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432A -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432A
KR20150114432A KR1020150045504A KR20150045504A KR20150114432A KR 20150114432 A KR20150114432 A KR 20150114432A KR 1020150045504 A KR1020150045504 A KR 1020150045504A KR 20150045504 A KR20150045504 A KR 20150045504A KR 20150114432 A KR20150114432 A KR 20150114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ush
container
open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임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빈 filed Critical 임효빈
Publication of KR2015011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용기에 제1내용물이 저장되고, 용기마개에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용기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하기 전에 제2내용물을 제1내용물에 혼합시키는 동작을 단순히 푸시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가능하도록 하되,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푸쉬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자력으로 원위치하지 못하도록 한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Container closure comprising tension-type push means}
본 발명은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용기에 제1내용물이 저장되고, 용기마개에 제2내용물이 저장되어 용기마개를 용기에서 분리하기 전에 제2내용물을 제1내용물에 혼합시키는 동작을 단순히 푸시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가능하도록 하되,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푸쉬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자력으로 원위치하지 못하도록 한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화장품 또는 약품을 담고 있는 용기는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시킨 내용물을 포함함에 따라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와, 이 용기의 입구를 기밀 밀봉하기 위한 용기 마개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기능성 음료, 화장품 또는 약품이 출현하면서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는 시점에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는 구조의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투자와 연구를 계속한 끝에 저장캡의 조립 위치에 상관없이 저장캡을 회전시키면 푸시부가 항상 개봉부재의 최상측부터 접촉되도록 하여 조립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특허등록 제10-1202811호 "용기마개"를 통해 실용화 시켰으나. 상기 저장캡을 회전시키는 나사회전방식을 취함에 따라 저장캡의 크기가 작은 경우 사용자는 움켜쥘 수 있는 면적이 작아져 저장캡에 그립력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나사가 역회전하여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회전 방지부를 구성해야 함에 따라 가성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미국특허공고 US2004011679호 선행문헌 2: 미국등록특허공보 US6230884호 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91969호 선행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28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는 원터치로 제 2내용물을 제 1내용물에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 과제로 한다.
또한, 원터치 작용을 위해 적용되는 외력을 작게 하고, 작용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원터치로 눌려진 푸쉬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자력으로 원위치하지 못하도록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용기(10)에 저장된 제1내용물(1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입구(1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개봉부재(40)가 장착되는 마개 바디(20)와, 상기 마개 바디(20)에 결합되고 상기 개봉부재와 더불어 제2내용물(32)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봉부재를 개봉시키는 푸쉬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 바디(20)는 용기 입구(14)의 내주면과 밀봉 가능하게 면접촉되는 제1결합부(22)와, 용기입구(14)의 숫나사부(16)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4)로 구성되고, 상기 개봉부재(40)는 상기 제1결합부 하면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재(30)는 상기 제2결합부(22)로부터 연장된 텐션부(31) 및 상기 텐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봉부재(40)를 개봉하도록 저부에 개봉수단(331, 332, 333)을 구비한 푸쉬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31)가 제1결합부로부터 푸쉬부(33)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푸쉬부(33)는 하강에 의해 상기 개봉부재를 개봉시킨 후 자력으로 원위치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의 두께(t 1)는 푸쉬부 두께(t 2) 및 제1결합부 두께(t 3)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텐션부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에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하나 이상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되, 상기 힌지포인트는 텐션부와 푸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힌지포인트(311) 및 제1결합부(22)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2힌지포인트(312)로서, 둘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양자 모두이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힌지포인트의 두께(t 11, t 12)는 텐션부 두께(t 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는 파형으로 형성된 파형텐션부(3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부는 상기 개봉수단이 제1결합부(22) 내주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상협하광의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봉수단은 원통형상의 푸쉬부 말단에 복수의 파쇄날(332-1, 332-2, 332-3)을 푸쉬부 말단 보다 낮은 위치의 한 점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형 개봉수단(332), 또는 원통형상의 푸쉬부 말단에 복수의 파쇄날(333-1, 333-2, 333-3)을 푸쉬부 말단 보다 높은 위치의 한 점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돌입형 개봉수단(33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 상부에는 푸쉬부(3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는 사용자가 푸쉬부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제 2내용물이 제 1내용물에 혼합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종래의 회전방식에 비하여 푸쉬방식은 한손 만으로도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원터치 푸시 동작이므로 용기마개를 회전시키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그립력을 제공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기가 작은 용기마개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형 푸쉬부는 작용선까지 푸쉬력에 의해 하강하다가 작용선을 넘어가는 순간 탄성력으로 하강하면서 탄성력만으로도 개봉부재를 마개바디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원터치 작용을 위해 적용되는 외력이 작아지고, 작용시점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형 푸쉬부를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원터치로 눌려진 푸쉬부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자력으로 원위치하지 않아, 어떠한 경우에도 제 2내용물이 완벽하게 제 1내용물로 혼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쉬부의 말단을 마개 바디에 경사지게 형성하여 푸쉬부가 하강하면서 개봉부재와 푸시부가 선 접촉되어 개봉부재를 눌러주므로 개봉부재가 순간적으로 마개바디로부터 뜯겨지므로 쉽게 개봉부재를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전체 절단면도 및 적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작동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텐션부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절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절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는,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용기(10)에 저장된 제1내용물(1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입구(1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개봉부재(40)가 장착되는 마개 바디(20)와, 상기 마개 바디(20)에 결합되고 상기 개봉부재와 더불어 제2내용물(32)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봉부재를 개봉시키는 푸쉬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내용물(12)은 용기(10) 내부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액체, 분말 형태, 알갱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10)는 의약품 용기, 화장품 용기, 음료수 용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내용물(32)은 저장캡(30)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제1내용물(12)과 같거나 다른 물질일 수 있으며, 형태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제2내용물(32)도 역시 액체, 분말 형태, 알갱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 입구(14)의 외주면에는 마개 바디(20)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마개 바디(20)는,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입구(14)의 내주면과 밀봉 가능하게 면접촉되는 제1결합부(22)와, 용기입구(14)의 숫나사부(16)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2)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면은 용기 입구(14)의 내주면과 면접촉되어 밀봉되며, 제1결합부(22)의 하면에는 개봉부재(40)가 형성된다.
이로서, 제2내용물(32)은 개봉부재에 의해 추락하지 않고 제1결합부 내에 보관된다.
상기 제2결합부(24)는 제1결합부(22)의 상측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제1결합부(22)의 외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용기입구(14)의 숫나사부(16)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41)가 형성된다.
또한, 제2결합부(24)의 외면에는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4)에서 분리하기 위해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돌기(2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결합부(24)의 하단에는 스커트(243)가 형성되어 용기입구(14)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스커트(243)는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용기마개를 용기입구(14)에서 분리하면 스커트가 뜯기면서 처음 사용된 것을 확인시켜 준다.
상기 푸쉬부재(30)는 상기 제2결합부(22)로부터 연장된 텐션부(31) 및 상기 텐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봉부재(40)를 개봉하도록 저부에 개봉수단을 구비한 푸쉬부(33)를 포함한다.
이로서, 개봉부재에 의해 추락하지 않고 제1결합부 내에 보관되는 제2내용물(32)은 텐션부 및 푸쉬부에 의해 용기가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용기마개 외부로 분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텐션부(31)는 원형판 형태로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푸쉬부(33)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텐션부는 사용자가 푸쉬부를 하방향으로 작용선까지 눌렀을 때 작용선을 넘어서는 순간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면 3을 참조하면, 텐션부가 일정 각도(α)만큼 상향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텐션부(31)의 경사부 길이(l)는 텐션부가 작용선(B)에 있을 때의 작용선 길이(S)이 보다 길게 된다.
즉, 상기 경사부 길이(l)와 작용선 길이(S)와의 차이는 경사각도(α)에 따라 다르겠지만 예를 들어 경사각도도(α)가 30°경우 상기 길이 차이(a)는 2 - √3이므로 대략 0.27정도가 된다. 여기서, a = ℓ - S = ℓ - ℓcos(α)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부(31)가 연결되어 있는 푸쉬부(33) 및 제1결합부(22)는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푸쉬부를 하방향으로 외력(이하 푸쉬력이라 칭함)을 가하면 텐션부는 작용선(B)까지 상기 길이 차이(a)만큼 탄성압축되면서 어느 부분을 힌지포인트 삼아 변형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윽고, 푸쉬부의 위치가 작용선(B)에 도달하면 그 압축력은 최대가 되다가 작용선을 넘어가는 순간 외력 없이도 축적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푸쉬부는 순간적으로 폭발하듯 높은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부의 두께(t 1)는 푸쉬부 두께(t 2) 및 제1결합부 두께(t 3)보다 얇게 함으로써 푸쉬부 및 제1결합부는 탄성변형되지 않고 텐션부가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물론 여기서, 상기 푸쉬부 및 제1결합부의 탄성변형 전형 없음을 의하는 것이 아니고 텐션부에 비하여 그 변형의 정도가 미미함을 의미하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부의 두께(t 1)는 사용자가 가하는 푸쉬력에 의해 축적되는 탄성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므로 푸쉬력의 크기 및 탄성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그 재질과 함께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b, 도 4a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텐션부의 구조는 푸쉬력에 의해 축적되는 탄성력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로서, 작용선(B)까지 투입되는 푸쉬력은 커지나 작용선을 넘게 되면 더 이상의 푸쉬력 없이도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탄성력에 의해 개봉부재가 제1 결합부(22)로부터 뜯겨지면서 분리되게 된다.
만일, 상기 텐션부의 두께(t 1)를 매우 얇게 할 경우 푸쉬력은 작아지나 축적되는 탄성력 또한 작아지게 되어 탄성력만으로 제1 결합부(22)로부터 개봉부재가 분리되지 않고 푸쉬부가 맞닿는 개봉부재 부분이 일부 연신되는 정도로 그치게 된다.
따라서, 개봉부재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푸쉬력이 작용선을 넘어서서 까지 가해질 때만 가능하게 되는데, 만일 작용선을 넘어서서 가해지는 푸쉬력이 너무 커서 개봉부재와 제1결합부와의 접착력을 순간적으로 넘어설 경우에는, 도 2c를 참조하면, 개봉부재가 제 1결합부로부터 탈락되기 전에 푸쉬부가 맞닿는 개봉부부분이 찢겨지면서 개봉부재의 일부가 제1결합부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듯, 개봉부재의 일부가 제1결합부에 잔류하게 되면, 제2내용물이, 특히 분말가루형태일 경우 용기 내부로 제대로 분출되지 않고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텐션부의 두께(t 1)를 매우 얇게 할 경우 정상적 기능의 정상발휘 여부는 사용자가 가하는 푸쉬력에 의해 결정되게 되므로 기능발휘의 신뢰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개봉수단이 제1결합부(22) 내주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개봉수단과 제1결합부(22)와의 간격을 좁히는 것은 결국 텐션부(31)의 경사부 길이(l)를 짧게 하고, 푸쉬부(33)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생산현장에서 금형의 정밀도를 유지해야 어려움이 있어 가성비가 매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텐션부의 기능발휘에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부(31)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ℓ)를 유지하도록 텐션부가 연결되는 푸쉬부(33)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개봉부재가 접착된 제1결합부 측으로 푸쉬부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것, 즉 상협하광의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5b를 참조하면, 푸쉬부에 형성된 개봉수단을 분리 형성하여 개봉수단(34) 만을 개봉부재가 접착된 제1결합부 측으로 그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듯, 개봉수단이 개봉부재가 접착된 제1결합부 측으로 근접시킬 수 있게 되어, 텐션부의 두께(t 1)를 매우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푸쉬가 가능해져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텐션부에 하나 이상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포인트는 텐션부와 푸쉬부(33)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힌지포인트(311) 및 제1결합부(22)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2힌지포인트(312)로서, 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양자 모두일 수 있다.
이는 푸쉬부를 360° 감싸면서 연결되어 있는 텐션부에 힌지포인트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가하는 푸쉬력이 연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상황하에서 푸쉬부가 하강할 때 텐션부의 길이(l) 중 어느 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힌지포인트가 360° 동일하게 위치에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비교적 많은 푸쉬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푸쉬부가 하강할 때 텐선부에 명확하게 힌지포인트를 정해줌으로써 작동성이 명확해져 사용자는 더욱 적은 힘으로도 푸쉬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힌지포인트(311, 312)는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힌지포인트의 두께(t 11 , t 12)는 텐션부 두께(t 1)보다 작다.
여기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되기로는 절개홈의 방향이 제1힌지포인트(311)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2힌지포인트(312)에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절개홈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의 방향을 설정할 경우, 푸쉬부가 하방으로 이동한 후 푸쉬 전 위치로 자력에 의해 원상복귀 될 확률을 줄여주므로 바람직한 실시예라할 수 있다.
즉, 도 4c에서, 절개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쉬부(33)와 텐션부(31)의 연결각도(β)가 작아지게 되어 푸쉬전 원위치, 즉 상방으로 복귀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또한, 도 4d을 참조하면, 텐션부를 굴곡지게 형성하여 초기 푸쉬력을 더욱 작아지게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힌지포인트도 부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마개의 크기 및 텐션부의 재질에 따라 상기 굴곡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파형 텐션부(3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듯, 사용자에 의해 원터치로 눌려진 푸쉬부는 텐션부의 탄성력으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자력으로 푸쉬전 위치까지 원상복귀이 불가능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푸쉬부가 경사부 길이(ℓ)와 작용선 길이(S)와의 차이를 극복하고 상향 이동해야 하는데, 이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자력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서, 용기가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제 2내용물이 완벽하게 제 1내용물로 혼합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용기를 눕히거나 거꾸로 세우거나 내용물들을 혼합하기 위하여 흔드는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특히 혼합물을 쉐이킹하고자 용기를 흔들 때, 푸쉬부가 푸쉬 전 원위치와 푸쉬 후 사용위치 사이에서 사용자의 쉐이킹 동작과 함께 이동된다면 제2내용물이 용이하게 용기 측으로 투입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텐션부의 구조는 스프링 또는 자라바와 같이 원상복귀가 이루어지는 기존의 푸쉬 스타일 구조로는 대체가 불가능하다.
상기 개봉수단은, 도 2를 참조하면, 푸쉬부(33)의 말단에 일측으로 하향 테이퍼지게 푸쉬부와 일체로 형성한 원통형 개봉수단(331)으로서, 즉, 원통형으로 형성된 푸쉬부의 말단을 하향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하강하는 푸쉬부의 푸쉬력에 의하여 원통형 개봉수단은 상기 테이퍼진 각도(θ)만큼 개봉부재 일측을 제1결합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탈시키고, 타측은 제1결합부에 그대로 잔존시킨다.
여기서, 푸쉬부에 제2내용물을 삽입하는 공정은 푸쉬부에 제2내용물을 삽입하고 제1결합부(22)에 개봉부재(400)를 접착/융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통형 개봉수단은 푸쉬부를 통해 자유낙하 하는 제2내용물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액체 및 분말뿐만 아니라 알갱이 형태로 부피가 큰 내용물을 포함하기에도 적합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봉수단은, 도면 6을 참조하면, 원통형상의 푸쉬부 말단에 복수의 파쇄날(332-1, 332-2, 332-3)을 푸쉬부 말단 보다 낮은 위치의 한 점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형 개봉수단(332)으로서, 하강하는 푸쉬부의 푸쉬력에 의하여 돌출형 개봉수단은 파쇄날이 모아진 한 점에서부터 개봉부재를 찢으면서 결국 푸쉬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멍을 부분적으로 개봉부재에 형성한다.
이는 상기의 실시예들 중 가장 적은 푸쉬력을 요하는 구조인 반면 제2내용물이 용기 내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파쇄날은 제2내용물의 낙하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돌출형 개봉수단(332)은 제2내용물이 부피가 큰 내용물보다는 액체 및 분말이 적합하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봉수단은, 도면 6을 참조하면, 원통형상의 푸쉬부 말단에 복수의 파쇄날(333-1, 333-2, 333-3)을 푸쉬부 말단 보다 높은 위치의 한 점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돌입형 개봉수단(333)으로서, 하강하는 푸쉬부의 푸쉬력에 의하여 돌입형 개봉수단은 푸쉬부의 외경에서부터 파쇄날이 모아진 한 점으로 개봉부재를 찢으면서 결국 푸쉬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멍을 개봉부재에 형성한다.
돌입형 개봉수단(333) 역시 제2내용물이 용기 내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파쇄날은 제2내용물의 낙하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제2내용물이 부피가 큰 내용물보다는 액체 및 분말이 적합하다.
상기 개봉부재(40)는, 도 2를 참조하면, 푸시부(33)에 의해 뜯겨지거나 찢겨지면서 제2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하여 얇은 필름형태로 제1결합부 하면, 즉 말단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있다.
여기서, 개봉부재의 재질은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이면 충분하고, 원통형 개봉수단(331)을 통해 제1결합부로부터 뜯기는 경우 그 두께를 다소 두껍게 하고 또한 접착/융착 강도를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출/돌입형 개봉수단(332, 333)을 통해 개봉부재가 찢기는 경우 그 두께는 다소 얇게 하고 또한 접착/융착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 상부에는 푸쉬부(33)가 의도치 않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캡(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50)은 제1결합부 상부에 억지끼움 방식 또는 나사체결결방식 등 어느 방식으로든 탈부착될 수 있으면 그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
12: 제1 내용물 14: 용기입구 16: 숫나사부
20: 마개 바디
22: 제1결합부 24: 제2결합부
30: 푸쉬부재
31: 텐션부 32: 제2내용물

Claims (8)

  1. 용기(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용기(10)에 저장된 제1내용물(1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입구(1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개봉부재(40)가 장착되는 마개 바디(20)와,
    상기 마개 바디(20)에 결합되고 상기 개봉부재와 더불어 제2내용물(32)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봉부재를 개봉시키는 푸쉬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 바디(20)는 용기 입구(14)의 내주면과 밀봉 가능하게 면접촉되는 제1결합부(22)와, 용기입구(14)의 숫나사부(16)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24)로 구성되고,
    상기 개봉부재(40)는 상기 제1결합부 하면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재(30)는 상기 제2결합부(22)로부터 연장된 텐션부(31) 및 상기 텐션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봉부재(40)를 개봉하도록 저부에 개봉수단(331, 332, 333)을 구비한 푸쉬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31)가 제1결합부로부터 푸쉬부(33)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푸쉬부(33)는 하강에 의해 상기 개봉부재를 개봉시킨 후 자력으로 원위치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의 두께(t 1)는 푸쉬부 두께(t 2) 및 제1결합부 두께(t 3)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텐션부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에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하나 이상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되,
    상기 힌지포인트는 텐션부와 푸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힌지포인트(311) 및 제1결합부(22)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2힌지포인트(312)로서, 둘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양자 모두이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힌지포인트의 두께(t 11, t 12)는 텐션부 두께(t 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파형으로 형성된 파형텐션부(3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개봉수단이 제1결합부(22) 내주면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상협하광의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봉수단은 원통형상의 푸쉬부 말단에 복수의 파쇄날(332-1, 332-2, 332-3)을 푸쉬부 말단 보다 낮은 위치의 한 점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형 개봉수단(332), 또는 원통형상의 푸쉬부 말단에 복수의 파쇄날(333-1, 333-2, 333-3)을 푸쉬부 말단 보다 높은 위치의 한 점을 향하여 모아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 돌입형 개봉수단(3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상부에는 푸쉬부(33)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KR1020150045504A 2014-04-01 2015-03-31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KR20150114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01 2014-04-01
KR20140038801 2014-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432A true KR20150114432A (ko) 2015-10-12

Family

ID=5434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04A KR20150114432A (ko) 2014-04-01 2015-03-31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736A (ko) * 2016-05-12 2017-11-22 김명호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736A (ko) * 2016-05-12 2017-11-22 김명호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2443B1 (en) Twist-open closure having inclined frangible membrane
US8413802B2 (en) Pressurization type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US7971739B2 (en) Closure
US20070023381A1 (en) Capsule with a piercable cap, stoppe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id capsule
JP6113074B2 (ja) 容器首に結合して使用する受容装置
US20130306642A1 (en) Cap device and methods
MXPA05003816A (es) Mejoramientos a recipientes de dos partes.
KR20150143815A (ko) 캡 조립체 및 그 타전 방법
MX2013004042A (es) Cierre de plástico que tiene una cápsula para surtir ingredientes activos.
US11180296B2 (en) Doser cap for liquid container
US885766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condary internal dispensing chamber
MXPA98000198A (en) Children resistant container, easily manipulated by an adu
US20100078438A1 (en) Cap assembly with sectional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RU2652486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KR20150114432A (ko) 텐션형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JP2010189062A (ja) 容器
US20100301002A1 (en) container cap forming a reservoir for additive
JP2010222022A (ja) 注出具
WO2017078166A1 (ja) 口栓、および口栓を有するフィルム製容器
WO2013173470A1 (en) Cap device and methods
KR101444309B1 (ko) 첨가제 첨가용 이중캡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KR20170127736A (ko) 푸쉬부를 구비한 용기마개
KR200382653Y1 (ko) 이중격실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