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177A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177A
KR20150111177A KR1020140034765A KR20140034765A KR20150111177A KR 20150111177 A KR20150111177 A KR 20150111177A KR 1020140034765 A KR1020140034765 A KR 1020140034765A KR 20140034765 A KR20140034765 A KR 20140034765A KR 20150111177 A KR20150111177 A KR 2015011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user
classif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403B1 (ko
Inventor
김창대
Original Assignee
김창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대 filed Critical 김창대
Priority to KR102014003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4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자동으로 디렉토리 별로 분류 및 관리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과 어플 관리 서버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이고, 상기 어플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여러 부가기능이 달린 이동통신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키 입력부 이외에 카메라나 NFC모듈 등의 추가 입력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한 단말기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추가 입력장치 중 카메라는 인물이나 사물 등과 같은 대상을 촬영하여 이미지나 동영상 정보를 만들어 단말기에 저장하는 기능이 기본적인 기능이며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 등의 이미지 정보를 읽어 문자열과 같은 추가정보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NFC모듈 또한 RF 신호를 검출하여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입력장치들은 대부분 정보를 읽어서 화면에 출력하거나 단말의 저장영역에 읽은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정보들은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도 매우 다양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OS 및 플랫폼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은 카메라모듈, GPS, NFC 모듈, 중력센서, 나침반 등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는 여러 종류의 다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다가 이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클릭, 더블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 목적의 어플리케이션이라도 단말기의 OS, 플랫폼 종류, 화면 해상도 등에 따라 각각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요즘 단말기 OS 의 종류로는 iOS, linux, Android, Windows mobile 등 단말 제조사 별로 다양한 종류의 OS가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플랫폼도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한편, 보통 입력부를 통하여 읽은 입력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은 문자 편집기, 이미지 뷰어, 동영상 재생기, 결제수단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저장된 입력정보를 다시 불러내어 사용한다든지, 카메라, 스캐너, NFC Reader 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읽은 입력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일부 특정 입력정보들은 일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정보를 읽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3932호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분류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분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5743호 '어플리케이션 판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판매 장치, 단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자동 분류 등록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자동으로 디렉토리 별로 분류 및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 어플 관리 서버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이고, 상기 어플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어플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모듈; 상기 어플 관리 서버에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어플 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분류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되,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를 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를 하위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정보 생성 모듈;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백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데이터 필드 별로 단말 정보,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 및 생활별 속성 정보가 각각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하는 분류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별로 분류하는 제1 분류부; 상기 제1 분류부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하는 제2 분류부; 및 상기 제2 분류부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로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OS 정보 또는 플랫폼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출생, 연령, 직업, 태그, 위치 또는 시간에 관련된 생애 정보와, 사용자의 학업, 취미, 건강, 오락, 선호 물품 또는 사건에 관련된 생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는 상기 생애 정보 별로 분류된 생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이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 생성시,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를 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를 하위 디렉토리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정보를 자동으로 디렉토리 별로 분류 및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라이프 히스토리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저장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정보 생성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구축되는 개인화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저장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정보 생성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구축되는 개인화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과 어플 관리 서버(100)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200), 어플 관리 서버(1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입력하고, 어플 관리 서버(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OS(Operation system) 정보 또는 플랫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출생, 연령, 직업, 태그, 위치 또는 시간에 관련된 생애 정보와, 사용자의 학업, 취미, 건강, 오락, 선호 물품 또는 사건에 관련된 생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이 속해 있는 분류를 나타내는 분류 속성 정보가 구성 파일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유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웹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고, 어플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어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I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정보 입력 모듈(210), 통신 모듈(220), 저장 모듈(230), 정보 생성 모듈(240), 표시 모듈(250), 백업 모듈(260) 및 제어 모듈(270)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입력 모듈(210)은 어플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OS(Operation system) 정보 또는 플랫폼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출생, 연령, 직업, 태그, 위치 또는 시간에 관련된 생애 정보와, 사용자의 학업, 취미, 건강, 오락, 선호 물품 또는 사건에 관련된 생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입력 모듈(210)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수단, 예를 들면, 키패드, 터치스크린, 음성인식, 영상인식 등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인식은 이미지 정보, 예를 들면, 문자열코드, 바코드, QR 코드, 데이터 메트릭스 코드 등, 또는 동영상 정보에 해석하여 입력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어플 관리 서버(100)에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어플 관리 서버(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어플 관리 서버(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어플 관리 서버(100)에 구비된 통신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송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플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IEEE 802.11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IEEE 802.15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WB(Ultra-WideBand), 와이파이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3G 방식, 4G 방식, LTE 방식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무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230)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분류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AM,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은 저장 모듈(23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 모듈(230)은 프로그램 저장부(231),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2) 및 분류 정보 저장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231)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어플 관리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2)는 데이터 필드 별로 단말 정보,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 및 생활별 속성 정보가 각각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저장부(232)는 어플리케이션이 속해 있는 분류를 나타내는 분류 속성 정보를 데이터 필드 별로 단말 정보,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 및 생활별 속성 정보 형태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 폰일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플랫폼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파일 AndroidManifest.xml에 하나의 필드가 부가되며, 이 필드의 값(즉, 속성 정보)은 미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구성된 분류를 나타낸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동안,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나의 분류를 객관적으로 할당하고, 이에 대응해서 그 할당된 분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파일에 속성 정보를 설정한다. 이러한 속성 정보가 단말 정보, 생애별 속성 정보 및 생활별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 정보 저장부(233)는 정보 생성 모듈(240)에 의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분류 정보 저장부(233)는 정보 생성 모듈(240)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 생성 모듈(24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저장 모듈(2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생성 모듈(240)은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를 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를 하위 디렉토리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생성 모듈(240)은 제1 분류부(241), 제2 분류부(242) 및 정보 생성부(2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정보 생성 모듈(240)은 저장 모듈(23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정보,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 및 생활별 속성 정보 별로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한 분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 분류부(241)는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별로 분류한다. 즉, 상기 제1 분류부(241)는 저장 모듈(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생애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생애 중에 어느 시기에 해당되는 지를 분석한다.
상기 제2 분류부(242)는 제1 분류부(241)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다. 즉, 상기 제2 분류부(242)는 제1 분류부(241)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생활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생활 중 어느 생활 분야에 속하는 지를 분석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제2 분류부(242)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로 생성한다. 즉,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제2 분류부(242)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 생성된 분류 정보 테이블 중에 해당되는 항목에 지정되도록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생애 정보 별로 분류된 생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사용자의 생활(취미, 오락, 뉴스, 쇼핑 등) 정보를 시간 중심의 생애 정보 별로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의 생애 및 생활 별로 맞춤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개인 중심의 다양한 정보 및 문화 생활을 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시간(즉, 생애)을 중심으로 생활해오던 공간에 생활 컨텐츠를 배치한 매트릭스 형태의 분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애(x축: 실시간)를 중심으로 삶을 영위하고 공간(y축)에 생활 컨텐츠(즉, 생활 관련 어플리케이션)를 개인 별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 분류 정보를 공급받게 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삶을 살아가면서 개인 생활 중심의 정보를 아날로그적으로 운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사용자의 생활 정보를 시간 중심의 생애 정보 별로 폴더 형태로 구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숫자와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 및 주기에 따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류 별로 구분하여 카테고리화시켜 하나의 폴더에 사용자가 지정한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넣어 관리할 수 있고, 카테고리 별로 리스트화시킬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겹치면 폴더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카테고리 기준으로 이름이 설정 또는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사용자 단말(200) 안의 기본 응용 프로그램의 플랫폼과 디렉토리 설정을 변경하여 동영상, 사진, 생활 및 업무를 기록한 문서들을 사건에 따라 편집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생성부(243)는 갤러리 응용 프로그램에서 앨범과 장치와 계정 간의 자동 사진 동기화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사진 앨범, 날짜 및 시간, 위치, 태그 또는 사람을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때, 날짜, 시간 및 위치 데이터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에 포함되지만, 태그와 사람 레이블을 올바르게 정렬하려면 사진에 수동적으로 추가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갤러리 응용 프로그램의 정렬 및 분류 기법을 기술적으로 응용하여 어플 리스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신의 라이프 히스토리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250)은 정보 생성 모듈(240)에 의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quid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LED)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모듈(25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된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특히 확대 및 축소 버튼을 통하여 글씨 크기 및 창 크기 등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모듈(250)은 전체적으로 시각적인 효과를 주기 위하여 심플하고 컬러감 있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메뉴가 아이콘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모듈(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 단말(200)에서 지원하는 플랫폼의 계정에서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어플 리스트의 X축에 따라 분류된 생애를 터치하여, Y축에 출생, 백일, 돐,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 중등, 고등, 대학, 대학원, 군복무, 직장, 노후, 영면이 나타나도록 출력할 수 있고, 각 분류를 터치하여 분류별 하위 디렉토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250)은 생활(학업, 취미, 건강 등), 홈 네트워크(집안 IOT 가전제품 등), 사무(직장, 인트라넷 등)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이 X축에서 시간과 함께 배치되어 사람의 출생과 사건 중심으로 분류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어플 리스트들은 모바일 플랫폼에서 기본 응용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어지는 응용 프로그램들과 설정한 디렉토리를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250)은 각각의 디렉토리를 통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불러내고, 연결된 목록의 분류 영역에 각각 연결된 목록 내의 모든 노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바로 가기(shortcut)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모듈(250)은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의 출력을 위한 웹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비디오와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분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백업 모듈(260)은 정보 생성 모듈(240)에 의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백업 모듈(260)은 정보 생성 모듈(240)에 의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300)와 같은 저장 수단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자신의 생애 정보별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분류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70)은 본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00)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정보를 자동으로 디렉토리 별로 분류 및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보 생성부(243)에 의하여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기화와 사용자의 계정에 따른 추가 또는 삭제 작업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상기 어플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등의 서버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플 관리 서버(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200)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은 프로그램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단말은 어플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단말 속성 정보 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어플 관리 서버(100)에 등록하는 장치로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유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웹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어플 관리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는 어떠한 전자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그램 단말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 Personal Computer), 웹패드, 노트북,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팜PC, e-Book단말기, HHT(Hand Held Terminal) 등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skimo)를 중심으로 개개인의 가족, 직장, 친구, 동호회, 쇼핑, 학교, 도서관, 병원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세상의 모든 정보와 서비스가 개인 생활 중심으로 운영 및 관리되도록, 개개인의 생활 정보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하여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S10)와,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제2 단계(S2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S30)와, 제3 단계(S3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S30)는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 생성시,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를 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를 하위 디렉토리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소프트웨어(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통해 실행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또는 라우터의 캐시, 또는 광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정보를 자동으로 디렉토리 별로 분류 및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라이프 히스토리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에 따르면, 개개인의 생활정보로 구성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고, 세상의 모든 정보와 서비스가 개인 생활 중심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어플 관리 서버 200: 사용자 단말
210: 정보 입력 모듈 220: 통신 모듈
230: 저장 모듈 231: 프로그램 저장부
232: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233: 분류 정보 저장부
240: 정보 생성 모듈 241: 제1 분류부
242: 제2 분류부 243: 정보 생성부
250: 표시 모듈 260: 백업 모듈
270: 제어 모듈 300: 클라우드 서버

Claims (7)

  1. 사용자 단말과 어플 관리 서버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어플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어플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모듈;
    상기 어플 관리 서버에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어플 관리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분류 속성 정보 별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단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되,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를 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를 하위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정보 생성 모듈;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백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데이터 필드 별로 단말 정보,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 및 생활별 속성 정보가 각각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하는 분류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별로 분류하는 제1 분류부;
    상기 제1 분류부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하는 제2 분류부; 및
    상기 제2 분류부에 의하여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로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OS 정보 또는 플랫폼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출생, 연령, 직업, 태그, 위치 또는 시간에 관련된 생애 정보와, 사용자의 학업, 취미, 건강, 오락, 선호 물품 또는 사건에 관련된 생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는 상기 생애 정보 별로 분류된 생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정보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분류요청 신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와 생활별 속성 정보로 분류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정보 생성시, 사용자의 생애별 속성 정보를 상위 디렉토리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생활별 속성 정보를 하위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1020140034765A 2014-03-25 2014-03-2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60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65A KR101602403B1 (ko) 2014-03-25 2014-03-2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765A KR101602403B1 (ko) 2014-03-25 2014-03-2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77A true KR20150111177A (ko) 2015-10-05
KR101602403B1 KR101602403B1 (ko) 2016-03-10

Family

ID=5434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765A KR101602403B1 (ko) 2014-03-25 2014-03-2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4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5157A (zh) * 2016-05-10 2016-09-28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应用图标形状的分类显示方法及系统
CN106201506A (zh) * 2016-07-07 2016-12-07 华南理工大学 基于多租户模式的功能装配与定制方法
CN111159505A (zh) * 2019-12-25 2020-05-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分类方法、电子设备及服务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43A (ko) 2010-10-06 2012-04-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판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판매 장치, 단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자동 분류 등록 방법
KR20120139237A (ko) * 2011-06-17 2012-12-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저작 기반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103932A (ko) 2012-03-12 2013-09-25 한국과학기술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분류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분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43A (ko) 2010-10-06 2012-04-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판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판매 장치, 단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자동 분류 등록 방법
KR20120139237A (ko) * 2011-06-17 2012-12-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저작 기반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30103932A (ko) 2012-03-12 2013-09-25 한국과학기술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분류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분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5157A (zh) * 2016-05-10 2016-09-28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应用图标形状的分类显示方法及系统
CN106201506A (zh) * 2016-07-07 2016-12-07 华南理工大学 基于多租户模式的功能装配与定制方法
CN106201506B (zh) * 2016-07-07 2019-11-22 华南理工大学 基于多租户模式的功能装配与定制方法
CN111159505A (zh) * 2019-12-25 2020-05-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分类方法、电子设备及服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403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mmanouilidis et al. Mobile guides: Taxonomy of architectures, context awarenes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US11178086B2 (en) Media item attachment system
KR20200122433A (ko)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제어형 미디어 오버레이들
KR102626764B1 (ko) 상호작용형 정보 인터페이스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CN105518662A (zh) 对实体扩充内容的访问和管理
KR102270953B1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52572A (ko) 협업 공용 사용자 프로필
US8904274B2 (en) In-situ mobile application suggestions and multi-application updates through context specific analytics
US20160179899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KR20230007539A (ko) 원격 디바이스로부터의 직접 입력
US20200050906A1 (en) Dynamic contextual data capture
CN105229638B (zh) 作为对内容的收集的贡献者的自动化的库管理员
KR101602403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316846B1 (ko) 미디어 컨텐츠를 선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201401146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N112000876B (zh) 一种信息显示的方法、终端、服务器
US20170140019A1 (en) Automated data replication
US20200019563A1 (en)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US11921773B1 (en) System to generate contextual queries
Sodnik et al. Mobile Web
KR20150044461A (ko) 사용자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들의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