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931A -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931A
KR20150110931A KR1020140033362A KR20140033362A KR20150110931A KR 20150110931 A KR20150110931 A KR 20150110931A KR 1020140033362 A KR1020140033362 A KR 1020140033362A KR 20140033362 A KR20140033362 A KR 20140033362A KR 20150110931 A KR20150110931 A KR 2015011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key
unit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원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3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931A/ko
Publication of KR2015011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주가 스마트 키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린 경우에 차량 구동 제어를 하여 차량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판별하는 시동 구동부;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 도어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수행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 오프 상태로 판별되고, 상기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를 통해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 구동부를 통해 도어를 락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ANTI-THEFT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주가 스마트 키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린 경우에 차량 구동 제어를 하여 차량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1가구 1자동차 시대라고 할 정도로 자동차의 보급은 상용화되었으며, 각종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자동차 이용이 편리해 졌다.
기존에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시동을 거는데 사용되던 기계적 키(key)가, 최근에는 스마트 키(smart key)로 대체되어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 기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 키는 차량에 장착된 스마트키 ECU와의 통신을 통해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키와 스마트키 ECU를 통칭하여 스마트 키 시스템이라 한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의 스마트키 ECU로부터 송신된 암호화된 LF 신호를 차주가 소지한 스마트 키가 수신하면, 이 스마트 키는 암호화된 RF 신호로 응답을 하게 되며, 이 암호의 일치 여부로 정상적인 차주로 인증해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엔트리(Entry) 기능], 시동을 걸 수 있게 한다[엔진 스타터(Engine Starter) 기능].
위와 같이 편리한 기능으로 운전자들[차주]은 차량에 탑승한 후로 손에 쥐고 있었거나 호주머니에 넣어두었던 스마트 키를 꺼내서 센터페시아 하측의 수납공간 또는 변속기 후측의 스마트 키 전용 수납공간에 두고서 운전을 하게 된다. 물론, 차주의 핸드백, 가방에 스마트 키가 있었던 경우에는 이 핸드백, 가방을 운전석 부근에 두기만 해도 스마트 키 시스템은 동작한다.
즉, 차량의 스마트키 ECU와 차량 내에 위치한 스마트 키가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스마트 키 시스템이 동작되어 시동 버튼이 눌러지면 엔진 시동이 걸리는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편리한 기능의 스마트 키는 차량 도난 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차주가 차량의 시동 버튼을 눌러서 시동을 오프시킨 후 고의든 실수로 든 스마트 키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린 경우에, 절도범이 차량에 침입해 물품을 훔치거나, 더 나아가 차량에 놓여진 스마트 키로 시동을 걸어서 운전을 해 차량을 절도할 수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시동 오프 상태에서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한 경우에 위와 같이 차량 도난 사고가 발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의 스마트 키 시스템에서는 스마트 키 자체를 차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즉, 스마트 키가 차량의 실내에 위치한 경우를 차주가 차량 실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며, 스마트 키가 차량의 실외에 위치한 경우를 차주가 차량 실외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본다.
다시 말하면, 실제로는 차주가 차량 실외에 위치해 있더라도 스마트 키가 실내에 있다면, 종래기술에서는 차주가 차량 실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도어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거나 시동 오프에 따라 도어가 열린 상태로 천이된다. 이러한 문제는 차주가 스마트 키를 소지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내린 것이라는 차주의 과실로 취급되어 도난 사고에 대해 어떠한 보상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시동 오프 상태에서 고의든 실수로 든 차주가 스마트 키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리더라도 차량 도난 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주가 스마트 키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린 경우에 차량 구동 제어를 하여 차량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판별하는 시동 구동부;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 도어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수행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 오프 상태로 판별되고, 상기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를 통해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 구동부를 통해 도어를 락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판별하고, 시동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수행하는 시동 구동부;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 및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 오프 상태로 판별되고, 상기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를 통해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을 락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고의든 실수로 든 차주가 스마트 키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리더라도 차량 도난 사고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어 락킹을 통해 차량 도난 사고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 키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차량 밖에서 편리하게 도어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시동 락킹을 통해 차량 도난 사고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승해 편리하게 시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시스템은, 차주가 소지하는 스마트 키(11),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키 ECU(12), 차체 제어 모듈(BCM ; Body Control Module)(13), 스마트 정션 박스(SJB ; Smart Junction Box)(14), 엔진 ECU(1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주가 스마트 키(11)를 차량의 실내에 두고 내린 경우에 차량 구동 제어를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도난 사고는 절도범에 의해 차량 자체가 도난되거나, 절도범에 의해 차량 내외부의 차량 부품이 도난되거나, 차량 내의 귀중품이 도난되거나, 견인차 등에 의해 차량이 이송되는 경우 등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시동 상태 판별,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위치 여부 판별, 도어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시동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차주 인증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기능들 및 동작들은 스마트키 ECU(12), 차체 제어 모듈(BCM)(13), 스마트 정션 박스(SJB)(14), 엔진 ECU(15) 등과 같은 어느 하나의 차량 전장 장치에 구현되거나, 각각의 차량 전장 장치에 선택적으로 특정 기능들이 분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이 앞서 언급된 차량 전장 장치 내에 구현되지 않고 독립적인 하나의 차량 전장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스마트키 ECU(12), 차체 제어 모듈(BCM)(13), 스마트 정션 박스(SJB)(14), 엔진 ECU(15) 등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등으로 신호, 데이터, 정보를 상호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엔진 ECU(15)는 시동 오프 상태를 판별하여 CAN 통신으로 차체 제어 모듈(BCM)(13)에게 알리며, 차체 제어 모듈(BCM)(13)은 CAN 통신으로 스마트키 ECU(12)에게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위치해 있는지를 문의하며, 스마트키 ECU(12)는 CAN 통신으로 차체 제어 모듈(BCM)(13)에게 스마트 키 차량 실내 존재를 응답하며, 차체 제어 모듈(BCM)(13)은 CAN 통신으로 스마트 정션 박스(SJB)(14)에게 도어 락킹 명령을 내리며, 그에 따라 스마트 정션 박스(SJB)(14)가 도어를 제어해 락킹시킬 수 있다. 물론, 차체 제어 모듈(BCM)(13)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주요한 기능, 동작을 스마트 정션 박스(SJB)(14)가 단독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차체 제어 모듈(BCM)(13), 스마트 정션 박스(SJB)(14), 엔진 ECU(15) 등의 차량 전장 장치는 당업자 수준에서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럼,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은 시동 구동부(21),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22), 도어 구동부(23), 전원부(24), 제어부(25)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26), 지문 입력부(27), 카메라(28), 장거리 무선 통신부(29), 근거리 무선 통신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주 인증부로서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시동 구동부(21)은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온(on)인지, 오프(off)인지를 판별하여 제어부(25)에게 시동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22)는 스마트 키(11)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스마트키 위치 정보를 제어부(25)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22)는 스마트 키(11)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경우를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스마트 키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범위는 차량 시스템, 차주 임의 셋팅 등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3)은 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해 도어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등을 수행한다.
전원부(24)는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도어 락킹 해제 시도 시, 바람직하게는 차주, 절도범[이하, '사용자'라 통칭함] 등에 의해 키 입력부(26), 지문 입력부(27), 카메라(28), 장거리 무선 통신부(29), 근거리 무선 통신부(30)를 통해 차주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임시적으로 공급한다.
제어부(25)는 시동 상태 판별,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위치 여부 판별, 도어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시동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차주 인증 등 전반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25)의 주요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키 입력부(26)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 등을 제어부(25)에게 제공하여, 제어부(25)가 키 입력부(26)으로부터 받은 비밀번호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비밀번호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26)은 차량 도어의 손잡이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번호 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문 입력부(27)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스캔 정보 등을 제어부(25)에게 제공하여, 제어부(25)가 지문 입력부(27)로부터 받은 지문 스캔 정보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지문 스캔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지문 입력부(27)은 사용자의 지문 패턴을 읽어서 제어부(25)로 전달하는 기능만 있으면 족하고, 지문 인식 등의 기능은 제어부(25)에 구현되면 된다.
카메라(28)는 사용자의 안면 등 특정 신체부위를 촬영한 영상 또는 사용자가 제시한 피사체(예; 주민등록증 등)을 촬영한 영상 등을 제어부(25)에게 제공하여, 제어부(25)가 카메라(28)로부터 받은 촬영 영상과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영상으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안면 인식 기능으로 영상 기반 차주 인증을 수행하거나, 단순한 영상 매칭 기능으로 영상 기반 차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28)는 블랙박스(Blackbox)라 불리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주차 보조를 위한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8)를 통한 차주 인증 수행 시 차주 인증을 시작함을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알릴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28)와 연동되는 이벤트 센서를 사용한다. 즉, 차량 도어 락킹 해제의 목적으로 차주 인증 수행 시작을 알리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이벤트 센서에 해당하는 특정 이벤트를 주고서 카메라(28)의 앞에 서면, 제어부(25)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카메라(28)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촬영해 이 영상을 제어부(25)로 전달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물체 충격, 근접, 진동, 도어 열림 시도, 도어에 기계적 키 입력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센서로는 초음파, 전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벤트 센서는 차량의 범퍼, 그릴, 휀다, 사이드 미러, 도어, 트렁크, 룸 미러 앞측의 전방 윈도우, 브레이크 실내등 부근의 후방 윈도우 등 임의의 차량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카메라(28)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장거리 무선 통신부(29)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과 외부의 장거리 통신망, 예를 들어 3G, 4G(LTE) 등의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외부의 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이다. 이러한 장거리 무선 통신부(29)를 통해 차주가 스마트폰 앱으로 도어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사)의 블루링크 앱, 기아자동차(사)의 유보 앱 등을 통해 차주의 스마트폰을 장거리 무선 통신 기기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에는 도어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0)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과 외부의 근거리 통신망,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외부의 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이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30)를 통해 차주가 스마트폰 앱으로 도어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주의 스마트폰을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으로 도어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상황으로, 차주가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깜빡하고 스마트 키를 차량 실내에 두고 내리고서 댁내로 들어간 후에 다음날 출근하기 위해 차량에 온 경우이다.
차주에 의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시동 구동부(21)은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 상태가 되었음을 제어부(25)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22)를 통해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25)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5)는 도어 구동부(23)를 통해 도어를 락킹시킨다.
한편,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즉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외에 존재하면 제어부(25)는 도어 락킹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예시로,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5)는 도어 락킹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차주가 스마트 키(11)를 차량 실내에 두고 내리지 않은 경우, 즉 스마트 키(11)를 소지하고 차량에서 내린 경우로 볼 수 있다.
도어가 락킹된 상태에서 차주가 스마트 키(11)를 소지하지 않고서 차량에 온 경우에, 차주는 키 입력부(26), 지문 입력부(27), 카메라(28), 장거리 무선 통신부(29), 근거리 무선 통신부(30) 등의 차주 인증부를 통해 차주 인증을 요청한다. 이러한 차주 인증 요청 시 제어부(25)는 전원부(24)를 통해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어부(25)는 차주 인증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한다.
차주 인증을 수행한 결과로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제어부(25)는 도어 구동부(23)를 통해 도어 락킹을 해제시킨다. 물론, 차주 인증을 수행한 결과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면 도어 락킹을 유지시킨다. 이를 통해 차주는 도어를 열고서 차량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은 시동 구동부(51),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52), 전원부(53), 제어부(54)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56), 디스플레이부(57), 지문 입력부(58), 카메라(59), 장거리 무선 통신부(60), 근거리 무선 통신부(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주 인증부로서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동 구동부(51)은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온(on)인지, 오프(off)인지를 판별하여 제어부(54)에게 시동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시동 구동부(51)은 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해 시동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등을 수행한다.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52)는 스마트 키(11)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스마트키 위치 정보를 제어부(54)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52)는 스마트 키(11)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경우를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스마트 키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범위는 차량 시스템, 차주 임의 셋팅 등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원부(53)는 차량 시동 오프 상태에서 시동 락킹 해제 시도 시, 바람직하게는 차주, 절도범[이하, '사용자'라 통칭함] 등에 의해 키 입력부(56), 디스플레이부(57), 지문 입력부(58), 카메라(59), 장거리 무선 통신부(60), 근거리 무선 통신부(61)를 통해 차주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임시적으로 공급한다.
제어부(54)는 시동 상태 판별,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위치 여부 판별, 도어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시동 구동 제어(예; 락킹(locking), 언락킹(unlocking)), 차주 인증 등 전반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54)의 주요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스피커(55)는 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한 음성 출력 기능 또는 호른음 출력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본 발명에서는 차주에게 스마트 키를 차량 실내에 두고 내렸음을 알리는 경고음, 경고 방송 등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56)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 등을 제어부(54)에게 제공하여, 제어부(54)가 키 입력부(56)으로부터 받은 비밀번호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비밀번호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56)은 차량 실내의 센터페시아에 구비된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7)은 터치 입력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터치 패턴 정보 등을 제어부(54)에게 제공하여, 제어부(54)가 디스플레이부(57)로부터 받은 터치 패턴 정보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터치 패턴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7)은 차량 AV 시스템의 터치 스크린 또는 내비게이션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문 입력부(58)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지문 스캔 정보 등을 제어부(54)에게 제공하여, 제어부(54)가 지문 입력부(58)로부터 받은 지문 스캔 정보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지문 스캔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지문 입력부(58)은 사용자의 지문 패턴을 읽어서 제어부(54)로 전달하는 기능만 있으면 족하고, 지문 인식 등의 기능은 제어부(54)에 구현되면 된다.
카메라(59)는 사용자의 안면 등 특정 신체부위를 촬영한 영상 또는 사용자가 제시한 피사체(예; 주민등록증 등)을 촬영한 영상 등을 제어부(54)에게 제공하여, 제어부(54)가 카메라(59)로부터 받은 촬영 영상과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영상으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안면 인식 기능으로 영상 기반 차주 인증을 수행하거나, 단순한 영상 매칭 기능으로 영상 기반 차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59)는 차량 룸미러 부근에 설치된 블랙박스(Blackbox)라 불리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촬영 방향을 돌려서 사용하거나, 차량의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주차 보조를 위한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59)를 통한 차주 인증 수행 시 차주 인증을 시작함을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알릴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59)와 연동되는 이벤트 센서를 사용한다. 즉, 차량 시동 락킹 해제의 목적으로 차주 인증 수행 시작을 알리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이벤트 센서에 해당하는 특정 이벤트를 주고서 카메라(59)의 앞에 서면, 제어부(54)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카메라(59)를 구동시켜 사용자를 촬영해 이 영상을 제어부(54)로 전달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물체 충격, 근접, 진동, 도어 열림 시도, 도어에 기계적 키 입력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벤트를 검출하는 센서로는 초음파, 전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벤트 센서는 차량의 범퍼, 그릴, 휀다, 사이드 미러, 도어, 트렁크, 룸 미러 앞측의 전방 윈도우, 브레이크 실내등 부근의 후방 윈도우 등 임의의 차량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카메라(59)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장거리 무선 통신부(60)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과 외부의 장거리 통신망, 예를 들어 3G, 4G(LTE) 등의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외부의 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이다. 이러한 장거리 무선 통신부(60)를 통해 차주가 스마트폰 앱으로 시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사)의 블루링크 앱, 기아자동차(사)의 유보 앱 등을 통해 차주의 스마트폰을 장거리 무선 통신 기기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에는 시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61)은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과 외부의 근거리 통신망,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외부의 기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이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61)를 통해 차주가 스마트폰 앱으로 시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주의 스마트폰을 근거리 무선 통신 기기로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으로 시동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상황으로, 차주가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고의로 스마트 키를 차량 실내에 두고 내리고서 편의점에서 물건을 산 후에 차량에 온 경우이다.
차주에 의한 차량 시동 오프에 따라, 시동 구동부(51)은 차량의 시동 상태가 오프 상태가 되었음을 제어부(54)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52)를 통해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545)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면, 제어부(54)는 시동 구동부(51)를 통해 시동을 락킹시킨다. 이러한 시동 락킹은 시동이 켜지지 않는 보안 모드로 천이(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시동을 락킹했기 때문에 절도범에 의해 차량 도난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도어를 언락킹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면, 제어부(54)는 스피커(55)를 통해 차주에게 스마트 키를 차량 실내에 두고 내렸음을 경고한다.
한편,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즉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외에 존재하면 제어부(54)는 시동 락킹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예시로,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 스마트 키(11)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54)는 시동 락킹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차주가 스마트 키(11)를 차량 실내에 두고 내리지 않은 경우, 즉 스마트 키(11)를 소지하고 차량에서 내린 경우로 볼 수 있다.
도어 언락킹 상태 및 시동 락킹 상태에서 차주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 차주는 키 입력부(56), 디스플레이부(57), 지문 입력부(58), 카메라(59), 장거리 무선 통신부(60), 근거리 무선 통신부(61) 등의 차주 인증부를 통해 차주 인증을 요청한다. 이러한 차주 인증 요청 시 제어부(54)는 전원부(53)를 통해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어부(54)는 차주 인증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한다.
차주 인증을 수행한 결과로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제어부(54)는 시동 구동부(53)를 통해 시동 락킹을 해제시킨다. 물론, 차주 인증을 수행한 결과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면 시동 락킹을 유지시킨다. 이를 통해 차주는 시동을 걸고서 차량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 시동 구동부 22: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
23: 도어 구동부 24: 전원부
25: 제어부 26: 키 입력부
27: 지문 입력부 28: 카메라
29: 장거리 무선 통신부 30: 근거리 무선 통신부

Claims (8)

  1.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판별하는 시동 구동부;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
    도어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수행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 오프 상태로 판별되고, 상기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를 통해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 구동부를 통해 도어를 락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측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며,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도어 구동부를 통해 도어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3.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상태를 판별하고, 시동의 락킹 또는 언락킹을 수행하는 시동 구동부;
    스마트 키의 차량 실내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 및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 오프 상태로 판별되고, 상기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를 통해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을 락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측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로 차주 인증을 수행하며,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시동 구동부를 통해 시동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사전에 설정한 시간이 지났어도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도어 락킹 또는 시동 락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위치 판별부는, 상기 스마트 키가 특정 통신 범위에 위치한 경우에 스마트 키가 차량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주 인증에 관한 사용자측 정보는, 키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지문 입력부, 카메라, 장거리 무선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주 인증부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주 인증에 관한 사용자측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140033362A 2014-03-21 2014-03-21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KR20150110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62A KR20150110931A (ko) 2014-03-21 2014-03-21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62A KR20150110931A (ko) 2014-03-21 2014-03-21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31A true KR20150110931A (ko) 2015-10-05

Family

ID=5434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62A KR20150110931A (ko) 2014-03-21 2014-03-21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9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504A (ko) * 2016-04-15 2017-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1298A (ko) * 2016-06-27 2018-01-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시동 장치 및 방법
KR101962750B1 (ko) * 2017-11-06 2019-04-01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차량 시동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시동 제어 방법
CN114422950A (zh) * 2022-01-21 2022-04-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超宽带信号定位的车辆召唤系统、召唤方法及汽车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504A (ko) * 2016-04-15 2017-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1298A (ko) * 2016-06-27 2018-01-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시동 장치 및 방법
KR101962750B1 (ko) * 2017-11-06 2019-04-01 주식회사 에스티씨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한 차량 시동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시동 제어 방법
CN114422950A (zh) * 2022-01-21 2022-04-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超宽带信号定位的车辆召唤系统、召唤方法及汽车
CN114422950B (zh) * 2022-01-21 2023-08-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超宽带信号定位的车辆召唤系统、召唤方法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761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US10318795B2 (en) Remote camera access
KR102071406B1 (ko)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CN108357462B (zh) 车辆解锁的方法及车辆
US20200090437A1 (en) Vehicle entry system and onboard device
JP2012504716A (ja) 自動車の開閉パネルの自動的ロック解除装置
JP2016079600A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CN110089127B (zh) 便携式终端、车辆的远程操作方法和程序
US1047932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adio-based monitoring system of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monitoring system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he monitoring system
US11247636B2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and in-vehicle device
JP2014116998A (ja) ロック制御装置
US10803686B2 (en) Vehicle and vehicle system
KR20200017024A (ko) 원격 제어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22111A1 (en) Plug lock device
KR20150110931A (ko) 차량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
JP4870997B2 (ja) 車両用キーレス装置
JP3857600B2 (ja)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JP4396687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4451096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及びシステム
JP613937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10203168B (zh) 车辆移动的通知装置以及通知方法
JP2013126197A (ja) 盗難防止システム
KR101540102B1 (ko) Obd-ⅱ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TW201917705A (zh) 無線通訊系統
JP2014192724A (ja) 端末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