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578A -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578A
KR20150111578A KR1020140035017A KR20140035017A KR20150111578A KR 20150111578 A KR20150111578 A KR 20150111578A KR 1020140035017 A KR1020140035017 A KR 1020140035017A KR 20140035017 A KR20140035017 A KR 20140035017A KR 20150111578 A KR20150111578 A KR 2015011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rame
pitch
rol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958B1 (ko
Inventor
최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테크
Priority to KR102014003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무인드론에 장착되어 넓은 시야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도 감시 가능하고, 스마트폰에 연동되어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무인드론에 거치시키는 거치대; 상기 무인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하는 무선모듈;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모듈이 전송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Monitoring camera system equipped drone and controlled by smart-phone}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무인드론(비행형 또는 잠수형 등)에 장착되어 넓은 시야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상공, 동굴, 수중 등)도 감시 가능하고, 스마트폰에 연동되어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폰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산업화, 정보화 등의 결과로 감시카메라(CCTV)는 사적 장소뿐만 아니라 공적 장소에서도 시민들의 생활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사회의 여러 병리 현상으로부터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설치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상 생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CCTV의 활용은 방범용, 교통 정보 수집, 교통 단속, 불법 쓰레기 투기 등이 있고, 상기 제시한 활용 예 이외에 아파트와 공동 주택, 공장, 일반 건물, 엘리베이터와 같은 사적 공간에서도 안전을 위해 CCTV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상기 제시한 기존의 CCTV 시스템은 우범 지역 등에 고정 설치되어 협소한 구간만을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인드론(예, 무인 항공기, 무인 비행체, 무인 로봇 등)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무인드론이 이동하면서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은 무선통신망을 관계인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무인드론을 이용한 감시카메라 시스템 기술이 개시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1363066호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우범지역 감시시스템", 등록특허 제10-1009456호 "CCTV가 장착된 무인 비행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무인드론(무인비행체, 무인 비행선)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넓은 시야각으로 장소에 구애 없이 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방범용, 교통 정보 수집, 교통 단속 등에 활용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무인드론을 이용한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중앙관제소에서 무인드론과 카메라를 제어하고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있어서, 장소의 한계를 갖는다.
다시 말해, 현장에서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보면서 범죄인을 추적하거나 지역을 탐색하거나, 원격지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과 그 효용성이 매우 크지만, 현재의 종래기술은 이를 지원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무인드론을 활용한 감시카메라 시스템에서 종래기술이 중앙관제센터에서 무인드론과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한계로 인해, 감시 시스템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이제는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폰으로 카메라의 제어도 가능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바로바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카메라는 다수개를 사용하여 시야각을 보다 크게 하고 여러 지역을 동시에 촬영하며, 촬영방향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시스템의 활용성을 극대화한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무인드론에 거치시키는 거치대;
상기 무인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하는 무선모듈;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모듈이 전송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메인카메라와,
상기 메인카메라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주변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메인카메라와 주변카메라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주변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두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촬영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촬영각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블럭과 피치블럭,
상기 하우징의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축설핀과 피치축설핀,
상기 롤축설핀과 피치축설핀을 각각 인출입시켜 상기 롤블럭과 피치블럭에 축설되거나 축설이 해제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롤축설핀과 피치축설핀을 각각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카메라가 장착되는 중앙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네 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변카메라가 장착되는 주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가 무인드론에 장착되어 이동하면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지역을 시간과 장소에 별다른 제한 없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어디에서는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어서, 모니터링의 시기적절성, 편의성, 효율성 등이 극대화된 감시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에서 카메라와, 카메라를 거치시키는 거치대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무인드론(1)에 장착되는 카메라(10), 거치대(20, 30), 무선모듈(7), 촬영각조절수단(40), 컨트롤러(9), 그리고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3), 그리고 중앙관제센터(5)로 구성요소가 대별될 수 있다.
우선, 무인드론(1)은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지상에서 원격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기기로서, 일반적으로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 무인드론(1)은 비행체 이외에도 물 위를 이동하는 배나 물 속을 이동하는 잠수체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는 무인드론(1)에 장착되어 무인드론(1)의 이동에 따라 지상(무인드론(1)이 배나 잠수체인 경우에는 물가나 물속)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10)는 한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무인드론(1)의 한번 이동시에 다양한 방향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여러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또한 일반 카메라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나 열상 카메라와 같은 특수 카메라를 함께 구비하여 악조건 상황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 30)는 상기 카메라(10)와 무선모듈(7) 등을 무인드론(1)에 거치되도록 장착시킨다.
상기 거치대(20, 30)의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무선모듈(7)은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하여, 영상이 지상의 스마트폰(3)과 중앙관제센터(5)로 전송되도록 하고, 스마트폰(3)과 중앙관제센터(5)에서 전송하는 명령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컨트롤러(9)로 전송한다.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무선통신망이 잘 갖추어져서, 전국이 무선통신망의 권역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국 어디를 가도 스마트폰(3)이 무선통신망에 접속이 된다.
그래서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은 스마트폰(3)이 어디에 있던 무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3)으로 전송되고, 스마트폰(3)이 발신하는 명령신호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모듈(7)로 전송된다.
상기 촬영각조절수단(40)은 상기 거치대(20, 30)에 거치된 카메라(10)의 자세(즉, 촬영방향)를 조절하여 카메라(10)가 어느 방향이든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촬영각조절수단(4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스마트폰(3)은 탑재된 미디어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카메라(10)가 전송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되면, 화면을 분할해서 분할된 제1화면에는 카메라(10)가 촬영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분할된 제2화면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킨다.
사용자가 제2화면을 통해 조작메뉴를 터치하면 그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고, 이 명령이 무인드론(1)에 장착된 카메라(10)와 촬영각조절수단(40) 등의 제어를 위한 것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인드론(1)에 장착된 무선모듈(7)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5)는 상기 스마트폰(3)과 같이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카메라(10)가 전송하는 촬영영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카메라(10) 등의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모듈(7)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0)가 전송하는 촬영영상을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예; 화재 발생, 침입자 발견 등)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촬영영상어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를 관계기간이나 관계인에게 통보하여 후속조치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무인드론(1)이 수중이나 동굴 등과 같이 무선통신이 원할하지 아니한 지역을 탐사하는 경우에는 무인드론(이에 장착된 카메라 등 포함)을 가늘면서 가벼운 케이블(예;피복된 광케이블)에 연결하고 이 케이블은 수중이나 동굴 밖의 지상에서 중계기에 연결되어서, 스마트폰(3)이나 중앙관제센터(5)가 중계기를 통해 유선으로 무인드론과 통신하도록 하여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1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20, 30)와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촬영각조절수단(40)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카메라(10)는 중앙에 배치되는 메인카메라(10a)와, 상기 메인카메라(10a)의 주변으로 네변에 각각 배치되는 주변카메라(10b,c,d,e)로 구성되어서, 동시에 여러 방향의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 거치대(20, 30)는 카메라(10)가 장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주변을 감싸 카메라(10)를 보호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고,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촬영각조절수단(4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0)은 무인드론(1)에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31)와, 상기 프레임(20)의 주변을 감싸는 커버(33)와, 상기 커버(3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20)이 장착되는 마운트플레이트(35)와, 상기 장착플레이트(31)와 커버(33)를 연결하는 연결로드(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메인카메라(10a)가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중앙의 메인프레임(20a)과, 상기 메인프레임(20a)의 네 변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주변카메라(10b,c,d,e)가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주변프레임(20b,c,d,e)을 포함한다.
상기 네 주변프레임(20b,c,d,e)은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2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주변프레임(20b,c,d,e)에 장착되는 주변카메라(10b,c,d,e)는 상기 메인프레임(20a)에 장착되는 메인카메라(10a)의 촬영방향과 다른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주변프레임(20b,c,d,e)과 메인프레임(20a)은 회전체(26)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메인프레임(20a)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블럭(28)과, 상기 주변프레임(20b,c,d,e)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고정블럭(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럭(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각조절수단(40)은 상기 프레임(20)을 두 축으로, 즉,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각각 회전시켜서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연결로드(37)에는 상기 커버(33)를 Z축으로 회전시키는 요블럭(39)이 구비된다.
상기 촬영각조절수단(40)과 요블럭(39)을 통해 상기 프레임(20)은 X축,Y축,Z축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여, 프레임(20)에 장착된 카메라(10)의 요각, 롤각, 피치각이 모두 조절된다. 즉,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이 전방향으로 조절된다.
상기 촬영각조절수단(40)은
상기 프레임(20)의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블럭(41)과 피치블럭(43), 즉, X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주변프레임(20b,d)의 외측에 구비되는 롤블럭(41)과, Y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주변프레임(20c,e)의 외측에 구비되는 피치블럭(43),
상기 하우징(30)의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 즉, 하우징(30)에서 X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마운트플레이트(35)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롤축설핀(45)과, 하우징(30)에서 Y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두 마운트플레이트(35)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피치축설핀(47),
상기 하우징(30)의 커버(33)와 마운트플레이트(35)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을 각각 인출입시켜 상기 롤블럭(41)과 피치블럭(43)에 축설되거나 축설이 해제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48)와,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을 각각 회전시키켜서 프레임(20)이 X축방향이나 Y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모터(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롤블럭(41)과 피치블럭(43)은 각각 상기 주변프레임(20b,c,d,e)의 외측에 고정결합된 제2고정블럭(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주변프레임(20b,c,d,e)이 상기 촬영각조절수단(40)과 상관 없이 상기 메인프레임(20a)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20)이 X축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롤축설핀(45)이 롤블럭(41)에 축설 결합되며 피치축설핀(47)이 피치블럭(43)에서 축설 결합이 해제되고 분리되어야 하고, Y축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반대로 상기 롤축설핀(45)이 롤블럭(41)에서 축설 결합이 해제되고 분리되어야 하며 피치축설핀(47)이 피치블럭(43)에서 축설 결합 되어야 한다.
솔레노이드(48)에 의해 인출입하여 상기 하우징(30)의 마운트플레이트(35) 내측에서 전후진하는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의 전방 외주연에는 키돌기(451, 471)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이 전진하여 삽입되는 상기 롤블럭(41)과 피치블럭(43)의 삽입공(42, 44)에는 상기 키돌기(451, 471)가 삽입되어 축설 결합되는 키홈(421, 4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이 각각 상기 롤블럭(41)과 피치블럭(43)의 삽입공(42, 44)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의 전방 단부는 테이퍼지고, 상기 삽입공(42, 44) 주변에는 안내면(423, 44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키돌기(451, 471)도 상기 키홈(421, 441)에 삽입되도록 안내되어야 하므로, 상기 안내면(423, 443)은 상기 키홈(421, 441) 쪽으로 가면서 점차 깊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고가의 카메라(10)는 미사용 중에는 분리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20)은 하우징(30)에서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고, 간편하게 재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롤축설핀(41)과 피치축설핀(47)은 상기 솔레노이드(48)에 의해 전후진하는 전후진핀(453, 473)과, 상기 롤블럭(41)과 피치블럭(43)에 축설 결합되도록 키돌기(451, 471)를 갖고 상기 전후진핀(453, 473)의 내부에서 스프링(46)으로 탄성지지되어 후퇴가 가능한 후퇴핀(455, 475)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후퇴핀(455, 475)에는 상기 전후진핀(453, 473)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파지돌기(457, 477)가 구비되어서, 사용자는 파지돌기(457, 477)를 잡아당겨 후퇴핀(455, 475)을 후퇴시킬 수 있다.
프레임(20)을 하우징(30)에 결합시키는 때에 사용자는 후퇴핀(455, 475)을 후퇴시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프레임(20)을 결합 위치로 이동시켜 후퇴핀(455, 475)과 롤블럭(41)(또는 피치블럭(43))이 일치되도록 한 후에 잡고 있던 후퇴핀(455, 475)을 놓으면 후퇴핀(455, 475)이 전진하여 롤블럭(41)의 삽입공(42, 44)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반대로 프레임(20)을 하우징(30)에서 분리시키는 때에는 후퇴핀(455, 475)을 후퇴시켜 롤블럭(41)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프레임(20)을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48)는 내부를 관통한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을 전자력을 이용해 인출입(전후진)시키고, 상기 모터(49)는 상기 롤축설핀(45)과 피치축설핀(47)은 상기 솔레노이드(48)의 후방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프레임(20)을, 즉, 프레임(20)에 장착된 카메라(10)를 X축방향이나 Y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49)의 축과 상기 롤축설핀(45)(또는 피치축설핀(47))은 기어(499/ 459,479)로 결합되어 모터(49)의 회전력이 롤축설핀(45)에 전달되는데, 롤축설핀(45)은 회전뿐만 아니라 전후진도 하여서, 모터(49) 축의 기어(499)와 롤축설핀(45)의 기어(459)는 치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롤축설핀(45)이 전진된 상태(전진으로 롤축설핀(45)의 롤블럭(41)에 축설 결합된 상태)에서만 롤축설핀(45)이 회전을 한다고 하여 모터(49)의 기어(499)와 롤축설핀(45)의 기어(459)가 전진된 상태에서만 치합되고 후진된 상태에서는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면, 기어가 치합이 해제된 후에 다시 재 치합되는 것이 원활하지 아니할 수 있다. 그래서 롤축설핀(45)의 전후진에 무관하게 치합은 계속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상기 롤축설핀(45)의 기어(459)는 롤축설핀(45)의 전후진 길이 이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무인드론 3 : 스마트폰
5 : 중앙관제센터 7 : 무선모듈
9 : 컨트롤러 10 : 카메라
20 : 프레임 30 : 하우징
40 : 촬영각조절수단

Claims (4)

  1.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무인드론에 거치시키는 거치대;
    상기 무인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지상으로 전송하는 무선모듈;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모듈이 전송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메인카메라와,
    상기 메인카메라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주변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메인카메라와 주변카메라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주변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두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촬영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각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블럭과 피치블럭,
    상기 하우징의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축설핀과 피치축설핀,
    상기 롤축설핀과 피치축설핀을 각각 인출입시켜 상기 롤블럭과 피치블럭에 축설되거나 축설이 해제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롤축설핀과 피치축설핀을 각각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메인카메라가 장착되는 중앙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네 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변카메라가 장착되는 주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20140035017A 2014-03-26 2014-03-26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59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17A KR101591958B1 (ko) 2014-03-26 2014-03-26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17A KR101591958B1 (ko) 2014-03-26 2014-03-26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78A true KR20150111578A (ko) 2015-10-06
KR101591958B1 KR101591958B1 (ko) 2016-02-04

Family

ID=5434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017A KR101591958B1 (ko) 2014-03-26 2014-03-26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9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4606A (zh) * 2017-05-22 2017-12-01 安徽师范大学 一种语音识别播报高空预警飞行器
KR101877864B1 (ko) * 2016-10-31 2018-07-12 주식회사 휴인스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US20180295316A1 (en) * 2017-04-05 2018-10-11 Liberator 360, Llc 360º CAMERA SYSTEM
KR20210107433A (ko)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카메라 모듈 공유 방식의 드론 결합 전자기기
US11113964B1 (en) 2018-10-31 2021-09-07 Khalil Siddiq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raffic management and surveillance
CN113922917A (zh) * 2021-09-02 2022-01-11 苏州华诺贝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感知监测预警功能的无人机反制装置及其反制方法
KR20220016741A (ko) 2020-08-03 2022-02-10 엘피스(주) 드론 기반의 교통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기반의 교통 상황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080B1 (ko) 2011-11-16 2013-04-12 김영진 쿼드로터형 비행로봇을 통한 송전탑 애자 크랙 검사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64B1 (ko) * 2016-10-31 2018-07-12 주식회사 휴인스 이동통신 네트웍을 이용하는 드론 시스템 및 드론관리서버
US20180295316A1 (en) * 2017-04-05 2018-10-11 Liberator 360, Llc 360º CAMERA SYSTEM
US10455187B2 (en) * 2017-04-05 2019-10-22 Liberator 360, Llc 360° Camera system
CN107424606A (zh) * 2017-05-22 2017-12-01 安徽师范大学 一种语音识别播报高空预警飞行器
US11113964B1 (en) 2018-10-31 2021-09-07 Khalil Siddiq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raffic management and surveillance
KR20210107433A (ko)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카메라 모듈 공유 방식의 드론 결합 전자기기
KR20220016741A (ko) 2020-08-03 2022-02-10 엘피스(주) 드론 기반의 교통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기반의 교통 상황 모니터링 방법
CN113922917A (zh) * 2021-09-02 2022-01-11 苏州华诺贝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感知监测预警功能的无人机反制装置及其反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58B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58B1 (ko)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되는 무인드론 감시카메라 시스템
CN108139799B (zh) 基于用户的兴趣区(roi)处理图像数据的系统和方法
EP3735774B1 (en) Modular image capture systems
US10257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CN107719673B (zh) 远程控制方法及终端
JP6483492B2 (ja) 空撮装置
WO2006022824A3 (en) Multi-camera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874744B2 (en) Privacy ensuring camera enclosure
US20150244903A1 (en) Head-moun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spection, evaluation or assessment of an event or location
KR101363066B1 (ko)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우범지역 감시시스템
US10455187B2 (en) 360° Camera system
EP2912835A1 (en) Remote surveillance sensor apparatus
DE202020005552U1 (de) Kameraerweiterungsrahmen und -module
CN109523041A (zh) 核电站管理系统
EP3827583A1 (en) Tethered drone system with surveillance data management
EP32643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mersive and collaborative video surveillance
CN203941453U (zh) 一种可通过智能眼镜进行监控拍摄及控制的无人机
KR101293626B1 (ko) 현장 지휘 차량
CN203574758U (zh) 球状侦测传感装置
US2023036248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supporting multiple photography modes with a control device
WO2021041990A1 (en) Wearable assisted perception module for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in hazardous environments
Pattanayak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ENG, EFP and Drone camera and its Impact in Television Production
WO2013105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ial surveillance
CN115076561A (zh) 应用于工程机械的远程沉浸式双目云台随动系统及方法
CN216526725U (zh) 360度全景影像变焦显示的摄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