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344A - 전기로 조업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로 조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344A
KR20150113344A KR1020140036411A KR20140036411A KR20150113344A KR 20150113344 A KR20150113344 A KR 20150113344A KR 1020140036411 A KR1020140036411 A KR 1020140036411A KR 20140036411 A KR20140036411 A KR 20140036411A KR 20150113344 A KR20150113344 A KR 20150113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olten steel
electric furnace
charged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변영일
이태희
최홍성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344A/ko
Publication of KR2015011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 조업 시 용강과 반응하여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재를 장입함으로써, 송전(送電) 시간 및 전체 조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전기로 조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랩과 함께 알루미늄 금속 및 카본 금속이 혼합된 발열재를 장입한 후 용해시켜 용강을 제조하는 단계(S1); 제조된 용강을 승온시키는 단계(S2); 및 승온된 용강을 출강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로 조업방법{METHOD FOR OPERATING ELECTRIC ARC FURNACE}
본 발명은 전기로 조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로 조업 시 송전(送電) 시간 및 전체 조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전기로 조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선 및 용강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고로 조업 및 전기로 조업으로 나누어진다. 고로 조업은 철광석과 코크스를 이용하여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하는 방법이고, 전기로 조업은 고철 스크랩을 이용하여 전기로에서 용강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 전기로는 전극 사이에 고철 스크랩을 적치한 후, 전기를 통전시켜 이때 발생하는 아크(arc)열을 이용하여 고철 스크랩을 용융시키는 설비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 0270117 호(등록일자: 2000. 07. 27. 명칭: "용강의 탈가스 처리시 용강의 승온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로 조업 시 용강과 반응하여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재를 장입함으로써, 송전(送電) 시간 및 전체 조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전기로 조업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방법은, 스크랩과 함께 알루미늄 금속 및 카본 금속이 혼합된 발열재를 장입한 후 용해시켜 용강을 제조하는 단계(S1); 제조된 용강을 승온시키는 단계(S2); 및 승온된 용강을 출강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1)에서의 발열재는 스크랩 장입하는 공정 중 최종회 스크랩 장입 공정에서 스크랩과 함께 장입되며, 알루미늄 금속과 카본 금속은 3~4 : 6~7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재는 스크랩 전체의 장입량을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 장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재는 최종회 스크랩 장입 바스켓의 내부에 0.5m~1.5m의 높이로 적입된 스크랩의 상부에 적입되며, 발열재의 상부에 적입되는 나머지 스크랩과 함께 전기로에 장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재는 5㎜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방법에 의하면, 용강과 반응하여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재를 최종회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스크랩과 함께 전기로에 장입시킴으로써, 발열재의 반응열을 이용해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켜 송전(送電) 시간 및 전체 조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로를 개력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기로(100)의 노체(110)는 스크랩이나 다른 부자재를 장입할 수 있도록 선회가 가능한 상부(110a)와, 강판제 철판과 내부에 축조된 내화벽으로 이루어진 하부(110b)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전기로(100)는 전열(電熱)을 이용하여 피용융재인 스크랩을 용융시키거나 가열하는 것으로, 전기로(100)는 발열방식에 따라 저항로, 아크로, 유도로로 나누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전기로(100)는 전술한 전기로(100) 중 아크로를 나타낸 것으로, 아크로는 노체(110) 안에 놓인 3개의 전극(120)과 피용융재(스크랩)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arc)형태의 전류를 피용융재에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용융재인 스크랩은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용융되어 용강(M)을 형성하며, 용강(M)은 출강구(130)를 통해 노체(110)와 별도로 구비되는 래들(200)로 출강된다.
그런데, 전술한 아크로를 이용한 용강 제조 조업은 전력에너지와 산소만으로 스크랩을 용해하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로 조업에서는 용강을 제조하는 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강을 제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기로 조업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로 조업 시 발열재를 장입하여 제조되는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켜 송전(送電) 시간 및 전체 조업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전기로 조업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방법은, 스크랩과 함께 발열재를 장입한 후 용해시켜 용강을 제조하는 단계(S1), 제조된 용강을 후속되는 공정에 적합하도록 대략 1500~1650℃의 온도로 승온시키는 단계(S2), 및 승온된 용강을 출강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강을 승온시키는 단계(S2), 및 승온된 용강을 출강시키는 단계(S3)는 종래의 전기로 조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계(S1)에서의 스크랩은 2회로 분할되어 전기로(100)에 장입되거나, 또는 3회로 분할되어 전기로(100)에 장입된다. 그리고 발열재는 분할되어 장입되는 스크랩 중, 최종회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장입된다.
이때, 스크랩이 총 2회로 분할되어 전기로(100)에 장입될 경우 1차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는 전체 스크랩 장입량의 약 75%의 스크랩이 장입된 후 1차 용해되고, 2차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는 전체 스크랩 장입량의 약 25%의 스크랩과 발열재가 함께 장입된 후 2차 용해된다. 그리고 스크랩이 총 3회로 분할되어 전기로(100)에 장입될 경우 1차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전체 스크랩 장입량의 약 40~50%의 스크랩이 장입된 후 1차 용해되고, 2차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전체 스크랩 장입량의 약 25~30%의 스크랩이 장입된 후 2차 용해되며, 3차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전체 스크랩 장입량의 약 25~30%의 스크랩과 발열재가 함께 장입된 후 3차 용해된다.
이러한 스크랩 장입은 원료 베이(bay)에서 집게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다수의 바스켓(basket)에 나누어져 적입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스크랩 장입 및 장입된 스크랩 및 발열재의 용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스크랩 장입 단계 중 최종회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스크랩과 함께 장입되는 발열재는 반응열을 일으킬 수 있는 재료, 즉 발열재는 전기로(100) 내에 장입된 후 산화반응에 의한 반응열을 용강(M)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재료를 채택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재는 통상의 알루미늄 금속과 카본 금속이 혼합된 혼합물로써, 알루미늄 금속과 카본 금속이 3~4 : 6~7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알루미늄 금속 3 미만으로 첨가되고 카본 금속이 6 미만으로 혼합되면 본 발명에서 발열가 미비하게 되고, 알루미늄 금속이 4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용강(M) 제조에 따른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카본 금속이 7을 초과하여 혼합되면 발열효과보다는 탄소성분을 보정하는 효과만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발열재는 전기로(100)에 장입하면 아래의 반응식 1 및 반응식 2와 같은 발열 화학반응에 의해 용강(M)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반응식 1>
2Al(s) + 11/2O2(g) = Al2O3
<반응식 2>
C(s) + 1/2O2(g) = CO
즉, 발열재가 장입되면 발열재의 "Al", "C"가 용강(M) 중의 산화철과 반응하여 철과 환원되면서 열을 발생하여 용강(M)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한편, 발열재는 스크랩 전체의 장입량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 장입된다. 그리고 발열재는 최종회 스크랩 장입 바스켓(basket)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최종회 스크랩 장입 바스켓(basket)의 하부에서 대략 0.5m~1.5m 이격된 위치에 적입된 상태 하에서 전기로(100)에 스크랩과 함께 장입된다. 다시 말해 발열재는 최종회 스크랩 장입 바스켓의 내부에 0.5m~1.5m의 높이로 적입된 스크랩의 상부에 적입되며, 발열재의 상부에는 나머지 스크랩을 적입된다. 이때 발열재는 최종회 스크랩 장입 바스켓(basket)에 장입이 용이하도록 5㎜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열재가 6중량%를 초과하여 장입되면 전기로(100)의 벽체에 융착현상이 발생하여 조업트러블이 발생하게 되며, 발열재가 4중량% 미만으로 장입되면 전기로(100) 집진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소실되어 발열효과가 미비하게 된다.
그리고 발열재가 장입 바스켓(basket)의 하부에서 0.5m 미만의 위치에 적입되면 장입과정에서 편심으로 쏠려 전기로(100)의 벽체로 융착되는 현상으로 발열 효과가 낮아지고, 발열재가 장입 바스켓(basket)의 하부에서 1.5m를 초과한 위치에 적입되면 발열재와 용강(M)과의 반응이 늦어지기 때문에 용강 제조 단계(S1)에서의 발열 효과가 미비하게 된다.
하기의 표 1.은 일반강용 용강 제조 시 종래 전기로 조업과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을 비교한 결과이다.
스크랩
장입량(T)
용강
회수율(%)
송전시간
(min)
조업시간
(min)
전기로 전력
투입량(h) 원단위(h/T)
비교예 94.9 92.8 45.4 60.5 36,330 412.3
실시예 93.6.2 92.4 45.0 58.4 33,290 385.1
표 1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조업(실시예)은 종래 전기로 조업(비교예)에 비해 송전(送電) 시간이 다소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송전 시간 단축으로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송전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전체적인 조업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용강 회수율이 다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로 조업방법에 의하면, 용강과 반응하여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재를 최종회 스크랩 장입 단계에서 스크랩과 함께 전기로에 장입시킴으로써, 발열재의 반응열을 이용해 용강의 온도를 상승시켜 송전(送電) 시간 및 전체 조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원단위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로 조업방법은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전기로 110 : 노체
120 : 전극 130 : 출강구
M : 용강 200 : 래들

Claims (5)

  1. 스크랩과 함께 알루미늄 금속과 카본 금속이 혼합된 발열재를 장입한 후 용해시켜 용강을 제조하는 단계(S1);
    제조된 상기 용강을 승온시키는 단계(S2); 및
    승온된 용강을 출강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전기로 조업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의 상기 발열재는 스크랩 장입하는 공정 중 최종회 스크랩 장입 공정에서 상기 스크랩과 함께 장입되며,
    상기 알루미늄 금속과 카본 금속은 3~4 : 6~7 비율로 혼합되는 전기로 조업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상기 스크랩 전체의 장입량을 100중량%에 대하여 4~6중량% 장입되는 전기로 조업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최종회 스크랩 장입 바스켓의 내부에 0.5m~1.5m의 높이로 적입된 스크랩의 상부에 적입되며, 상기 발열재의 상부에는 적입되는 나머지 스크랩과 함께 상기 전기로에 장입되는 전기로 조업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5㎜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전기로 조업방법.
KR1020140036411A 2014-03-28 2014-03-28 전기로 조업방법 KR20150113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411A KR20150113344A (ko) 2014-03-28 2014-03-28 전기로 조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411A KR20150113344A (ko) 2014-03-28 2014-03-28 전기로 조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44A true KR20150113344A (ko) 2015-10-08

Family

ID=5434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411A KR20150113344A (ko) 2014-03-28 2014-03-28 전기로 조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3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0453B1 (en) Process for smelting lithium-ion batteries
EP286177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fining copper concentrate
CN103045928A (zh) 电铝热法生产钒铁的方法
KR20150113344A (ko) 전기로 조업방법
EP4032990B1 (en) Method for producing molten steel
KR20150113342A (ko) 전기로 조업방법
KR20150113345A (ko) 전기로 조업방법
KR20150113340A (ko) 전기로 조업방법
KR20110108964A (ko) 전기로 조업방법
CN105264099B (zh) 用于在双联炉中制造铬铁的方法和系统
KR20150113341A (ko) 전기로 조업방법
KR20150113343A (ko) 전기로 조업방법
CN105838969B (zh) 重熔法生产钛铁的方法
KR101818370B1 (ko) 전기로 조업 방법
KR101489378B1 (ko) 원료 처리 방법
KR101555629B1 (ko) 금속 산화물 회수방법
KR101630953B1 (ko) 스테인레스강의 제조 방법
WO2017175605A1 (ja) タングステン含有金属の製造方法及びタングステン含有金属
US852347A (en) Process of producing low-carbon ferro alloys.
JP2002097512A (ja) 溶鋼の製造方法
KR20240068424A (ko) 다단 전기로 및 이를 사용한 용강 제조방법
KR20220142077A (ko) 전기로 투입용 조성물 및 전기로 조업 방법
JP2018188676A (ja) スラグの改質方法および路盤材の製造方法
KR20200103088A (ko) 고 탄소 페로망간의 제조
KR20190143129A (ko) 전로에서의 용강 정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