephony operators) (STN 또는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의해 제공된 ADSL 타입 연결, 또는 모바일 통신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제공된 GPRS/UMTS 타입 연결을 이용한 리턴 링크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로써, 이러한 해결책은 추가 장비, 이뿐 아니라 추가 사용료를 필요로 한다; 나아가, 통신 스위칭 (telephone switching)은 투표 또는 주문 메시지 등의 매우 크지 않은 메시지의 전송에 특히나 적합하지 않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 네트워크의 포화 문제점 등). 더욱이, 상기와 같은 해결책은, 상호작용하는 기능성들이 위성에 의한 텔레비전의 수신을 위해 이미 사용된 동일한 타입의 설치 및 장비에 기반하지 않는 한,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다.
대부분의 위성 텔레비전은 리턴 링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공한다. 위성에 의한 상호작용성은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 시스템으로서 제공될 수 있지만, 그러나 많은 비용이 들고 텔레비전 제공과 호환성도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원인이 제출한 특허 출원 WO2011076791에 기술된 위성에 의해 텔레비전을 방송하는 쌍 방향 시스템의 예시를 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단말기들의 비용은 적고, 상호작용적인 서브-시스템은 방송용 서브-시스템과 통합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폭 넓은 Ku 또는 Ka 밴드 내의 포워드 링크, 및 Ku 밴드와는 서로 다른 밴드, 예를 들어 좁은 S 밴드 또는 C 밴드 내의 지상 단말기들용 리턴 링크를 사용한다.
Ku 밴드 내의 리턴 링크는 포워드 링크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Ku 밴드의 일부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고, 그 결과 포워드 링크는 리턴 링크 내의 신호에 의해 스크램블링되지 (scrambled)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워드 링크에서, 그리고 리턴 링크에서 밴드의 동일한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나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사실 스펙트럼 효율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이로써, 동일한 트랜스폰더가 포워드 링크 및 리턴 링트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한, 리턴 링크에 대한 전용적인 트랜스폰더를 필요로 함 없이, 비용적인 면에서 감소되는 것을 확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주요 지상국이 폭 넓은 밴드 내의 포워드 링크에 전송되는 반면, 단말기들은 서로 분리된 서브-밴드들 내의 리턴 링크에 저 파워로 전송되고 포워드 링크에 대해 사용되는 폭 넓은 밴드에 나타난 특허 US6011952에 특히나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전송 지상국은 또한 그 자체로 전송된 주요 신호의 제거 및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의 복구를 담당한다. 리턴 링크에서 신호들의 복구 및 주요 신호의 전송을 위한 동일한 지상국을 사용하는 점은 전반적인 구성의 융통성 부족을 일으킨다.
문헌 US6011952에 제안된 제거 기술은, 릴레이 장치 (위성의 트랜스폰더일 수 있음)의 레벨로 신호들의 증폭이 선형 영역에서 고유하게 동작하는 트랜스폰더의 증폭 체인으로 수행되는 것을 가정했다. 이로써, 배타적인 선형 효과들을 가진 상기와 같은 동작은 트랜스폰더의 증폭 체인 (예를 들어 진행 파관 증폭기들(travelling wave tube amplifiers) 또는 TWTA를 포함함)이 거의 포화 상태 또는 포화 상태 (비-선형 효과들이 나타난 상태)에 동작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포화 상태의 동작의 사용은, TV 신호들 등의 방송 타입의 신호들이 전송될 시에, 특히나 바람직한 것 (또는 심지어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사실, 텔레비전 방송 등의 적용에 있어, 수신 안테나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빗물에 대한 저항을 최대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링크 버짓 (link budget)에서 마진 (margin)에 의해 주어짐). 이러한 효과들을 얻기 위해, 위성 트랜스폰더는 포화 상태에 매우 가까운 상태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메모리에 대해, 위성 트랜스폰더들에 사용된 증폭기들은 비-선형 거동을 가지는데, 이는 이들이 고 파워 레벨들 (파워 포화 상태)로 사용될 시에, 그러하다. 이러한 비-선형 효과들은 다중 반송파들의 경우에 출력 신호, 고조파 주파수들 또는 상호변조 신호들의 왜곡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진행파의 선형 영역에서, 관의 말단에서의 출력 파워는 입력 파워에 비례한다. 포화는, 출력 파워가 입력 파워에 따라 더 이상 선형으로 진행하지 못할 시에 발생된다. 다시 말하면, 출력 파워에 대한 입력 파워의 특성들, 나아가 진폭/진폭 (AM/AM) 변조에 의해 지정된, 출력 파워에 대한 입력 파워의 특성들은 증폭기의 출력이 최대가 될 시에 선형적이지 못하다.
이득 축소 (gain compression)의 효과들을 제외하고, 파워 증폭기들은 또한 비-선형 진폭/위상 (AM/PM) 변조 효과들을 가진다.
출력 파워의 포화는 파의 위상 변화와 관련된다. 선영 영역에 있게 될 시에, 입력 파워를 가진 위상 간의 (dephasing) 변화는 낮지만,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될 시에, 증폭기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 파워, AM/PM 전환 ("AM/PM 전환" - kp) 및 AM/PM 전송 ("AM/PM 전송" - kt)의 2 개의 효과들은 그 자체에서 나타난다.
위성 트랜스폰더의 포화로 인한 이러한 강한 효과들의 존재는 위성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상황에서 문헌 US6011952에 기술된 제거 기술의 사용을 방해한다.
이러한 정황에서, 본 발명은, 성능에 관하여 효율적인 방식으로 하이퍼주파수 (hyperfrequency radioelectrical signals)의 무선 전기 신호들의 리턴 링크 전송 (return link transmission)을 확보하고, 동일한 포워드 링크 및 리턴 링크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여 사전에 존재하는 방송 시스템에 손쉽게 맞춰질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고, 2 개의 채널들을 위한 2 개의 독립적인 지상국의 사용을 가능케 하며, 그리고 포화 상태 또는 거의 포화 상태에서 위성의 트랜스폰더의 증폭 체인의 동작을 가능케 하는, 위성에 의한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주파수 링크들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때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 사용 밴드의 업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업링크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Ku 업링크"라 불리는 업링크에 전용적인 Ku 밴드의 부분)에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신호들을 주파수 변환하며, 그리고 사용 밴드의 다운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다운링크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Ku 다운링크"라 불리는 다운링크에 전용적인 Ku 밴드의 또 다른 부분)에 있는 상기 신호들을 지구로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폰더 (102)를 포함한 이동통신 위성;
-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방송하는 수단을 포함한 주요 지상국;
-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프로토콜과는 다르고, 스펙트럼 확산 프로토콜 (spread spectrum protocol)임 - ;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로부터, 그리고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주요 지상국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을 차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이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차지하는 복수의 신호들을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신호들이 상기 지상국에 의해 방송되는 신호 상에 중첩된 주파수가 되도록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위성이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그리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에 의해 수신되되, 상기 주요 지상국에 의해 방송된 신호의 진폭보다 작은 총 진폭을 가지고 수신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에 의해 수신되되, 서로 다른 진폭들을 가지고 수신됨 - ;
-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 및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트랜스폰더 내로 지나가게 하는 단계 - 상기 신호들 모두는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비-선형 효과들로 증폭됨 - ;
- 상기 위성이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증폭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 및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한 모인 신호 (aggregated signal)를 지구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이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주요 지상국에 의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초기의 모인 신호를 지정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리프로세싱된 (reprocessed) 모인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추가로:
- i)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에 존재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 모두 중에서 가장 큰 진폭을 가진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로부터 복조하는 단계;
- ii)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이전 단계에서 복조된 신호들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하는 단계;
- iii)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이 적용된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된 신호들 및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 iv) 이전 단계 동안 시뮬레이션된 (simulated)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새롭게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i) 내지 iv) 단계는 새롭게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에 대해 반복되고,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 내의 간섭의 레벨은 각각의 반복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동일한 주파수 밴드 (또는 주파수 밴드의 일부)가 사용되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Ku 주파수 밴드의 일부는. 현존하는 단말기들 및 맞춰지는 단말기들 (상호 작용하는 단말기들이라 칭함)에 전용적인 포워드 링크에서 텔레비전 신호들 등의 방송 신호들. 및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해 리턴 링크에서 전송된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에 전용적이다.
동일한 밴드의 사용을 넘어, 그리고 특허 US6011952의 문헌의 구성과는 달리, 본원은 동일한 밴드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들에 따라 분리되지 않음) 상에 중첩되는 신호들을 (포워드 링크 및 리턴 링크 둘 다에서) 사용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방법은 2 개 타입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각각의 프로토콜은 변조/복조 기술 및 특별한 인코딩, 예를 들어 포워드 링크에서의 입증된 기술에 기반한 프로토콜 (예를 들어 표준 DVB-S, DVB-S2 또는 DVB-SH에 기반함) 및 스펙트럼 확산 프로토콜, 예를 들면 간섭 제거 기술들을 사용하여 SPREAD ALOHA 타입의 변조에 의해 퍼지는 밴드를 가진 다중 랜덤 액세스 프로토콜에 기반한 리턴 링크에서의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와 같은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문헌 US2010/0054131에 기술된다 (del Rio Herrero 등).
특허 US6011952의 문헌의 구성에 비해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모두가 동일한 파워로 전송되지 못하고, 그 결과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동일한 주파수 밴드에 중첩되지만 동일한 진폭을 가지질 못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주요 방송 신호는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의 축적된 진폭보다 큰 진폭을 가진다. 본 발명의 원칙은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에 의해 수신된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신호들을 점진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로써, 주요 방송 신호를 검출 및 제거함으로써 시작된다; 그 후에, 가장 큰 진폭 등을 가진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검출 및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반복에서, 새로운 신호들 (작은 진폭을 가짐)은, 간섭의 레벨이 감소되기 때문에 검출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특이성은 방법 과정에서 신호들 모두의 제거를 개량하면서, 선형 효과들과 더불어 위성 상의 증폭 체인의 비-선형 효과들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단계에서의 제거는 비-선형 효과들 (예를 들어 AM/AM, AM/PM 효과들에 링크됨)을 고려하면서, 주요 신호뿐만 아니라 복조 신호들 모두를 포함한 모인 신호를,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의 레벨로 이뮬레이팅시키고 (emulating), 그리고 이렇게 새롭된 이뮬레이팅된 신호는 제거를 수행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손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를 모두 만들고 각각의 신호가 교대로 있지 않게 하는 것을 포함한 동작은 시뮬레이터 (특히 위성 상의 증폭을 시뮬레이션함)로 진행되고, 이는 비-선형 효과들의 현실에 매우 가까운 접근법을 가지는 것을 가능케 한다. 비-선형 효과들을 고려한 상기와 같은 접근법은 트랜스폰더의 레벨에서 (즉, 포화 상태 또는 거의 포화 상태에서) 고 파워로 작동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주목해야 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옆에 위치된 주요 지상국과 함께 기능 할지라도 (이들은 단지 단일의 동일한 기지국으로 구성될 수 있음), 이는 또 다른 장소에 위치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을 가지는 것이 특히나 바람직할 수 있고,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의 점진적인 복구는 방송 신호의 방송으로서 동일한 스팟에서 일어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개별적으로 고려되거나 또는 기술적인 가능성의 조합 모두에 따라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비-상호작용하는, 고유의 수신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이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상기 주요 지상국에 의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중 일부는,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의 실행 (commissioning) 전에 이미 설치되고 동작된다;
-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 다중 랜덤 액세스 프로토콜이다;
-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다음의 표준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o DVB-S;
o DVB-S2;
o DVB-SH;
- 상기 사용 밴드의 업링크 주파수들은 Ku 밴드 또는 Ka 밴드에 속한다.
- 상기 주요 지상국은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과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된다;
- 상기 iii) 단계의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효과들은 다음의 효과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o 진폭/진폭 AM/AM 변조의 비-선형 효과;
o 진폭/위상 AM/PM 변조의 비-선형 효과;
o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위한 주파수의 기능으로서의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
o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위한 주파수의 기능으로서의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주요 지상국이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로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되는 전송 파워 레벨들의 범위 또는 레벨을 상기 단말기들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반복 프로세스는, 반복의 수가 주어진 임계 값에 도달할 시에 또는 새로운 반복이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 내에서 새로운 신호들을 검출 및 복조하는 것이 불가능 할 시에 멈춘다;
- 상기 수신된 모인 신호는 샘플링되고, 샘플들은 메모리 공간에 기억되며, 그리고 검출 및 복조된 신호들의 제거 동작은 상기 반복 프로세스의 각 멈춤에서 상기 메모리 공간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수행된다;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들은, 주요 지상국이 상호작용하는 지상국과는 다른 장소에 위치될 시에 특히나 바람직하다):
o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모인 신호로부터 복조하는 단계;
o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이전 단계에서 복조된 신호를,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하는 단계;
o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에 적용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o 이전 단계 동안 시뮬레이션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시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이때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 사용 밴드의 업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업링크 주파수 범위에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신호들을 주파수 변환하며, 그리고 사용 밴드의 다운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다운링크 주파수 범위에 있는 상기 신호들을 지구로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폰더를 포함한 이동통신 위성;
-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방송하는 수단을 포함한 주요 지상국;
-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신호들이 상기 지상국에 의해 방송된 신호 상에 중첩된 주파수가 되도록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프로토콜과는 다르고, 스펙트럼 확산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에 의해 수신되되, 상기 주요 지상국에 의해 방송된 신호의 진폭보다 작은 총 진폭을 가지고 수신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에 의해 수신되되, 서로 다른 진폭들을 가지고 수신됨 -;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로부터, 그리고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을 포함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상기 위성은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증폭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 및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한 모인 신호를 지구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은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주요 지상국에 의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은 다음을 포함한다:
o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초기의 모인 신호를 지정하는 수단;
o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수단;
o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에 존재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 모두 중에서 가장 큰 진폭을 가진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로부터 복조하는 수단;
o 상기 복조된 신호들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하는 수단;
o 상기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이 적용된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된 신호들 및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o 상기 시뮬레이션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에 내에서 제거하여, 새롭게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수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표시에 의해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명확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시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주요 지상국에 의해,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의 주파수 분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서로 다른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 (100)를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한다. 병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200)의 주요 단계들 (특히,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의 레벨에서 프로세싱하는 단계)은 도 3에 도시된다.
이동통신 네트워크 (100)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102) (이해하는 바와 같이, 위성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트랜스폰더들 (102)를 포함함)를 포함한 이동통신 위성 (101);
- 주요 지상국 (103);
-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
- 복수의 비-상호작용하는, 고유의 수신 단말기들 (105);
-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
주목해야 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점들 중 하나는 현존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맞춰질 수 있고, 배타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호작용하는 수단을 포함한 단말기들을 포함하되, 네트워크의 동작 및 신호들의 수신, 예를 들면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한 텔레비전 신호들의 수신을 교란시킴 없이 포함한다.
주요 지상국은 위성 (101)으로의 업링크에서 예를 들어 표준 DVB-S2 (ETSI EN 302 307 디지털 비디오 방송 (DVB); 방송, 상호작용하는 서비스들, 뉴스 게더링 및 다른 광대역 위성 적용을 위한 제 2 세대 프레이밍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시스템들 (DVB-S2))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한 변조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방송하도록 구성된다 (단계 201).
위성 (101)의 트랜스폰더 (102) 각각은, 특정 미리결정된 신호들을 수신할 시에 자동으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송신기/수신기이다. 용어 위성용 "트랜스폰더"는 단일 고 파워 증폭 체인 (single high power amplification chain)을 사용한 신호 프로세싱 유닛이다. 각각의 트랜스폰더는, 주어진 주파수 중앙에 있고 수신된 신호의 주어진 분극 (polarisation)을 가진, 정의된 주파수 범위 (이른바 "밴드폭"이라고도 하며, 몇십 MHz 내지 몇백 MHz에서 변화될 수 있음)를 프로세싱한다. 트랜스폰더의 주파수 범위는 Ku 밴드의 업링크 (전문 용어의 업링크 사용 밴드에 의해 지칭될 수 있는 "Ku 업링크")에 전용적인 부분을 사용하여, 사용 밴드 (107)의 업링크 주파수들 내에 있다.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은 트랜스폰더 (102)의 주파수 범위의 일부를 걸쳐 전송된다. 이러한 신호들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신호들이다.
각각의 트랜스폰더는, 주파수 및 잠재적으로는 분극을 변화시키고 지구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수단 및 이들을 지구로 재-전송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위성은 몇 개의 트랜스폰더들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몇 개의 트랜스폰더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스폰더들 (102)은, 예를 들어 36 MHz의 주요 캐리어 상에서 DVB-S2 신호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는 36 MHz의 밴드 폭 (즉, 주파수 범위는 36 MHz의 밴드폭을 가짐)을 가진 트랜스폰더들이다.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이 36 MHz의 전체 주파수 범위를 차지한다고 가설을 만들어 보면, 36 MHz의 주요 캐리어 상의 상기와 같은 신호 (S)는 도 2에 도시된다.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은,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이 간섭들을 제거하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SPREAD ALOHA 타입의 변조에 의해 퍼지는 밴드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비동기식 다중 랜덤 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변조기에 의해 변조되는 신호들을, 위성 (101)으로의 업링크에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문헌 US2010/0054131에 기술된다 ( (del Rio Herrero 등)).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 (단계 202)은 리턴 링크 신호들, 예를 들여, TV 방송에 링크된 상호작용하는 서비스들 (구독 신청, 투표들, 키들의 교환에 의한 조건 액세스를 가진 콘텐츠의 소모, 새로운 서비스들, 예를 들면 주문형 비디오에 대한 주문)에 관련된 리턴 신호들이다.
이러한 신호들은 방송 신호들을 위해 사용된 부분 내에, 그리고 이로써 트랜스폰더 (102)의 업링크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된 C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 도 2에 도시된 채널 (C)는 예를 들어 5 MHz의 폭을 가진다. 몇 개의 신호들 (S1, S2 및 S3)은 도 2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진폭들의 총합은 주요 지상국 (103)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S)의 진폭보다 작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라서,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이 동일한 진폭을 모두 가질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신호 (S1)가, 신호 (S3)보다 진폭이 그 자체로 작은 신호 (S2)보다 작은 진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해 전송된 신호 (S) 및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 (S1, S2, S3)은 해당 주파수 범위에 전용적인 트랜스폰더 (102)에 의해 수신되고 프로세싱된다; 상기 트랜스폰더 (102)는 예를 들어 증폭기의 진행파관들 (TWTA)을 포함한 그의 증폭 체인에 의해 신호들을 증폭시키며, 그리고 상기 신호들을 주파수 이동시킨다 (단계 203). 이로 인해 얻어져 모인 신호 (증폭되고 주파수 이동된 신호들 모두를 포함) 는 그 후에 지구로 재전송된다.
이렇게 모인 신호를 지구로 전송하기 위해, 트랜스폰더 (102)는 예를 들어 Ku 밴드의 다운링크 (전문 용어의 사용 밴드 다운링크 주파수에 의해 지칭될 수 있는 "Ku 다운링크")에 전용적인 부분 (108)을 사용한다.
주목해야 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트랜스폰더 (102)의 증폭 체인은 TV 신호들과 같은 방송 타입의 신호들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포화 상태 (saturation)에서 동작하거나, 포화 상태에 매우 가까운 상태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트랜스폰더 (102)에서 사용된 증폭기들은 비-선형 거동 (즉, 출력 파워는 입력 파워에 따라 선형적으로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함).을 가진다. 이득 축소 (AM/AM)의 효과를 제외하고, 트랜스폰더 (102)에 사용되는 증폭기들은 또한 비-선형 진폭/위상 (AM/PM) 변조 효과들을 가진다.
트랜스폰더 (102)에 의해 지구로 전송된, 모인 신호는 다음에 의해 수신된다:
-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
-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5);
- 상호작용하는 방송국 (interactive station) (106).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 및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5) 각각은, 각각의 단말기가 주요 방송국 (103)에 의해 전송된 텔레비전 신호를 복구할 수 있도록, 표준 DVB-S2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의 복조기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주요 방송국 (103)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레벨은, 잡음에 비해 그리고 모든 단말기들의 모인 파워 레벨에서, 사용된 제 1 변조 (즉 예를 들어 표준 DVB-S2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토콜을 사용한 변조)가 필요로 하는 복조 임계치보다 큰 "신호 대 잡음" 비를 바람직하게 가진다.
주목해야 하는 바와 같이, 특히나 바람직하게 기술된 실시예에 따라서, 주요 지상국 (103)은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과는 다르다. 사실, 본 발명이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옆에 위치된 주요 지상국과 함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들은 단지 단일 동일 기지국을 구성할 수 있음), 이는 또 다른 장소에서 위치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을 가지는 것에 특히나 관심이 갈 수 있고, 이때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의 점진적인 복구는 방송 신호의 방송과 동일한 스팟에서 일어날 필요는 없다.
다음의 단계들 (204 내지 214) 모두는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의 레벨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204)에 따라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은 위성 (101)에 의해 방송된 모인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205)에 따라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은 모인 신호를 일시적으로 샘플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모인 신호의 샘플들 (예를 들어, 400 ms의 샘플링 윈도우 상의 상대적으로 짧은 샘플들)은 작업 메모리 (A)에 저장된다 (단계 206).
단계 (207)에 따라서, 그 후에,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은 작업 메모리 (A) 내에서 검출가능하고 복조가능한 제 1 신호를 복조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반복을 하는 동안, 이러한 검출가능하고 복조가능한 제 1 신호는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해 전송된 DVB-S2 신호이다 (도 2의 신호 (S)와 비교). 이러한 제 1 단계는,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에 DVB-S2 변조기/복조기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의 반복 동안, 이러한 단계 (207)는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에 관해 수행될 수 있되, 먼저 가장 큰 진폭을 가진 신호들에 관해, 그 후 다음의 반복 동안, 보다 작은 진폭들을 가진 신호들에 관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신호 (S3)로 시작하여 신호 (S2)로, 그 다음은 신호 (S1)로 감); 주목해야 하는 바와 같이, 비교할만한 진폭의 몇 개의 신호들은 각각의 반복으로 분명하게 프로세싱될 수 있다.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에는 또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이 간섭 제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SPREAD ALOHA 타입의 변조에 의해 퍼지는 밴드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비동기식 다중 랜덤 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변조기/복조기에 의해 설치된다.
복조의 단계 (207)는 또한 위성의 트랜스폰더 (102)의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를 복구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메모리 (B)에 저장된다 (단계 208).
단계 (209)에 따라, 복조된 신호는 그 후 "깨끗하게" (즉, 모인 신호에 존재하는 다른 신호들의 교란 없이) 재-변조된다.
단계 (210)에 따라, 메모리 (B)에 저장된 파라미터들 (특히 트랜스폰더 (102)에 링크된 파라미터들)로부터 추정된 특정 효과들은 재-변조 신호에 적용된다. 단일 신호를 본원에서 처리하는 한, 이러한 신호에 명확한 선형 효과들이 단지 적용된다 (이로써, 이러한 신호가 다른 신호들에 추가될 시에 정확한 이미지는 트랜스폰더의 레벨에서 프로세싱으로 얻어짐). 예를 들면,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들은 제 1 프로토콜 (본원에서 DVB-S2)에 따라 변조되는 신호를 위한 주파수의 기능으로서 본원에 적용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들은, 신호들이 연속적인 반복들 동안 얻어질 시에, 제 2 프로토콜 (SPREAD ALOHA 타입의 변조에 의해 퍼지는 밴드를 이용한 비동기식 다중 랜덤 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는 신호들을 위한 주파수의 기능으로서 적용될 것이다. 사실, 선형이긴 하지만, 주파수의 기능으로서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들은 고 진폭 신호들 (주요 지상국 (103)으로부터의 DVB-S2 신호)에 대해,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지상 단말기들 (104)로부터의 보다 작은 진폭들의 신호들에 대해 서로 다르다.
서로 다른 연속적인 반복들 동안, 복조되고 그 후에 재-변조되고 그리고 프로세싱되어 얻어진 신호들 모두 (특히 주파수의 기능으로서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들에 의함)는 그 후에 메모리 (C)에 축적된다 (단계 (211)).
단계 (212)에 따라서, 메모리 (B)에 저장된 파라미터들로부터 추정된 특정 선형 효과들 및 비-선형 효과들은 단계 (211) 동안 얻어진 신호에 적용된다. 이러한 선형 (위성에 링크된 도플러 효과) 및 비-선형 효과들은 신호들 모두에 공통적인 것이 되고, 그 결과 그의 진폭의 기능으로서 분리된 각각의 신호보다 오히려 축적된 신호에 이들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트랜스폰더에 의한 증폭 위상 동안 도입된 비-선형 효과들은 본원에서 적용되는데, 이는 이들이 신호의 총 진폭에 매우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비-선형 효과들이 축적된 신호에 적용되는 것이 분명하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계 (212) 동안 적용된 비-선형 효과들은 특히나 다음과 같다:
- 진폭/진폭 AM/AM 변조의 비-선형 효과들;
- 진폭/위상 AM/PM 변조의 비-선형 효과들.
이로 인하여, 단계 (212) 동안 이미 검출 및 복조된 신호들에 적용된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 모두를 포함하여 얻어진 신호는 그 후 메모리 (D)에 저장된다 (단계 (213)).
단계 (214)에 따라서, 작업 메모리 (A)에 저장된 초기의 모인 신호의 샘플 내에서, 단계 (213) 동안 얻어진 메모리 (D)에 저장된 신호는 제거된다. 이로 인해, 새롭게 리프로세싱되어 모인 신호가 얻어지게 되며, 단계들 (207 내지 214)은 보다 작은 진폭의 신호들을 복구할 수 있도록 반복된다.
주목해야 하는 바와 같이, 비-선형 효과들의 적용 단계 (212)는 여전하게 축적된 신호 (검출 및 복조된 신호들 모두를 포함)에 관해 수행될 수 있고, 제거 단계 (214)는 여전하게 초기의 모인 신호로부터 일어난다.
단계들 (207 내지 214)의 반복은, 반복의 수가 주어진 임계 값에 도달할 시에 또는 새로운 반복이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 내에서 새로운 신호들을 검출 및 복조하는 것이 불가능 할 시에 멈춘다.
반복들이 멈출 시에, 작업 메모리 (A)에 이미 프로세싱된 샘플에 이어 샘플의 프로세싱으로 가게 된다. 우선적으로, 이전 윈도우에 다소 오버랩핑되는 샘플링 윈도우에서 또 다른 샘플로 간다; 이는 슬라이딩 윈도우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400 ms의 폭을 가진 샘플에 대해 약 50 내지 100 ms의 오버랩이 있을 수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네트워크 (100)에서 무선 주파수 링크들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 사용 밴드의 업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업링크 주파수 범위에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신호들을 주파수 변환하며, 그리고 사용 밴드의 다운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다운링크 주파수 범위에 있는 상기 신호들을 지구로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폰더 (102)를 포함한 이동통신 위성 (101);
    -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 (101)으로 방송하는 수단을 포함한 주요 지상국 (103);
    -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프로토콜과는 다르고, 스펙트럼 확산 프로토콜임 - ;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로부터, 그리고 상기 주요 지상국 (103)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주요 지상국 (103)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을 차지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이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차지하는 복수의 신호들을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신호들이 상기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해 방송되는 신호 상에 중첩된 주파수가 되도록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위성 (101)이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그리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 (101)에 의해 수신되되, 상기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해 방송된 신호의 진폭보다 작은 총 진폭을 가지고 수신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 (101)에 의해 수신되되, 서로 다른 진폭들을 가지고 수신됨 - ;
    -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 및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트랜스폰더 (102) 내로 지나가게 하는 단계 - 상기 신호들 모두는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비-선형 효과들로 증폭됨 - ;
    - 상기 위성 (101)이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증폭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 및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한 모인 신호 (aggregated signal)를 지구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104)이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주요 지상국 (103)에 의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이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초기의 모인 신호를 지정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 (106)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리프로세싱된 (reprocessed) 모인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추가로:
    - i)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에 존재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 모두 중에서 가장 큰 진폭을 가진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로부터 복조하는 단계 (207);
    - ii)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이전 단계에서 복조된 신호들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하는 단계 (209);
    - iii)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이 적용된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된 신호들 및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210, 211, 212);
    - iv) 이전 단계 동안 시뮬레이션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새롭게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단계 (214);를 포함하며,
    상기 i) 내지 iv) 단계는 새롭게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에 대해 반복되고,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 내의 간섭의 레벨은 각각의 반복에서 감소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비-상호작용하는, 고유의 수신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이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상기 주요 지상국에 의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중 일부는,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의 실행 전에 이미 설치되고 동작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 다중 랜덤 액세스 프로토콜인,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다음의 표준들:
    - DVB-S;
    - DVB-S2;
    - DVB-SH;
    중 하나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밴드의 업링크 주파수들은 Ku 밴드 또는 Ka 밴드에 속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지상국은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과는 서로 다른 장소에 위치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의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효과들은 다음의 효과들:
    - 진폭/진폭 AM/AM 변조의 비-선형 효과;
    - 진폭/위상 AM/PM 변조의 비-선형 효과;
    -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위한 주파수의 기능으로서의 이득 응답 (gain response)의 선형 효과;
    -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위한 주파수의 기능으로서의 이득 응답의 선형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요 지상국이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로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되는 전송 파워들의 레벨 또는 레벨들의 범위를 상기 단말기들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프로세스는, 반복의 수가 주어진 임계 값에 도달할 시에 또는 새로운 반복이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 내에서 새로운 신호들을 검출 및 복조하는 것이 불가능 할 시에 멈추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모인 신호는 샘플링되고, 샘플들은 메모리 공간에 기억되며, 그리고 검출 및 복조된 신호들의 제거 동작은 상기 반복 프로세스의 각 멈춤에서 상기 메모리 공간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는: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모인 신호로부터 복조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이전 단계에서 복조된 신호를,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하는 단계;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이, 상기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에 적용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 이전 단계 동안 시뮬레이션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시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서,
    - 사용 밴드의 업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업링크 주파수 범위에 있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증폭하고, 상기 신호들을 주파수 변환하며, 그리고 사용 밴드의 다운링크 주파수들 내에서 결정된 다운링크 주파수 범위에 있는 상기 신호들을 지구로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폰더를 포함한 이동통신 위성;
    -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방송하는 수단을 포함한 주요 지상국;
    -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범위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신호들을, 상기 이동통신 위성으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신호들이 상기 지상국에 의해 방송된 신호 상에 중첩된 주파수가 되도록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프로토콜과는 다르고, 스펙트럼 확산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에 의해 수신되되, 상기 주요 지상국에 의해 방송된 신호의 진폭보다 작은 총 진폭을 가지고 수신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은 상기 이동통신 위성에 의해 수신되되, 서로 다른 진폭들을 가지고 수신됨 -;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로부터, 그리고 상기 주요 지상국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을 포함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 상기 위성은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증폭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 및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한 모인 신호를 지구로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상호작용하는 단말기들은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주요 지상국에 의한 전송 신호를 복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상호작용하는 지상국은:
    o 상기 모인 신호를 수신하고, 초기의 모인 신호를 지정하는 수단;
    o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 내에서 제거하여,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수단;
    o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에 존재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 모두 중에서 가장 큰 진폭을 가진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로부터 복조하는 수단;
    o 상기 복조된 신호들을,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하는 수단;
    o 상기 트랜스폰더의 증폭의 선형 및 비-선형 효과들이 적용된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재-변조된 신호들 및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o 상기 시뮬레이션된 신호를, 상기 초기의 모인 신호에 내에서 제거하여, 새롭게 리프로세싱된 모인 신호를 얻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KR1020150046291A 2014-04-01 2015-04-01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KR102217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2860 2014-04-01
FR1452860A FR3019412B1 (fr) 2014-04-01 2014-04-01 Procede pour l'etablissement de liaisons radiofreque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441A true KR20150114441A (ko) 2015-10-12
KR102217275B1 KR102217275B1 (ko) 2021-02-18

Family

ID=5122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291A KR102217275B1 (ko) 2014-04-01 2015-04-01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03468B2 (ko)
EP (1) EP2928088B1 (ko)
KR (1) KR102217275B1 (ko)
CN (1) CN104980208A (ko)
BR (1) BR102015007237A2 (ko)
ES (1) ES2616285T3 (ko)
FR (1) FR3019412B1 (ko)
IL (1) IL238070A (ko)
PL (1) PL2928088T3 (ko)
RU (1) RU20151116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4641B1 (fr) * 2011-12-15 2014-06-13 Eutelsat Sa Installation d'emission/reception de signaux radioelectriques
CN114004057B (zh) * 2021-09-18 2023-04-0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射频链路快速仿真及器件自动选优的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2854A1 (en) * 2009-12-24 2012-11-08 Eutelsat S A Installation for emission/reception of satellite signals
US20130114644A1 (en) * 2011-10-27 2013-05-09 Eutelsat S A Installation for the transmission/reception of radio signals
US20130336377A1 (en) * 2012-06-13 2013-12-19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Iterative equalization with non-linear soft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non-linear satellite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39242B (en) * 1994-03-28 1995-01-21 Leo One Ip L L C Satellite system using equatorial & polar orbit relays
US5625640A (en) * 1994-09-16 1997-04-29 Hughes Electronics Apparatus for and method of broadcast satellite network return-link signal transmission
US6011952A (en) 1998-01-20 2000-01-04 Viasat, Inc.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relayed communication networks
ES2250322T3 (es) * 2001-07-20 2006-04-16 Eutelsat Sa Antena de alto rendimiento y bajo coste para empleo en terminales de transmision/recepcion por satelite.
DE60324672D1 (de) * 2002-05-29 2008-12-24 Thomson Licens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öglichung der übertragung des signals eines drahtlosen rückkanals in einem satellitenkommunikationssystem
US7016644B2 (en) * 2003-02-21 2006-03-21 Hughes Network Systems Llc Compensating for non-linearity in an overlaid communication system
EP2159926B1 (en) 2008-08-26 2019-10-23 Agence Spatiale Europeenne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 for asynchronous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US8635645B2 (en) * 2008-09-30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providing and receiving venue level transmissions and services
ATE536668T1 (de) * 2009-10-23 2011-12-15 Europ Agence Spatiale Empfänger für das automatische identifikations system und satellitennutzlast, die diesen empfänger umfasst
US8559357B2 (en) * 2010-04-14 2013-10-15 Hughes Network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triple use satellite system
US20110176603A1 (en) * 2011-02-10 2011-07-21 Comtech Ef Data Corp. method for carrying meta-data over digital video broadcasting-satellite second generation (dvb-s2) streams over the physical-layer framing structure
FR2984641B1 (fr) * 2011-12-15 2014-06-13 Eutelsat Sa Installation d'emission/reception de signaux radioelectriqu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2854A1 (en) * 2009-12-24 2012-11-08 Eutelsat S A Installation for emission/reception of satellite signals
US20130114644A1 (en) * 2011-10-27 2013-05-09 Eutelsat S A Installation for the transmission/reception of radio signals
US20130336377A1 (en) * 2012-06-13 2013-12-19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Iterative equalization with non-linear soft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non-linear satellite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8088A2 (fr) 2015-10-07
FR3019412B1 (fr) 2016-04-29
IL238070A0 (en) 2015-11-30
US9203468B2 (en) 2015-12-01
PL2928088T3 (pl) 2017-07-31
KR102217275B1 (ko) 2021-02-18
BR102015007237A2 (pt) 2015-12-15
ES2616285T3 (es) 2017-06-12
EP2928088A3 (fr) 2015-11-11
US20150280776A1 (en) 2015-10-01
IL238070A (en) 2017-12-31
RU2015111657A (ru) 2016-10-20
CN104980208A (zh) 2015-10-14
FR3019412A1 (fr) 2015-10-02
EP2928088B1 (fr)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7673B (zh) 识别同频道干扰的方法和设备
RU2609532C2 (ru) Передача/прием сверхвысокочастотных сигналов, транслируемых посредством спутника с интерактивной обратной линие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отокола расширенного спектра
JPWO2006009197A1 (ja) 光信号伝送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454295A1 (en) On-channel rep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service
US20150195030A1 (en) Conditional Access System for Satellite Outdoor Unit
US8862049B2 (en) Installation for emission/reception of satellite signals
KR102217275B1 (ko) 무선 주파수 링크 구축 방법
US8976841B2 (en) Installation for the transmission/reception of radio signals
CN102195664A (zh) 一种多路微波数字接收机
KR100530497B1 (ko) 위성 통신 시스템과 연동하는 신호 변환 중계 장치
CN101116252B (zh) 用于接收卫星广播的装置及其方法
JP2008066803A (ja) 再送信システム並びに再送信装置
KR100690327B1 (ko) 건물내 지상파 수신 중계장치
KR200340071Y1 (ko) 방송신호 채널별 분리 증폭방식 다채널 지하 fm방송중계기
KR100820514B1 (ko) 위성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245257B1 (ko) 방송 신호 수신 및 재송신 장치 및 방법
O'Leary Field trials of an MPEG2 distributed single frequency network
KR100244742B1 (ko) 엘엠디에스의 셀 사이트단의 신호 재중계장치
US20110145882A1 (en) Multi-channel digital tv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RU2457633C1 (ru) Система коллектив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виз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с различными типами модуляции
RU115993U1 (ru) Система компьютеризированной передачи наземных цифровых телевиз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KR20050027439A (ko) 디지털 위성 방송용 중계 장치
KR20070024034A (ko) Ofdm 방식의 중계기용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6333A (ko) Fm신호 채널제어가 가능한 중계장치
KR19980077375A (ko) 디지탈 엘엠디에스(lmds)의 신호 재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