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372A -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 Google Patents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372A
KR20150113372A KR1020140036575A KR20140036575A KR20150113372A KR 20150113372 A KR20150113372 A KR 20150113372A KR 1020140036575 A KR1020140036575 A KR 1020140036575A KR 20140036575 A KR20140036575 A KR 20140036575A KR 20150113372 A KR20150113372 A KR 20150113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uel gas
line
liquefied fuel
lique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355B1 (ko
Inventor
최병윤
변철욱
이원두
전민성
한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Abstract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있어서, 액화연료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라인,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통해 회수된 증발가스를 수용 및 처리하는 증발가스 처리탱크 및 저장탱크 또는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발전설비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소비라인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연료가스 급유선{Vessel for supplying liquefied fuel gas}
본 발명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연료가스를 급유하는 과정에서 액화연료가스를 급유받는 선박의 연료탱크에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및 각종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에 대한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조선 및 해운업계에서는 기존 연료인 중유, 디젤유의 이용을 대신하여, 청정 에너지원인 천연가스를 선박의 연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대략 -163도씨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의 상태로 선박의 연료탱크 또는 저장탱크에 충전되어, 선박의 연료로 사용되거나 또는 선박에 의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는 일종의 액화연료가스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액화연료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선박은 극저온으로 냉각되어 액화시킨 액화연료가스를 연료탱크에 충전하여 운항을 하게 되는데, 액화연료가스를 선박의 연료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을 구비하고 있는 항구가 많지 않고, 또한 현재 존재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은 대부분 안전상의 이유로 컨테이너선과 같은 일반 상선이 정박하는 항구와는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액화천연가스 등의 액화연료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선박은 액화연료가스의 급유를 위해서 항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로 이동하여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야 했다.
그러나 선박이 항구에 정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단순히 액화연료가스의 급유를 위해 항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까지 운항 하는 것은 불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여 비생산적이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현재에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이 항구에 정박하지 않고 해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탱크에 수용하고 있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으로 접근하여,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는 기존에 연료탱크 내에 발생된 증발가스(BOG, Boil Off Gas)에 의해 내부압력이 상승하고, 또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으로부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가압된 액화연료가스에 의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연료탱크의 변형 또는 훼손 등의 우려가 존재하였다.
이에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제거하거나 또는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이 요구되며, 이와 동시에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로 급유를 원활히 수행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75941호(2012. 07. 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급유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효율적인 설비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있어서, 상기 액화연료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로 상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라인, 상기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통해 회수된 증발가스를 수용 및 처리하는 증발가스 처리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발전설비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소비라인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 내부에 액화연료가스를 분무시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액화라인은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 분무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재액화된 액화연료가스를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액화라인에는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가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소비라인에는 상기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가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소비라인은 상기 저장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과,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 및 상기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은 합류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 및 상기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에는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가 각각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에는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가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 및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에는 초저온 커넥터가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를 용이하게 재액화시켜 효율적인 설비 운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급유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를 모두 연료로 이용하여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을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에 마련되는 저장탱크(110), 저장탱크(110)와 연결되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으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라인(120), 연료탱크(210) 내부의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30), 회수된 증발가스를 수용 및 처리하는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증발가스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의 연료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소비라인(150),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의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160),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에서 재액화된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탱크(110)로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170)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액화연료가스는 액화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LNG, LPG DME(Dimethyleth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액화연료가스가 LNG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시한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는 IGC 코드(국제액화가스운송선의 구조 및 설비기준)에서 언급 또는 분류되는 다양한 종류의 탱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저장탱크(110)는 멤브레인, A, B 및 C 타입 탱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으로부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선박의 추진엔진의 연료로 이용하거나, 액화연료가스의 이송을 위해 연료탱크(210)에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하여 운항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며,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으로부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는 선박이라면 어느 하나의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은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로부터 저장탱크(110)에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충전한다. 액화연료가스 저장시설은 부유식 저장설비, 해상운반선 또는 육상터미널이 될 수 있다.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내부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 내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은 일반적으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므로 입구측 단부가 저장탱크(110) 내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출구측 단부가 연료탱크(210) 내부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의 저장탱크(110) 내부의 하측에는 액화연료가스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121)가 마련될 수 있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도킹 또는 언도킹 시,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의 설치, 연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 측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 측으로 나뉘어 각 선박에 설치되고, 초저온 커넥터(180)가 그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한편 액화연료가스가 LNG인 경우, LNG의 액화온도는 상압 -163도씨의 극저온으로서, LNG의 온도가 약간만 상승하더라도 증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또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는 단열처리가 되어 있어 위와 같은 LNG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나, 외부의 열이 LNG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므로 급유하는 과정에서 저장탱크(110) 또는 연료탱크(210) 내부의 LNG는 지속적으로 기화가 이루어져 증발가스(BOG, Boil Off Gas)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는 저장탱크(110) 또는 연료탱크(210) 내부의 압력을 과도하게 상승시켜 저장탱크(110) 또는 연료탱크(210)의 변형 또는 훼손을 유발하므로 이를 처리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특히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보다 액화연료가스를 급유받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의 양이 훨씬 많으므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제거 또는 처리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은 입구측 단부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 내부에 연결되고, 출구측 단부가 후술하는 증발가스 처리탱크(140)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은 연료탱크(2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회수하여 증발가스 처리탱크(140)로 공급하여 재액화시키거나 또는 액화연료가스로 공급하는 등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에는 증발가스를 상대적으로 가압시킨 상태로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 공급하여 후술하는 재액화라인(160)에 의한 재액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131)가 마련될 수 있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도킹 또는 언도킹 시,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의 설치, 연결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 측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 측으로 나뉘어 각 선박에 설치되고, 초저온 커넥터(180)가 그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증발가스 처리탱크(140)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의 하류 측과 연결되어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로부터 회수된 증발가스를 수용 및 저장한다.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 저장되는 증발가스는 후술하는 재액화라인(160)을 통해 재액화되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로 재공급되거나, 후술하는 증발가스 소비라인(150)을 통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에 이용되는 연료로서 제공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는 벤트마스트가 마련되어 증발가스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긴급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거나, 극소량의 증발가스만이 존재하여 소정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벤트마스트를 통해 대기로 흘려보내는 방안도 이용될 수 있다.
재액화라인(160)은 연료가스 공급라인(120)과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를 연결하되, 액화연료가스를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로 분무시켜 증발가스의 재액화를 구현하도록 복수개의 스프레이 노즐(161)을 구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재액화라인(160)은 입구 측 단부가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에 연결되어,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을 따라 이송되는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고, 이를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의 스프레이 노즐(161)을 통해 증발가스에 직접 분무시킴으로써, 증발가스의 온도를 하강시켜 증발가스의 재액화를 도모할 수 있다.
재액화라인(160)에는 재액화라인(16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조절하는 밸브(190)가 마련될 수 있다.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을 따라 액화연료가스가 급유되는 때에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내부압력 및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의 압력이 매우 높은 상태이므로 재액화라인(160) 측으로 액화연료가스가 공급되어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 액화연료가스 급유작업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재액화라인(160)에는 밸브(190)가 마련되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내부압력 및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의 내부압력 등에 대응하여 재액화라인(160)이 적절하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재액화라인(160)이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에 연결되어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액화라인(160)의 입구 측 단부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내부로 직접 연결되어, 저장탱크(110) 내부의 액화연료가스를 직접 공급받아 스프레이 노즐(161)로 이송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증발가스 소비라인(150)은 저장탱크(110)에 연결되어 저장탱크(1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로 공급하는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과,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 연결되어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발전설비(10)로 공급하는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을 포함한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도 내부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에 의해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서는 재액화라인(160)에 의해 재액화되지 않은 여분의 증발가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증발가스로 인해 저장탱크(110) 및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우려가 있고, 여분의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이용할 수 있도록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과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이 증발가스를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추진엔진, 보일러 또는 가스 터빈 등 각종 발전설비(10)의 연료로 공급하여 여분의 에너지원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 및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은 합류하여 발전설비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합류지점의 하류 측에는 증발가스를 압축하여 발전설비로 공급할 수 있도록 컴프레서(15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과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이 합류하여 컴프레서(155)로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과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이 각각 컴프레서(155)를 구비하고, 발전설비(10)에 각각 증발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과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에는 개방 및 폐쇄를 조절 가능한 밸브(190)가 각각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탱크(110) 또는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의 증발가스를 연료로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증발가스 소비라인(150)과는 별도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는 연료가스공급관(153)이 마련되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직접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로 공급할 수 있다. 연료가스공급관(153)은 컴프레서(155)를 통과하여 압축된 증발가스와 합류하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에 연료로서 공급되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또는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를 가동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연료가스공급관(153)을 통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액화연료가스를 직접 발전설비(10)로 공급하여 발전설비(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는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170)이 연결된다.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170)은 입구측 단부가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 연결되고, 출구측 단부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 연결되어,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에 재액화라인(160)에 의해 재액화된 액화연료가스를 저장탱크(110)로 공급한다.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170)에는 개방 및 폐쇄를 조절하는 밸브(1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유하는 과정에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더라도 액화연료가스가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에는 선박제어 시스템(미도시)이 마련되어,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의 공급펌프(121), 각종 밸브(190) 및 컴프레서(131, 155) 등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동작에 대해 설시한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에 접근하여 도킹한 후, 연료가스 공급라인(12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이 각각 연결된다. 연료가스 공급라인(120) 및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은 직접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설치, 연결 및 분리의 용이함을 위해 초저온 커넥터(180)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이 연결된 후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 수용된 액화연료가스가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을 통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에 급유되고, 이에 따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에는 기존에 연료탱크(210) 내에 존재하는 증발가스와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연료가스에 의해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연료탱크(210) 내부압력의 과도한 상승에 따른 연료탱크(210)의 변형 또는 훼손을 방지하고, 연료탱크(210) 내부의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연료탱크(210)에 존재하는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회수라인(130)을 통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증발가스 처리탱크(140)로 이송된다.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는 재액화라인(160)이 연결되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로부터 직접 또는 연료가스 공급라인(120)으로부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스프레이 노즐(161)을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에 분무시킨다. 이에 증발가스 처리탱크(140) 내부에 존재하는 증발가스의 온도가 하락하여 재액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재액화된 액화연료가스는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170)을 통해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로 재공급되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로 공급될 수 있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와 증발가스 처리탱크(140)에는 각각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151)과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152)이 연결되어, 증발가스를 컴프레서(155)에 의해 압축하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에 연료로 공급한다. 또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저장탱크(110)에는 연료가스공급관(153)이 마련되어, 여분의 증발가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저장탱크(110) 내부의 액화연료가스를 발전설비(10)에 연료로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용이하게 회수한 후, 재액화시키거나 액화연료가스 급유선(100)의 발전설비(10)에 연료로 공급하므로 설비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에너지원을 유용하게 이용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연료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0)의 안전한 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110: 저장탱크
120: 연료가스 공급라인 130: 증발가스 회수라인
140: 증발가스 처리탱크 150: 증발가스 소비라인
151: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 152: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
160: 재액화라인 170: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
180: 초저온 커넥터 190: 밸브

Claims (10)

  1.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있어서,
    상기 액화연료가스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로 상기 액화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가스 공급라인;
    상기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회수하는 증발가스 회수라인;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을 통해 회수된 증발가스를 수용 및 처리하는 증발가스 처리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의 발전설비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소비라인을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 내부에 액화연료가스를 분무시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는 재액화라인을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액화라인은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 분무시키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재액화된 액화연료가스를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는 액화연료가스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액화라인에는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가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소비라인에는
    상기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가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소비라인은
    상기 저장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과,
    상기 증발가스 처리탱크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 및 상기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은 합류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가스 소비라인 및 상기 제2 증발가스 소비라인에는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가 각각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에는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컴프레서가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공급라인 및 상기 증발가스 회수라인에는
    초저온 커넥터가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1020140036575A 2014-03-28 2014-03-28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10159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75A KR101599355B1 (ko) 2014-03-28 2014-03-28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75A KR101599355B1 (ko) 2014-03-28 2014-03-28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72A true KR20150113372A (ko) 2015-10-08
KR101599355B1 KR101599355B1 (ko) 2016-03-07

Family

ID=5434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575A KR101599355B1 (ko) 2014-03-28 2014-03-28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29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급유선
KR20190030988A (ko) * 2017-09-15 2019-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증발가스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891A (ja) * 2001-08-24 2003-06-24 Cryostar-France Sa 天然ガス燃料の供給装置
KR20120075941A (ko) 2010-12-29 2012-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공급을 증발가스 재액화에 이용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20084973A (ko) * 2011-01-21 2012-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공급 선박
JP2013508204A (ja) * 2009-10-16 2013-03-07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ー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化燃料ガス補給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891A (ja) * 2001-08-24 2003-06-24 Cryostar-France Sa 天然ガス燃料の供給装置
JP2013508204A (ja) * 2009-10-16 2013-03-07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ー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化燃料ガス補給船
KR20120075941A (ko) 2010-12-29 2012-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공급을 증발가스 재액화에 이용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20084973A (ko) * 2011-01-21 2012-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공급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29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급유선
KR20190030988A (ko) * 2017-09-15 2019-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증발가스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355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765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43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1356003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EP3309442B1 (en) Fuel gas supply system
KR101788751B1 (ko) 선체 내에 엔진을 탑재한 선박
KR101559407B1 (ko) 선박
KR101505796B1 (ko) 선박의 엔진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가스 배출장치
KR101571417B1 (ko) 선박의 가스 배출장치
KR20160074983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297865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20140118269A (ko) 잔존 액화가스 회수장치
KR101599355B1 (ko)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70031429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4833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101356004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20160099211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60091785A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1599359B1 (ko)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102189796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644389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16615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102176541B1 (ko) 벤트 마스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160096564A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KR101711966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9663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