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444A -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444A
KR20150111444A KR1020140034037A KR20140034037A KR20150111444A KR 20150111444 A KR20150111444 A KR 20150111444A KR 1020140034037 A KR1020140034037 A KR 1020140034037A KR 20140034037 A KR20140034037 A KR 20140034037A KR 20150111444 A KR20150111444 A KR 20150111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layer
atopic dermatitis
fiber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찬
노용환
홍성연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444A/ko
Priority to PCT/KR2014/002458 priority patent/WO2015147344A1/ko
Publication of KR20150111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69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siloxane, polyesters, polyurethane, polyethylene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층과 보습층으로 형성되는 보습원단으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상기 건조층의 합성섬유보다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높은 합성섬유, 재생섬유, 천연섬유로 형성되되, 상기 보습층은 상기 건조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되어 피부에 지속적인 보습기능을 부여하는 보습성 및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MOISTURIZING FABRIC F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습기능과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 원단에 관한 것이다.
현대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공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각종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새집 증후군이나 집먼지 진드기, 미생물, 건조한 공기, 동물의 털, 꽃가루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가능성이 높아 인체에 활성산소와 과산화 지질이 증가하여 세포의 노화나 비정상적인 반응이 유발되어 알레르기나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며 건조한 피부로부터 가려움증을 유발시키고 긁게 되면 습진성 피부병변이 생겨 더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시키는 만성적, 재발성 피부질환이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물질의 증가 및 환경공해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뿐 아니라 유전적인 요인, 면역학적 이상반응을 들 수 있으며, 향후 서구식 주거 형태로의 변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으로서 피부 고유 기능인 보호막 기능(장벽기능, skin barrier function)의 이상이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로 설명되고 있다. 피부의 표면에는 각질층이라는 바깥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각질층이 피부의 보호 보습기능을 맡아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우리의 몸을 보호한다.
그런데, 아토피 피부에서는 이러한 피부 각질층에 있는 세라마이드가 부족하여 이로 인해 피부 보호막 기능이 저하되어 아토피가 만성적으로 생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조직에서는 각질 내에 지질의 부족으로 피부보호막이 손상되어 있다. 이에 부족한 세라마이드 등을 보충해 주고 피부보호막기능을 회복시켜 줌으로서 표피가 상당히 개선된다.
이러한 아토피의 치료는 세정을 하거나 보습제, 스테로이드 등의 연고제를 바르는 등의 외용방법,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한방약을 복용하는 등의 내복방법, 검사를 통해 특정 알레르기의 항원을 찾아 그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는 면역방법, 음식물을 조절하는 식이요법, 온천요법 등이 있다.
상기의 외용방법 중의 하나인 세정방법은 피부에 앉은 먼지, 집먼지 진드기, 피부 유해균인 땀, 기타 이물질 등을 씻어냄으로써 아토피 피부의 악화요인을 제거해주는 방법이다. 또한, 보습제를 발라서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부여하여 피부보호막 기능을 회복시켜 준다.
상기의 방법 중에서 외용방법 외에 다른 방법들은 환자마다 개인차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유아기나 소아기의 아토피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음식에 의한 요인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가능성이 높아 스테로이드 연고를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한약복용 등은 심한 부작용을 겪는 등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관리를 요한다.
따라서, 피부건조증 개선을 위한 보습제의 선택은 피부보호막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데 중요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피부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상기의 이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70455호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과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로서 스핑고리피드(세라마이드)를 함유시킨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현재,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계 약물로서, 이는 부작용 발생 및 내성 증가 등으로 인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 개발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특히, 옷은 사람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해야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보습원단의 구조적인 성질로 수분이 일방향으로 전이되어 보습성이 향상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키는 보습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흡수된 수분이 쉽게 건조하지 않고 장시간 원단에 보유되어 피부로 전달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습성을 지속시켜 피부질환의 증상의 완화시킬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층과 보습층으로 형성되는 보습원단으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상기 건조층의 합성섬유보다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높은 합성섬유, 재생섬유, 천연섬유로 형성되되, 상기 보습층은 상기 건조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가 각각 또는 혼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습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라아미드계 섬유 , 레이온계 섬유, 모달계 섬유, 면섬유, 견섬유를 각각 또는 2이상 혼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층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형 섬유로 코어부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층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는 사이드 바 이사이드(Side by Side)형 섬유로 한쪽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라마이드는 캡슐화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습원단에 복합갈로탄닌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습원단에 항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모달계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보습층이 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층이 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원단'이라 함은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부직포 및 섬유상 웹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세라마이드가 함유된 합성섬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층에 대한 영향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층에 대한 영향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도 1,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조층 100과 보습층 200으로 형성되는 보습원단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조층 100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가 각각 또는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신 또는 파이토스핑고신에 지방산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스핑고 지질의 일종으로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간 지질 중 약 40% 이상을 차지하며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필수적인 성분이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지질 장벽의 역할과 각질층의 정연한 구조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피부 각질층에 있는 세라마이드가 부족하여 이로 인해 피부 보호막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건조층을 형성하는 합성섬유에 포함되는 세라마이드는 피부에 세라마이드를 보충시키고 피부에 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습층 200은 상기 건조층의 합성섬유보다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높은 합성섬유, 재생섬유, 천연섬유로 형성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라아미드계 섬유 , 레이온계 섬유, 모달계 섬유, 면섬유, 견섬유를 각각 또는 2이상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층 200은 상기 건조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되어 수분이 보습층으로만 전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은 건조층 100과 보습층 200간의 밀도 차이로 인해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건조층 100에서 흡수된 수분은 밀도가 높고 친수성이 높은 보습층 200으로 전이되나, 일부의 수분은 건조층 100의 세라마이드에 흡수되어 건조층 100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원단의 수분보유력을 높혀 원단전체의 보습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건조층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는 단일 섬유인 경우에는 세라마이드로 인해 합성섬유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도 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코어(sheath-core)형 섬유로 코어부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의(c)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 섬유의 어느 한쪽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를 시스-코어형 섬유로 형성할 경우에는 세라마이드가 더 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도 3의 (b)와 같이 편심형 시스-코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합성섬유 제조시 합성수지 칩과 같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세라마이드가 합성수지 칩의 융융과정에서 고열로 세라마이드가 분해될 수 있으므로 세라마이드의 분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세라마이드가 캡슐화되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캡슐화는 탄산 칼슘, 실크, 콜라겐, 셀룰로오스, 키토산, 젤라틴, 카세인 프탈산무수물 등의 캡슐 벽물질로 사용하여 일반적인 마이크로 캡슐화 하거나 또는 실리카, 산화 티탄,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성 미립자에 세라마이드를 주입시키는 캡슐화로 세라마이 드를 캡슐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에는 가려움이 발생되는 소양증이 동반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에 소양증을 완화시키는 복합갈로탄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합갈로탄닌은 오미자, 참나무에서 발견되는 포도당과 디갈산의 글리코시드인 탄닌으로 소양증완화 및 항균성 등의 기능성을 가진다.
상기 복합갈로탄닌은 코팅, 프린팅, 패딩, 침지 등의 방법으로 보습원단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복합갈로탄닌을 0.1~2% 함유하는 수용액에 보습원단을 침지한 후, 건조공정을 통해 복합갈로탄닌을 고착시키닌 방법으로 복합갈로탄닌을 보습원단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되면 피부의 pH가 변화되어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 형성되어 세균이 집단으로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에 항균처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항균처리는 제4급 암모늄계, 피리단계, 금속계 등의 항균제를 보습원단에 코팅, 프린팅, 패딩, 침지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항균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은 다양한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가을이나 겨울의 건조한 날씨에 발생되는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과 습한 여름에 발생되는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은 상기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과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이 보습층으로 전이되도록 보습층이 피부와 접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에 사용될 경우에는 건조층 100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섬유로 형성시키고, 보습층 200은 레이온계 또는 모달계 섬유로 형성시켜 건조층과 보습층의 친수성의 차이를 높힘으로서 수분전이속도를 증가시키고 건조층이 수분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층이 피부와 접하도록 형성하여 수분이 외측인 보습층으로 전이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에 사용될 경우에는 건조층 100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섬유로 형성시키고, 보습층 200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시켜 건조층의 세라마이드가 피부에 빠르게 침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원단은 의복으로 제조시 아토피 증상의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착용감에 있어서도 만족스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피부에 지속적인 보습기능을 부여하는 보습성 외에 소양증의 발현을 저해하고 향균성으로 세균증식을 억제하여 가려움, 발진 및 발열 등의 피부자극, 건조증 등의 완화에 상당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라마이드가 함유된 합성섬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층에 대한 영향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층에 대한 영향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제조
◈ 건성형 아토피 피부염 완화
실시예 1
건조층은 70데니어/24필라멘트의 시스-코아형으로 코아부에 세라마이드가 캡슐화되어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보습층은 50수의 마이크로 모달 섬유로 형성되며, 보습층의 조직밀도는 건조층의 조직밀도 보다 1.3배 높게 편직된 이중직의 편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보습원단을 제4급 암모늄 항균제 5%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항균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보습원단으로 복합갈로탄닌을 0.5%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보습원단을 제4급 암모늄 항균제 5%, 복합갈로탄닌 0.5%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를 제조하였다.
◈ 습성형 아토피 피부염 완화
실시예 5
건조층은 70데니어/24필라멘트의 시스-코아형으로 코아부에 세라마이드가 캡슐화되어 포함되는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보습층은 75데니어/7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로 형성되며, 보습층의 조직밀도는 건조층의 조직밀도 보다 1.2배 높게 편직된 이중직의 편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보습원단을 제4급 암모늄 항균제 5%, 복합갈로탄닌 0.5%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으로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를 제조하였다.
2. 본 발명의 보습원단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효과 실험방법
1) 시험계
(1) 종 및 계통 : NC/Nga 계통의 특정병원균 부재(SPF) 마우스
(2) 공 급 원 : 중앙실험동물(주) (SLC; Shizuoka, Japan)
(3) 시험계의 선택이유
다수의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실험에 사용되어 온 Nc/Nga 마우스는 IFN-γ의 생산량이 적어 Th1 면역이 억제되고 Th2 사이토카인과 IgE이 과잉 생산되어 일반적인 환경에서 사육될 경우 생후 8주령부터 자연적으로 피부염이 발생하는 마우스 모델로서 인간의 아토피성피부염 연구에 적합한 모델로 알려져 있다.
(4) 입수일 : 2012년 11월 13일
(5) 입수동물 성별 및 수 : 수컷 72마리
(6) 입수 시 주령 : 5주령
(7) 검역 및 순화기간
시험은 입수 후 7일간 순화기간을 두었으며, 순화기간 중 일반 증상을 매일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계에 대한 검역은 동물공급업체에서 분석한 시험계 검사 성적서를 참조하였다.
(9) 투여와 처치 시 주령 : 6주령
(10) 사용 동물 수 : 각 대조군과 시험군 별 6마리 씩 60마리와 무처치군 12마리 (AD군정상대조군 (도포하지 않음), TNCB 정상대조군 (AOO (Acetone : Olive oil = 4:1) solution 도포)로 총 72마리를 사용하였다.
(11) 군 분리
순화 후 체중을 순위화하여 군을 분리하였다.
(12) 식별법
개체식별은 미부표시법 및 사육상자별 개체식별카드 표시법을 이용하였다.
2) 시험방법
(1) 의류착용 : 시험군은 상기의 실시예들의 보습원단으로 마우스에 맞는 옷을 제작하여 1주일에 5회 착용하였으며, 1회 착용 시간은 6시간으로 하였다.
Control은 옷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의 마우스이고, 음성대조군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고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마우스이며, 비교대조군으로 일반면으로 제작된 옷을 착용시켰다.
(2) 아토피 유발
① 유발 방법
- AD 연고 유발법(건성형 아토피 유발) : NC/Nga mice의 아토피피부염 발현은 아토피피부염 유발연고를 이용하였다. Mice의 등 쪽, 귓바퀴 윗부분까지 최대한 제모기로 제모하고, 제모크림을 이용하여 털은 완벽히 제거하였다. 그리고 아토피피부염 유발연고 50 mg을 등쪽, 귓바퀴 부분에 편편한 스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아토피피부염 유발연고 2회 도포부터는 피부의 지방성분 제거 및 큐티클 barrier 파괴를 위하여 4% SDS를 분무한 후, 2∼3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 후 아토피피부염 유발연고를 주 3회 2주간 도포하였다.
-TNCB 유발법(습성형 아토피 유발) : NC/Nga mice 순화 후, 체중을 기초로 분류한 후 시험군 당 6마리씩 5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시험군의 경우, 등 부위를 제모한 후 첫 주에 5% TNCB(1-Chloro-2,4,6-trinitrobenzene, Aldrich) 150 μL를 등 부위에 1회 도포한 후, 2주째부터 1% TNCB를 주 1회 3주간 등 부위에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② 측정 방법 : 매주 임상적 육안 관능평가를 하였다. 육안 평가의 결과는 다음의 5가지를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합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은 홍반(erythema), 가려움과 건조 피부(Pruritus &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 escoriation), 짓무름(Erosion), 태선화(Lichenification)로 나누었으며, 이 각각의 항목은 없음(0), 약함(1), 중증(2), 심함(3)으로 채점하였다. 0점부터 최고 15점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며, 12점 이상이면 피부염이 최고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시험 항목
① 일반 증상 관찰
모든 동물에 대하여 매일 1회 일반증상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증상관찰은 시험이 종료 되는 시점까지 계속 실시하였다.
② 체중 및 사료량 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1주 간격으로 일정한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③ 경피 수분 증발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assay)
0, 7, 14, 21, 28, 35일에 등과 귀 뒤쪽 부위가 제모된 상태에서 경피수분증발량(g/㎡h)을 Vapometer (TMLC, (주)에피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장소는 실내 온도 22~24℃, 습도 50~60%가 유지되는 조건이어야 하며, 측정결과는 1분 동안의 TEWL 수치 중 초기값을 제외한 TEWL 평균 중 편차가 가장 작은 값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④ 경피 수분 함유량 측정 (Corneometer)
0, 7, 14, 21, 28, 35일에 등과 귀 뒤쪽 부위가 제모된 상태에서 피부표면의 수분량 측정을 하였다. 정전부하용량 계측법(capa citance measurement)인 콘덴서 방식에 근거한 Corneometer (CMLC, (주)에피젬)를 사용하여 값을 측정하였다. Corneometer는 피부 보습상태를 AU (arbitrary units)라는 단위로 표시하며 측정방법은 탐침을 측정 부위 피부표면에 밀착 접촉시킨 후 가볍게 누르면 나타나는 수치를 분석하였다.
⑤ 혈청 내 IgE 농도 분석
시험 28, 35일에 마우스에서 안와채혈을 하여 혈액 채취하였다. 이후 centrifugation(3000 rpm, 4℃, 10min)하여 측정 시 까지 -80 ℃에 보관하였다. 시험 종료 후 Plasma IgE level을 ELISA kit (ebioscienc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Microplate (Costar, USA) 에 100 μl/well씩 anti-mouse IgE를 코팅한후 4 °C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켰다. Microplate를 buffer를 이용하여 씻은 후 분석용 Diluent 용액 (ebioscience)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 시켰다. 지표물질로서 연속적으로 희석시킨 mouse anti-DNP IgE mAb (SPE-7, standard)로 사용하였으며 샘플은 100 μl/well로 처리하였으며 상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플레이트를 씻고 바이오틴화 시킨 DNP-KLH와 avidin과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것을 각 well에 처리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플레이트를 씻은 후 100 μl의 tetramethylbenziidine와 hydrogen peroxide (ebioscience)를 각 well에 처리하였다. 50μl의 2N H2SO4를 처리하여 반응을 멈추었다. 효소의 활성은 microplat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450 nm 와 57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⑥ 조직 병리학적 검사
시험 종료 시에 실험동물의 피부를 적출하여 4% 파라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단계별로 alcohol과 xylene으로 탈수하여 파라핀으로 포매한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5㎛이하의 절편을 만들어 다시 xylene과 alcohol로 파라핀을 제거하였다. Hematoxylin & eosin으로 염색하여 표피의 상태, 염증성 세포의 피부조직 침윤 여부를 분석하였다.
⑦ Western blot 분석
마우스의 생체 피부조직 샘플은 액체 질소에 얼린 후, 잘게 파쇄하고, homogenizer 를 이용하여 RIPA buffer (SIGMA, R0278) 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확하여 Bradford assay 통해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상등액은 SDS-PAGE loading dye와 혼합하여 well당 20 μg이 되도록 loading 한 후, SDS-PAGE를 실시하였다. 그 후, PAGE gel의 단백질들은 PVDF membrane으로 transfer하였다.
Membrane은 5% skim milk가 포함된 TBS-Tween 20 용액에서 2시간 동안 blocking 시킨 후, primary antibody인 Filaggrin와 Involucrin, Loricrin antibody를 1000:1로 희석한 후 3시간 처리하고, secondary antibody로는 HRP-conjugated anti-goat IgG를 2,000:1로 희석 하여 1시간 처리 하였다. 그 후, ECL 반응액을 처리하여 화학발광영상처리장치로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밴드의 세기를 분석하였다.
(4) 통계
In vivo 시험 결과의 분석은 기간별, 그룹별 Figure와 평균 및 표준오차로 정리한 Table을 이용하여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대조군과 시험군의 비교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로 ANOVA를 통해 p값을 측정하고 p<0.05 인 경우에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Turkey 다중비교를 수행하였다. 표시는 다음과 같이하였다. (p<0.05: *; p<0.01: **; p<0.001: ***)
3. 본 발명의 보습원단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효과 결과 및 고찰
3-1 AD 연고를 이용한 마우스에서의 아토피 완화 효능 연구
1) 일반 증상 관찰 및 체충변화
각각의 보습원단을 착용한 마우스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 비유발군과 비교하여 특별한 증상과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마우스의 체중변화는 표 1에 나타내었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0 Day 23.18 ± 0.65 23.62 ±0.53 23.80 ± 0.58 23.00 ± 0.45 23.78 ± 45 23.73 ± 0.51 24.17 ± 0.39
7 Day 24.35 ± 0.50 24.82 ± 0.47 24.83 ± 0.38 24.25 ± 0.69 24.70 ± 0.45 24.65 ± 0.54 24.72 ± 0.47
14 Day 26.10 ± 0.41 26.05 ± 0.34 26.37± 0.36 25.60 ±0.53 25.67 ± 0.47 25.32 ±0.53 25.80 ±0.49
21 Day 25.85 ±0.60 22.92 ± 0.60 24.72 ±0.46 24.17 ± 0.46 24.22 ±0.51 24.48 ± 0.64 25.17 ±0.47
28 Day 26.07 ± 0.72 24.50 ± 0.63 25.32 ±0.52 25.37 ±0.68 25.27±0.50 24.32±0.59 25.12 ±0.38
35 Day 26.33 ±0.62 26.10 ±0.66 25.45 ±0.61 26.13 ±0.49 25.40 ±0.52 25.28 ±0.57 25.97 ±0.49
2) 경피수분증발량 측정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assay)
일정한 온도 및 습도조건(실내온도 22~24℃, 상대습도 50~60%)에서 30분 전부터 측정부위의 피부를 노출시켜 실내 조건에 순응시키고,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움직임을 제한하였다. TEWL은 Tewameterⓡ (TM 300 C+K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로 일정한 피부 부위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TEWL (단위:g/㎡h-Transepidermal Waterloss)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TEWL 수치 중 초기값을 제외한 TEWL 평균 중 편차가 가장 작은 값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와 같으며, 35일째 결과에서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나머지 보습원단 착용군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
0 Day 4.15 ± 0.27 5.57 ± 0.36 4.67 ±0.24 4.53 ±0.27 5.05 ±0.32 4.47 ±0.44 5.13 ±0.36 0.079
28 Day 5.67 ± 0.18 16.88±1.51 15.65 ±1.48 12.12 ±0.78 16.53 ±0.70 13.33 ±0.97 13.65 ±1.46 0.000
35 Day 4.35 ±0.08 10.80 ±0.99 10.47 ±0.90 10.25 ±0.58 10.65 ±0.78 11.45 ±0.90 10.63 ±1.01 0.000
3) 경피수분 함유량 측정 (Corneometer)
0, 7, 14, 21, 28, 35일에 등과 귀 뒤쪽 부위가 제모된 상태에서 피부표면의 수분량 측정을 하였다. 정전부하용량 계측법을 사용하여 피부 표피의 수분 함유량을 토대로 마우스의 등 부위를 측정하였다. Corneometer는 피부 보습상태를 AU (arbitrary units)라는 단위로 표시하며 측정방법은 탐침을 측정 부위 피부표면에 밀착 접촉시킨 후 가볍게 누르면 나타나는 수치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와 같으며, 35일 째 결과에서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실시예 2 착용군과 실시예 4 착용군의 수분함유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
0 Day 38.28 ±1.47 31.53 ±1.91 33.45 ±1.43 31.85 ±2.30 33.60 ±2.02 31.47 ±1.30 33.75 ±2.37 0.509
28 Day 27.40 ±1.04 9.27 ±1.02 7.70 ±1.46 4.73 ±0.59 5.58 ±0.89 6.13 ±0.89 7.77 ±1.29 0.389
35 Day 17.73 ±1.56 9.02 ±1.73 7.00 ±1.45 4.17 ±1.09 8.60 ±2.27 11.30 ±1.29 6.28 ±1.19 0.299
4) 관능 평가 시험
본 평가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귀와 등 부위의 증상을 주로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4와 같으며, 양성대조군의 경우 전체등부위에 홍반, 부종뿐만 아니라 가피탈피와 농양성 구진 및 개체에 따라 심한 경우 출혈소견과, 귓바퀴 부위에서 부종 및 출혈 등을 포함한 피부염이 유발되어 사람의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과 흡사한 피부병변을 나타내었다. 시험 28일 째에는 홍반과 약간의 부종을 동반한 중등도의 피부염으로 음성대조군을 포함한 시험군 모두 7-10점 정도의 점수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35일 차에서는 일반면 착용군, 실시예 2 착용군, 실시예 3 착용군, 실시예 4 착용군에서 음성대조군보다 관능점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
0 Day 0.17 ±0.17 0.17 ± 0.17 0.17 ±0.17 0.33 ± 0.21 0.33 ± 0.21 0.17 ±0.17 0.33 ± 0.50 0.965
7 Day 0.50 ±0.22 1.17 ±0.17 0.67 ± 0.21 0.50 ±0.22 1.00 ±0.00 0.50 ± 0.22 0.50 ± 0.22 0.091
14 Day 1.50 ± 0.22 3.33± 0.61 2.67 ± 0.21 3.17 ± 0.17 2.67 ± 0.21 3.17 ± 0.17 2.50 ± 0.22 0.002
21 Day 1.50 ± 0.22 4.00 ± 0.45 4.00± 0.26 4.33 ±0.42 3.83± 0.31 4.33 ± 0.42 4.00 ± 0.37 0.000
28 Day 1.67 ± 0.21 8.50 ±0.76 7.17 ±0.60 7.50 ± 0.62 7.00 ± 0.63 7.50± 0.62 7.00 ±0.73 0.000
35 Day 2.00 ±0.00 8.83 ± 0.70 6.00 ± 0.37 6.17 ±0.17 6.00 ±0.63 6.00 ± 0.37 6.83 ±0.87 0.000
5) 혈청 내 IgE 농도 분석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본 시험에서 28일 째 유도 마지막 날, 모든 군에서 혈청 내 IgE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35일 째 결과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1 착용군, 실시예 2 착용군, 실시예 4 착용군에서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
28 day 7.09 ± 1.00 452.23 ±63.08 531.01 ± 67.10 597.39 ± 77.87 716.70 ± 73.41 572.12 ±83.34 669.86 ±56.68 0.000
35 day 21.41 ± 6.20 681.20 ± 46.68 502.56 ±44.76 406.76 ± 57.12 389.16 ± 51.67 545.42 ±80.25 448.55 ±37.14 0.000
Fold Change (Final) 1 31.81 23.47 18.99 18.17 25.47 20.95
6) 조직병리학적 평가-피부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에 대한 영향 - H&E Stain
피부조직 염색을 통해 등 표피의 상태, 염증성 세포의 피부조직 침윤 여부를 평가하였다. 음성대조군은 hyperplasia와 hyperkeratosis 현상이 심하여 표피층이 비후해졌으며, 각질층의 형태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 피부장벽의 심각한 손상이 확인되었다. 진피층 내에 염증 관련 세포의 침윤현상도 많았다. 이에 비해 보습원단착용 시험군은 hyperplasia와 hyperkeratosis 현상이 비교적 적게 관찰되었으며, 피부장벽의 손상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진피층에 염증세포의 침윤 현상도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피부조직 염색을 통해 등 표피의 상태, 염증성 세포의 피부조직 침윤 여부는 도 4에 나타내었다.(G1-Control, G2-음성대조군, G3-일반면, G4-실시예 1, G5-실시예 2, G6-실시예 3, G7-실시예 4)
7) 피부층에 대한 영향 - Western blot
피부분화의 표지자로서 Involucrin (초기 분화)의 경우 대체적으로 각화증을 보이는 질환에서 피부의 증식정도에 따라 비례하여 발현되며, Filaggrin (후기 분화)의 발현은 피부분화정도를 나타내는 성숙도와 연관성이 있다. 아토피환자의 50%이상이 FLG mutation 각질형성세포 분화가 진행되면 세포막의 안쪽에 involucrin, cornifin, loricrin, SPR 등의 구조단백질을 transglutamiase가 결합시키어 물에 녹지 않는 단단한 구조물인 각질세포막 (cornified cell envelope)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각질형성세포 분화가 비정상적으로 일어나게 되면 피부장벽 기능에 결함이 생기게 되고 건조피부를 유발시키며, 결과적으로 아토피 등과 같은 만성피부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습원단 착용 부위의 피부 조직을 적출하여 단백질을 분리한 후,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여 Filaggrin, Involucrin, Loricrin, PCNA 단백질의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음성대조군에서 Filaggrin 단백질의 mutation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토피의 유발이 잘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도 5(G1-Control, G2-음성대조군, G3-일반면, G4-실시예 1, G5-실시예 2, G6-실시예 3, G7-실시예 4)의 결과와 같이 마우스 등조직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여 번호 순서대로 3번 반복실험을 진행하였다. 전체 단백질에서의 타겟 단백질의 정량적 분석이기에 확실한 패턴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우스에 보습원단을 착용하는 것이 피부층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3-2 TNCB 를 이용한 마우스에서의 아토피 완화 효능 연구
1) 일반 증상 관찰 및 체충변화
각각의 보습원단을 착용한 마우스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 비유발군과 비교하여 특별한 증상과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마우스의 체중변화는 표 6에 나타내었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5 실시예 6
0 Day 23.45 ±0.73 22.77 ± 0.42 23.97 ±0.46 23.28± 0.49 23.45 ± 0.73
7 Day 23.57 ± 0.41 23.33 ± 0.44 24.17 ± 0.33 24.48 ± 0.26 23.85 ±0.59
14 Day 24.27 ± 0.22 24.07 ±0.54 24.80 ±0.48 24.77 ± 0.34 24.60 ±0.50
21 Day 24.57 ± 0.61 23.47 ± 0.53 24.73 ± 0.26 23.90 ±0.62 24.10±0.27
28 Day 25.32 ±0.64 24.62 ± 0.49 24.53 ±0.22 24.53 ±0.65 25.07 ±0.50
35 Day 25.75 ±0.52 25.80 ±0.58 25.45 ±0.30 24.88 ±0.64 24.55 ±0.57
2) 경피수분증발량 측정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assay)
일정한 온도 및 습도조건(실내온도 22~24℃, 상대습도 50~60%)에서 30분 전부터 측정 부위의 피부를 노출시켜 실내 조건에 순응시키고,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움직임을 제한하였다. TEWL은 Tewameterⓡ (TM 300 C+K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로 일정한 피부 부위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TEWL (단위:g/㎡h-Transepidermal Waterloss)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TEWL 수치 중 초기값을 제외한 TEWL 평균 중 편차가 가장 작은 값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7과 같으며, 35일 째 결과에서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실시예 6 착용군에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5 실시예 6 p
0 Day 4.98 ±0.35 4.60 ±0.24 4.42 ±0.25 4.13 ±0.24 5.55 ±0.32 0.419
28 Day 7.42 ±0.31 24.35 ±1.10 23.15 ±1.51 25.32 ±1.08 19.20 ±1.67 0.036
35 Day 12.43 ±1.72 25.17 ±1.88 26.95 ±1.83 24.42 ±2.02 12.67 ±2.02 0.955
3) 경피수분 함유량 측정 (Corneometer)
0, 7, 14, 21, 28, 35일에 등과 귀 뒤쪽 부위가 제모된 상태에서 피부표면의 수분량 측정을 하였다. 정전부하용량 계측법을 사용하여 피부 표피의 수분 함유량을 토대로 마우스의 등 부위를 측정하였다. Corneometer는 피부 보습상태를 AU (arbitrary units)라는 단위로 표시하며 측정방법은 탐침을 측정 부위 피부표면에 밀착 접촉시킨 후 가볍게 누르면 나타나는 수치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8과 같으며, 35일 째 결과에서 음성대조군에 대하여 보습원단착용 시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5 실시예 6 p
0 Day 39.72 ±1.93 35.25 ±2.17 33.93 ±1.75 34.45 ±1.34 35.75 ±2.15 0.914
28 Day 26.67±1.26 8.78 ±1.25 6.72 ±0.91 7.12 ±0.62 9.85 ±1.17 0.626
35 Day 17.67 ±1.90 5.02 ±0.57 5.30 ±0.61 4.57 ±0.58 6.58 ±1.23 0.004
4) 관능 평가 시험
본 평가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등 부위의 증상을 주로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9와 같으며, 음성대조군의 경우 전체등부위에 홍반, 부종뿐만 아니라 가피탈피와 농양성 구진 및 개체에 따라 심한 경우 출혈소견과, 귓바퀴 부위에서 부종 및 출혈 등을 포함한 피부염이 유발되어 사람의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과 흡사한 피부병변을 나타내었다. 시험 28일째에는 홍반과 약간의 부종을 동반한 중등도의 피부염으로 음성대조군을 포함한 시험군 모두 8-10점 정도의 점수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35일 차에서는 실시예 6 착용군에서 음성대조군보다 관능점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5 실시예 6 p
0 Day 0.17 ± 0.17 0.33±0.21 0.17 ±0.17 0.33 ±0.21 0.33 ±0.21 0.399
7 Day 1.17 ±0.17 3.33±0.21 2.83 ±0.31 2.50 ±0.34 3.17 ±0.17 0.199
14 Day 1.67 ±0.21 5.17 ±0.40 3.67 ± 0.21 5.00 ±0.63 4.33 ± 0.42 0.004
21 Day 1.83 ±0.17 8.33 ±0.76 7.33 ± 0.42 7.33 ±0.49 8.50 ± 0.43 0.136
28 Day 2.00 ± 0.00 9.83 ±0.60 9.67 ± 0.56 9.50 ±0.22 9.33 ±0.42 0.011
35 Day 2.17 ±0.17 10.67 ±0.76 8.83 ±0.31 9.00 ± 0.63 8.00 ± 0.26 0.053
5) 혈청 내 IgE 농도 분석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10과 같다. 본 시험에서 28일째 유도 마지막 날, 모든 군에서 혈청 내 IgE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으며, 35일째 결과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5 착용군, 실시예 6 착용군에서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Control 음성대조군 일반면 실시예 5 실시예 6 p
28 day 58.56 ± 8.57 214.96 ± 23.05 179.65 ± 70.01 125.20 ±10.05 124.53 ±47.70 0.037
35 day 96.64 ± 14.04 288.84 ± 33.80 158.92 ± 62.31 59.03 ± 5.36 57.02 ± 14.96 0.005
Fold Change (Final) 1 2.99 1.64 0.61 0.59
6) 조직병리학적 평가-피부조직에서의 염증세포 침윤에 대한 영향 - H&E Stain
피부조직 염색을 통해 등과 귀조직 표피의 상태, 염증성 세포의 피부조직 침윤 여부를 평가하였다. 음성대조군은 hyperplasia와 hyperkeratosis 현상이 심하여 표피층이 비후해졌으며, 각질층의 형태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 피부장벽의 심각한 손상이 확인되었다. 진피층 내에 염증 관련 세포의 침윤현상도 많았다. 이에 비해 보습원단착용 시험군은 hyperplasia와 hyperkeratosis 현상이 비교적 적게 관찰되었으며, 피부장벽의 손상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진피층에 염증세포의 침윤 현상도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피부조직 염색을 통해 등 표피의 상태, 염증성 세포의 피부조직 침윤 여부는 도 6에 나타내었다.(G1-Control, G2-음성대조군, G3-일반면, G4-실시예 5, G5-실시예 6)
7) 피부층에 대한 영향 - Western blot
보습원단 착용 부위의 피부 조직을 적출하여 단백질을 분리한 후,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여 Filaggrin, Involucrin, Loricrin, PCNA 단백질의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음성대조군에서 Filaggrin 단백질의 mutation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아토피의 유발이 잘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도 7(G1-Control, G2-음성대조군, G3-일반면, G4-실시예 5, G5-실시예 6)의 결과와 같이 마우스 등 직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여 번호 순서대로 3번 반복실험을 진행하였다. 전체 단백질에서의 타겟 단백질의 정량적 분석이기에 확실한 패턴이 나타나진 않았지만,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우스에 보습원단을 착용하는 것이 피부 층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상기와 같이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해 일어나는 건조증상 및 과도한 세포증식, 각질세포의 분화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을 착용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이 완화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2차 적인 결과로서, 피부상태가 안정화된 후 체내의 IgE 수준의 감소 및 사이토카인의 조절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건조층 200: 보습층
300: 세라마이드

Claims (10)

  1. 건조층과 보습층으로 형성되는 보습원단으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상기 건조층의 합성섬유보다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높은 합성섬유, 재생섬유, 천연섬유로 형성되되,
    상기 보습층은 상기 건조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가 각각 또는 혼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라아미드계 섬유 , 레이온계 섬유, 모달계 섬유, 면섬유, 견섬유를 각각 또는 2이상 혼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형 섬유로 코어부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는 사이드 바 이사이드(Side by Side)형 섬유로 한쪽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캡슐화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원단에 복합갈로탄닌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원단에 항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모달계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보습층이 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층은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층이 피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KR1020140034037A 2014-03-24 2014-03-24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KR20150111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037A KR20150111444A (ko) 2014-03-24 2014-03-24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PCT/KR2014/002458 WO2015147344A1 (ko) 2014-03-24 2014-03-24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037A KR20150111444A (ko) 2014-03-24 2014-03-24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44A true KR20150111444A (ko) 2015-10-06

Family

ID=5419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037A KR20150111444A (ko) 2014-03-24 2014-03-24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11444A (ko)
WO (1) WO20151473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915A (ko) * 2016-07-07 2019-03-12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49B1 (ko) * 2002-11-22 2005-03-17 벤텍스 주식회사 피부 기능성 원단
KR100745649B1 (ko) * 2006-02-22 2007-08-02 벤텍스 주식회사 보습 기능성 원단
KR100887376B1 (ko) * 2007-06-18 2009-03-10 벤텍스 주식회사 보습 원단
KR20130110720A (ko) * 2012-03-30 2013-10-10 벤텍스 주식회사 보습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915A (ko) * 2016-07-07 2019-03-12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7344A1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o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chitin nanofibrils on skin function using skin models
CN109431912B (zh) 皮肤油脂平衡组合物及其应用
Archer Functions of the skin
CN109431914B (zh) 头皮养护组合物及其应用
Ricci et al. Use of textiles in atopic dermatitis
WO2010079209A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wounds and skin conditions
CN111588682A (zh) 一种平衡肌肤微生态的护肤组合物
CN109431913B (zh) 皮肤微生态平衡组合物及其应用
CN109431910B (zh) 皮肤屏障修复组合物及其应用
Hwang et al. Ameliorative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from tannase digests on house dust mite antigen-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lesions in NC/Nga mice
KR101512606B1 (ko) 주름 및 아토피 개선과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18517B1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CN105088781A (zh) 一种蚕丝纤维无纺布及其生产方法
KR20150111444A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보습원단
KR100887376B1 (ko) 보습 원단
US9517215B2 (en) Dermal matrix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having synergistic effects comprising microparticles which provides tissue repair
KR101211828B1 (ko)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Hao et al. Dermlin and silver nanoparticles combined antibacterial dressing for skin wound repair
KR102392617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제
KR20140134982A (ko) 피부보습원단
KR100745649B1 (ko) 보습 기능성 원단
CN107638317A (zh) 一种保湿护肤品
KR100476549B1 (ko) 피부 기능성 원단
KR20130110720A (ko) 보습 원단
CN103118672B (zh) 用于治疗涉及血蛋白渗出的皮肤病及缓和该皮肤病的症状的贴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